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기술 스택 정보가 없어요.
김은주
로저 페더러에게 배우는 성공의 비결
테니스 황제라고 불리는 로저 페더러의 최근 다트머스 졸업 연설이 인상적이다. 그가 이제 대학을 졸업하고 사회로 나가는 졸업생들과 나눈 세 가지 메시지에 내 생각을 얹어본다. 1) Effortless is a myth. (공짜는 없다) 우린 모두 타고난 각자의 재능이 있다. 기가 막힌 음색을 가지고 태어난 사람도 있고, 숫자에 능한 사람도 있고, 동물적으로 운동감각이 뛰어난 사람도 있다. 성공하려면 타고난 재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말도 맞을지 모르겠다. 그래서일까? 우리는 종종 성공한 사람들을 보며 타고난 재능이라고 치부해 버리기도 하고, 쉽게 해내는 (것처럼 보이는) 결과물을 보며 그 자리까지 가기 위해 흘린 피 땀 눈물을 외면해 버리기도 한다. 로저 페더러는 자신이 테니스 선수에게 필요한 재능을 타고났음을 인정하면서(타고난 재능을 커리어와 연결시키는 건 매우 중요하다), 타고난 재능만으로는 성공할 수 없음을 강조한다. "Believe in yourself has to be earned."라며 자신에 대한 믿음은 경기를 승리로 이끄는데 꼭 필요한 재능인데, 이는 타고난 재능이 아니라 각고의 노력으로 얻어내야 하는 재능이라고 말한다. 인내심과 끈기, 과정을 즐길 수 있는 여유, 자기 관리... 이 모든 게 치열한 자신과의 싸움으로 만들어낸 재능이라는 것이다. 나는 개인적으로 "to be earned"라는 말을 좋아한다. 우리의 성공이 타고난 재능으로 결정된다면 억울하고 재미없는 삶이 되겠지만, 내가 노력해서 얻어낸 재능으로 성공을 만들 수 있다면 살아볼 만한 인생이라는 에너지가 생긴다. 나는 최근 일적으로 폭풍 속을 걷는 것 같은 시기를 보내고 있는데, 자기 확신, 회복력, 긍정적 마인드 이 세 재능을 바닥내지 않고 든든하게 키우기 위해 노력 중이다. 새로운 프로젝트를 리딩하고 팀을 매니징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자기 확신은 필수이다. 그렇지 않으면 매사 불안감이 커져서 잘못된 판단을 내리거나, 결정을 미루거나, 책임을 전가해 버리는 결과를 내기 쉽다. 새로운 일을 시도할 때는 (특히 제로투원을 만들어 낼 때는) 실수나 실패를 했을 때 빠르게 인정하고 회복할 수 있어야 한다. 한 번에 성공하는 게 목표가 아니라 빠르게 실패하고 그걸 발판으로 또다시 시도하거나 피벗을 하면서 방향을 잡아 가는게 중요하기 때문이다. 실수나 실패에 타격이 큰 사람은 오래 버틸 수가 없다. 자기 확신과 회복력은 긍정적 마인드를 베이스로 한다. 괜찮다는 마음, 할 수 있다는 마음, 까짓것 일단 한번 해보지 뭐, 아님 말고! 하는 초긍정 마인드가 성공에 꼭 필요한 재능이고, 이건 타고난 재능이 아니라 치열한 노력으로 만들어진다. "Belive in yourself has to be earned." 각자 가진 재능을 잘 살펴보고 어떤 재능을 더 키워야 하는지 적어보면 어떨까. 성실한 것도, 잘 웃는 것도, 친화력 있는 것도, 책임감이 있는 것도 모두 노력으로 얻어야 하는 재능들이다. 2) It's only a point. (그저 1 포인트일 뿐이다) 테니스의 황제라고 불리는 로저 페더러의 한 세트 평균 승률은 54%. 세계 최고 탑 플레이어이지만 승률은 50% 정도라는 것이다. (야구도 3할이면 최강 타자라고 불린다). 한 포인트는 승부사에게 매우 중요한 순간이지만(그래서 한 포인트를 얻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하지만), 졌을 땐 그저 한 포인트로 진거 일뿐이라는 거다. 진 포인트에 연연하면 다음 포인트를 놓치게 된다. 인생을 살다 보면 1 포인트를 잃게 되는 경우가 흔히 생기는데, 1 포인트는 그저 1 포인트일 뿐. It's OK. It's only a point. 인생 최고의 샷을 만들었다면? 