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전 · 익명 님의 질문
삼성SDS, LG CNS 기술 스택
안녕하세요. 하반기 취업 준비 중인 컴퓨터공학과 재학생입니다. 이번 방학 때 해커톤에 나가서 의미 있는 프로젝트 결과물을 만들고 싶은데 제가 들어가고 싶은 삼성SDS, 혹은 LG CNS에 지원 시 경쟁력이 있는 프로젝트가 나오기 위해서는 어떤 걸 챙겨야 좋을지 여쭙고 싶습니다. 특히, 기술 스택은 무엇이 좋을지 궁금합니다.
개발자
#취업
#기술스택
#프로젝트
#해커톤
#삼성sds
답변 0
댓글 0
조회 55
25일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개발자 커리어(포지션)를 위한 이직을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5년차 Windows 개발자입니다. 현회사에서 포지션 관련 고민이 계속 생겨서 여기 계신 분들께 조언을 얻고자 질문 드립니다. 현회사에는 Windows 포지션으로 경력 입사를 했지만, 실제로는 서버, ai 관련 에이전트(파이썬), js 등의 업무 비율이 주 포지션(Windows, c/c++)보다 훨씬 높은 상황입니다. 추후에는 안드로이드와 브라우저 개발에 참여할 거 같습니다. 이렁 상황이다보니 요즘들어 이직 고민을 하게 되었고, 두 회사에서 제안이 와 한 곳은 최종합격, 한 곳은 처우협의 중입니다. 1번 회사 - 스타트업 - Windows 시스템 및 응용 개발(드라이버~응용)만 약속 - 리더 직책 고려 중 - 시드 투자 단계 - GS 1등급 획득 - 업력이 높진 않지만, 모회사가 존재하여, 기술지원과 QA 인력이 뱔도 존재 - 모회사 거래 업체에 제품 계약이 이뤄지고 있는 중 - 급여 15프로 인상, 복지 및 혜택 더 좋음 2번 회사 - 현회사와 경쟁사로 중소기업 - Windows 시스템 및 응용 개발(드라이버~응용)만 약속 - 제품 유지 보수 및 연구가 주 업무 - 처우 협의 중이지만, 연봉 및 복지는 현회사와 차이 없을 것으로 예상 현회사 - 상장 중소 기업 - Windows 포지션으로 들어왔지만, 다른 업무 비율 높음 - 유지 보수(고객사 페이지, js) 작업 등 - 주 포지션 외 프로젝트에 투입(ai 에이전트 서버) - 면담 후, 안드로이드, 자체 브라우저 개발 프로젝트 투입 가능성 이런 상황에서 저의 제일 큰 고민은 1. 이직을 하여 개발자 전체 커리어를 7~8년차까지 Windows로 깊게 가져가면서 조금씩 리눅스 등으로 확장하는 것이 맞을지 - 이 경우, 스타트업을 가게 되면 이후 이직이 많이 어려울지 고민됩니다. 2. 현회사에서 다양한 포지션의 프로젝트를 경험하며, 지금부터 넓게 가져가는게 맞을지 입니다. 어떤 선택을 하면 좋을지 조언 부탁 드립니다.
투표
개발자
#이직
#이직고민
#커리어고민
#이직제안
#이직사유
답변 0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281
한 달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안녕하세요 디자인 컴공 복수전공 대학생 조언 부탁드립니다.
현재 대학교 3학년으로 시각디자인과 컴퓨터공학을 복수전공하고 있습니다. 디자인은 입시미술을 한건 아니고 대학에서부터 관심이 생겨서 해보고 있는데, 저는 잘하는 것보다는 재밌는 것을 해보자는 생각이어서 복수로 전공을 하게 되었습니다. 아직 심화로 들어가진 않았지만 코딩도 하는 재미가 쏠쏠하고, 디자인도 나름 재미있게 공부하고 있습니다. 컴퓨터 쪽은 웹이나 구현같은 걸 재미있게 보고 있고, 디자인은 아직 여러가지 배우고 있습니다. 미래를 생각해보면 디자인 잘하는 개발자, 개발 할줄 아는 디자이너는 정말 경쟁력 있는 사람인것 같긴 한데, 너무 허울 좋은 이야기인거 같아서 우물쭈물 하다가 둘 다 애매한 사람이 될거 같아서 걱정입니다. 또 UX/UI 쪽은 흥미가 별로 생기지 않아서, 직업을 찾아보면 인터랙티브 개발자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라는 것도 있긴 한데, 대중화 되지 않고 그냥 정말 소수의 몇명만 하는 것 같아서 망설여지는 것도 있고요. 둘 다 놓치기 싫은게 제 치기어린 고집인지, 제가 현실을 마주하지 못해서 생기는 생각인지 여쭙고 싶습니다. 지금이라도 포기하고 한 우물만 파는게 맞는 선택일까요? 혹 주변에 두 전공을 살린 사례가 있는지, 아니면 지금이라도 생각을 바꾸는게 좋을지 현직의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진로고민
#진로상담
답변 1
댓글 0
조회 64
