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대

질문 20
해시태그 없이 키워드만 일치하는 질문은 개수에 포함되지 않아요.

23일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오랜 공백 기간 후 이력서, 자소서 작성

안녕하세요 ! 매일 다른 사람들이 올린 글만 봐오다 저에게도 하나의 고민이 생겨서 질문을 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2019 ~ 2020년도에 Vue JS 프론트 개발자 1년을 재직했습니다. 대학교 진학 및 군대를 가면서 지금까지 이르렀고, 백엔드 개발자로 취업하고 싶은 취준생이 되었습니다. 현재, 구인구직을 위해 자소서와 이력서를 작성 중에 있는데 1년의 경력을 넣어야 할지 말지에 대해 고민하고 있습니다. 너무 오랜 공백 기간이 생겼다보니 이를 넣는 것이 이점이 될지, 감점 요소가 될지에 대한 불안한 상태입니다. 물론, 회사에서 프론트 개발자로 일하면서 프론트에 대한 이해도가 있어 프론트 친화적인 디자인 구성, 백엔드 개발을 통해 개인 프로젝트에서 도움이 된 적이 있습니다. 이를 강점으로 두고 작성하는 것이 현명한 판단일까요?

개발자

#취준생

#취준고민

#공백기

#이력서

#자소서

답변 1

댓글 0

조회 77

2달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고등학생 진로 고민

현재 자퇴를 하고 스프링 부트 공부하고있는 고등학생 2학년입니다. 특성화를 다니다가 수업 수준을 보고 정말 아니다싶어 자퇴를하고 개발공부를 하고있습니다. 현재 학원에서 2년간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할 예정이고 학원뿐만 아니라 집에서도 다른언어 틈틈히 공부하고있습니다. (ex: go, C, 파이썬, 프론트, 자격증 등등) 2년 프로젝트 준비 후 대학교 sw전형 지원을 해보고 떨어지면 군대갔다가 취업할려고 하는데 이 길이 맞는걸까요? 현재 자격증은 (cad2급, 컴활)있고 정처기능사, 리눅스마스터2급 sqld 공부하고있습니다

개발자

#진로

#개발자_진로

#개발자

답변 1

댓글 0

조회 59

2달 전 · 이상래 님의 새로운 답변

컴공과 제대 후 진로 계획

안녕하세요, 1학년 2학기까지 수료 후 입대하여 8월에 제대하는 컴공 대학생입니다! 최근 군대에서 진로를 생각할 시간을 많이 가지다보니 조금 불안해져서 무엇을 하는 게 맞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취업하고 싶은 직무는 데이터 엔지니어, 사이언스 쪽으로 우선 고려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사실 아직 제대로 프로젝트나 실무를 해본게 아니라서 100% 이 길이다 라는 확신은 없습니다. 필드는 확실하게 핀테크, 금융계열 쪽 혹은 라이프스타일 쪽 기업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대학원 진학 보다는 경제적 여건 상 취업을 희망하고 있습니다. 제 고민은 컴공 1학년(반수를 해서 1학년 과정을 두 번 하긴 했습니다)수준인 제가 어떤 포트폴리오를 쌓아야 할 지 잘 모르겠습니다. 당장 눈 앞에 할 수 있겠다 싶은 활동들은 통계학 복수전공, 데이터 학회 or 개발동아리(대규모 연합 수준)->활동하면서 해커톤이나 공모전, 코테 준비(+스터디) 정도가 생각납니다. 이 정도 능력, 경험을 쌓은 후인 sw마에스트로(창업에 관심이 많아서 꼭 해보고 싶습니다), 인턴(데이터 or 개발 직무)을 3-1이나 3-2에 휴학 후 해보고 싶습니다. 정말 해보고 싶은 매력적인 활동들은 많이 알아봤고, 주변 선배들에게도 얘기도 듣고 했는데, 내가 정말 해낼 수 있는 일들인가에 대한 의심도 하게 됩니다... 사실 20살 21살 동안 창업 동아리, 학생회 활동 등 진로나 커리어 생각보다는 그냥 해보고 싶은 일들만 경험했습니다. 알바도 도서관, 세무서 정도... 물론 다 의미있는 일이었지만 그 시간에 1인 개발, 프로젝트, 학회, 알고리즘 스터디 등 컴퓨터 과학 분야로 열심히 해 온 친구들에게 내가 너무 뒤쳐질 거라는 생각에 불안합니다. 해보지도 않고 얘기만 하는게 큰 의미가 없는 건 알지만 제가 꿈꾸고 있는 길을 밞아오신 현직자 분들께서 어떤 활동이 더 가치가 있고, 요구하는 능력이 어느정도인지 들어보면 자신감도 생기고 현실적인 감각도 생길 거 같아 질문드립니다...! 당장 프로그래밍 기초정도만 알고 있는 상태에서 어떤 활동을 하는 게 좋을까요?

