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기에의 초현실주의 화가 르네 마그리트의 작품 중 파이프가 그려져 있는 그림 아래에는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Ceci n’est pas une pipe)’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캔버스에 그려진 것은 명확한 파이프다. 그런데 파이프가 아니라고? 캔버스 앞에 선 관람객들은 작가가 왜 그런 문장을 작품에 넣었는지 고민하기 시작한다. ‘정말 파이프가 아닌가?’ ‘그렇다면 파이프가 아니고 도대체 뭐란 말인가?’ ‘작가가 관람객에게 거짓말을 하는가?’ 마그리트는 친숙한 이미지 앞에 선 관람객들의 당황스러움을 야기한다. 인간은 글자도 그림, 즉 이미지의 하나로 인식한다. 파이프 그림을 보고 파이프를 떠 올리기도 하고, 글자를 보고도 파이프를 떠올린다. 파이프 그림을 통해 보여준 마그리트의 문제의식을 적용하면 언어도 인간의 사고를 속인다는 말이 된다. 이러한 현상을 ‘프레임(frame)’이라고 한다. 프레임은 창문이나 액자의 틀로서 상대가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을 내가 선호하는 것으로만 제시하여, 어떤 결과라도 내가 만족할 수 있는 결정으로 만들려는 전략적 선택이다. 이런 프레임은 우리 주변에서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용카드’는 사실 그 기능대로 이름을 붙인다면 ‘외상카드’라고 해야 맞다. 하지만 외상카드라는 부정적 프레임을 적용하면 카드를 쓸수록 빚이 쌓인다는 느낌을 받기 때문에 불필요한 소비를 자제하게 된다. 반면 신용카드라는 긍정적 프레임을 적용하는 순간, 카드를 쓸수록 신용이 쌓이는 착각을 한다. 이러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신용카드가 보급된 이후 과소비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신용불량자 수가 확대된 점만 보더라도, 프레임을 통한 언어조작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발휘되는가를 알 수 있다. 인간은 언어적 조작(프레임)을 적용하여 자신에게 유리한 의사결정을 이끈다. 그래서 ‘대량해고’ 보다는 ‘정리해고’라는 언어를 사용한다. 대량해고라고 하면 실업으로 고통받는 모습을 떠올리지만, 정리해고는 기업의 경영 효율화, 높은 생산성 같은 내용을 떠오르게 한다. 병원에 갈 때마다 듣기 힘든 언어가 있다. ‘환자님’, ‘환자분’이란 단어다.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사투를 벌이고 있는 사람에게 ‘환자’라는 표현은 고통과 시련의 프레임이다. 의사의 도움을 반드시 받아야 하는 약자로 만들어버리는 프레임이다. 그런데 가족의 치료를 위해 한동안 다녔던 병원의 담당 의사는 환자를 부르는 호칭이 달랐다. 환자를 “어르신” “여사님” “정 원사님”으로 부르며 인사를 건냈다. 가족이 퇴원하던 날 담당 의사와 이야기를 나눌 기회가 있었다. “다른 병원에서는 환자라는 호칭을 사용하는 데 선생님께서는 왜 환자라고 부르지 않으세요?” 그러자 그 의사는 “환자에서 ‘환(患)’은 ‘아플 환’이잖아요. 자꾸 환자라고 부르면 계속 아파요. 빨리 나아서 건강해지셔야죠.” 인간은 언어에 의해 정신적 지배를 받는다. 그래서 사회적 강자나 지배 세력은 자신의 영향력을 강화 및 확대하기 위한 수단으로 언어를 사용한다. 르네 마그리트의 작품의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라는 문구는, 왜곡과 조작의 늪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인식의 전환을 촉구하는 것은 아니었을까.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

한국경제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2년 11월 20일 오전 11:3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공공기관 합격하는 사람은 이 포인트를 정확히 알고 갑니다

    ... 더 보기

    난임 스타트업 '오키드헬스'는 배아를 대상으로 향후 발병 소지가 있는 수천 가지 질병을 검사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서비스를 통해 예비 부모는 자녀의 유전 정보를 이전보다 훨씬 더 많이 알 수 있다.

    ... 더 보기

    유전 데이터로 아기 선별해 낳는다?…美 스타트업 '슈퍼베이비' 논란

    n.news.naver.com

    유전 데이터로 아기 선별해 낳는다?…美 스타트업 '슈퍼베이비' 논란

    조회 180


    AI 시대, 데이터 분석에 대해 새롭게 정의해야 하는 이유

    AI 시대를 맞이하면서 우리는 다양한

    ... 더 보기

    스웨덴 AI 스타트업 ‘러버블(Lovable)’이 설립 8개월 만에 유니콘 기업 반열에 올랐다. AI 기반 코드 생성 플랫폼으로 주목받는 러버블은 최근 시리즈A 투자 라운드에서 2억 달러(약 2,880억 원)를 유치하며 기업가치 18억 달러(약 2조 5,920억 원)를 인정받았다.

    ... 더 보기

    스웨덴発 AI 스타트업 '러버블', 8개월 만에 유니콘 등극…비개발자 시장 정조준 - TokenPost

    TokenPost

    스웨덴発 AI 스타트업 '러버블', 8개월 만에 유니콘 등극…비개발자 시장 정조준 - TokenPost

    조회 299


    국내 바이브코딩 시장을 혼자 독점하고 계신 커서맛피아님을 인터뷰했어요.

    ... 더 보기

    월 8천만원을 벌던 개발자가 바이브코딩 도구를 만드는 이유

    이건 올리브영·다이소·무신사의 레슨

    월 8천만원을 벌던 개발자가 바이브코딩 도구를 만드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