2달 전 · 익명 님의 새로운 댓글
하나은행 it 인턴 vs 싸피(삼성청년sw아카데미)
금융권 it 직무를 희망하고 있는 취준생입니다. 만 나이 28세로 생신입 치고 적지 않은 나이입니다.. 이번에 붙은 싸피 14기 교육과 싸피를 포기하고 하나은행 체험형 it직무 인턴에 참여하는 것 중 어떤 것이 좋은 선택이 될 지 고민되어 질문드립니다. -학벌: 지거국 정보통신공학과 -학점: 3.5 언저리 -현재 스펙: sqld, 오픽 im3, 한국사 1급 (정처기 실기, adsp 7 8월 안으로 치룰 예정입니다.) -교육 이수: 하나은행 디지털 하나로 수료(프로젝트 2회) 싸피: 5대 은행 서류 가점, 코딩테스트 향상, 공백기 해결(최대 1년) 및 프로젝트 진행 하나 인턴: 일반 수료시 하나은행 서류면제, 우수 수료시 서류+코테 면제, 최우수 수료시 서류+필기+1차면접 면제 최대한 보수적으로 일반 수료를 상정하려고 합니다. 낮은 스펙으로 인해 서류 합격률이 매우 저조하며, 스펙을 보충하기 위해 시간을 쓰다보니 백준 골드 2긴 하지만 아직 코딩테스트 실력도 부족합니다. 어느 선택을 하더라도 8월까지 자격증 시험을 최우선으로 두고 이후에 코테 및 면접에 중점을 두려고 하는데, 내년 상반기는 되어야 경쟁력이 생길거라는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꼭 하나은행만을 노리는게 아니라 시중은행 it 직무를 목표로, 전체적인 취업 경쟁력과 빠른 취업을 노리기 위해서, 선배님들께서는 어떤 선택지가 가장 좋다고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개발자
#싸피
#하나은행
#은행
#금융권
#취준생
답변 1
댓글 1
조회 338
2달 전 · 익명 님의 새로운 댓글
기획/디자인과 프론트엔드 개발
작은 스타트업에서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첫 커리어를 시작한지 1년 조금 넘은 주니어 개발자입니다. 기획자와 디자이너가 따로 없어서 프로덕트 개발할 때 제가 기획 및 디자인도 어느정도 하면서 프론트 개발을 하고있습니다.. 이러다보니 일은 많지만 기획/디자인에도 흥미가 좀씩 생깁니다. 어떤 서비스를 만들것인지 정의하고 사용자 입장에서 구조와 디자인을 구상하는것도 나름 재미있더라구요. 그리고 구상한걸 ui로 구현하는것도 나니까 의견 충돌할 일도 없구요. 다행히 디자인 감각도 좀 있어서 결과물에대한 반응도 좋습니다. 기획 디자인쪽도 제대로 공부해보고싶은 생각이 드는 요즘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보통 기획, 디자인, 프론트엔드 개발이 별개의 직무이고 이들을 다 하는 인력을 필요로하는 경우는 거의 없잖아요. 이런 상황에 프론트 공부하기도 바쁜데 기획/디자인까지 공부하고 실무에서도 여기에 계속 시간을 할애하는건.. 너무 영양가없는짓이 아닌가 싶어서 고민이 됩니다. 역시 그냥 프론트에 매진하고 여력이 된다면 차라리 백엔드를 하는게 나으려나요. 아무리 ai 시대라고 해도, 기획과 디자인, 프론트엔드 개발까지 프로덕트의 클라이언트단을 모두 담당하는 직군이라는게 과연 생길까요? 이들을 다 할줄 아는게 경쟁력이 있을까요? ai가 앞으로 코드 짜는건 상당부분 해주니 여력이 생긴다고 해도, 개발자면 역시 개발에나 전념하는게 맞는걸까요 선배 개발자분들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개발자
#프론트엔드
#기획
#디자인
답변 2
댓글 2
추천해요 1
조회 194
2달 전 · 익명 님의 질문
java 개발자에서 mlops
현재 자바 개발 3년, 서버 엔지니어 2년으로 5년차인데. 개발과 함께 devOps 업무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쉬운건 클라우드를 사용하지않고 k8s, docker, ci/cd 와 같은 기술만 사용하고 있어요. AWS도 배우고 싶은데. 사내에선 사용하지 않아 아쉽습니다. 현재 고민중인건 지금도 그렇지만 앞으로 AI 산업이 더 발달될텐데. 경쟁력과 대체 불가한 인력이 되고 싶은 마음이 큰데. 지금의 지식을 살려 방향을 잡아볼까 하는데. 지금 기술을 유지한체 백앤드 개발자로 나아가거나 AWS, k8s 등의 지식을 더 키워 DevOps로 전향하거나 아니면 시대에 맞춰 MLOps로 준비를 같이 해볼까 고민하고 있습니다. 사실 MLOps에 대한 지식과 경험은 없습니다. python은 다시 공부해야하죠. 이런 식으로 바꿔보신 분이 계실까요? 어려운 길일까. 고민이지만 이게 더 낫다면 도전해보고 싶은 마음은 있습니다. 나이는 33입니다.
