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이나 부서의 미래에 있어 명운을 가를 정도로 중요한 프로젝트를 준비하면서, 초반부에는 열심을 다하면서도 오히려 그 날이 다가오면서 안정감을 잃은 채 허둥지둥하면서 자멸하는 경우가 많다. 자신의 집중력 자체가 급전직하하거나 혹은 별 일 아닌 데도 주위의 동료들과 다투면서 금쪽같은 시간을 허비한다. 안타까운 자멸이 아닐 수 없다. 그때 대부분은 예민해져서 그런 것 같다는 말을 한다. 대체 그 예민해짐이란 무엇일까? 또 그 예민함을 잘 극복해 내는 방법은 무엇일까? 인간의 생각을 물리학적으로 미세접근하는 인지심리학자의 한 사람으로서 궁금하지 않을 수 없는 현상이다. 이를 두고 심리학자들은 이른바 ‘잘 준비하고 기다리기’와 관련된 2가지 현상에 대해 우리가 재미있는 착각을 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캘리포니아 대학의 심리학자 케이트 스위니 교수 연구진은 매우 흥미로운 관찰 결과를 보여준다. 중요한 결과를 앞둔 사람들이 있다고 하자. 그 결과를 준비하고 기다리면서 어떤 사람들은 초조와 불안으로 괴로워한다. 반면에 어떤 사람들은 그런 모습을 거의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기다리던 그 결과가 긍정적일 때, 기다리는 동안 괴로워했던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덜 힘들어 했던 사람들보다 훨씬 더 기뻐했다는 것이다. 당연한 것 아니냐고 생각할 수 있다. 그 다음이 더 재미있다. 기다리면서 그토록 힘들어 했던 사람들은 결과가 나빴을 때도 덜 괴로워했던 사람들보다 그 다음 행동이 더 바람직했다는 것이다. 즉, 그 일에 한번 더 도전하려는 경향이 강했고 다시 시작하기 까지의 시간도 덜 걸렸다는 것이다. 정말 재미있는 결과다. 왜냐하면 이를 뒤집어 생각하면 한번 도전해서 실패하면 바로 그만두는 사람들일수록 기다림의 과정에서 별로 힘들지 않았다는 추론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나쁜 결과를 무서워하는가? 아니면 그 결과를 기다리는 것을 무서워하는가? 사실은 후자인 경우가 더 많다. 재미있는 것은, 어떤 종류의 초조함이든 준비하고 기다리는 동안 그것이 더 강할수록, 최종 결과를 마주한 이후의 행동에서 적응력이 높아진다는 점이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나는 것일까? 그 원인은 바로 간절함에 있다. 간절함이 클수록 초조함과 불안이 커지는 것은 당연하며, 따라서 결과를 기다리는 과정에서 더 힘들어진다. 예민함은 간절함의 부산물일 뿐이다. 그러니 중요한 결과를 앞둔 조직의 리더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는 자명하다. 리더와 팔로워는 남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결과를 기다리면서 힘들어 하는 모습을 굳이 숨길 필요가 없다. 섣부른 위로와 연극은 팔로워들로 하여금 “뭐야. 결국 나만 간절했던 것 아니냐!”라는 허탈함과 배신감을 느끼게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리더는 어떻게 해야 할까? 1️⃣일을 할 때는 불안을 최대한 제거해 주지만, 기다림의 과정에서는 체면과 점잖음을 버리고 자신의 간절함을 최대한 같이 공유할 필요가 있다. 그러면 결과가 좋든 나쁘든 리더와 팔로워가 결과를 받은 다음의 행동과 일에 있어서 심리적으로 한 배를 타게 되지 않을까? 2️⃣결과를 기다리는 상황에서, 일이 끝났다고 갈등 관리에 소홀해선 안 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그 결과를 받아든 이후의 또 다른 일을 위해서다. 중요한 결과를 기다리는 과정에서는 그 날이 다가올수록 사람들끼리 더 많은 갈등을 겪으니 말이다. 어떤 사람들 사이에서 그 갈등이 가장 많이 관찰되겠는가? 바로 간절하게 기다리지는 자들과 무심하게 기다리는 자들 사이였다. 지혜로운 리더라면 열심히 일하고 솔선수범하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같은 마음으로 기다린다는 모습을 진심으로 보이는 것 역시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CEO 심리학] 직원들 열심히 일하게 하고 싶나요? "리더가 간절함 표현하라" - 매일경제

매일경제

[CEO 심리학] 직원들 열심히 일하게 하고 싶나요? "리더가 간절함 표현하라" - 매일경제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6월 9일 오전 10:45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국내 바이브코딩 시장을 혼자 독점하고 계신 커서맛피아님을 인터뷰했어요.

    ... 더 보기

    월 8천만원을 벌던 개발자가 바이브코딩 도구를 만드는 이유

    이건 올리브영·다이소·무신사의 레슨

    월 8천만원을 벌던 개발자가 바이브코딩 도구를 만드는 이유

    난임 스타트업 '오키드헬스'는 배아를 대상으로 향후 발병 소지가 있는 수천 가지 질병을 검사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서비스를 통해 예비 부모는 자녀의 유전 정보를 이전보다 훨씬 더 많이 알 수 있다.

    ... 더 보기

    유전 데이터로 아기 선별해 낳는다?…美 스타트업 '슈퍼베이비' 논란

    n.news.naver.com

    유전 데이터로 아기 선별해 낳는다?…美 스타트업 '슈퍼베이비' 논란

    조회 128


    AI 시대, 데이터 분석에 대해 새롭게 정의해야 하는 이유

    AI 시대를 맞이하면서 우리는 다양한

    ... 더 보기

    스웨덴 AI 스타트업 ‘러버블(Lovable)’이 설립 8개월 만에 유니콘 기업 반열에 올랐다. AI 기반 코드 생성 플랫폼으로 주목받는 러버블은 최근 시리즈A 투자 라운드에서 2억 달러(약 2,880억 원)를 유치하며 기업가치 18억 달러(약 2조 5,920억 원)를 인정받았다.

    ... 더 보기

    스웨덴発 AI 스타트업 '러버블', 8개월 만에 유니콘 등극…비개발자 시장 정조준 - TokenPost

    TokenPost

    스웨덴発 AI 스타트업 '러버블', 8개월 만에 유니콘 등극…비개발자 시장 정조준 - TokenPost

    조회 244


    공공기관 합격하는 사람은 이 포인트를 정확히 알고 갑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