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59
익명
5월 26일
webpack을 사용하여 build를 진행할때 js 코드를 번들링 시켜 하나의 파일로 만들어 리소스 요청 수를 줄인다고 알고있는데요, 그렇다면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package랑은 연관이 없을까요??
구체적이고 정성스러운 질문에 ↑Up 투표를 눌러주세요.
설명이 부족한 질문에 ↓Down 투표를 눌러주세요. 커리어리가 질문자에게 수정을 요청할게요.
답변 1
Babel, Prettier, ESLint, TypeScript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개발 과정에서는 사용되지만 브라우저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는 필요가 없는 패키지는 일반적으로 dev dependency로 설치를 합니다. 이렇게 개발 의존성으로 설치된 패키지는 Webpack과 같은 번들러가 만들어내는 최종 결과물에 포함되지 않으며 따라서 번들 파일의 크기에도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웹 프로젝트에서 Webpack과 같은 번들러는 쓰는 이유는 브라우저가 다운로드 받아야하는 자바스크립트 코드의 양을 최소화하여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불필요한 패키지는 최종 번들 파일에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추가 설정을 통해서 심지어 필요한 패키지도 전체를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그 패키지로 부터 어느 부분을 불러와서 쓰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안 쓰는 부분은 제외시켜줄 수 있습니다. 참고로 이러한 최적화 과정을 tree shaking이라고 합니다.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 개발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 개발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