개발자
#java
#devops
#mlops
답변 0
댓글 0
조회 132
3달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자기주도적인 개발이 너무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올해 3월에 부트캠프를 수료하고 취업준비를 하고있는 프론트엔드 지망생입니다. 부트캠프를 통해 js, react, vue, tailwind, zustand등의 스택을 주로 사용하며 프로젝트를 만들었습니다. 부트캠프를 진행하면서 react에서 useEffect훅은 컴포넌트의 생명주기 사이 ~때에 사용한다, 페이지 라우팅 기능을 사용하려면 리액트 라우터 같은 라이브러리를 활용해서 써야한다, 테일윈드가 현재 개발시장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CSS 라이브러리다 이런 정도로 기술스택들이 학습되었습니다. 이제 부트캠프도 수료하고 혼자 공부하는 시간이 찾아왔는데 어떤것 부터 어느정도 까지 손을 대야할지 감이 잡히질 않습니다. 1. 어떤것 부터 해야하는지 예를 들어 현재 저에게 가장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스택은 next 프레임워크, zustand 외의 전역 상태관리(recoil, redux), 필수 개발 외의 인프라적인 스택?(Storybook, monorepo, sentry, jest )이라고 생각하는데 이 지식들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방법과 이 외에도 개발자 시장에서 반드시 장착하고 있어야 하는 필수 스택에 무엇이 있는지를 알고싶습니다. 2. 어느정도 까지 손을 대야할지 예를 들어 React 같은 경우엔 하나의 프로젝트를 만드는 역량까진 가능해졌지만 프로젝트 안에서 퀄리티 있는 디자인 패턴이라던지, 사용해보지 못한 수많은 리액트 메서드들을 딥다이브 해봐야 할 거 같은데, 어느정도 까지 공부해야 너무 깊게 들어가지 않고, 현재 개발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지식을 쌓았다고 할 수 있는지의 경계를 모르겠습니다. 강사님의 강의에서 벗어나 혼자서 주도적인 학습을 진행하려고 하니 시간낭비를 하게 될 거 같고, 겉햝기 식으로 공부하는 나날을 보내게 될까 심적으로 큰 부담이 됩니다.. 현업 개발자님들의 조언을 듣고싶습니다!!🙇♂️🙇♂️🙇♂️
개발자
#프론트엔드
#프론트엔드-취업
#공부방향
#공부법
답변 2
댓글 2
조회 706
4달 전 · 익명 님의 질문
CJ제일제당 현직자 인터뷰
CJ제일제당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1) 현직자 분들의 회사에 대한 인식이 궁금합니다. 회사에 대한 만족도와 어떤 점에서 만족도가 높으신지 알고싶습니다. 2) 현직자께서 생각하시는 CJ제일제당만이 보유한 경쟁력은 무엇일까요? 3) 회사의 경영이념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이에 사내 교육 프로그램에서 어떤 내용을 배우셨는지 간략하게나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질문을 쭉 정리해봤는데 꼭 다 답변해주실 필요는 없고 가능하신 선에서 답변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바쁘신 와중에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M/PO/기획자
#cj제일제당
#cj
#현직자인터뷰
#현직자
#esg
답변 0
댓글 0
조회 36
4달 전 · 문종호 님의 새로운 답변
4년차입니다. 이런 경우 이직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만 3년 11개월 입니다. 입사초기에는 java/spring/vue.js 로 웹 개발 진행하다가 이후로 python, django, fast api 등 프로젝트 진행했습니다. 프레임워크도 그저 기본적인 부분만 한 것 같습니다. 간단한 관리자 정도? 근데 회사가 경영악화로 곧 망할 것 같아요. 어쩔 수 없이, 이직 준비하려고 보니 해당 언어/프레임워크로 3년 이상 요건으로 걸려있네요. 이것저것 해본 것도 경험이라 할 순 있겠지만 지금 같은 시장에선 경쟁력이 없는 것 같습니다. 분명 1년 정도 까지는 물경력은 되지 말자고 자기계발하고 그런 생각이었는데 현실과 현재에 안주하고 있던 저를 보니 후회 되네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선배님들.
개발자
#이직
#물경력?
#경험
#여러가지
#깊이
답변 1
댓글 0
조회 201
4달 전 · 박순영 님의 새로운 답변
개발자의 ChatGPT, Claude, Cursor 등 LLM 활용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안녕하세요! 최근 많은 개발자가 ChatGPT, Claude, Cursor 등의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활용하여 개발 생산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LLM이 개발 속도를 높이고 학습을 돕는다고 보지만, 반대로 개발 실력 저하를 우려하는 의견도 있습니다. Q. LLM의 활용이 개발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투표에 글자수 제한 때문에 아래 적겠습니다.) 1. 긍정적이다 - LLM을 잘 활용하는 개발자가 더 빠르게 성장하고 경쟁력을 가질 것이다. 2. 부정적이다 - 기본적인 CS 지식과 문제 해결 능력이 더 중요하며, LLM 의존은 실력 향상에 방해가 된다.
투표
개발자
#llm
#chatgpt
#claude
#cursor
#copilot
답변 3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398
5달 전 · 포크코딩 님의 새로운 답변
