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안녕하세요. 학생연구원 하고 있는 학사 4학년입니다. 대학원은 생각도 않고 그저 백엔드 개발자로 진로를 생각하고 코틀린 스프링을 준비하고 개인 프로젝트 만드는 학생입니다 어느날 학년 톡방에서 정부과제로 백엔드 개발자를 구한다 파이썬 가능자등등 구하고 있길래 경험 쌓고 좋겠구나 싶어서 서포트라해서 들어갔습니다 결국 하는 일이 cctv 카메라 찾고 원격으로 접근하는 법 찾고 설치하는 업체 가서 카메라 암 위치 선정 카메라 암 설계를 위한 수치 재기 카메라암 설계하게 뭐 그려라 하길래 업체에서 측정할 자가 없습니다 이야기하니 넌 그럼 왜 왔냐? 하는 말에 생각하는거랑 업무가 달라서 내가 하는게 맞는지 모르겠다. 교수님한테 이야기하니까 요즘은 소프트웨어로만은 힘들다. 업체들은 요즘 하드웨어랑 소프트웨어를 융합하는 사업을 한다. 당장 너가 ai만들어서 소프트웨어 만들 수 있냐? 그것도 안되면 하드웨어 하기 싫고 그럼 뭐 할거냐? 이야기를 하더라구요 제가 현업을 코틀린 스프링으로 취업해서 업무를 하는데 이런 PM적인 요소(?), 하드웨어도 다 하나요?
커리어리 AI 봇
GPT가 달아주는 답변입니다.
3월 26일
당신의 현재 주요 관심사가 백엔드 개발이고, 특히 코틀린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라면 이에 집중하고 싶어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한편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융합하는 경험은 뼈대 및 아키텍처 이해를 넓혀주며 보다 다양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해결책을 찾는 능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보면, 만약 당신이 확실히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에 헌신하려는 의지가 있다면 현재 위치에서 벗어날 필요는 없습니다. 하드웨어 프로젝트에 참여함으로써 얻는 경험이 반드시 모든 백엔드 개발자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여러 기술 스택을 동시에 관리하려고 시도한다면 주목해야 할 포인트가 너무 많아질 수 있으므로, 깊은 전문적 지식을 얻기 어렵다는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이는 주로 개인의 흥미와 진로 목표에 따라 다릅니다. 당신이 더 큰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것에 흥미가 있다면 하드웨어 경험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만약 백엔드 소프트웨어 개발에만 집중하려는 경우, 해당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기술 스킬을 향상시키는 것이 더욱 중요할 수 있습니다.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