개발자

#학부생

#진로

답변 1

댓글 0

조회 145

3달 전 · CP 님의 새로운 답변

맥북에어 vs 맥북프로

안녕하세요. 백엔드 개발의 희망하는 대학생입니다 이번에 군대를 전역하고 나오면 애플복지스토어에서 맥북을 구매하려고 하는데 에어로도 충분할지 더 투자하더라도 프로로 가야할지 고민입니다 ssd용량은 512gb로 충분할까요? 1tb로 가야할까요? 1.맥북에어15(m3) cpu : 8core gpu : 10core 메모리 24gb 금액: 234만 2.맥북프로16(m4pro) cpu : 14core gpu : 20core 메모리 24gb 금액: 339만 2.맥북프로16(m4pro) cpu : 14core gpu : 20core 메모리 48gb 금액: 399만

개발자

#백엔드

#백엔드개발

#학부생

#맥북

#맥북구매

답변 1

댓글 0

조회 261

4달 전 · 박지성 님의 새로운 댓글

대학생 4학년의 인생 및 진로 고민

안녕하세요 현재 지방대에서 소프트웨어학과 4학년에 재학중이고 현재 자바 백엔드를 지망하고 있는 25살 대학생입니다. 제 인생 이야기를 들어주고 조언을 받을 사람이 없어 여기에 글을 써봅니다. 굉장한 장문이고 한탄하고 부정적인 글이라 이 글을 무시하고 지나가셔도 됩니다. 개발과 무관한 내용이 많지만 개발자 분들이 자기 계발을 좋아하시고 똑똑한 분들이 많으시기에 여기에 글을 올려봅니다.. 저는 현재 제 진로와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 것에 대한 고민과 현재 저의 상황에 대하여 저의 과거에 대한 한탄과 후회가 굉장히 많습니다. 먼저 저의 과거 가족과 관련된 인생이야기를 말씀드리면 저는 경기도의 한 지역에 중산층 집안에서 태어났습니다. 아버지가 대기업 생산직에 다니시기에 빚걱정은 하지않고 자라났습니다. 하지만 어렸을때부터 아버지가 술을 마시거나 화가 나면 물건을 집어 던지고 때려부수곤 했었습니다. 어머니가 그 과정에서 아들 둘을 보호하느라 많이 맞고 계신 것을 기억합니다. 심지어 중3때 맞아 죽을까봐 가정폭력으로 신고를 했다가 아버지가 감옥에 들어가면 돈을 벌기회가 없어 그냥 경찰서까지가서 진술서만 쓰고 풀어준것도 기억이 나고 어머니와 제가 같이 가출해서 근처 모텔에서 자고 찜질방에서 자고 어렸을땐 엄마가 아는 사람의 집에 얹어서 잤던것이 기억에 남습니다. 심지어 애들 보는 앞에서 대학가 거리에서 부부싸움을 하다가 아빠가 엄마를 팬 적이 있구요.. 그 첫 번째 기억이 불과 5살입니다. 그때 이후로도 성인이 되고나서도 아버지의 횡포는 계속되었고 3살 터울의 형이 그걸 닮아 어머니를 무시하고 저를 패고 목소리가 높아지기 시작했습니다.. 저녁밥을 먹을때마다 자격증 하나없이 들어간 전체 직원수가 5명인 규모의 중소기업에서 영업을 뛰면서 불만을 토해내고 너는 사회생활 안해봐서 모른다며 잔소리를 듣고 있습니다. 현재는 1년 다니고 퇴사하고 집에서 워드 프로세서를 따고 다시 잔소리 모드를 시작하고있습니다.. 얼마전에 새해전에 싸웠다가 25살의 나이에 또 맞고 가출을 해서 10일 정도 친구 자취방에서 신세지며 살았습니다. 아버지는 오직 자신의 말을 듣지 않고 바로 집에 다시 돌아오지 않았다는 이유로 저의 잘못이겠지 라며 저의 말을 들어볼 생각도 안하고 뭐라안할테니까 그냥 지내라고 하시고 어머니는 언제나 그렇듯 너가 참아 학교졸업하면 괜찮아 형도 취업하고 밖에 나가 살겠지 였습니다. 어머니는 항상 고등학교가면 공부하느라 널 신경안쓰겠지, 대학교가면 밖에서 노느라 널 신경안쓰겠지 군대가면 집에 없으니까 괜찮겠지 취업하면 나가서 살겠지 라며 형을 감싸고 혼내지 않고 오히려 형에게 폭언을 듣고 살으셨습니다. 