그 또한 1 포인트일 뿐이다. "When you're playing a point, it has to be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world and it is. But when it's behind you it's behind you. This mindset is really crucial because it frees you to fully commit to the next point and the next point after, with intensity, clarify, and focus. The truth is whatever game you play in life, sometimes you're going to lose; a point, a match, a season, a job.. it's a roller coaster with many ups and downs, but negative energy is wasted energy. You want to become a master at overcoming hard moments. That is a sign of a champion." 월드 챔피언은 모든 경기를 이겨서가 아니라, 자신의 패배를 다루는 법을 잘 알고 훈련한 사람이라고 강조한다. "The best in the world are not the best because they win every point. But it's because they know they lose again and again and have learned how to deal with it." 어느 날은 일을 잘 해낸 것 같아서 뿌듯하다가, 어느 날은 다 망친 것 같아서 자괴감에 빠질 때도 있다. 동료들에게 칭찬을 듣기도 하고 비난을 받기도 한다. 내가 만든 결과물이 졸작인 것 같아서 다 버리고 싶은 날들이 이어지기도 한다. 성공도 실패도 그저 내 커리어 인생에 1 포인트일 뿐이다. 1포인트로 게임에서 진 것보다, 더 위험한 게 '난 역시 안 되나 봐', '자존심 상해서 그만뒀어', '다시 도전한 엄두가 안 나' 이런 마음으로 이어지는 패배감이다. 그저 1 포인트라는 걸 상기하자. 세계 최강 선수도 승률이 50%이고, 최강 타자도 3할인데, 평범한 내가 매번 성공한다면 그게 더 이상한 거다. 일희일비하지 말자. 그저 1 포인트씩 쌓아가는 거다. 3) Life is bigger than a court. 16살에 테니스 커리어를 시작해서 24년 동안 테니스 코트에서 살았고 테니스에서 인생을 배웠다고 생각했는데, 2022년에 은퇴를 하고 보니 자신이 몰랐던 큰 세상이 있더라는 깨달음. 내가 처한 상황이 절망적이라고 느껴질 때, 내가 손에 쥐고 있는 걸 놓으면 세상이 무너질 것 같은 두려움이 생길 때, 나만 뒤처지고 억울한 것 같다는 생각이 밀려올 때.. 내 눈에 가림막을 하고 무작정 달리고 있는 건 아닌지 멈춰서 살펴봐야 한다. 생각해 보면 내가 만나는 사람들의 숫자도 지극히 제한적이고, 내가 속한 커리어 분야도 매우 협소하고 (게다가 나는 내가 하는 일 외엔 모르는 게 너무 많다), 내가 경험한 세계도 고작 몇몇 나라와 도시들뿐이다. 여행을 하면 내가 모르는 세상과 만나게 되는 게 가장 큰 인생 배움이 된다. 세상은 넓고, 사람들은 다양하고, 삶은 다 각자 다른 모습으로 꽃을 피운다. 인생을 내 커리어 코트에 묶어 놓는다면 경기가 끝났을 때 멘붕이 올 것이다. 커리어는 커리어일 뿐, 인생 전부가 아니다. 꼭 명심하자. https://www.youtube.com/watch?v=t8v0cHn_LRc
김은주
꿈을 이루는 방법 - “꿈 깨라!“
“언젠가 글로벌 대기업에 입사해서 영향력 있는 사람이 되는 게 꿈이에요.", “빅테크에 꼭 들어가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되나요?”, “빅테크에 지원했다가 떨어진 후 의기소침해져있어요.”... 정말 많이 듣는 질문과 사연이다. 그런데 대화를 주고받다 보면 드는 생각이 있다. ‘꿈 깨라' 꿈을 깨야 꿈을 이룰 수 있다. [꿈을 이루는 방법 - “꿈 깨라!”] 1) 꿈을 작게 나눌 것 아직 준비가 안된 상태에서 빅테크만 쳐다보면서 도전하면 될 리가 없다. 꿈을 이루기 위해 필요한 일들을 최대한 잘게 부수어서 오늘 할 일, 이번 주에 할 일, 이번 달에 할 일로 조금씩 소화할 수 있게 소분하는 게 필요하다. 노력의 목표가 작아야 작지만 잦은 성공을 맛볼 수 있고, 그래야 지속 가능한 노력의 원동력으로 삼을 수 있다. 나의 영어 공부 목표는 하루 영어 [두 단어]이다. 원서를 읽다 보면 모르는 단어나 표현이 수두룩하지만 욕심내지 않는다. 내가 써먹을 수 있어 보이는 만만한 어휘나 표현 딱 2개를 골라서 내 것으로 만드는 게 나의 영어 공부 목표이다. ‘영어'라는 소리만 들어도 절대 정복할 수 없는 숙제처럼 느껴지는데, ‘하루에 딱 2개만 외우자'로 생각을 바꾼 후론 훨씬 쉽게 이어오고 있다. 2) 꿈은 가볍고 시시한 것으로 너무 큰 꿈을 목표로 세우면 중압감에 눌려 시작조차 못하게 되기 쉽다. 