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안녕하세요 로드밸런싱으로 분산처리에 대해 궁금한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1.흔히 분산처리란 실제 서버를 여러대에 어플리케이션을 구축해놓고 클라이언트에서 Request를 받는 컴퓨터가 각각 서버에서 트래픽을 분산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러면. 혹시 서버 한대에 도커이미지 여러개로 두고 분산처리 하는 방식은 어떤가요? 트래픽이 L4 스위치를 타고 들어오는 시점이고 어차피 트래픽을 감당하는 컴퓨터는 한대인데 가상화 하더라도 같은 NIC을 사용할텐데 이게 과연 효율이 좋은지 궁금합니다. 2.그리고 보통 여러대에 서버로 로드밸런싱 하는거말고 단일서버에도 그렇게 구축하는 사례가있을까요? 트래픽이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서비스 오픈이 얼마남지않고 처음 겪는 문제라 걱정이 많습니다. 조언부탁드립니다 선배님들
답변 1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