저는 이때 느꼈습니다. 이 집에서 나가지 않으면 30살 이전에 자살할 것 같다고.. 친구들은 잘 이해를 못하였습니다. 왜냐하면 제 주변은 외동이 많고 가족끼리 여행가는 화목한 집안에서 자라고 있는 친구들이 많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친구들은 말없이 여행 가주고 전화를 꼬박 1시간넘게 들어주었습니다. 그것은 정말 다행입니다. 여기까지가 저의 가족 이야기 입니다. 이제부터는 저의 학창시절 이야기 입니다. 화목하지 않은 가정인 만큼 저의 학창시절도 평탄하지 않았습니다. 초등학생때는 잘지냈지만 중학생때부터 힘들었습니다. 중학생때는 친구들과 완만하게 지냈지만 정작 오래사귈 친구를 찾지 못하였고 고등학생때는 남고를 들어가 1학년땐 적응을 잘못하였고 2학년부터는 초등학생때 소꿉친구가 아무의미없는 말을 지어내 배신을 하며 소문을 내고 본격적인 왕따 생활을 시작하였습니다. 2학년때 점점 심해지더니 반에서는 아무도 저랑 말을 섞을려고 하지 않았고 3학년 부터는 그냥 인사만 하던 친구들도 저를 피하기 시작했고 학교 복도를 걸을때마다 앞담 및 뒷담을 당하며 수치심으로 학교생활을 보냈어야 했습니다. 물론 안타깝지만 좋은 머리가 아니라 내신은 4점대 후반이 나오고 수능은 42358가 나오며 과탐이 폭망해서 재수를 해야하는 상황이였지만 저는 심적으로 너무 힘들었고 수험 생활을 더 연장할 자신이 없었고 수도권 끝자락에 있는 대학교에 입학할 수 있었습니다. 대학교에 입학하자마자 코로나가 터져 새내기를 보낼수없었고 그대로 다음년도에 군대를 갔다 오게되었습니다. 물론 지금은 그래도 착한 친구들을 만나 대학생활을 조용히 보내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 집앞의 거리를 나가면 저를 왕따시킨 친구들을 만날까봐 가슴이 두근두근 합니다 왜냐하면 집이 대학가에 있고 이 주변 친구들이라 마주치는 일이 없지 않았고 저의 왕따를 주도한 친구는 현재 같은 건물에 살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제부터는 저의 성격과 성향, 그리고 그에 따른 자존감에 관한 이야기 입니다. 저는 왕따를 당한 이유로 자신감이 많이 낮아졌고 사람과 대면하는 아르바이트를 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20살 여름방학에는 공장을 다녀서 75만원을 벌었고 전역하고 나서는 아파트 단지 내에 있는 집 앞 편의점 야간 알바를 하고 간간히 친구 따라 물류알바를 다녔습니다. 군대에서도 폐급이었지만 귀엽다고 착하다는 이유로 혼나진않았습니다. 저는 이러한 일들을 통해 원래 조용조용하고 소심한 성격인 건 알았지만 일머리가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계곡, 스키장, 놀이공원을 가보니 제가 운동신경도 없고 겁도 많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심지어 저는 자전거를 아직 까지도 못탑니다. 그러다 보니 저의 자존감은 올라올 기미가 보이지 않고 도전하는 것에 두려움을 더더욱 가지게 되었던 것 같습니다. 여기서부터는 저의 진로와 미래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저는 네트워크 관련 학과로 입학했다가 군대를 다녀오고 나서 바로 전과로 소프트웨어학과로 변경하였습니다. 그리고 2학년 2학기부터 본격적인 코딩공부를 시작하고 동네 코딩 학원도 다니면서 전과하기 전까지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c,c++,python,java순으로 간단 간단하게 배웠습니다. 