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는 사용자를 모른다.

🎈 한 줄 요약 - 우리의 기능을 사용자가 알 거라고 생각하지만, 흔한 착각이다. ✔️ 공급자가 상품을 만들 때 흔하게 착각하는 것이 무엇인지 아시나요? 🤔 바로, '이렇게 만들면 사용자는 우리의 의도를 쉽게 알아차릴 거야!'라는 착각이죠. 이 상황은 제가 이전에 말했던 '오염된 뇌를 가진 상황'인데요.🧠 ✔️ 뇌가 오염되면 공급자는 상품을 바라보는 시선이 '공급자화'돼요. 여기서 말하는 공급자화는 '사용자가 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만들어야지!'가 아니라, '이렇게 만들면 쉽게 이용할거야!'라는 흔한 착각을 하게 되는 시선을 의미해요. ✔️ 이렇게 되면 공급자는 만드는 상품을 업그레이드 할 때마다 자신의 주관을 투영하기 시작하고, 자신의 입장에서 '좋다'라고 판단하면 그대로 사용자에게 전달하죠. 얼마 후, 공급자는 느낄 거예요. '왜 사용자가 좋아할 기능을 넣었는데 사용하지 않지?' ✔️ 사용자가 그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2가지가 있을 거예요. 하나는 '있는 줄도 모른다.' 즉, 기능이 있긴 있는데, 그 기능이 어디에 있는지, 어떻게 사용하는지 등을 알아채지 못하는 거죠. 그럼 공급자는 또 이렇게 생각할 거예요. '업데이트 내용에 넣었는데 왜 모르냐?' ✔️ 당연히 모르죠. 공급자 자신이 다른 서비스를 이용할 때, 업데이트 내용을 꼼꼼히 살펴보나요? 아니죠. 그냥 업데이트 하라니까 하는 거고, [업데이트]라고 적혀있는 버튼 하나만 누를테니까요. 그러면 나머지는 알아서 해주잖아요. ✔️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좋은 기능이 업데이트돼서 사용하던 상품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에 사용하던 기능을 반복해서 사용'하려고 그 상품을 사용할 뿐이니까요. 즉, 사용자는 엄청난 변화가 아닌 이상, 무엇이 변했는지도 느끼지 못할 거예요. '익숙함'에 따라 흘러갈 뿐이니까요. ✔️ 다른 하나는 '사용자에게 필요가 없다.' 즉, 공급자 입장에서 필요한 기능이라고 생각하고 만들었지만 사용자에게는 필요 없다고 느끼는 거예요. 내부 구성원과 추가 기능을 의논했을 때, 그들은 그 기능이 좋다고 생각했나요?🧐 ✔️ 전혀 쓸모없는 의견이에요. 왜냐고요? 그는 사용자가 아니라, 공급자 중 한 명일 뿐이니까요. 그러면 사용자 의견은 어떻게 얻을 수 있을까? 대표적인 방법이 하나 있어요. 바로 UT예요. UT가 뭐냐고요? 혹시, 우리들의 택시 '우티'를 떠올리는 분은 없죠?😆 ✔️ UT는 사용성 평가라고 하며, Usability Test를 의미해요. 가끔 사용성 평가를 User Test라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계신데요. 목적과 의도는 같으나, 둘은 다른 개념이죠. User Test는 말 그대로 사용자 테스트이고, Usability Test는 '사용성 테스트'이니까요. ✔️ 여튼, UT는 아주 잘 설계된 흐름에 따라 인터뷰를 진행해요. 그 안에는 의도가 담겨 있으며, 때로는 좁게, 때로는 넓게 진행하며, 테스트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진행되죠. 모더레이터는 그 흐름을 잘 안내해야 하며, 사용자가 잘 따라오도록 유도하며, 목적한 바를 얻어내야 하죠. ✔️ 여기서 많은 사람들이 UT를 믿지 않기도 해요. 모더레이터의 의도에 따라 목적한 바를 얻어내기 때문에, 달리는 경주마처럼 앞만 보고 달려나가기 때문이죠. 하지만 잘 설계된 UT는 엄청난 신뢰도를 보여요. 그거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느냐? UT결과랑 데이터의 흐름을 비교하면 동일한 모습을 보여주거든요. ✔️ 그러면 데이터만 보고 알아내면 되지 않냐? 아니에요. 사용자가 그렇게 움직이는 이유가 '익숙함' 때문인지 '다른 의도'가 있는지 알아낼 필요가 있죠. 이와 같은 두 가지 현상을 왜 알아내야 할까요? ✔️ 바로 '사용자 의도' 즉, '사용자 입장'을 잡아내기 위함이에요. 가끔은 'Dogfooding'을 진행하면 알아낼 수 있지 않느냐라는 말도 있어요. 하지만 이 또한 공급자가 만드는 상품을 이용해보는 것이기 때문에, 시야가 제한돼 있어요. 그래서 놓치는 부분이 많죠.😩 *dogfooding: 자사의 신제품이나 서비스를 내부에서 가장 먼저 사용하는 것을 뜻하는 미국 IT업계 용어로, '자신이 만든 개밥을 먹으라(Eat your own dog food)'라는 말에서 유래했다. ✔️ 여태까지 한 말을 종합해보면 '어쩌라는 거야?'