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그냥 할 수 있는 거 하자… 🤦와 ICE 프레임워크 💁 그 사이 어딘가 첫 회사로 뉴닉에 입사하고 3개월째, ‘여성의 날을 위한 콘텐츠를 기획해보라!’는 프로젝트를 받았다. 화려한 영상이 눈길을 사로잡는 나이키의 광고 영상이 프로젝트 레퍼런스로 주어졌다. 프로젝트를 함께 할 디자이너나 마케터 리소스는 없었다. 내가 할 수 있는 건 오로지 글쓰기. 텍스트와 레터, SNS를 통해 풀어내야 했다. 프로젝트 Objective는 뉴닉답게 여성의 날을 기념하기. 당시 내 노션 메모장에는 이런저런 고민이 줄줄이 손을 잡고 잔뜩 적혀 있다. - 여성의 날? SNS 인증이나 말뿐인 축하 같은 거 말고… 문제 상황에 공감하고 머리가 띵- 할 수 있게끔… 강력하면서도 센스있는 것 없을까? - 참여형 캠페인...은 나이키처럼 잘할 거 아니면 그냥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는 게 낫지 않을까?ㅎ - 뉴닉 내부에서 사용하는 에디토리얼 가이드 일부를 공개해볼까? “강력하면서도 센스있는 것” 그리고 “우리가 잘 할 수 있는 것”.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이런 의사 결정 방식을 어려운 말로 ICE 프레임워크라고 부른다. Impact 있으면서도 Confidence 우리가 잘 할 자신이 있으며 Ease 쉬운 것.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차별적 용어 대신 대안 용어를 알려주는 것은 큰 임팩트가 있었으며(Impact), 평소 인권 감수성이 높은 단어를 써서 시사이슈를 전하는 뉴닉이 잘하는 것이었고(Confidence) 노션 페이지에 단어를 정리하고 링크만 걸면 되니 아주 쉬웠다(Ease). 2020 뉴닉 여성용어가이드는 그렇게 탄생했다. 2년이 지난 지금, 중요한 전략을 두고 의사결정을 할 때도 나는 종종 “우리가 잘하는 것부터 잘하자”고 얘기한다. Scalability를 좇기 위해 시장과 문제상황을 새롭게 파헤칠 게 아니라 우리가 잘하는 것, 소비자로부터 잘한다고 여겨지는 것, 거기서부터 시작할 때 비로소 impact를 낼 수 있지 않을까. (그리고 쉽게 할 수 있지 않을까…😇)

🦔 3월 6일. 정부의 마이너스 통장 💳

stibee.com

🦔 3월 6일. 정부의 마이너스 통장 💳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2년 4월 12일 오후 3:26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퇴근길 지하철에서 중년 사내와 20대 후반의 한 젊은이가 필자의 앞에 나란히 앉아 있었다. “자리가 사람을 만드는 법이지.” 중년 사내가 젊은이에게 건네는 말 한마디가 내 귀에 들려왔다. 그 순간 나는 묘한 추억에 빠져들었다.

    ... 더 보기

    [김인수 기자의 사람이니까 경영이다]자리가 무능한 사람을 만든다는데 - 매일경제

    매일경제

    [김인수 기자의 사람이니까 경영이다]자리가 무능한 사람을 만든다는데 - 매일경제

    퇴사 부검 : 네이버를 떠나며

    ... 더 보기

    퇴사 부검 : 네이버를 떠나며

    taetaetae.github.io

    퇴사 부검 : 네이버를 떠나며

     • 

    저장 10 • 조회 1,107


    스스로 생각하는 힘

    

    ... 더 보기

    < 레이 달리오의 뇌를 복제한 인공지능의 정체 >

    1

    ... 더 보기

    < 무엇이 사람들을 하나로 뭉치게 하는가? >

    1. 사람들을 하나의 부족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단 두 가지만 있으면 된다. '통의 관심사'와 '소통 방법'이다.

    ... 더 보기

    < 좋은 질문은 틀릴 수 있는 질문이에요 >

    1. 질문은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이어야 하고, 그 대답은 ‘틀릴 수 있어야’ 합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