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연합동아리에서 활동 중인 대학생입니다. 프로젝트에서 스프링부트를 사용하는 백엔드를 맡고 있는데, 코드를 작성하는 법을 아직 모르겠습니다. 개념은 알겠으나 말그대로 로직을 직접 작성할때면 감이 너무 안오는데.... 공부를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당장은 gpt한테 답변받은 코드를 위주로 쓰다가 오류가 생기면 그때그때 수정하고 있습니다ㅜ 장기적으로도 이게 좋은 방법은 아니라는걸 알겠는데 Service, Controller에서 로직을 써내려가기가 너무 추상적인 느낌이라 잘 모르겠습니다...ㅜㅜ 너무 답답하네요 스스로도
답변 7
인기 답변
내가 통장에 돈을 입금하러 은행에 가는 것을 기반으로 생각해보세요. 컨트롤러 => 나 서비스 => 은행 담당자 리파지토리 => 은행 전산 우선 나(컨트롤러)에게는 "돈과, 통장"(request) 이 있어야겠죠? 잘 챙겼는지 확인(validation)하고, 은행에 갑니다. 나(컨트롤러)는 은행 담당자(서비스)에게 입금을 요청(메서드)합니다. 은행 담당자는 입금에 필요한 "통장, 입금할 금액, 돈"(DTO)을 전달받고, 전달받은 것들이 입금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validation)합니다. - 통장이 만료되지는 않았는가? - 입금할 금액보다 돈이 적지 않는가? 문제가 있다면, 나(컨트롤러)에게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throw exception), 나는 그에 따른 처리방법(try catch)을 확인합니다. 문제가 없다면 전산(repository)에 입력하고, 남은 금액(response)이 있다면, 나(컨트롤러)에게 돌려줍니다(return). 위와 같이 "역할"이 구분되며, 거기에 맞게 작업을 하시면 됩니다. 그래도 추상적이라는 생각이 들면 이야기 주세요~
인기 답변
무작장 코드 작성을 시도하는 것 보다 데이터의 흐름에 대한 시퀀스 다이어그램과 플로우 차트를 한번 그려보는건 어떨까요? 코드는 생각하는것은 비즈니스 흐름을 이해할때가 가장 이상적으러 잘 작성될수 있으며 이 과정이서 모르는 부분들은 찾고 정리하고 하면서 비슷한 상황에서 사용하는 방향으로요 코드 작성이 막막하다는 것은 흐름이 머리에서 잡히지 않으니 그럴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안녕하세요, 해당 질문에 대한 답변 드릴게요. 일단 작성자분처럼 전체적인 그림이 잘 그려지지 않는다면, 저는 많은 대학생분들에게 인프런, 유데미, 유튜브 등등 많은 플랫폼에서 꼭 유료 강의가 아니더라도 무료 강의를 찾아서 일단 잘 설명해준 강의를 찾아서 빠르게 한번 쭉 시청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도 생각해보면 대학생때 혼자서 프로그래밍 공부하는게 쉽지 않았거든요, 그러면 차라리 이미 전문가들이 설명한 영상을 보고 따라해보고 왜 그렇게 작성했는지, 설명을 듣고 이해하는 것이 더 좋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그럼 답변 되었기를 바랍니다. 응원합니다. 화이팅😎😎
지금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 운영하고 계신다는 건가요? 그럼 그것부터 시작하세요. 학교다닐때 이해가 안가는 부분을 이해 갈때까지 반복해서 학습한 적이 있죠? 개발 분야도 그렇게 해 보세요. 그리고 스프링부트를 하신다고요? 그럼 꼭 가장 최신에 나온 스프링(스프링부트가 아닌) 책을 하나 사서 보세요. 비슷 비슷한 스프링부트 책의 상급자 수준 같은 느낌일 것이고 잘 이해가 가지 않았던 스프링부트 구조와 동작 원리의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될거에요. 무작정 AI가 만든 코드를 적용하고 돌아간다고 안심하지 마세요. 자신이 그 코드의 의미를 정확히 알고 있지 않다면 바로 내가 AI에 쉽게 대체될 첫번째 인간이란 것이니까요.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