라는 한 문장으로 요약이 되는데요. 그저 사용자가 어떻게 움직이고 상품을 이용하는지 꾸준히 살펴보는 수밖에 없다고 생각해요. 공급자의 입장을 탈피하고, 사용자의 입장으로 스며드는 수밖에 없는 거죠. ✔️ 그러려면 꾸준한 리서치를 통해 사용자와 만나는 수밖에 없어요. 저희 서비스도 약 10명의 리서처분들이 달려들어 UT를 진행하며 파헤치고 있는데요. 토스 또한 그렇게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알아요. 특히, 토스는 UT를 짧고 굴게 진행하며, 프로세스 자체를 단축하고 서비스 개선에 많은 시간을 들이고 있죠. ✔️ 특히, 이번 아티클은 공급자 입장을 탈피해, 사용자 입장으로 상품을 살펴보는 방법을 예를 들어 알려주고 있는데요. 다음 4가지만 새겨들으면 충분하지 않을까 싶어요. ⚠️ ‘이건 사용자 관점이 아니다’ 라는 문제 의식을 캐치하는 팁 1️⃣ “이건 당연히 알 수 있는 거 아닌가?” ✔️ '사용자가 당연히 알 거 같은데, 이걸 왜 모르지?' 반대로 생각해보면 좋아요. '사용자는 당연히 모른다.' 나아가 '우리는 사용자를 믿지 않는다.'로 말이죠. 사용자는 하나의 집단으로 묶을 수는 있지만, 그 안에서 펼쳐지는 개성을 모두 파악하긴 어려워요. 우리가 그들을 모두 파악하지 못 했다는 것은, 그들 또한 우리의 의도를 당연히 알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겠죠. 2️⃣ “어려울 수도 있긴 한데 일단은~” ✔️ 더 이상 할 수 없다고 생각할 수 있어요. 하지만 생각은, 아이디어는 쥐어짜면 쥐어짤수록 나오는 법이죠. 또한, 사용자를 더 깊게 이해한다면 그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캐치할 수 있어요. 그럴 때까지 노력해야 해요. 3️⃣ “원래 어려운 개념이라~” ✔️ 원래 어려운 개념은 없어요. 아니, 모든 개념은 어렵죠. 하지만 그 어려운 개념과 뒤이어 나오는 문제를 풀어냈을 때, 우리는 한뼘 더 성장할 수 있을 거예요. 사실 저는 UX Writing을 할 때마다 '너무 어려운 개념(용어) 아니야?'라고 생각하는데요. 찾아보고, 연구해보면 쉬운 표현으로 항상 바꿔낼 수 있더라고요, 4️⃣ “이건 빠르게 잠깐 내보낼 실험이라서 괜찮아” ✔️ 저희는 UX Writing을 내보내기 전에 적게는 2차례 많게는 5차례의 미팅을 진행하는 데요. 갖은 피드백과 의견을 반영하다보면 더 좋은 내용을 얻어낼 수 있기 때문이에요. 이때, '우리 구성원만 보는 내용인데 뭐!'라고 생각하는 순간, 그게 곧 결과물이 될 가능성이 높아져요. 그래서 저는 팀원 및 구성원과 함께 미팅할 때도, 심사숙고하여 이해시키려고 노력해요. ✔️ 아 이때도 사용자 입장이 중요한데요. 공급자들에게 사용자 입장을 이해시켜야 하니까, 그게 어렵더라고요. 의견을 내면 다들 '내가 보기에는 이런데?'라고 말하거든요. '오염된 뇌'를 가진 그들이요. 그 오염된 부분을 '해독해주는 것' 또한 제 몫이기 때문에, 정말 최선을 다 하지 않으면 결론이 지어지지 않는 점이 있어요. ✔️ 이때, 저뿐만 아니라, 그들 또한 '낯설게 하기'를 시전해야 하는데요. 여기서 말하는 '낯설게 하기'는 러시아의 빅토르 쉬클로프스키가 문학에서 사용한 언어예요. 현 상황에 예를 들어 쉽게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아요. '기존에 공급자가 사용하던 용어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용어로 바꿔서 전달한다.' ✔️ 우리는 공급자로서 공급자끼리 통하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거든요. 그렇게 하다보면 '사용자가 어떠한 용어를 사용하는지 눈치채지 못 하게 돼요.' 이런 상황에 놓이게 된다면, 진정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바를 얻어내기 어렵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장에서 직면한 내용(문제)을 설명했을 때, 공급자는 깨달을 수 있게 되겠죠. '아, 사용자는 이런 용어와 방법으로 사용해, 효율성을 높이고 있구나.'

우리에게 당연하지만 사용자는 아닌 것들

Toss

우리에게 당연하지만 사용자는 아닌 것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지금 간편 가입하고 다음 내용을 확인해 보세요!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월 22일 오후 3:22

 • 

저장 16조회 1,518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