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블리

퍼블리, 커리어리, 위하이어

개발팀 리뷰

위 내용은 퍼블리 전 • 현 재직자의 응답 결과입니다.

기술 스택

언어

typescript

python

javascript

프론트엔드

ReactJS

Next.js

Redux

Styled-Components

백엔드

Node.js

AWS SQS

AWS SNS

데이터베이스

Redis

AWS

PostgreSQL

데브옵스

Docker

CloudWatch

bitbucket

재직자가 작성한 글

profile picture

박세훈

퍼블리 멤버십 마케터

팝업스토어? 일단! 그냥! 해보자!

나는 정말 잡생각의 동물이다. 물론 사람은 생각의 동물이라지만, 나는 이것 저것 잡생각을 정말 많이 하는 편이다. 거기에 더해 MBTI가 파워 N인 나는 잡생각 + 무한한 상상으로 머릿속이 가득하다. 평소에는 문제가 아니지만, 가끔 생각이 정리된 시점과 액션이 시작되는 시점에 간극이 엄청 길어지는 일들이 생긴다. 분명 생각은 정리되었고, 이제 행동으로 옮기면 되는 것 같지만 생각은 계속 달라지고, Yes or No가 1초에 수십번씩은 달라지면서 액션과는 점점 멀어지게 된다. 데일리 업무들은 노션의 To-do 리스트를 활용하면서 꽤 많이 정리가 되었지만, 큰 의사결정을 해야할 때에는 여전히 온갖 잡생각과 무한한 상상으로 액션까지 가는데 오래 걸리는 편이었다. 생각만 하다가 때를 놓치는 경우도 많았고 후회를 한 경우도 꽤 있었다. "해야지, 해야지. 생각만 하고 이번에도 결국 못했네." 이 말을 한때는 정말 입에 달고 살았다. 그러다가 어느 날, 인스타그램에서 옛 짤이 하나 돌기 시작했다. 퍼블리 내부에서도 종종 나오는 짤인데, 김연아의 선수시절 인터뷰였다. (PD) '스트레칭 할 때 무슨 생각해요?' (김연아) '무슨 생각을 해.. 그냥 하는거죠' 이건 사실 하루 루틴에 대한 이야기이고, 꾸준함이나 하기 싫은 것도 해내야 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되지만 나는 조금 다르게 생각했다. "하기 싫은 것, 귀찮은 것도 별 생각 없이 그냥 하면 되는건데, 하고 싶은 것 / 해보고 싶은 것은 왜 고민을 많이 하는걸까? 그냥! 하자!" 생각이 나쁜 것은 아니지만, '생각이 많으면 진다.' 라는 말이 있는 것처럼 과한 생각은 결과 값에 늘 좋은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이 되기 시작했다. 퍼블리의 첫 팝업스토어 '워크랜드'의 시작도 비슷했다. 데이터로 입증할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이나 많은 방문객이 있을 것이라는 자신이 절대 높지 않았다. 그런데, 그냥! 해보고 싶었다. 안하면 후회할 것 같았다. 6월말부터 논의를 시작해서 가장 더운 7~8월에 준비를 하고 9월을 꽉 채워서 운영을 했었다. 힘들고...힘들기 보다 귀찮은 일들이 많았지만, 하기를 잘했다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브랜드 팝업스토어를 정말 많이 다니는 편인데, 만약 9월에 퍼블리 팝업을 하지 않았다면 타 브랜드의 팝업을 보면서 매번 후회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행히 개인의 만족도 뿐만 아니라 회사 내부와 고객분들의 반응도 좋았다. 그리고 만들어진 퍼블리의 팝업스토어 아티클, 70%는 콘텐츠매니저인 효주가 20%는 에디터님이 만들었다고 생각한다. 무료링크로 공유하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https://publy.co/content/7394?s=1yjcpg

profile picture

황우진

VP, Data Engineering

수단과 목적

영화 '서울의 봄'을 보고 왔다. 한국 현대사의 아주 중요한 12.12 반란에 대한 영화적 해석이 꽤나 궁금했었다. 신군부라 불렸던 그들은 군인으로써 가진 힘을 나라를 지키는 수단이 아니라 권력이라는 목적으로 바꾼 사람들이었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에게 코드는 수단이어야 한다. 가끔은 나도 탄탄한 시스템, 깔끔한 코드를 위해 노력하면서 이게 목적인지 수단인지 흐려지는 경우를 경험하는 거 같다. 사용자를 위한 제품, 시장의 어려움을 풀고자 하는 솔루션.. 이런 목적을 잊지 않을 수 있게 계속 고민하자는 작은 다짐을 해본다 https://youtu.be/-AZ7cnwn2YI?si=QdKCTn1PaypyjyXt

재직자가 좋아한 글

11년차 디자이너가 토스 퇴사하고 한 일?  |  항상 영감이 되는 영화 님이 최근 SyncSwift 2023 에서 했던 발표 내용을 공유해 주었어요.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아래 내용이에요. 🧑‍🏫  나보다 빨리 성장하는 회사에 가야 성장할 확률이 높아진다.  보통 이제 회사가 빨리 성장하는 거는 여기에 어떤 일이 일어나냐면 제가 이걸 안 그렸는데 여기서 보통 투자를 받거든요.  그럼 여기서 투자를 받는다면서 자본이 막 들어와. 그리고 회사가 이렇게 커요. 나 개인의 성장은 보통 이렇게 리니어하게 일어나거든요.  그러면 내가 엄청 열심히 황새 따라가는 거예요. 뱁새가 황새 겁나 열심히 따라가 “으아아 나 성장해야 돼 성장해야 돼 ㅠㅠ” 이러면서 빨리 따라갈 수 있는 확률이 굉장히 높아져요. 근데 회사 성장이 더디다고 하면은 이 갭 자체가 아주 작기 때문에 내가 따라가려는 향상심 자체도 다른 회사보다도 적어지고 더 안 좋은 거는… 이제 회사가 성장을 멈췄어요. 그러면 진짜 개인이 성장할 수 있는 폭이 매우 줄어듭니다. 물론 어디서나 성장할 수 있고 방법이 있지만 더 많은 성장이 일어날 수 있는 캡이 있다는 거죠. 그래서 저는 성장하는 회사에 가야 개인이 성장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진다고 생각하는 편이고요. --- 스포카 한 산스를 만들어 배포했던, 토스에서 동료들이 몰입해서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2월부터 8월까지 제품 20개를 만들어낸, 지난 1년 인스타툰으로 인사이트를 나누며 7500 명의 팔로워를 모은 영화 님이 이런 배움과 성장을 바탕으로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를 확인하세요!  🔗 전문보기: https://eopla.net/magazines/8349

좋아요 38 저장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