CS 전공 4학년 진로고민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생성형 비전 ai를 연구 중인 전공자 4학년 학부 인턴입니다. 요즘 제가 생각보다 연구에 대한 끈기가 부족하다는 것을 깨달아서 (빨리 성과가 나오지 않으면 답답하고 몇개월을 갈아넣은 연구 성과가 학문/이론에서 그치는 것도 답답하더라구요) 랩실을 나오고 취준을 해볼까 고민 중입니다. 연구 자체가 엄청 거부감 들고 싫은건 아니지만.. 결국은 연구를 해도 나중에 리서처나 개발 직군으로 취업을 해야하는데 회사에서 리서치 직군을 애초에 많이 뽑지는 않는데 저보다 탐구/실험하는 과정을 정말 잘 하는 주변 사람들을 보며 제가 충분히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지 잘 모르겠더라구요... 지금 fe be ai 다 한 번씩 건들여봤는데 이 중에서 취업할만큼 전문성을 가진 분야는 없는거 같아요. 그래서 빠르게 결단을 내리고 랩실을 나오고 취준을 할지, 랩실에 계속 있을지 고민 중인데 취준을 한다면 fe/be/데이터분석+데이터 엔지니어 중에 고민 중에 있습니다. (ai 엔지니어도 고려 중인데 학위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긴 하지만석사를 따는게 유리하다고 하네요. 그리고 MLOps 분야는 신입을 잘 안 뽑는다고 알고 있어서..) 결정을 내린 다음 대학원을 안 가고 취준을 한다면 1~1.5년 정도 한 분야에 더 집중할 생각입니다. 그리고 지금은 학사/석사 취업 모두 어느 분야를 취업하든 다 경쟁이 매우 치열한거 같더라구요... 만약 fe를 하게 된다면 제가 시각적인 것을 좋아해서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쪽으로 커리어를 쌓고 싶다는 생각이 있긴한데, 이게 현실적으로 가능한 것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FE는 제가 얕게나마 react, react native를 파본 경험이 있는데 화면에 보여지는게 즐겁긴 하지만 공들여서 만든걸 많이 수정할 때 좀 마음이 아팠던 경험이... 그리고 쏟아지는 기술들을 계속 배워야 한다는 것에 없지않아 피로감을 느꼈던거 같습니다. (그런데 이건 IT쪽이면 연구/개발 어느 분야든 똑같이 적용되긴 하는거라...) BE는 제가 django나 flask로 CRUD 위주로만 구현한..야매로밖에 경험을 안 해봤고 spring은 김영한님 강의 듣다가 중간에 너무 알아야할게 많은거 같아 포기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데이터 분석 + 데이터 엔지니어 같은 경우에는 통계 베이스/데이터 파이프라인 stack 기반이 부족해서 더 공부를 해봐야 할거 같습니다. 관련 공모전 경험도 아직 없고요.. ai 엔지니어 경험으로는 2~3개 정도 프로젝트 형식으로 flask로 ai 모델 서비스에 야매로 연결해본 경험이 전부입니다. (MLOps 역량을 가진 사람을 뽑으려는 추세인거 같은데 kubernetz, docker, 클라우드는 따로 또 공부를 해봐야 합니다) 결국에는 어떤 분야든 다 넘어야 하는 산이 있는 느낌이라 이에 대한 각오는 되어 있는데, 어떤 분야로 더 나아가는게 현명하고 후회없는 선택일지 너무 고민이 됩니다..ㅠㅠㅠ 어떤 직무든 다 힘들고 고된 점들이 있기에 제 성향을 고려하고 각각의 직무의 현실(?)을 보고 제가 이건 정말 오랫동안 하루종일 못 하겠다 싶은 같은 일들을 위주로 가지치기를 하면 좋을거 같다는 조언을 들었습니다. 그래서 각각 직무의 실제 업무 생활이 어떠한지, 그리고 실제 실무에서는 어떤 역량이 중요할지, 어떤 성향을 가진 사람이 어떤 상황을 감내해야 오래 버틸 수 있을거 같은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직간접적으로나마 아시는 각각의 직무에 대한 정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조언해주시면 제 스스로 현명한 선택을 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개발자
#진로
#커리어
#고민
#진로고민
답변 1
댓글 0
조회 225
7달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기술지원팀이 하는일
우선 저는 개발자 1년차미만인데 어쩌다보니 기술지원팀 면접이 잡히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만약 최합된다면 기술지원팀으로 커리어를 바꿀지 고민입니다. 전 회사에서 기술지원팀 뭐하는지 알긴 알지만 요즘 같은 시기가 저도 어떤 시기인지 잘 알고 중소가면 개발자 목숨 파리목숨 취급 하면서 지금 같은 시기가 오면 금방 자르고 제가 느끼기에도 크게 경쟁력 없는 위치니 저도 올해 벌써 31살이고 한번 기술지원팀에 발을 들이면 영영 거기 있어야한다는것을 알죠 한편으로 제가 개발자로서 계속 성장 가능성이있는지 그런것도 생각해봐야 하는 문제고 정말
개발자
#이직
#직무전환
답변 0
댓글 0
조회 79
7달 전 · 익명 님의 질문
프론트엔드로 it산업기능요원
좀 힘들까요? 아무래도 프론트엔드쪽 하는사람이 많을거같아서 경쟁 빡세겠죠?
개발자
#산업기능요원
답변 0
댓글 0
조회 41
7달 전 · CP 님의 답변 업데이트
1년미만 프론트엔드개발자 포폴 준비
9개월차이고 1년 채우고 이직하려고 이제 포폴 다시 준비하려고합니다. 취준 때 썼던 플젝은 지우고 새 사이드 프로젝트로 채우는게 좋겠죠? ㅠㅠ 근데 지금 회사에서 js 만 써서 리엑트 수준이 취준때 머물러있습니다. (Si 프로젝트했습니다.) 팀플로 무언가를 하기엔 시간이 빠듯할 것 같아서 firebase로 프론트 프로젝트 혼자하려는데 하나정도 규모 좀 있게 배포까지히면 경쟁력이 있을까요??ㅠㅠ 어떤 부분을 강조하면 좋을까요ㅠㅠㅠ
개발자
#이직
#사이드프로젝트
#포트폴리오
답변 1
댓글 0
조회 133
3달 전 · 엉뚱한밀크언니 님의 새로운 답변
선배님들의 고견을 여쭙고자 합니다.
