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저희 학과 다른 팀을 보니까 거의 다 앱이거나 인공지능 쪽으로 많이 하더라구요... 저는 그냥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웹 사이트 하나 배포할려고 생각중이었는데 저희만 웹이여서 많이 걱정이 됩니다.
답변 3
저는 전공자가 아니어서 관련 졸작 경험이 없고 교수님이 어떤 기준으로 평가하는지는 더욱 모릅니다. 하지만 웹사이트라는 형식이 평가에 문제가 되지는 않을 거라 생각합니다. 학부 수준에서 졸업 작품이라는 하면 여태까지 배운 내용을 총동원해서 가능한 최대의 퍼포먼스를 내는 건데 결국 가장 잘하는 걸 보여주면 되지 않을까요? 핵심은 웹이든 앱이든 인공지능이든 따위와 같은 형식이 아니라 퀄리티일 거 같습니다. 구린 앱보다 잘만든 웹서비스가 더 좋습니다. (애초에 웹, 앱, 인공지능 중 무엇이 더 나은 기술이나 형식이라고 말할 수도 없구요) 조금 다른 이야기로는 다른 팀들과 아이템이 구분된다는 것은 오히려 좋은 점인 거 같아요. 일반적으로 유니크함은 가점의 요소거든요. 물론 다시 말씀드리지만 퀄리티가 뒷받침 되었을 때 얘기입니다. 웹 프로젝트를 하기로 하셨다면 어떻게 더 좋은 웹사이트를 만들 수 있을까에 초점을 맞추는 편이 낫지 않을까 합니다.
삭제된 사용자
2024년 03월 06일
안녕하세요. 학교마다 많이 하는 분야는 다 다른 것 같습니다. 특히, 최근 웹, 앱, AI가 트렌드이다 보니 많은 분들이 졸업프로젝트로도 많이 하시는 것 같습니다. 이왕 하는 거 취업용 포폴에 넣을 만큼 좋게 하려는 분들도 계시니까요. 제가 졸업할 때는 웹/앱, AI, 게임이 주요했습니다. 트렌드를 떠나서 이 세 분야는 진입장벽이 높지 않으니까요. AI 경우 (1) 간단한 태스크에 대해 (2) 모델을 직접 손대는 것이 아니라 잘 알려진 휴리스틱이 첨가된 파이프라인을 구성하거나 (3) 기존의 데이터셋을 잘 알려진 휴리스틱 안에서 활용하는 것은 그렇게까지 어렵지 않고, 게임의 경우 Unity로 뭔가 작업물을 내는 것 자체는 쉽다고 생각됩니다. 다만, 저희 학교의 경우에는 '끌어다 쓰는 기술이 아닌 직접 뭔가를 함'을 보이는 게 중요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단순한 웹, 앱으로는 좋은 점수를 받기에는 한계가 있는 부분도 있었습니다. 게임도 유니티나 언리얼 엔진 외의 것을 어필하기에는 쉐이더를 깎거나 내부 시스템을 직접 짜는 노력, MMO 서버 구현 등이 필요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상대적으로 AI가 결과물이 더 가시적이고 많은 느낌은 있었습니다. 하여 질문자님의 프로젝트도 심사하시는 교수님 또는 외부인사들이 보시기에 컴퓨터공학과로서 보여줄 수 있는 기술적 메리트가 있다면 상관 없을 것 같습니다. 컴퓨터공학과 자체가 학점에 크게 구애 받지 않다 보니, 사실 앞서 말씀드린 것과 반대로 (저 또한 그렇고) 졸프 자체를 크게 신경 쓰지 않는 경우도 드물지 않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