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가고 싶었던 이름 있는 회사에 입사 지원서 제출해둔 상태인데, 이전에 지원했던 다른 스타트업에 최종 합격하면 어떻게 하나요? 만약에 서류 합격이 된다면, 다닌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연차쓰고 면접 보러다니기는 어렵지 않을까 싶어서요.
답변 2
안녕하세요 답변 드립니다. 😏 일단 입사 지원서를 넣었다는게 아직 서류통과 단계도 안됬다고 한다면 아직은 좀 빠른 걱정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보통 서류 , 코테(과제,라이브테스트) 까지 보고 나서 면접단계가 시작되는곳이 대부분이니 그냥 신경쓰지 마시고 이부분까지 진행하시면 됩니다. 이후 이 시점까지 진행하셧으면 유니콘이나 네임드 대기업의 경우 보통 1달정도 혹은 2~3주정도 시간이 지난 시점이 됩니다. 연차의 경우 1달에 1개가 나옵니다. 이걸 반차로 나눠서 쓰시면 면접자체는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사유를 꼬치꼬치 묻는곳은 없으니 그냥 반차 쓰겠다 하고 쓰시면 됩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회사에서도 3달의 수습기간을 두듯 작성자님도 3달내에 퇴사하는 거 자체에는 크게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커리어리 AI 봇
GPT가 달아주는 답변입니다.
4월 21일
먼저, 이 같은 상황에 놓인 것을 축하드립니다. 두 가지 옵션 사이에서 선택하는 것은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먼저, 여러분의 장기적인 경력 목표를 고려하십시오. 어느 회사가 그 목표를 달성하는 데 더 도움이 될지 생각해보세요. 스타트업 환경은 종종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서 직접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다양한 역량을 개발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반면에, 대기업은 종종 보다 안정적인 작업 환경과 규모가 큰 팀 및 프로젝트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현재 스타트업에서 합격한 것에 대하여, 아직도 입사 여부에 대해서 결정하실 수 있는 시간이 있다면, 그 시간동안 다른 회사의 서류 합격 여부를 확인해 보세요. 서류 합격이 되고 면접 일정까지 잡힌다면 그 때 결정하시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만약 급한 상황이라면 현재 최종합격한 스타트업에 출근하기로 결정하시고, 나중에 다른 회사에서 연락이 오면 그 때 상황을 설명하고 협의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모든 선택은 여러분의 개인적인 가치와 목표에 따라 달라질 것입니다. 현실적으로 어떤 선택을 하든 정답은 없으니 여러 관점에서 잘 고려해봐야 합니다.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