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 BM 전성시대다. 애플, 아마존, 테슬라와 국내 네이버, 카카오까지 사업 다각화를 통해 시가총액을 크게 높이는 것이 대세다. 해외 사례를 보면 본업에 해당하는 BM을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버티컬 사업 다각화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거기에 비하면 국내 기업들은 비교적 사업간 연결고리가 강하지 않아 ‘문어발식 확장’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해외 BM 다각화 Best practice로 애플과 아마존, 테슬라 사례를 소개한다. 💻 애플 - 애플뮤직, 앱스토어, 아이클라우드 등 콘텐츠 중개 서비스를 통해 지난해 애플이 거둬들인 수익은 전체 매출의 20%에 달함 -> 영업이익률을 따지면 ‘본업’이라고 할 수 있는 하드웨어 판매를 통한 수익을 능가 🌏 아마존 - 쇼핑몰 운영수익보다 클라우드사업인 AWS로 벌어들인 수익이 더 많음 - 자회사 아마존 랩(Lab)126을 통해 전자책 단말기 킨들, 에코 스피커, 셋톱박스 파이어TV, 날아다니는 보안카메라 링 올웨이즈 홈 캠(Ring Always Home Cam), 가정용 로봇 아스트로 등 독특한 하드웨어 출시 - 하드웨어에는 AI(인공지능)가 연동돼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 - 비즈니스 모델(BM)도 단순히 하드웨어 판매가 아닌, 관련 서비스를 구독경제 형태로 제공함(사용자에게 매달 사용료 부과) 🚘 테슬라 - 기존 자동차 제조업체처럼 차량을 만들어 판매하는 것을 뛰어넘어 위성지도와 실시간 교통 정보 및 음악·영상 스트리밍 구독 서비스 ‘프리미엄 커넥티비티’를 한 달 9.99달러(약 1만1900원)에 제공 - 완전자율주행 구독 서비스, 에너지 충전 등과 관련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판매 BM도 선보임 - 스마트폰 앱스토어처럼 차량에서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 기획 - 새 모빌리티사업 ‘로보택시’(자율주행 택시)도 구상 중 - 테슬라 차량 운행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향후 보험이나 교통정보에 관한 데이터 비즈니스도 추진 가능 - 8월 테슬라는 “슈퍼컴퓨터 도조(Dojo)를 개발 중이며 향후 AI 자원을 외부 기업에 개방할 것”이라고 밝힘 -> AI 클라우드 비즈니스 가능성 존재

쿠팡, 카카오 시가총액 8할은 '멀티 BM' 덕분

동아일보

쿠팡, 카카오 시가총액 8할은 '멀티 BM' 덕분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0월 25일 오전 9:5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대학원 갈까 말까? I 공공기관 MZ 취업 입사 후

    ... 더 보기

    v0.dev를 이용해서 바이브 코딩할때 활용할 수 있도록 PRD 프롬프트를 작성했습니다.

    ... 더 보기

    v0.dev PRD Generator (Pro Ver.)

    SuperPM

    v0.dev PRD Generator (Pro Ver.)

    ‘브랜드 챔피온’은 누구일까? 브랜드가 추구하는 가치에 따라 살려고 노력하며, 누구보다 열성적인 브랜드 마니아 같은 사람이다. 이들은 조직 내의 회의론자를 만나면, 브랜드 핵심가치를 다시 한번 설명하고 브랜드다움을 함께 지켜나가자고 독려한다. 기업 내부의 긍정적인 버즈(Buzz)의 중심에는 브랜드 챔피온이 있다.

    ... 더 보기

    브랜드 챔피언(Living the brand)를 만드는 브랜드 교육

    The Unitas

    브랜드 챔피언(Living the brand)를 만드는 브랜드 교육

    조회 153


    < 당신에게 필요한 건, 딱 100미터 앞의 시야면 충분해요 >

    1. 야간 주행을 생각해보라. 헤드라이트는 고작 50~100미터 앞밖에 비추지 못하지만 당신은 그 차를 몰고 캘리포니아에서 뉴욕까지라도 갈 수 있다.

    ... 더 보기

    데이터 분석? AI 기술? 멘토링이 필요한 저연차 재직자는 주목!

    ... 더 보기

    조회 59


    < 당신의 커리어를 바꿀 단 두 가지 능력 >

    1. 레버리지와 도구는 과정과 결과 사이의 단절을 만들어냅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