학교에서도 자료구조를 공부하였고 사실 너무 어려웠지만 계속하다보면 익숙해진다는 마인드로 열심히 임하였고 현재는 3.98/4.5 학점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학교에서 알고리즘을 가르쳐주지 않았고 현재 따로 공부를 하고 있는데 점점 공부를 할수록 익숙해진다는 느낌보다는 너무 어렵고 자꾸 까먹고 내가 평생이걸 공부할수있을까? 라는 생각밖에 안들고있습니다. 코딩동아리도 없고 이끌어줄 선배도 없어 자꾸 답답하고 공부가 진전이 안되고 반복되고 있다는 생각이 들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비전공자들도 스스로 공부를 하는데 내가 바보인건가라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그와중에 ai에 관한 미국의 빅테크 기업들은 하루가 멀다하고 신기술을 발표하며 주니어 개발자를 없애는 것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한국의 현직자들도 이직이 어려워졌고 구조조정에 들어가 많은 인원이 해고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자바/스프링 백엔드 개발자가 되고 싶은데 이러한 것들을 보면 5년 이내에는 주니어 개발자가 없어질것 같다는 생각이 자꾸들고 일자리가 절반 이상 없어질것같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사실 재능있고 능력있으면 크게 상관없겠지만 저는 주위의 친구들을 보면 도저히 제가 재능 있다는 생각이 안들고 저의 공부방식이 효율이 너무 없다고 생각하여 진지하게 개발자를 포기할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빅데이터나 ai에 가기에는 수학이 약하고 지금까지 고집부렸던 방향과 달라 그동안의 시간을 버리는 것 같아서 꺼려집니다. 내년에 자바/스프링 국비지원을 다닐생각이였는데 국비지원을 받게 되면 다른것에 투자할 수 있는데 시간을 날리는 것일까봐 걱정이 됩니다. 마침 오늘 저보다 공부를 한참못한 친구의 전화가 왔습니다. 오랜 수험기간끝에 인하대, 건국대,홍익대편입합격을 하였다는 것이였습니다. 친구는 수험기간에 학원에 1000만원을 투자해서 붙었다고 너가 의지만 있다면 최소한 경기권상위 대학을 갈 수 있다고 하는 것이였습니다. 그래서 더욱이 고민이 생겼습니다. 저는 부모님과 사이가 틀어져 1000만원을 지원을 안해줄것같았고 저의 머리가 그렇게 좋은지도 모르겠고 제가 노력을 할 수 있을지 모르겠고 실패하면 여기서 더 어디까지 떨어질지 모르겠다는 생각뿐입니다. 그리고 사실 빨리 취업해서 내년에는 집을 나오고 싶었기 때문에 고민이 더욱 생겼습니다. 제가 원래 다니고 있는 학교는 학생 예비군이 해체될 정도로 상황이 좋지 않고 아무런 지원이 없고 유사 전문대의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래서 인지 더욱이 고민이 됩니다. 제가 또 회피하러 가는건지 아니면 도전을 해야하는건데 안하는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1. 뻔뻔하게 부모님께 손벌리고 학원다니면서 편입준비 ( 다른학과로 갈거임, 현재 25살) 2. 정처기 준비하고 있는거 따고 국비지원다녀서 취업준비하기 3. 기타 정말 고민입니다.. 인내심을 가지고 긴 글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진로

