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PO/기획자
안녕하세요! 프로덕트 디자이너로 일하고 있는 주니어 입니다. 다름이아니라, 현재 업무는 리서치 - 플로우 구성 - 화면 UIUX - 데이터 분석 까지 다 맡고있는데, 어떤 공고에서는 '서비스 기획자'라는 명칭으로 일하면서 와이어프레임까지 하는 경우도 있더라구요. 어떤 공고에서는 PM이라 명칭되어서 아예 '어떤 제품을 만들자.' 까지만하고, 이후 플로우부터 화면 설계는 디자이너에게 맡기는 곳도 있구요. 서비스기획자와 PM 차이가 궁금해요. 디자이너와의 업무분장도 젝자 이해한게 맞는지요?
답변 1
안녕하세요! 주니어 PM으로 알고 있는선에서 답변을 드려봅니다. 서비스 기획자와 PM/PO 모두 비즈니스를 서비스(프로덕트)로 만들기 위해 필요한 일을 하는 직무입니다. 주로 신규 비즈니스 아이템 발굴을 위한 시장조사(니즈파악, 시장분석 등), 타겟 구체화 및 목표 타겟을 위한 가치 구체화와 이들의 니즈를 해결해줄 수 있는 기능 도출, 그 기능을 프로덕트로 만들기 위한 서비스 프로세스 및 구체화(와이어프레임, PRD 등 문서 작업 및 디자이너, 개발자 등 이해관계자 협업 포함) 같은 업무를 하게 됩니다. 다만 회사나 업계에 따라서 업무의 범위가 천차만별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거시적으로 비즈니스 문제를 푸는 업무를 주로 하는 서비스 기획자도 있고, 구체화된 PRD를 실제 개발에 이어지기까지 세부 과정을 담당하는 PM도 있습니다. 와이어프레임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회사의 환경에 영향을 받습니다. 그래서 PM이 할 수도, PD가 할 수도 있으며 PM이 하더라도 어느정도 수준(구체적인 수준)으로 할지도 협의를 통해 결정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관련해서 올해 INFCON에서 주현우님의 세미나 영상을 링크로 첨부해 드립니다. 인프런 회원이시면 무료로 시청이 가능하실거에요. 해당 영상을 보시면 제 설명보다 더 명확하게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될겁니다! https://www.inflearn.com/course/lecture?courseSlug=%EC%9D%B8%ED%94%84%EC%BD%982024-%EB%8B%A4%EC%8B%9C%EB%B3%B4%EA%B8%B0&unitId=239548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