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찌가 4000원?.. 명품 패션업계의 새로운 격전지 '메타버스(Metaverse)' ] 벌써 메타버스가 명품 패션업계의 격전지로 떠오른 것이 놀랍습니다. 증강현실(AR)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인 네이버Z의 서비스 '제페토'의 가상공간에는 이미 구찌, 나이키, 컨버스, 디즈니, 푸시버튼과 같은 패션 브랜드들이 입점했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왜 입점했을까요? 가입자가 2억명에 달하고, 그 중 90%가 해외 이용자, 80%는 10대, 일일 방문자 수는 4000만명에 이르는 제페토 플랫폼에서 MZ세대들에게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려는 이유✔︎가 가장 주효한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제페토에서는 가상 구찌 아이템을 4000원에 구매할 수 있는데요, 주로 10대가 이용하는 플랫폼인만큼 실제 구찌의 주 고객층이 모여있는 공간은 아니지만 ① 2억명에 달하는 MZ세대들의 명품 소비 트렌드를 (브랜드 이미지 평판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수집할 수 있으면서 ② 인지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메타버스는 현재 패션업계의 격전지로 떠오르고 있는 것입니다. 메타버스를 마케팅 공간으로 이용하는 추세는 코로나 19 이후에도 패션업계뿐만 아니라 더 많은 업종에서도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다음에는 패션업계에서만큼이나 핫한 엔터업계에서의 메타버스 트렌드 현황을 가져오도록 하겠습니다 😉

MZ세대 겨냥 '메타버스' 공간서 '피지털' 경쟁 나선 패션업계

오피니언뉴스

MZ세대 겨냥 '메타버스' 공간서 '피지털' 경쟁 나선 패션업계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5월 23일 오후 3:4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당신의 커리어를 바꿀 단 두 가지 능력 >

    1. 레버리지와 도구는 과정과 결과 사이의 단절을 만들어냅니다.

    ... 더 보기

    퍼스널 브랜딩의 불편한 진실

    회사에서 개인의 브랜드를 만든다는 것은 누군가를 불편하게 하는 행위이다.
    이게 무슨 말일까?

    ... 더 보기

    AI 시대, 데이터 분석에 대해 새롭게 정의해야 하는 이유

    AI 시대를 맞이하면서 우리는 다양한

    ... 더 보기

    < 답답한 팀원 때문에 잠 못 드는 리더에게 >

    1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