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1. 웹뷰 작업은 vite react 로 해도 괜찮을까요? 구글링 했을때 레퍼런스가 많지 않아서 정확하게 결정을 못내리겠습니다 2. Next 로 작업을 한다면 SSR 이외에 이점은 뭐가 있을까요? 3. 웹뷰 작업 후 React 는 AWS 를 이용한다면 S3 버킷에 올려 퍼블릭 엑세스 할당 후 클라우드 프론트를 태워서 호스팅 하면 될 것 같은데 Next 는 어떤 방식으로 호스팅을 할까요? 기존에 Vercel 과 EC2 위에 Next 프로젝트를 호스팅 한 경험이 있습니다. 4.앱에서 로그인이 된 상태에서 웹뷰를 띄었을때 세션을 유지하는 방법은 어떻게 될까요? 로그인 인증은 JWT 방식입니다. 네이티브 앱에서 로그인 된 상태에서 웹뷰를 띄어서 세션을 유지하는 방법의 플로우를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1
인기 답변
다른 분들이 답변을 달지 않아 제가 아는 한도 내로 적어봅니다. 1. 상관없습니다. React나 vue 등 웹에서 작동하는 라이브러리라면 어느 것이나 웹뷰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React Native나 Flutter등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Native쪽은 따로 작업하여야 할 탠대 규모가 작거나 개발자 인수가 적다면 처음부터 RN등을 고려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2. Next를 굳이 도입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14버전 이후는 아직 안정화나 공식문서가 적어 도입을 비추천드리고 13 이전 버전이라면 이후 pages를 활용한 방식이 사장될 수 있기에 (Next에서 app방식을 밀어주고 있습니다.) 유지보수적인 측면도 고려하면 CRA를 추천 드립니다. 3. 웹뷰(프론트)단이라면 일반적인 웹 배포방식을 따른다면 문제없습니다. 말씀 주신 방식으로도 큰 문제는 없을 것 같습니다. Next는 Vercel 이외에 따른 방식으로 호스팅할 경우 복잡도가 매우 증가됨으로 되도록 Vercel을 끼고 작업하셔야 합니다. 4.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프론트엔드의 로그인로직을 관리하는것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단 저장장소가 LocalStorage같은 pc/클라이언트 환경이 아닌 모바일임을 감안하여 기기 단말의 저장소 (RN이라면 AsyncStorage 를 검색하시면 됩니다) 에 토큰을 저장 활용하셔야 합니다. 추가적으로 앱의 경우 외부앱 이동, 기기의 키들의 사용 , 메뉴키를 통해 내렸다 올리는 기능 등 여러가지 변수를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