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답이 '창의적'이지 않은 이유는? 창의성에 대한 진실 혹은 거짓 | 창의력, 사고력, 과학
YouTube

<진정한 창의성은, 지극히 평범한 루틴에서 나옵니다> 1. 일반적으로 어른보다 아이가 더 창의적이라고 생각하지만, 과학적으로 살펴보면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2.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유레카처럼, 뛰어난 창의성을 발휘려면 영감이 떠오른 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이 또한 사실이 아닙니다. 3. 또한, 사람들은 엄청 쥐어짜낸 아이디어보다 갑자기 번뜩이면서 떠오른 아이디어가 훨씬 더 창의적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도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4. 이처럼 사람들은 '유레카'나 '아하! 모먼트'처럼 특정 순간에 창의성이 발견된다는 등 창의성에 대한 여러 종류의 미신을 가지고 있는데요. 이런 미신의 종류는 꽤나 다양합니다. “창의성은 타고나는 거야”, “마약이나 술, 담배를 해야 창의적이게 돼”, ‘모범생처럼 살아선 창의적일 수 없어” 등등 말이죠. 5. 그런데 말이죠. 흥미롭게도 정말 창의적이라고 분류되는 사람들은 이런 말들을 믿지 않았어요. 그리고 이들은 창의성을 다루는 자신만의 방법들을 알고 있었어요. 6. 정말 창의적인 사람들은, 창의성이 잘 발휘되지 않을 때는 억지로 쥐어짜내는 것보다는 잠깐의 휴식을 가지는 것이 좋다는 것을 잘 알았고요. 7. 여러 명이 브레인스토밍 등을 통해 난상토론을 하는 것보다는, 혼자서 숙고하는 게 훨씬 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찾는 방법이라는 것도 잘 알았어요. 8. 특히 진짜 창의적인 사람들은 강철같이 자신의 루틴을 잘 지켰다고 해요. 매일 아침에 일어나 칼같이 자신의 루틴을 지킨 것이죠. 9. 한 창작자는 이렇게 말하기도 하는데요. “영감은 아마추어에게나 필요한 것이다. 대부분의 (위대한) 창작자들은 늘 하던 일을 전혀 특별하지 않게 (반복) 한다. 모든 좋은 아이디어는 그저 (자신이) 일하는 프로세스 안에서 나오기 때문이다"라고요. 10. 즉, 가장 창의적인 생각은 사람들이 그다지 특별하다고 생각하지 않는, 이미 습관이 되어 버려서 다른 사람의 눈에는 평범해보는 루틴 속에서 나온다는 겁니다. 그렇기에 '하루를 어떻게 사느냐'가 '얼마나 창의적인 삶을 사느냐'를 결정할 수도 있는 것이죠.
2021년 9월 29일 오전 3:21
스트레인저 댄 픽션이라는 영화 추천합니다. 스포방지. 스포. 작중 창의성을 발휘하려 여러 일들을 하는 대작가가 나옵니다. 10년간 소설 하나를 완성시키기 위해 고민하며 일상적이지 않은 경험들을 통해 주제와 꼭 맞는 아이디어를 찾으려 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결국 아이디어는 일상에서 발견합니다. 스포.
추천 감사합니다 ^^
무라카미 하루키도 비슷한 말(하루하루 꾸준히 하다 보면, 어느 순간 내 안에서 '뭔가'가 일어납니다)을 하더라구요🙏
넵 과학적으로도 확인된 접근법인 것 같아요 ^^
앞으로도 좋은 글 많이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