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적인 업무 방식(프로세스)을 만드는 관점의 차이> 안녕하세요. 더 띵크의 제이입니다. 이번 아티클은 책 ‘린 스타트업’ 정리 마지막으로 작은 일괄 작업 크기와 당김 방식의 업무 프로세스에 대해 소개해보겠습니다. 종이봉투에 소식지를 넣어 봉한 뒤 도장을 찍는 일이 있다고 해봅시다. 한 번에 봉투를 하나씩 끝내는 방식과, 일단 모든 소식지를 반으로 접고 나서 봉인을 붙이고 난 뒤 모든 봉투에 도장을 찍는 방식 중 어떤 것이 더 생산성이 높을까요. 한 번에 봉투 하나씩 끝내는 방식(싱글 피스 플로)이 비효율적으로 보여도 결국 더 빠릅니다. 이것은 일괄 작업 크기가 작기 때문인데요. ‘일괄 작업 크기’는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한 번에 넘어가는 일의 수를 의미합니다. 만약 100장의 봉투를 끝내야 한다면 전자의 일괄 작업 크기는 1, 후자는 100(100장의 소식지를 반으로 접은 뒤 다음 작업으로 넘어가기 때문)입니다. 프로세스 중심 업무에서는 개인 생산성이 전체 시스템 생산성만큼 중요하지 않습니다. 일괄 작업 크기를 크게 잡은 진행 방식에서는 중간 과정의 문제를 마지막에 가서야 알게 될 수도 있죠. 일괄 작업 크기가 작은 진행 방식에서는 이 사실을 곧바로 알게 되고 (미리 해놓은 잘못된 것들을 다시 하는 등)추가로 수행해야 하는 업무가 하나도 없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봉투 안에 소식지를 집어넣는 간단한 일에서는 아주 잘 보여서 큰 차이 없이 누구나 비슷하게 끝낼 수 있지만, 현실 세계 스타트업에서는 어떤 일괄 작업 크기로 일을 진행하는지에 따라 그 결과가 크게 달라집니다. 더 보기 링크

작은 일괄 작업과 당김 방식 업무 프로세스(토스 대표님이 스타트업의 성공률을 3배 이상 올려줬다고 한 책, 5편) : 더 띵크 공식 블로그

Imweb

작은 일괄 작업과 당김 방식 업무 프로세스(토스 대표님이 스타트업의 성공률을 3배 이상 올려줬다고 한 책, 5편) : 더 띵크 공식 블로그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2년 7월 25일 오전 9:2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당신의 커리어를 바꿀 단 두 가지 능력 >

    1. 레버리지와 도구는 과정과 결과 사이의 단절을 만들어냅니다.

    ... 더 보기

    ‘브랜드 챔피온’은 누구일까? 브랜드가 추구하는 가치에 따라 살려고 노력하며, 누구보다 열성적인 브랜드 마니아 같은 사람이다. 이들은 조직 내의 회의론자를 만나면, 브랜드 핵심가치를 다시 한번 설명하고 브랜드다움을 함께 지켜나가자고 독려한다. 기업 내부의 긍정적인 버즈(Buzz)의 중심에는 브랜드 챔피온이 있다.

    ... 더 보기

    브랜드 챔피언(Living the brand)를 만드는 브랜드 교육

    The Unitas

    브랜드 챔피언(Living the brand)를 만드는 브랜드 교육

    조회 178


    < 당신에게 필요한 건, 딱 100미터 앞의 시야면 충분해요 >

    1. 야간 주행을 생각해보라. 헤드라이트는 고작 50~100미터 앞밖에 비추지 못하지만 당신은 그 차를 몰고 캘리포니아에서 뉴욕까지라도 갈 수 있다.

    ... 더 보기

    v0.dev를 이용해서 바이브 코딩할때 활용할 수 있도록 PRD 프롬프트를 작성했습니다.

    ... 더 보기

    v0.dev PRD Generator (Pro Ver.)

    SuperPM

    v0.dev PRD Generator (Pro Ver.)

    데이터 분석? AI 기술? 멘토링이 필요한 저연차 재직자는 주목!

    ... 더 보기

    조회 59


    대학원 갈까 말까? I 공공기관 MZ 취업 입사 후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