#개발자

답변 1

댓글 1

추천해요 1

조회 417

4달 전 · 이름 님의 질문

올해 3학년으로 올라가는데 휴학하고 편입을 시도할까 고민 중입니다

지방사립대 컴퓨터공학과 2학년 2학기 수료를 끝낸 대학생입니다. 사실 스무살 때부터 편입 준비를 했는데 알바하면서 토익과 대학 학점까지 준비하기는 벅찼습니다. 그래서 학점은 4.3이지만 토익 점수가 처참하여 1차에서 광탈… 했습니다. 부산대, 경북대 컴공으로 편입을 하고 싶은데 현직 개발자 분들이 보시기엔 시간 낭비일까요? 개인적인 사정으로 군대를 가지 않아 편입이 아니라면 휴학할 이유는 없습니다. 휴학을 하게 되면 3개월 안에 토익 점수를 900점 대로 만들고 9개월 간 전공 프로젝트를 해보고 싶은데 혼자서 뭘 해야할 지 막막한 것도 사실입니다. 현실적인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

#대학생

#편입

#프로젝트

#개발자

#진로

답변 0

댓글 0

조회 108

4달 전 · aigoia 님의 새로운 답변

데이터 분석 공부를 처음 시작하는데 어떻게 공부하는 게 좋을까요?

저는 군대에서 데이터 분석을 공부 중인 군인입니다. 열정은 있는데 방법을 몰라 막막해서 질문합니다. 군대라는 제한된 공간에서 저 혼자 공부하려다보니 지금 제 수준에서 이 공부 방법이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저는 자료구조/알고리즘, 선형대수학, 통계는 어느 정도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깊게 알고 있지는 않아서 그런지 공부하다 보면 막막한 부분들이 있습니다. 저는 현재 2가지로 나눠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머신러닝 이론 + 실전 코딩 경험 머신러닝 이론은 나중에 제가 실력이 쌓였을 때 많은 머신러닝 기법 중 해당 데이터에 적합한 기법을 고를 때 필요하다고 생각해서 공부 중입니다. '패턴인식과 머신러닝', '프로그래머를 위한 선형대수학', '프로그래머를 위한 확률과 통계'라는 3개의 책으로 머신러닝 이론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뒤에 2개는 어렵지만 천천히 진도는 나갈 수 있는데 앞에 책은 아예 이해가 안 되어서 1p 넘기기도 벅찹니다. 실전 경험을 쌓기 위해 'kaggle' 사이트에서 특정 contest의 다른 사람 코드를 분석해보며 공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코드를 보면 왜? 라는 의문이 중간에 계속 들며 특정 코드를 특정 상황에 왜 사용했는지 이해가 안 되는 부분들이 많습니다. 데이터 관련 분야를 정한 건 아니기에 우선 기본적으로 다 할 줄 아는 육각형 인재가 되고 싶습니다. 그래서 다음 2가지에 대해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1. 제가 하고 있는 공부 방법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어떻게 하면 더 효율적으로 실력을 끌어올릴 수 있는 지가 궁금합니다. 2. 앞으로 어떤 커리큘럼으로 공부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열정은 가득하나, 주변에 도움을 청할 곳이 없어 제 방법이 맞는지 의문이 들고 진도가 안 나가는 느낌이라 질문합니다.

