엊그제 우리 책방의 북토크 주제는 김영민 교수의 ‘인생의 허무를 어떻게 할 것인가’였다. 그의 글과 사유를 좋아하는 독자들이 이 추운 날에도 책방을 가득 메웠는데 진행을 본 나는 이런 질문을 했다. 교수님은 책에서 고단한 노동과 삶으로부터 벗어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긴 여가 시간을 확보하면 되는건지 질문을 던지셨는데, 요즘 MZ세대들은 FIRE (Financial Independence Retire Early)족이 되고자 한다, 이에 대한 교수님의 견해가 궁금하다고 물었다. 그는 뜻밖의 답을 내놓았다. 일하지 않는 시간, 그 긴 여가의 무료함과 권태로움을 견디기 어려울 거라는…지금은 노동의 피로에 찌들어서 일하지 않는 여가를 갈망하지만 막상 그렇게 살아 보면 그 또한 만만치 않을 거라는…그의 답을 듣는 내 머릿속에 이런 생각이 번졌다. ‘어떻게 사는가’는 결국 ‘무엇을 감당할 것인가’의 문제로구나. 며칠 후면 한 해를 마감하는 시간이 온다. 나는 올해 무언가를 하거나 하지 않았고, 선택하거나 선택하지 않았으며, 열심히 하거나 열심히 하지 않았다. 그래서 생긴 결과는 온전히 내 몫이고 내가 감당해야 한다. 어디 올 한 해뿐이랴. 지금껏 살면서 했거나 하지 않은 일, 서둘렀거나 늦어버린 일, 도전했거나 회피한 일, 좋아했거나 싫어한 것, 나의 지금 하루하루는 그것들을 감당하는 시간이다. 중년 고개를 넘으면서 몸의 여기저기가 아팠는데 병원에 가도 잘 낫지 않았다. ‘명의’를 소개받은 적도 여러 번이지만 그다지 효험이 크지 않았다. 그러다 알아차렸다. 나의 병은 대체로 만성인데 그것은 어느 날의 갑작스러운 발병이 아니라 오랜 시간 내가 그렇게 산 결과임을. 그러므로 의사가 해줄 수 있는 것은 매우 제한적이고 나 스스로 사는 방식을 바꿔야 만성 질병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을. 나쁜 짓을 하느라 그렇게 산 게 아니었다. 늘 중요한 뭔가가 내 앞에 있었고 나는 그것에 응했으며 그 우선순위를 받아들였다. ‘공(公)’을 ‘사(私)’보다 우선시해야 한다고 생각한 나는 일을 ‘공’으로 여겨 몰두했고 지금은 수십 년 그런 시간이 남긴 ‘내 삶의 무늬’를 감당하는 중이다. 그렇다고 해서 후회하는 것은 아니다. 한 해의 매듭을 짓는 시간 앞에 서서 나는 내년에, 또 앞으로 무언가를 하거나 하지 않음으로써 무엇을 감당하려 하는지 생각해 보는 것이다. 가끔 후배들이 내게 와 묻는다. 제각각 처한 상황을 말하곤 “제가 지금 이직을 해야 할까요?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라고. 하지만 이런 건 제대로 된 질문이 아니다. 그래서 나는 답을 기다리는 그들에게 답 대신 질문을 돌려준다. 너는 무엇을 감당할 건데? 기회는 많지만 연봉은 좀 적은 곳, 안정적이지만 재미는 없는 회사, 가슴은 뛰나 미래는 불확실한 창업…이 중에 무엇을 취하고 무엇을 감당하려 하느냐고 다시 묻는다. 당신과 나, 우리가 감당하는 것이 우리의 1년을 결정할 것이다. 우리 모두의 건투를 빈다!

당신은 무엇을 감당하려는가? [동아광장/최인아]

Naver

당신은 무엇을 감당하려는가? [동아광장/최인아]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2년 12월 24일 오후 1:48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