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ssg : 빌드 때 정적 파일 생성해 빠르게 전달 가능하지만 다시 빌드할 때 까지 변경이 불가능하다. isr : 임의의 주기마다 재빌드 가능하지만 그 주기를 특정하기 어렵다. ssr : 깜빡임 없이 매 요청 마다 정적 파일을 만들어서 보내주지만 서버 요청 시간이 길어지면 사용자가 흰 화면을 오래 보게 된다. 제가 공부하면서 느낀 세가지 렌더링 방식의 장단점입니다. SEO가 필요 없고 초기에 데이터를 패칭해 반영하는 페이지가 있다고 했을 때, csr이 아닌 굳이 이것들을 적용해야 할 상황이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흔히 예시로 드는 아주 명확한 상황이 아닌, 실무에서 적용해보시고 효과를 거둔 케이스와 판단 기준이 궁금합니다.
답변 1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