개발자

#데이터분석

답변 1

댓글 0

조회 77

6달 전 · 조영찬 님의 질문

물경력 2년차 개발자 이직에 대해서

비전공자 국비로 시작해서 어느덧 2년차 개발자가 됐습니다. 프론트 개발자(react)를 준비하던 중 작은 기업에서 Java 백엔드를 가르쳐주겠다 하여 입사했지만 들어가서 처음 접한 언어는 php... 회사 내 개발자는 cto, 신입인 저 2명뿐이였는데 cto분도 제가 입사한지전공자 국비로 시작해서 어느덧 2년차 개발자가 됐습니다. 프론트 개발자(react)를 준비하던 중 작은 기업에서 Java 백엔드를 가르쳐주겠다 하여 입사했지만 들어가서 처음 접한 언어는 php... 회사 내 개발자는 cto, 신입인 저 2명뿐이였는데 cto분도 제가 입사한지 한달만에 퇴사... 어찌저찌 프리랜서를 구했는데 그 프리랜서도 3개월 하고 퇴사 비전공자고 인문학 출신인 내가 이직을 위해서는 경력이 필요하다 생각해서 군대 재입대 했다 생각하고 버티면서 이 회사에서 이것저것 다 했습니다. php로 웹 유지보수 하면서, RN로 webview 개발 및 android, ios 앱 배포, flutter 앱 개발하다가 자바공화국에서 이직을 하려면 java를 해야겠다 싶어서 java프로젝트에 제발 껴달라고 해서 작년9월쯤 java프로젝트에 합류하게 됐습니다. java spring boot로 자사 서비스 개발 및 유지보수, 지자체 프로젝트 이것저것 어찌저찌 주먹구구식으로 구글링하면서 개발하다보니 어느세 2년이 됐네요... 누구한테 제대로 배운 적이 없어서 저 혼자 서버 세팅이나 개발도 할 수 있을지... 2년 동안 한 것처럼 구글링 하다보면 어찌저찌 하겠지만 그게 과연 옳은 길인지 의심이 들던 중 대표의 밥 먹듯이 하는 가스라이팅과 깨끗하지 않은 제안에 이제 그만둬야겠다는 결심을 하게 됐습니다.. 그런데 요즘 취업 시장만 봐도 경기가 너무 안좋은데, 비전공자/인문학도인 제가 2년의 물 경력으로 이 험난한 취업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 아님 1년만 더 견뎌볼까요... 두서 없이 쓴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이직

답변 0

댓글 0

조회 199

6달 전 · 김하늘 님의 답변 업데이트

프론트엔드의 미래 / 전망

안녕하세요 다음 학기 3-1 학년이 되는 컴퓨터관련 학과 재학생입니다. 군대 전역 후에 프론트에 흥미가 생겨 프론트 관련 공부를 하면서 개발동아리도 들어가 방학에 프로젝트를 앞두고 있는 상태입니다. 헌데, 대학 강의 도중 교수님께서 웹 / 앱 개발 준비하는 친구 특히 프론트엔드 개발을 시작하거나 준비하고 있다면 빠르게 다른 길을 알아봐라 몇 년 이내에 모두 대체 되거나 극 엘리트만 남을 것이다라고 말씀하셨고 주변에서도 계속해서 들려오는 말이 프론트 대체 관련 얘기가 들려오는 거 같습니다. 프론트엔드를 시작한 지 오랜 기간이 되진 않았지만 흥미도 있고 프로젝트도 이어가며 실력을 쌓고 전문성을 갖추고 싶었지만 이런 얘기를 들으니 생각이 많아지는 거 같습니다. 당장에도 GPT를 사용하며 웹 개발을 해가는 와중에 졸업이 아무리 빨라야 2년 뒤인 현실, 그때는 얼마나 발전해 있을 지 감이 안 잡히는 거 같습니다. 발전해 가는 와중에도 프론트엔드 개발자들이 살아남을 수 있는 이유가 있는 지 휘둘리지 않고 가는 게 맞는 지 진심이 담긴 현실적인 조언을 바라며 글을 써봅니다. 절대 프론트엔드를 비하할 목적은 없으며 이제 막 시작한 새싹으로써 질문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

#프론트

#프론트엔드

#프론트현실

#백엔드

#프론트취업

답변 2

댓글 0

조회 206

7달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개발 기간이 길어진 개인 프로젝트, 마이너스 요소일까요?

