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네이버 지도, 파파고, 오디오클립
전동현
네이버 통합검색에 CUE: 적용
"구글 SGE 게 섯거라" 어제부터 네이버 통합검색에도 생성형 AI, CUE: 가 적용되었습니다. 검색에 넣는다는건 굉장히 큰 의미라고 생각하는데요, 사실 이뿐만 아니라 알게모르게 검색에는 이미 LLM이 적용된 기술이 많습니다. 아직 CUE: 사용 유저들에 한해, 일부 질의에 대해서 시작이지만, 앞으로도 기대해주시고 많은 피드백 주시면 좋겠습니다.
권태관
코딩 책 한 권만 읽으면 이렇게 됩니다
가끔 그런 질문을 받습니다. "00을 잘하고 싶은데 추천할 만한 강의나 책이 있을까요?" 저 역시 그렇고 처음 기술을 배우게 되는 사람들은 길라잡이가 될만한 콘텐츠에 의존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책이나 영상이 주를 이루죠. 여기에 한 가지 더하여 조금이라도 더 괜찮고, 빠르고, 효과적인 콘텐츠로 공부를 하고 싶어 합니다. 그래서 "백엔드 개발자가 읽어야 할 0가지 책", "4주 완성 00 완벽 마스터 되기" 등 이런류의 "치트키"같은 것을 찾게 되죠. 그런데 이런 식으로 좁고 편협한 공부 방식은 모든 문제에 대해 물음표를 던지며 비판적으로 접근해야 하는 우리 개발자들에게는 다소 좋지 못한 방식이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이 영상에서는 하나의 코딩 책만 봤을 때의 문제점을 이야기하고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에 대해 소개하고 있어 공유합니다. 자바를 처음 만든 제임스 고슬링이 옳다고 말하는 것이 리팩터링으로 유명한 마틴 파울러가 다르다고 말할 수 있는, 개발이라는 영역은 정답이 없는 영역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책이나 영상, 요즘엔 블로그도 그렇고 다양하게 읽으며 비판적 사고를 가지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또한 여러 견해를 토대로 개발자로서의 기술에 대한 본인만의 철학도 갖춰야 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th7n1rmlO4I
💡
네이버 사람들의
생각이 궁금하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