안녕하십니까!!... 저는 최경호 라고 하며, 현재 울산에서 MRO소모성 자재(건설업) 납품업체 에서 건축자재 및 공구 또, 산업.안전용품 의 유통회사 에서 배송납품 기사 로 일하는 40대 남성 입니다. 건설업 MRO 라는 키워드 로 검색을 하게되었고, 정확한 내용은 아래 링크 를 보시면 더 자세하실 겁니다. https://blog.naver.com/mmoonhs91hy/221934607016생활안전시장_안전용품 다름이 아니오라, 제가 현재 일하고 있는 회사는 울산지역 에서 S-oil 이나 금호석유화학, SK에너지 등의 회사의 협력업체들 에게 공구 및 작업복 흔히 말하는 산업.안전용품 기타 관련용품들 을 배송.납품 하는 업무를 하고있습니다. 제가 문의글을 올리게 된 이유는, 울산의 공구상가 에서 (사업자 를 가진 회사에게 도매 가격으로 판매를 하고, 개인고객 에게는 소매가격으로 판매를 하는) 업장을 방문해서 물건을 구입후 에 배송을 하고 있습니다. 여러 카테고리 가 있다보니. 품목에 따라 다른 업체들을 방문하여 물건구입 후 배송을 하는데, 저희 회사자체 의 창고에서 물건을 찾아서 가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원체 많은 품목들이 있고, 판매를 될지 안될지 모르는 제품들이기에 창고에 미리 갖추고 있을 여유는 없습니다.) 또한 KEP(코리아이플랫폼) 라는 MRO회사의 네트워크 에 가입이 되어있고-실제 배송.납품건이 많지는 않은것 같습니다. 크레텍 책임&웰딩 이라는 대구에 본사를 둔 회사에서 공구 관련 품목을 납품 받고, 기타 타지역에서 화물로 물건을 받아 그때그때 주문에 맞추어서 발주를 하고 물건을 받아,판매하고 있습니다. KEP 나 서브원 같은 대기업 에서 운영하는 MRO업체들 에게서 물건을 납픔받아 재판매를 하는 식 입니다. 구비하고 있는 기계? 를 일정기간 임대 하고 비용을 받는 부분도 있는것 같습니다. 제가 대표님 에게 듣기로는, 울산 이라는 지역에서 같은 업을 하는 경쟁사 가 약250여개 가 된다고 합니다. 아주 오래된...지금 의 7~80대 어르신 들이 예전에 하던 유통방식 에서 달라진것이 없는 상황 입니다. (물론 연합을 해서 이 물건은 이 가격에 팔자! 라는 방식은 잘 모르겠으나, 공구상가 주변에 모여들어 사업자가 있는 사람에게는 도매가로 판매하고 개인에게는 소매가 로 판매를 하는..) 또한, 건설 프로젝트 를 대기업에서 입찰을 해서 공사를 시작하게 되면 그 협력업체 사람들과의 인맥 과 또 그를 통한 다른 인맥을 만들며 공사에 참여하여 자재를 납품 합니다.. 인맥이 없으면, 장사를 못한다! 라는 그런 이야기 도 들은것 같습니다. 이런 현 상황에서 소상공인들이 대부분 이다보니, 정부에서 기관을 만들어 지원해 주는 경우도 있는데 대부분이 마케팅 과 온라인 유통 에 관련된 교육들이고, 사업자 가 있어야 참여를 할수가 있더군요.. 온라인 유통에 대해 아는것이 없습니다.. 전문성 을 어필하기 위해 홈페이지 에서 구독서비스 를 만들고 공구나 기타자재 들도 풀필먼트 라는 물류시스템을 빨리 갖추어야 한다! 라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만... 홈페이지 에서 클릭해서 장바구니 담고 택배로 물건 보내준다.. 건축자재 들이 원체 부피가 크고 무게가 많이 나가다보니, 그게 가능한가? 이런 수준의 생각밖에는 못하고 있습니다. 산업.안전용품 를 유통하는 회사로써, 유통업,서비스업 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생각합니다만, 이 업계에서 저희 회사의 포지셔닝 부터 찾아야 한다고 생각을 하고, 포지셔닝 을 찾은후에 다른 경쟁사 와 다른 저희 회사만의 KSF(Key success factor) 를 만들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의 짧은 생각으로는, 서비스업 의 특징은 , 고객이 이미 가지고 있는 기대치 를 넘어서는 무언가를 제공해 줄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정확하고 빠른 배송 과 친절함? 이런 부분은 누구나 다 생각하고 가지고 있다고 생각 합니다. 유통업 에서 포지셔닝 을 찾기위해 어떤 부분들이 고려되어야 하는지? 저희만의 KSF를 가지기 위해 무엇을 할수있는지? 이 부분에 대해 여쭙고자 합니다. 저는 타 경쟁사 와 다른 저희만의 독점성 을 가지기 위해 개인적으로 해외소싱,구매 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한국에서 산업,안전용품 은 보급품 이라는 이미지 가 있다고 생각을 하고있으며, 품질적인 부분은 아직 국제사회에서 경쟁을 할 정도는 아니다.라고 알고있습니다. 그리고 항상 편안함 과 안전 이라는 부분이 가장 우선시 되기에. 타업계에 비해 품목의 트렌드 에 영향을 많이 받지는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중소기업 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기 위해. 이미 많은 대기업들이 MRO를 하기에, 해외소싱 이 저희만의 KSF가 되어줄수 있을지에 대해서 더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국내에 유통이 되지않는, 그런 품목이 필요하다고 생각만 하고있습니다. 많은 전문가 분들은 산업,안전용품 과 공구 등은 해외소싱 및 구매를 할 만한 아이템이 이젠 거의없고 또 아이템 마다 너무다른 방식들이 많아서 그다지 좋은 방법은 아니라고 합니다. 소모성자재 이니 만큼 건설업 만이 아닌. 자동차 ,조선업 ,입찰,항공 또한 조달..등의 이야기 와 온라인 유통에 대해 많은 지식을 갖추라고 이야기 하십니다. 제가 얻은 답변 중 회사의 일원으로써 갖추어야 하는 능력은.. AI UI/UX 설계 데이터 분석 어디서 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 어떤 커리큘럼 을 가지고 따라갈수 있을지 문의 드리고자 합니다. 제가 현재 많은 지식을 갖추고 있는 사람이 아닌지라, 어리석은 우문 만 드리게 되었습니다만, 여기 계신 분들의 고견을 부탁 드려도 될런지요?
