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리엑트와 상태관리라이브러리를 사용했을 때 어떠한 전략이나 디자인패턴 그런 것을 이해하기 어렵더라구여..ㅠㅠ 추천해주실만한 공부 로드맵?이 있을까요? 아니면 실무에서 어떤 디자인패턴을 사용하시나요?
답변 2
이런 흐름으로 공부해보세요! 1. React에서 '상태'에 대한 이해 - state, 상태란 무엇인지 - 상태의 변경에 따라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2. 전역 상태관리가 필요한 이유 - props drilling - context-api, 그 외 상태관리 라이브러리 (redux, recoil...) 3. 전역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비교 4. 비교한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개인 프로젝트에 적용 그외: remote-data-fetching library (react-query, swr) 기능 및 공부 관련된 블로그 글이나 도움될만한 링크도 공유드립니다! 1, 2번 '상태'관련 https://www.stevy.dev/react-state-management-guide/ 3번 라이브러리 비교 https://ridicorp.com/story/how-to-use-redux-in-ridi/
익명
작성자
2022년 12월 12일
React 전역 상태관리가 왜 필요한지, 관심사 분리, State Colocation을 정확하게 모르고 있었는데 성원님 덕분에 정확하게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