안녕하세요, 저는 컴퓨터공학과 2학년을 수료하고 현재 공군에서 복무 중이며 전역 이후에 관련 대외활동과 인턴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개발자입니다. 학부 2학년 1학기가 끝나고 23년 7월부터 학교 기숙사에 편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웹앱 서비스를 혼자 개발하기 시작했고 (3학년 1학기를 휴학 내고) 24년 7월 1일 입대 전까지 계속 진행하여 초기 배포를 위한 기능의 70%를 구현했습니다. 자대 배치를 받은 후 사지방 컴퓨터로 github codespaces 환경(linux 운영체제 기반이며 웹에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환경입니다.)에서 우여곡절 끝에 진행하던 프로젝트를 git pull로 불러오고 DB나 platform 등을 docker compose로 세팅해서 지금 다시 개발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군대에서 개발을 할 수 있다는 생각에 정말 기뻤지만 한편으로는 프로젝트의 개발 기간이 너무 길어진 것 같아 걱정이 많습니다. 일단 전술했듯이 프로젝트는 처음부터 지금까지 저 혼자 진행해왔습니다. 애초에 학부 공부, 알고리즘 공부, 주말 야간 아르바이트, 공군에 입대하기 위한 봉사활동과 자격등 공부 등과 병행하였기 때문에 시간을 많이 투자할 수 없었으며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모두 당연히 저 혼자 맡았고 (프론트와 백) 개발에 쓰이는 프레임워크도 처음 접해보아 배우면서 진행했으며 수 많은 생소한 서드 파티 라이브러리를 도입하느라 진행이 많이 느려졌습니다( 현업에서 쓰이는 여러 가지 기술을 적용하고 싶었고 퀄리티에 대한 욕심이 많아서 그랬던 것 같습니다.). 개발 기술과 환경에 적응이 될 때 즈음엔 여러 군데에서 터지는 에러를 트러블 슈팅하고, 그 중 다수를 블로그에 포스팅하느라 속도가 나지 않았습니다. 그렇게 하여 초기 배포를 위한 기능의 70% 정도(제가 생각하기에)는 완성했지만, 아직까지 codespaces 환경에서 개발하기 위해 해결해야하는 문제가 남아있으며 군 복무중이라 평일엔 시간을 많이 내어도 개발 시간이 현실적으로 3시간을 넘길 수 없습니다(오늘은 부대 휴일이라 이렇게 글을 작성합니다.).그러므로 저는 이 프로젝트를 완성하고 웹앱으로 배포하는데 까지 6개월의 시간이 더 걸린다고 생각합니다(물론 중간에 포기할 생각은 추호도 없습니다.). 이에 저는 아래 질문에 대한 개발 현직자 분들의 생각이 정말 궁금합니다. 1. 제대 후 대외활동과 (체험형)인턴을 위해 서류 평가/면접을 볼 때 이 프로젝트를 포트폴리오로 사용할 생각인데, 프로젝트를 다 완성하고 배포까지 완료했다고 가정하더라도 그 기간이 1년 6개월이라는 것은 분명히 마이너스 요소로 작용하나요? 2. 만약 질문 "1."의 답변에 긍정하신다면 긴 기간의 프로젝트( 혹은 동시에 그 기간에 부응하지 못하는 작품의 퀄리티)를 어떻게 서류 평가/면접에서 정당화하여 의미있는 "스펙"으로 만들 수 있을까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중한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개발자

#개인-프로젝트

#개발

#포트폴리오

#입사지원

#취업

답변 2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295

7달 전 · 삭제된 사용자 님의 새로운 답변

군대에서의 공부..