PM/PO/기획자
#mro
#소모성자재
#납품업
답변 1
댓글 0
조회 121
7달 전 · 걱정인형 님의 새로운 댓글
웹 개발과 앱 개발 시장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현재 엔지니어 직무에서 벗어나 개발자로 돌리고싶은 사회 초년생입니다. 원래는 학부생때부터 앱 개발을 주로 했어서 자연스레 앱개발 직무로 준비하려고했는데, 막상 개발공고를 찾아보면 확실히 앱이 웹에 비해 티오가 많이 없더라구요….. 그렇기때문에 빠른 이직을 위해서 웹 개발 쪽으로 뛰어들어야할지.. 장기적으로 생각했을 때 앱 개발이 웹에 비해 더 살아남을 수있을 지, 그렇다면 앱으로 직무를 결정해야할지 고민이 됩니다. 무신사에서 pc 버전을 삭제했던 케이스를 생각하면 비용 측에서 모바일도 꽤 경쟁력이 있지않나싶은데 … 잘 모르겠네요 ㅠㅠㅠ 이래저래 고민은 많은데 실제 현직자분들 사이에선 어떤지 여쭙고싶습니다. 급한 마음에 글이 횡설수설한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개발자
#웹
#앱
#직무
답변 1
댓글 1
조회 118
9달 전 · 김수현 님의 질문 업데이트
선배님들 조언 부탁드립니다. AI or 반도체 설계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고민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현재 수도권 4년제 전자공학과 25년2월 졸업예정자입니다. 학점은 3.0 정도로 높은 성적은 아닙니다. 제 학점으로는 공채에서 경쟁력이 없다고 판단하여 처음에는 반도체 설계 쪽 부트캠프 과정을 고민하고 있었는데 AI 부트캠프가 많이 개설 되어있고 전망도 좋은거같아서 고민이 됩니다. 전공 과목을 수강했을때 AI과목에도 흥미가 있었습니다. 자동차 sw 부트캠프도 나와있길래 같이 추가해놨습니다 아래 질문 보시고 어떤 조언이든 해주시면 참고하여 잘 선택하겠습니다! 어떤 조언이든 부탁드려요 질문 1 반도체 설계 OR AI 어떤 쪽이 앞으로 조금 더 전망이 있고 취업하기에 어떤게 허들이 좀 더 낮은지 어떤걸 선택해서 방향을 잡고 준비를 해야할지 고민입니다. ----------------------------------------------------------------------------------------- 질문 2 6개월의 기간인 만큼 신중하게 선택하고싶은데 아래 4개 부트캠프 중에 어떤 부트캠프를 선택해야할지 고민입니다. SK네트워크&엔코아 AI 부트캠프 *취업지원 *훈련 목표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인공지능 LLM 모델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구현 방법을 습득하고, 응용 수준에서 활용성 높은 LLM 접목 Web Application까지 개발할 수 있다. Sk쉴더스 생성형 ai 활용 사이버보안 과정 *채용연계형 / 수료생 대상 채용 과정 진행 *훈련목표 ai기술을 사이버보안에 활용하여 빠른 보안대응을 수행할 수있는 사이버보안 전문가 양성 대한상공회의소 [Harman] 세미콘(semiconductor) 아카데미-반도체 설계 *취업지원 현대오토에버 모빌리티 SW *채용연계형 / 수료생 대상 채용 과정 진행 *교육과정 임베디드SW
개발자
#부트캠프
#사이버보안
#반도체
#반도체설계
#전망
답변 0
댓글 0
조회 110
10달 전 · 익명 님의 질문
요즘 개발자 취업 분야 질문있습니다.
백엔드 개발자를 준비하던 중 제 분야에 대해서 확신이 없어져서 질문을 드립니다. 개발을 하고싶냐 취업을 하고싶는 질문에서 저는 취업이 좀 더 하고싶은 것 같고 그렇기에 너무 경쟁이 심한 웹 개발자가 아닌 임베디드 쪽을 관심에 두고 있습니다. 백엔드와 임베디드 쪽이 사용하는 언어가많이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각각의 취업을 기준으로 전망이 어떤지도 여쭤보고싶습니다.
개발자
#백엔드
#임베디드
#취업
답변 0
댓글 0
조회 110
10달 전 · 익명 님의 질문
이직없이 10년 경쟁력은?
안녕하세요 말그대로 한 스타트업 회사에 10년있던 개발자 어떠신가요? 다룰 수 있는 스킬들은 많습니다 AWS 로 시작해서 인프라쪽은 테라폼 쿠버네티스 ci cd구축 devops 개발은 nestjs mysql nginx python 추가로 webrtc와 미디어서버 구축 등 나열하지 않은 서브스킬들이 많지만 여러방면에서 다룰 수 있습니다 스타트업이지만 솔루션 기업으로 대기업들과 많은 코옵 및 대규모 사용자등의 서버처리 경험들도 많은편입니다 그만큼 페이도 괜찮게 받고있는 편입니다 이런제가 이직을 한다고 했을때 고연봉을 쳐줄 수 있는 경쟁력이 될까요? 이직을 해보지 않아서 그런지 막연한 두려움도 있고 그러다보니 차후 이직할 때 사람들이 볼 시선등이 궁금합니다 채용하는 입장에서 여러분들은 어떠신가요?
개발자
#스타트업
#이직
답변 0
댓글 0
조회 93
일 년 전 · 김하늘 님의 새로운 답변
프론트엔드 포폴에 php 마이그레이션이 도움이 많이 될까요?
프론트엔드4년차입니다 입사했는데 (기능이 크게 crud밖에 없는 도메인이예요) php로 작업되어있어서 그거 마이그레이션하는것만 기다리고있는데 입사한지 두달째 디자인+퍼블만 하고있어요.. 마이그레이션을 하긴할거같은데 아직은 시작을 언제할지 기약이없어요 디자인감각도 없는데 그낭 막무가내로 개발하면서 동시에 하래요ㅋㅋㅋ 디자인 시안을 만들 시간을 주는것도 아니고 경쟁사 사이트랑 기획안보면서 어찌저찌 하고는 있어요 리더가 기획자(9년차)라 개발에 대한 이해도 없고 작업기간도 너무 짧게주고 이정도면 내 업무를 무시하는건가 하는 지경에 이르렀는데 싸우기도 이제 지치네요 조언을 구해봅니다ㅜㅜ
투표
개발자
#프론트엔드
#php
#경력
답변 1
댓글 0
조회 232
일 년 전 · 이상래 님의 새로운 답변
프론트엔드 공부중인 취준생이 백엔드 공부해도 될까요?
