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저는 4학년 막학기를 준비하는 서비스기업을 목표로하는 학생입니다 작년부터 스프링을 공부해서 최근에는 react 개념공부도 끝내서 프론트는 gpt도움으로 스프링부트와 jpa를 쓰면서 백엔드 위주의 토이프로젝트를 준비중에 있습니다. 사실은 2학기때도 막학기 다니면서 혼자 이렇게 포폴용 프로젝트를 하거나 스터디를 찾고 들어갈 계획을하고있었는데 사실 혼자준비하면서 방향이 이게 맞나 의구심이 들던차에 학교 현장실습으로 막학기때 학기대체로 erp개발 스타트업을 현장실습 하면서 퇴근후에 공부를 하는건 어떤가해서요. 설명은 다음처럼 돼 있었습니다 ‐-‐------------------------------------------------------- 교육목표 : 본 교육과정은 Java 프로그래밍 언어와 Spring Boot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안정적이고 확장 가능한 웹 애플리케이션 백엔드를 개발할 수 있는 전문 개발자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교육생들은 Java 프로그래밍의 기초부터 고급 문법까지 습득하고, Spring Boot를 통한 RESTful API 설계와 구현, 데이터베이스 연동, 웹 서버 보안 등 백엔드 개발에 필요한 실무 기술을 배우게 될 것입니다. ‐-‐------------------------------------------------------- si회사에 다니면서 체험하는것이 서비스기업을 목표로할때 도움이될까요? 괜히 개인공부시간만 방해받을거 같기도하고..제가알기로 erp쪽은 도메인이 너무 특수해서 사실 제가 목표하는쪽이랑은 다를거같기도하고요 직무체험이라 괜찮을까싶기도하고..
답변 1
안녕하세요! 현장실습이라고 말씀하시는 거 보면 긴 기간이 아닐 것으로 생각이 들며,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도 취준을 할 때는 현업이라고 엄청나게 개발하는 게 크게 다를까 라는 의문점이 있었는데요. 사실 개발의 본질 자체가 엄청 다르진 않았지만, 현업을 경험하면서 선배님들의 업무 노하우나 현업 경험, 회사라는 환경에서 개발 경험 등으로 취준 입장에서는 보지 못하는 경험들이 분명히 있습니다. 물론 업무 관점에서 역량과 별개로 기술적인 깊이를 가지기 위해선 계속ㅍ공부해야 한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는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제가 그러고 있거든요 🥲 그리고 질문자분이 공부를 병행도 하실 거라고 하셨으니 실무역량과 기술 역량을 동시에 기를 좋은 기회인 것 같습니다!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