현실과 괴리가 큰 꿈은 지레 겁을 먹거나, 시작했더라도 중도 포기하거나, 도전했다 실패하면 패배감에 우울감에 빠지는 트랩에 걸리곤 한다. 꿈을 최대한 가볍고 시시한 것으로 시작하는 게 좋다. 꿈은 이뤄야 멋진 거지 꿈만 꾸는 건 망상이다. 큰 꿈을 꾸는 사람에게 흔히 보이는 패턴이 있는데, 바로 꿈 뒤에 숨어서 현재를 집행유예 기간으로 두는 경우이다. 빅테크 취업을 목표로 유학(혹은 준비) 중, 대기업 취직을 위해 준비하는 취준생, 일단 대학원 진학 등등. ‘나는 꿈이 있어, 큰 목표가 있어, 나는 그런 걸 할 사람이다'라며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시선을 속이곤 한다. 이건 자기학대랑 다르지 않다. 자신에게 가벼운 숙제를 주어도 괜찮다. 3) 꿈은 버릴 수 있는 것으로 인생의 목표가 단 한 가지! 라면 얼마나 위험하고 단조로운가… 꿈을 작고 가볍게 만들어서 남는 에너지로 꿈의 개수를 늘려보자. 한 가지 꿈을 꾸며 노력하다 실패하면 무너지기 쉽지만, 동시에 여러 가지 꿈을 굴리면 한 가지 꿈이 실패해도 대미지 컨트롤을 쉽게 할 수 있다. 사진도 수백 장을 찍어야 그중 명작 몇 개를 건질 수 있는 것처럼, 꿈도 몇 개쯤은 실패하거나 포기해도 될만한 전략으로 운영하는 게 좋다. 나도 올해 야심 차게 계획했던 꿈들 중 이미 포기했거나 시작도 못한 것들도 있다. 그래도 남은 꿈들을 잘 가꾸고 있어서 아직 꿈 탕진은 아니다. ^^ 4) 꿈에게 생일을 생일 혹은 기념일을 기념하는 건 그 의미가 지속해서 이어지고 있어야 가능하다. 태어나서 아직도 살아 있으니 매년 생일을 세는 것이고, 연인과의 기념일도 인연이 이어져야 기념일이 존재한다. 그래서 꿈에게 생일을 만들어서 생일마다 기념하고 파티를 열어주면 좋다. 나의 [디자이너] 커리어는 올해로 28년 생일을 맞았고, [북클럽]은 3살 생일이 지났고, [EK 커리어 노트]는 이제 곧 4살 생일을 맞이한다. 꿈도 나이가 들고 연륜이 쌓여야 내공이 생긴다. 마치 나의 하루 영어 두 단어가 1년 생일을 맞고, 2년 생일을 맞고, 5년, 10년 횟수가 쌓이면서 튼튼해져 가는 것처럼 말이다. 작은 노력들이 시간과 함께 축적돼야 쉽게 무너지지 않는 찐 실력이 된다. 5) 꿈의 본질에 다가갈 것 “빅테크에 입사하고 싶어요~”로 시작하는 커리어상담은 웬만하면 피하는 편이다. 너무 뜬구름 잡는 얘기들이 오가고, 아직 본인이 정말 원하는 게 무엇인지 스스로 고민이 안 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서, 본질적인 대화는 없고 마치 취업상담소가 된 것 같은 기분이 들 때가 많아서이다. 많은 사람들이 본질적인 고민은 미루고 눈에 보이는 성취(혹은 스펙)가 자신의 꿈인 양 경주마처럼 달리기를 하는 게 아닌가 싶다. 얼마 전 본 김미경 강사의 영상에서 얻은 인사이트. 우리가 꿈을 중도에 자꾸 포기하는 건, 내가(“I”) 시킨 꿈이 아니라 내가 본 것(“It”)이 시킨 꿈이라서 그렇다는 것. 내가 본 남들의 성공, 그래서 생긴 두려움과 부러움이 만든 꿈은 삼일을 못 간다. 왜냐? 내가 만든 내 꿈이 아니라 잇(It)이 만든 (타인의) 꿈이라서... 정신없이 하루를 살았는데도 한 게 없는 것 같아서 밀려드는 불안과 공허함. 이건 대부분 내가 아닌 내가 본 것을 쫓아 살았기 때문이다. 꿈이 내 것인지 판단하기 위해서(혹은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 해야 하는 일. 이 꿈을 왜 이루고 싶은지 이유 열 가지를 적어 볼 것. 적으면서 치열하게 고민하고 나 자신과 진지한 대화를 나눌 것. 그 과정을 통해 스스로 꿈의 이유에 대해 설득을 당해야 어쩔 수 없이 내가 움직이게 만드는 자가발전력이 생긴다. (타인에게 백 번을 물어봐야 답은 안 나올뿐더러, 타인이 알려주는 답은 내 꿈에 작심삼일 짜리 힘밖에 되지 않는다.) 타인의 꿈은 힘이 없다. 내 꿈을 꾸자. 그리고 꿈(을) 깨자. 나 자신에게 내가 이룰 수 있는 작고 가볍고 버려도 되는 것들을 주고 꿈 생일도 만들어 주자. 꿈 생일엔 크게 스스로에게 선물을 주자. 나에게 가장 든든한 지원군은 나 자신이어야 한다. https://blog.naver.com/junedec369/223496913680
💡
구글 사람들의
생각이 궁금하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