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디자이너가 데이터 역량을 어떻게 키울 수 있을까요?

2022년 08월 19일조회 715

안녕하세요, 저는 이제 막 신입으로 입사한 프로덕트 디자이너입니다. 학교에서는 전공 수업 때 그저 예쁘고 편하게 만드는 법을 위주로 배웠는데, 이번에 들어온 회사에서는 디자이너의 데이터적인 역량을 굉장히 강조하더라구요. 단순히 예쁘게 만드는 게 아니라 데이터를 기반으로 디자인을 해야 한다면서요. 저도 제가 많이 부족한 부분이라고 느끼는데, 회사에 사수가 없어서 물어볼 수 있는 사람이 없네요ㅠ 아주 전문적인 수준까지는 필요 없을 것 같고, 내 디자인을 근거로 설명할 수 있을 정도면 될 것 같은데 어떻게 공부하면 좋을까요? 감사합니다😊

이 질문이 도움이 되었나요?
'추천해요' 버튼을 누르면 좋은 질문이 더 많은 사람에게 노출될 수 있어요. '보충이 필요해요' 버튼을 누르면 질문자에게 질문 내용 보충을 요청하는 알림이 가요.
profile picture
익명님의 질문

답변 2

인기 답변

Minhyo님의 프로필 사진

만약 현재 회사가 데이터로 가설을 검증하는 프로세스가 따로 없는 회사라고 한다면 저 같은 경우에는 이것 저것 책을 읽어가며 동료분들과 공부했던 것 같아요! 위에 말씀주신 뷰저블의 ‘Data Driven UX’도 좋았고 개인적으로는 양승화님이 쓰신 ‘그로스 해킹’ 추천드려요! ‘Data driven UX’는 뷰저블에서 제공하는 툴을 기반으로 어떻게 데이터를 볼 수 있는지 설명하는 책이라면, ‘그로스 해킹’은 회사는 왜 데이터를 봐야하고, 이 데이터는 어떤 식으로 볼 수 있고 중요 지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설명해주는 책인듯해요. 가장 좋은건 그런 프로세스를 실제로 경험하면서 같이 일하는 동료분들이 어떤 식으로 데이터를 바라보고 뭘 중요하게 생각하는지를 이해하는게 가장 좋은 방법같아요. 그런 프로세스를 계속 하다보면 나도 모르게 습득과 적용을 반복하게 되고, 그러다 보면 사고가 그렇게 흐르게 되더라고요! 그리고 서비스마다 데이터의 중요성이나 의사결정에 있어서의 비중도 다르기에 이게 꼭 정답은 아니다+변수는 언제나 존재한다는 생각도 가지고 있어야하는 것 같아요🙂

인기 답변

pliossun님의 프로필 사진

뷰져블에서 나온 책이 웹 기반이긴 하지만, 설명이 쉽습니다. 링크에 장단점이 있으니 참고하시면 되고. https://www.beusable.net/ko/book 이 책 본 후에 ‘새로운 디자인 도구들’을 보시면 좋겠습니다. 그후에 직접 데이터를 쌓아보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디자인을 해보면 됩니다. 통계를 많이 찾아보고, 통계에 기반해서 현재 디자인의 특징과 성격을 정의한 다음 데이터로 그 정의가 맞는지 확인하고 다르다면 고쳐야 합니다. 내 생각 말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추론을 해서 데이터의 흐름을 바꾸거나 데이터의 성격을 변화시키는 방향으로 디자인을 진행하면 됩니다.

profile picture

익명

작성자

2022년 08월 29일

정말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목록으로

실무, 커리어 고민이 있다면

새로운 질문 올리기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