프론트엔드 공부중입니다. 사용하는 스택은 react, next, typescript 정도구요. 현재 진행되는 개인 프로젝트는 supabase 라는 서버리스 서비스를 이용해서 백엔드를 대체하고 있습니다. 근데 문득 드는 생각이 제가 나이도 좀 있고, 공백기도 제법 길어서 단순히 crud 되고, 몇 개의 추가적 기능(ex. 크롤링을 통한 데이터 수집, 웹소캣 활용한 채팅기능)을 추가해도 뭔가 경쟁력이 없는 지원자로 보일 거 같더라고요. 그래서 프론트가 백의 흐름을 어느정도 알 필요성이 있기도 하고, 그런 이유를 내포해서 백 공부를 한 번 해볼까 생각해보았습니다. 다만 심도깊은 프로젝트는 프론트 쪽 구현만으로도 벅찰 거 같아서 단순한 프로젝트를 풀스택개발로 진행해볼까 생각하고 있는데요. 괜찮은 생각일까요? 취준기간에 괜히 다방면으로 건들여서 괜히 귀중한 시간을 낭비하는 건 아닐지...이런 부분때문에 고민이 됩니다.. 또 만약 공부를 한다면 개인적으로는 noSQL 보다 SQL 쪽으로 공부해나가는게 맞다고 생각하는데 그러면 언어를 또 새로 배워야하는지요 ? (보통 대중적인 java 를 많이 쓰더라고요)
개발자
#프론트엔드
#백엔드
답변 2
댓글 0
조회 161
일 년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프론트엔드 공부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현재 30대이고 프론트엔드로 취업을 위해 공부중에 있습니다. 물론 20대와 전공자분들에 비하면 가능성이 낮은 편이고 20대와 전공자분들과 경쟁을 해야 되는 상황인데 어떤걸 어떻게 공부해야 그나마 경쟁에서 이길수 있을까요? 방법에 대해 조언해주시면 너무 감사드리겠습니다.
개발자
#프론트엔드
#취업
#공부방법
#경쟁
답변 1
댓글 0
조회 83
일 년 전 · 익명 님의 새로운 댓글
개발자 경력있으면 이직쉽다?
ㅈ됐어요 올해 엄청난 경쟁률을 뚫고 스타트업에 입사했더니 경영악화로 망했다고 6개월만에 나가랍니다. 저같은 사람도 이직쉬워요? 물론 퇴사사유 솔직하게 말안한다는 전제하에서
개발자
#이직
#해고
답변 1
댓글 1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251
일 년 전 · 이윤호 님의 답변 업데이트
국비 지원 교육 여러개 들으면 단점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26살 취준생입니다 작년 2월 대학 졸업 후, 약 5.5개월 국비지원 수업과, 2개월 국비지원 수업 과정을 들었습니다 . 100% 완성하지 못한 프로젝트지만 어느정도 정리를 해서 포트폴리오를 만들었습니다. 저는 작은회사라도 가야되나 싶어서 여러군데 지원했으나 생각보다 경쟁률이 있더라구요 솔직히 혼자 집에서 잘 안되기도 해서 마지막으로 국비지원 수업을 한번 더 들어야하나 고민입니다 반년을 투자해서 포트폴리오의 수준을 올리는게 나을지 어떻게든 지금까지 한 걸 잘 포장해서 지원을 계속하는게 나을지 모르겠어요.. 나이는 계속 먹는데 수업만 들으면 정말 단점으로 보일까요??
개발자
#취준생
#취업
#취업고민
#취업나이
답변 2
댓글 0
조회 358
일 년 전 · 김하늘 님의 새로운 답변
고등학생인데 다들 컴공가는걸 반대해요
고1입니다 어렸을때부터 컴퓨터로 뭔갈 하는걸 굉장히 좋아했었어요. 그러다 고등학교 올라오고 처음으로 파이썬을 접해봤는데 너무 재밌더라고요... 그래서 컴공으로 진로를 정했는데 요즘 대학 안나와도 코딩 잘하는 사람이 많으니 다들 코딩에 자신이 없으면 경쟁력이 떨어질거라며 반대해요... 근데 제가 코딩을 완전 잘하는게 아닌건 사실이라서... 공부도 2점대 중반이라 좋은 대학 갈수 있을지도 모르겠고... 코딩을 좋아하는 것만으로 학과를 정하는건 무리일까요... 그리고 인공지능 학과를 가는게 컴공 가는것보다 나을까요...?
개발자
#컴공
#고등학교
답변 2
댓글 0
조회 362
일 년 전 · 강선영 님의 새로운 댓글
[프론드엔드] 이력서, 포트폴리오 피드백 받고싶습니다.
대학 졸업 후 조교로 일하다 부트캠프 수료하고 이제 취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학과가 정보통신공학이라 제로베이스 비전공자는 아닙니다. 처음에는 노션으로 이력서와 포트폴리오를 통합하여 되는대로 제출하다가 계속되는 불합격에 분리했습니다. 이력서는 꼭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항목들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간단하게 작성하였고, 자기소개서를 추가했습니다. 포트폴리오는 노션 포트폴리오로는 부족하다 생각해서 개인 포트폴리오 사이트를 제작했습니다. 현직자의 시선으로 제 이력서와 포트폴리오가 경쟁력이 있는지, 선배님들께 피드백을 받고싶습니다. <이력서 URL> https://drive.google.com/file/d/19bKofHn2hF8KYDQxJiPUbP8CQE6SDiBh/view?usp=drive_link/ <포트폴리오 URL> https://ksyee.netlify.app/
개발자
#프론트엔드
#이력서
#포트폴리오
#피드백
답변 1
댓글 1
조회 336
일 년 전 · 𝙍𝙞𝙘𝙝𝙖𝙧𝙙 님의 새로운 답변
석사 유학 후 미국 현지 취업에 관심이 있습니다.
현재 컴퓨터 과학 2학년 재학중이며 내년도 타 대학으로 편입 예정에 있습니다. 타 대학 편입 입학 시 저는 수학과를 복수전공을 하여 추후 데이터 분석 쪽으로 나갈때 경쟁력을 갖추고 싶습니다. 석사 유학은 컴퓨터과학 아니면 통계 쪽으로 나가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졸업한다면 데이터 분야 쪽에서 근무를 하고 싶습니다. 다만 고민이 되는 것은 제가 현재 만으로 25살 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내년에 타 학교에 들어가 수학과까지 복수전공을 하게된다면 졸업하는 것은 29살에 졸업하게 됩니다. 그에 비해 컴퓨터 공학만 단일전공으로 했을때는 27살에 졸업이 가능할것 같습니다. 수학과 복수전공이 제가 프로그래밍 쪽으로 나가든 데이터 분석으로 나가든 저의 경쟁력을 향상시켜줄 것이라는 생각엔, 현재로는, 의심이 들지 않습니다. 다만 여쭤보고 싶은 것은 현재 제가 그리는 그림이 데이터 분야 고용시장 현실에 맞는 것인지, 미래지향적인지 또 수학과를 복수전공하는 것이 경쟁력을 가져다 주는 것인지를 프로그래밍 직업을 갖고 계신 개발자 분들이나 데이터 분석을 직업으로 갖고 계신 분들께 여쭤보고 싶어 질문드립니다.
