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radar.cloudflare.com/year-in-review/2023
그 중 개발자로써 흥미롭게 볼 수 있는 내용이 있는데요. 세계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라이브러리와 프로그래밍 언어 등에 대한 통계입니다.
Nuxt.js가 Next.js 보다 사용 비율이 높고, Yii가 Laravel 보다 비율이 높은 것에서 조금 또잉하긴 한데요. 상위 5,000개의 도메인을 대상으로 조사했다고 하니 그럴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프레임웍을 안쓸 수 있음)
한국인 개발자로써 무엇보다 흥미로운 것은 Spring의 비율이 1.5% 밖에 안되고, Java 역시 16% 밖에 안된다는 것인데요.
PHP가 54.7%, Node.js가 21.8%인 것에 비하면 정말 작은 숫자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역시 세상은 넓고 할 일은 많은 것 같네요. (결론이? 🤣)
--
+ 추가로, 이걸 절대적인 결과로 볼 수는 없지만, Java나 Spring의 절대적인 점유율 수치도 꿀잼이지만(싸우자!🤣), Java와 Spring의 점유율 차이를 관전 포인트로 봤습니다.
Java 점유율은 프론트 포함 전체적인 사용률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비율보다 조금 낮은 수준으로 나오긴 했는데요. (보통 30% 전후) 그에 비하면 Spring 사용률이 극히 낮다는 것이죠. Java를 사용하지만 Spring을 사용하지 않는 비율이 매우 높다는 것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물론 두 차트의 비율 상으로 봤을 때 이보다는 좀 더 높을겁니다. 상대 비율이라)
이 관측은 다른 언어와 프레임웍에 대해서도 유효한데요. PHP 사용자는 프레임웍을 거의 안쓰고(혹은 준비된 솔루션을 쓰거나), Ruby와 Node.js 사용자는 프레임웍 쓰는게 기본. 이런 식으로 해석 할 수 있다면 해석이 얼추 맞거든요.
물론 프론트쪽보다 서버쪽에서 Spring을 더 많이 쓸 수는 있지만, 최근에는 그렇지 않은 것 같기도 해서 정확히 판단하고자한다면 좀 더 정밀한 조사는 필요하겠습니다.
그렇다고 해도 이정도 수치라면 한국에서는 Java = Spring 으로 알고 있는데 전세계적으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은 확실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1월 5일 오전 9: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