조직의 미래를 위한 힘

오늘 조직 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들이 함께 모여서 워크숍을 진행했다. 매년 2~3번 정도 진행하고 있다. 오늘은 조금 늦었지만 2024년 회고를 진행하고, 제시카 커(Jessica Kerr)의 강연에서 나온 Generativity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조직의 미래를 위한 힘'이라는 발표를 했다.


단기적 성과에 치중하기 쉬운 현실 속에서 Generativity 문화로 조직과 개인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태도를 전달하고자 했다. 소프트웨어 개발에서의 Generativity는 조직과 시스템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남기는 장기적인 기여를 뜻한다. 즉, 품질과 유지보수성을 고려한 기여, 지식 공유와 문서화, 코칭과 멘토링, 팀 중심 사고 등을 통해 조직의 안정성과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단기적으로는 속도가 느려 보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조직 전체의 역량을 향상시키고 조직의 지속적인 성장을 이끌어낸다. 궁극적으로 개인과 조직 모두에게 깊은 만족감과 성장을 가져다줄 것이다.


최근 구성원들과 일대일(1on1) 중 들었던 고민들을 어떻게 함께 풀어볼 수 있을까? 하고 고민하다, 토비님이 작년 인프콘에서 발표했던 클린 스프링에 대한 이야기를 함께 나눠보고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후 자료를 정리하던 중 Generativity까지 알게되어 급히 끌어다 써먹었다. 다행이 많은 구성원들이 재미있게 들어주셔서 행복하고, 재미난 워크숍으로 기억에 남을 듯 하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1월 22일 오전 11:5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한 장에 메시지 하나만

    

    ... 더 보기


    io.valkey.glide 의 장단...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Redis 라이센스 정책에 의해서 최근 io.valkey 에 대한 마이그레이션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Valkey 는 Redis 7.4 미만 버전의 fork 서비스로 현재는 valkey 8.0 까지 release 되었지만, 저희는 아직 Valkey 7.2.x 로 테스트를 하고 있어요.

    ... 더 보기


    99%가 코딩 공부를 실패하는 이유

    코딩 배울 때 피해야 할 공부법과 해결책 글을 읽고 핵심을 간략하게 정리해서 제 생각과 함께 공유합니다. 1️⃣ 튜토리얼에 의존하게 되는 경우 처음 배울 때 튜토리얼을 찾아서 샘플 어플도 따라 만들어 본다. 그후에 혼자서 스스로 어플을 만들려면 머릿속이 백지처럼 변한다. 마치 안 배웠던 것처럼 까먹고 무엇을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 모른다. 튜토리얼만 무조건 따라 한다고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건 아니다. 튜토리얼을 따라 하면서 중요한 것은 관련 지식을 '내 것'으로 만드는 것이다. 관련 지식을 내 것으... 더 보기

    Why 99% of People Fail to Learn to Code

    Medium

    Why 99% of People Fail to Learn to Code

     • 

    댓글 2 • 저장 77 • 조회 5,897


    < 답답한 팀원 때문에 잠 못 드는 리더에게 >

    1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