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안녕하세요. RESTAPI를 설계하면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서버에서 유저의 인풋이나 서버 자체의 문제로 Response status가 404 혹은 500 등 여러가지 값으로 설정 됩니다. 이때, 에러메시지는 다들 어떻게 작성하시나요? 가끔 타 API를 보면 ``` { "code": "001", "message": "USER_INPUT_INVALID", } ``` 와 같은 형태 입니다. 에러 메시지를 표준화 하고 싶은데 다들 어떤 기준으로 에러 메시지를 작성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또 React와 같은 프론트 엔드에서 이러한 형태의 에러는 어떻게 처리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1{
2 "code": "001",
3 "message": "USER_INPUT_INVALID",
4}
답변 2
저도 오류 처리는 코드랑 메세지 정도만 담아주는 편입니다. 프론트에서 더 필요하다고 하는거 있으면 그때가서 도입하는 정도..? 1. 에러 코드 규격 결정 (상태코드, 에러코드, 에러메세지) 2. 에러 코드 규격을 interface로, 구현은 enum으로 헤서 모든 개발자가 똑같은 에러 내용을 보내 줄 수 있도록 하기 3. “예외 발생 시 응답”이라는 관심사를 중앙 집중으로 처리할 수 있는 ExceptionHandler 만들기 (프론트) 3-1. Axios API Interceptor로 에러 핸들링해서, 필요한 로직 적기 (ex: jwt 토큰이 만료되면 로그인 페이지로 라우팅) (서버) 3-2. Controller, Service 등의 layer에서는 에러가 필요할 때, 예외 발생시키고 예외 안에다가 에러 코드만 잘 담아주기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