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일반적으로는 Read 작업에 대해서는 useQuery, Create/Update/Delete 작업에 대해서는 useMutation을 사용하는 것이 추천되지만, 코드에서와 같이 useMutation을 사용하여 데이터 조회를 하고 refetch나 mutate 함수를 사용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useQuery는 캐싱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므로, 같은 데이터를 여러 번 불러올 경우에는 useQuery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입니다. 이 경우, useQuery를 사용하면 해당 쿼리가 이미 캐시되어 있는 경우 캐시된 데이터를 반환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만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옵니다. 반면 useMutation은 캐싱 기능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매 요청마다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게 됩니다. 또한, useMutation은 요청을 보내는 기능 외에도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고 기존 데이터를 업데이트 또는 삭제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런 이유로 Create/Update/Delete 작업에 대해서는 useMutation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따라서 위 코드에서는 데이터 조회 작업에 대해서도 useMutation을 사용할 수는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useQuery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3월 29일 오전 7:4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클로드 코드 Max 한 달 사용 후기

    ... 더 보기

    클로드 코드 한 달 사용 후기

    K리그 프로그래머

    클로드 코드 한 달 사용 후기

     • 

    댓글 2 • 저장 7 • 조회 2,172


    MCP 모르면 대체 얼마나 손해 보는 걸까?🤔

    ... 더 보기

    MCP 모르면 대체 얼마나 손해 보는 걸까? | 요즘IT

    요즘IT

    MCP 모르면 대체 얼마나 손해 보는 걸까? | 요즘IT

    최적화 문제 속에 숨은 의도

    험한 산속에 5명이 고립되어 있습니다. 생존하려면 어둡고 위험한 다리를 건너 구조대에게 가야 합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제약 조건이 있습니다.

    ... 더 보기

    2019년에 저희 팀에서 퍼블리싱한 CHI 논문. 음성 인터페이스 입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교육.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