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로드밸런싱 분산처리 질문드려요

2024년 03월 08일조회 69

안녕하세요 로드밸런싱으로 분산처리에 대해 궁금한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1.흔히 분산처리란 실제 서버를 여러대에 어플리케이션을 구축해놓고 클라이언트에서 Request를 받는 컴퓨터가 각각 서버에서 트래픽을 분산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러면. 혹시 서버 한대에 도커이미지 여러개로 두고 분산처리 하는 방식은 어떤가요? 트래픽이 L4 스위치를 타고 들어오는 시점이고 어차피 트래픽을 감당하는 컴퓨터는 한대인데 가상화 하더라도 같은 NIC을 사용할텐데 이게 과연 효율이 좋은지 궁금합니다. 2.그리고 보통 여러대에 서버로 로드밸런싱 하는거말고 단일서버에도 그렇게 구축하는 사례가있을까요? 트래픽이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서비스 오픈이 얼마남지않고 처음 겪는 문제라 걱정이 많습니다. 조언부탁드립니다 선배님들

이 질문이 도움이 되었나요?
'추천해요' 버튼을 누르면 좋은 질문이 더 많은 사람에게 노출될 수 있어요. '보충이 필요해요' 버튼을 누르면 질문자에게 질문 내용 보충을 요청하는 알림이 가요.
profile picture
익명님의 질문

답변 1

ㄱㅎㅁ님의 프로필 사진

1. 해당 방식이라면 그냥 어플리케이션 하나로 띄우고 처리량을 늘리도록 설정을 변경하는게 어떨까 합니다. 급증에 대비하여 애초에 minimum-idle과 같은것을 늘려놓은 세팅을 하구요. 2. 저는 한서버에서 그렇게 하는건 잘 보진 못했던것 같네요. 로드밸런싱을 하는 이유는 서버에 장애가 덜생기도록 분산처리하기 위함이라 생각하는데, 한 서버에 똑같이 몰리면 어짜피 한 어플리케이션의 장애가 같은 서버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도 영향이 끼친다고 생각합니다. (CPU 사용량, memory 사용량, Disk IO 등...)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목록으로

실무, 커리어 고민이 있다면

새로운 질문 올리기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