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리액트에서 네트워크 로직을 클래스를 통해 관리하면 장점이 있나요?

2023년 01월 11일조회 220

의존성 주입을 공부하던 도중 리액트에서는 context api를 통해 의존성을 주입할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axios 사용하는 로직을 클래스로 만들어 객체지향을 한 후 각각의 서비스를 분기하여 context에서 주입하는 형식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axios를 객체로 선언해서 사용하는 방법과 차이점을 잘 모르겠습니다. 어떤 장단점이 있을까요?

이 질문이 도움이 되었나요?
'추천해요' 버튼을 누르면 좋은 질문이 더 많은 사람에게 노출될 수 있어요. '보충이 필요해요' 버튼을 누르면 질문자에게 질문 내용 보충을 요청하는 알림이 가요.
profile picture
익명님의 질문

답변 1

성원님의 프로필 사진

안녕하세요:) 클린 아키택처를 참고해서 네트워크 로직을 클래스로 구현해서 사용한 적이 있었는데요, 대략 아래와 같은 구조였습니다. - UI: 네트워크 로직 호출 - controller: service 호출 - service: domain 사용, axios를 사용해서 실제 http 요청, 비지니스 로직 구현 - domain: 데이터 타입, 파라미터 타입 선언 처음 사용했을 때 백엔드 아키텍처에서 주로 쓰는 MVC패턴과 비슷한 느낌을 받았고 장점도 비슷한 것 같습니다. 네트워크 코드가 구조화 되어있어서 여러 구현체중에서 의존성만 바꿔주면 변경에 용이하고, ui 단을 리엑트 네이티브로 바꿔도 api호출 로직은 그대로 사용해도 됐었습니다.

profile picture

익명

작성자

2023년 01월 13일

감사합니다! 코드는 짯지만 와닿지 않았는데 그런 장점이 있군요 ㅎㅎ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목록으로
키워드로 질문 모아보기

실무, 커리어 고민이 있다면

새로운 질문 올리기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