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현재 여러 통계를 보여주는 대시보드 페이지를 만들고 있는데 api를 어떤 방식으로 호출할 지 고민이네요. 1. 모든 데이터가 담긴 하나의 api만 호출한다. 2. 데이터마다 api를 생성하고 각각 호출하여 렌더링 한다. 어떤 방식이 나을까요? 더 좋은 방식이 있을까요? react 사용하고 있습니다!
답변 3
안녕하세요. 질문해주신 내용은 상황에 따라 달라질수 있을것 같아요. 일단 각 방법에 따른 장단점은 [하나의 api만 호출하는 경우] 네트워크 오버헤드가 줄어들고, 중복되는 로직호출이 없어진다는 장점이 있지만, 대신 한번에 모든 데이터를 처리하기 때문에 데이터가 추가 될때마다 응답을 받기 까지 걸리는 시간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을수 있을것 같아요. [각각 호출하는 경우] 병렬로 개별 api를 호출하기때문에 각각의 응답 시간이 짧아질 수 있지만, 대신 네트워크 오버헤드가 증가하고, 중복 로직이 호출되어야 하는 경우들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그래서 어떤 것이 더 나은 방식이다 라고 말씀드리긴 어렵지만, 상황에 따라 중복되는 호출은 최대한 병합하고, 병렬로 호출하여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는 부분은 나누는 방식으로 진행하시면 좋을것 같다는 의견입니다.
모든 데이터가 담긴 하나의 API 를 호출하는 게 항상 좋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대시보드 내에 여러 통계 대시보드가 있다고 하면 그 모든 통계 데이터를 백엔드에서 만들기 위해 결합도가 높을 수 밖에 없는 코드를 작성해야 할 지도 모르죠. N개의 대시보드 중 몇 가지 대시보드가 오류로 인해 보이지 않더라도 나누는 게 훨씬 개발하긴 편할거에요.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