개발자
#석사
#수학과
#통계
#미국
#데이터-분석
답변 2
댓글 0
조회 227
일 년 전 · 김민식 님의 새로운 답변
대학생 진로고민..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4년제 서울 중하위권 대학교 컴퓨터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입니다. 졸업도 슬슬 준비해야하고 방학때 공부를 좀 하면서 개인 프로젝트를 할까 준비 중에 선배님들의 조언을 받고자 글을 씁니다! 현재 학부생 레벨이지만 c/c++/java/python 기본정도 다룰 수 있고, 웹 백엔드(Spring & mysql)로 토이프로젝트 2번 정도 한 상태입니다. 졸업은 내년까지 다니고 26년에 할 것 같습니다. 웹이 재미가 없는 건 아니지만, 앱쪽에 흥미가 더 있어, SwiftUI로 앞서말한 토이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따로 공부하여 작은 메모가 가능한 앱을 만들어봤습니다. 공부를 하면서 구현도 해보니 흥미나 관심이 iOS쪽에 있는 것 같아 각종 정보나 전망, 각종 구직 사이트에 들어가 열심히 찾아봤습니다. 검색해본 결과 대체적으로 전망이 많이 안좋더군요.. iOS신입을 뽑는 자리도 없고, 네이티브 쪽은 무조건 경력자를 뽑고, 신입으로는 플러터나 RN을 뽑는 것 같은데 그마저도 적거나 경력자를 뽑는 것 같습니다. 처음에는 마음을 접고 그냥 백엔드를 계속 공부해야하는 건가 싶었지만 자꾸 관심이 iOS(Swift)쪽으로 관심이 갑니다. (안드로이드가 아닌 iOS를 말씀드리는 이유는 제가 사용하는 기기들이 전부 애플 제품이라 iOS쪽에 더 마음이 갑니다.) 그래서 현재 생각한 계획이 올해 여름/겨울방학에는 Swift를 공부하면서 개인프로젝트도 하고 겨울방학쯤에는 기회가 된다면 팀을 꾸려 팀단위 토이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내년에는 Swift + 플러터를 공부하면서 취업 준비를 해볼까합니다. 아무래도 네이티브만 다룰 수 있는 것 보단 둘다 할 줄 아는게 경쟁력이 생길 것 같아 준비해보려해요. 선배님들이 보시기에 괜찮은 계획일지 궁금합니다! 다만, 사실 제일 걱정이 되는건 현재 개발자 시장이 엄청 안좋은데 과연 제가 취업을 할 1-2년 후에는 신입 iOS 개발자가 설 자리가 있을지 걱정됩니다… 물론 진짜 잘한다면 취업은 되겠지만.. 아무래도 학교를 늦게 들어와서 나이도 찼고, 막연하게 하고 싶은걸 진로로 잡기에는 걱정이 앞서네요. 쓴소리도 좋고 현실적인 얘기도 좋습니다. 선배님들의 생각이나 조언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앱개발
#swift
#ios
#앱
#진로고민
답변 2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373
일 년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매달 수백명 부트캠프 이수자들
안녕하세요 저는 대학 4학년 재학중인 컴공과 학생입니다. 부트캠프 보면 요즘 국비도 그렇고 공부할 수 있게 빵빵하게 지원을 여기저기서 해주는 모습을 봅니다. 비전공자도 코딩하고 전공자도 코딩하고 국비를 통해 몇백명이 코딩을 배우고 사비 부트캠프를 통해 몇백명이 이수하고.. 사실 저는 4학년이나 됐는데 하나도 한 게 없습니다. 전공과목만 들었고 그냥 남는게 없네요. 저는 뭔가 목표가 있어야 시작하는 편인데 스프링 아주 조금 배우고 있기는한데 그 과정이 재밌습니다. 근데 저렇게 많은 사람들이 코딩에 뛰어들고 있는데 저는 집에서 스프링 깔딱하면서 배우는게 너무 뒤쳐져 있다는 생각도 들고 과연 내가 졸업하고 나 또한 부트캠프 이수하고 나서 취업하려고 하면 자리가 있을까 싶습니다. 부트캠프도 너무 잘되어 있어서 딱히 전공/비전공 차이도 없다고 생각이 드네요…. 웹 개발자 전망이나 경쟁력 있는 개발자가 되려면 어떤 마인드를 가져야할까요? 그리고 이러한 상황에서도 본인할 거 하면서 가는 원동력이 무엇입니까?.. 이제 개발자 인력이 엄청나게 감축될 것이라 하는데 그게 저의 미래일까봐 두렵습니다..
개발자
#취준고민
#웹개발자
#부트캠프
#4학년
#대학생
#취업
답변 1
댓글 0
조회 236
일 년 전 · 문정동개발자 님의 새로운 댓글
취업 준비 시 AI를 활용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신가요 익명의 취준생입니다. 2023년은 AI의 해라고 불릴 정도로 많은 모델이 나왔고, 오늘 날에 이르러서는 AI 경쟁의 승자가 미국인 것으로 보이는데, 그동안 뉴스를 통해 동향을 살펴보니 보안을 이유로 업무에 chatgpt를 활용하지 않는 기업이 꽤나 많이 보이던데요. 그렇다면 포트폴리오를 만들 때 Chatgpt나 코파일러의 도움을 받지 않고 스택오버플로우를 활용하는 방향으로 가야 할까요?
개발자
#취업
답변 2
댓글 3
조회 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