저는 현재 육군에서 복무하고 있는 컴공학생입니다. 입대한지는 3달 되었습니다. 군에서 주어지는 자유시간이 많아 공부나 자기개발을 하려고 합니다. 사지방을 이용 할 수 있지만 제한되는 부분이 많다보니 군에서 어떤 것을 하면 좋을지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현재까지 수강하고 공부한 정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전공과목: c, java, 자료구조, 컴퓨터구조, 컴퓨터비전, 이산수학 웹개발: react, spring boot 아직 구체적인 전공 분야를 정하지는 않았지만, 동아리 활동을 통해 여러 웹 프로젝트를 진행해봤습니다.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AI 기술이 복학 후 학업이나 취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 고민이 많습니다. 또한 동아리 활동과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면서 막연하게 창업에 대한 생각도 하고 있습니다. 군 복무 기간 동안 컴공과로서 어떻게 미래를 준비해야 할지에 대해 고민도 많아져서 이에 대한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개발자

#군대

#공부

답변 1

댓글 0

조회 168

8달 전 · aigoia 님의 새로운 답변

대학교 졸업 전에 할 수 있는 활동 뭐가 있을까요?

대학교 1학년 학생이며 학교에서 topcit을 지원해 준다고 하여 응시 준비중이며, 과포화 상태의 업계에서는 토익 800은 갖추어야 한다고 하여 군대에서 토익 점수를 올리려고 계획하에 있습니다. 졸업 전까지 포트폴리오에 들어갈 깊이 있는 프로젝트를 준비하는 것 외에 취업에 도움이 될만한 활동이 뭐가 있을까요?

개발자

#프론트엔드

#프론트엔드-취준

#프론트엔드-취업

#서버

#빅데이터

답변 3

댓글 3

조회 84

9달 전 · ititit 님의 질문

Adsp sqld 자격증

adsp sqld 자격증을 따보고자 공부하려고 하는데 두개를 한 번에 공부하기에는 시간이 없을 거 같아서 한 개씩 공부하려고 하는데 어떤 것부터 공부하는 것이 좋을까요? 군대에 있어 강의 없이 독학으로 공부하려고 하는데 충분할까요? 이 두 자격증 이외에도 빅데이터, 데이터 관련 자격증 추천 부탁드립니다.

개발자

#adsp

#sqld

#데이터-분석

#빅데이터

답변 0

댓글 0

조회 96

9달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대학 편입 준비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지방 컴공 학생입니다. 현재 3학년 1학기를 마치고 편입 공부를 시작하여 곧 시작될 2학기에 휴학하고 편입을 준비할지 이 학교에서 졸업할지 고민중입니다. 한 번 입시를 실패해서 많이 낮춰서 간 대부분은 이름도 못들어본 학교다 보니 학교에 대한 아쉬움과 콤플렉스가 오랜시간 이어졌습니다. 군대 다녀와서 수능을 준비해봤는데 수능 공부를 놓은지 오래에 지방으로 통학하며 공부하니 쉽지 않더라고요. 결국 포기하고 학교를 다니다가 학년이 올라갈수록 취업에 대한 불안감이 커져서 더 좋은 학교로 가기 위해 여름방학부터 편입을 준비하기 시작했습니다. 늦게 시작한만큼 2학기는 휴학하고 편입공부에 집중하려고 했는데 부모님은 휴학 하지 않고 빨리 졸업하길 바라십니다. 저는 방학동안 하루종일 열심히 공부했는데 갑자기 포기하지도 못하겠고, 만약 서울 안에 못들어가면 남은 기간동안 자격증이나 스팩을 쌓는다고 말씀드려도 그건 학교 다니면서 하라고 하시네요..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저는 포기하고 싶은 마음은 없지만 부모님을 설득시킬 수 있을 것 같지도 않습니다. 1년이라는 시간을 허비할 수도 있다는 건 불안하지만 그래도 도전하고 싶은데 개발자에게 1년은 얼마나 큰 차이일까요?

개발자

#편입

답변 2

댓글 2

조회 180

10달 전 · 이군 님의 새로운 댓글

군대에서 웹 공부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도움을 구합니다.

컴퓨터공학과 1학년을 마치고 입대한 군인입니다. 1학년 1학기때 Python, 2학기때 C언어 수업 들었습니다. 기억이 많이 남아있지는 않습니다. 군대에서 웹 프론트엔드 공부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로드맵을 참고해서 Internet > HTML > CSS > JavaScript 으로 공부하려고 합니다. 1. HTML, CSS, JS 입문서에 대한 추천을 구합니다. - 직접 사용해보신 책이나, 지인들의 경험담도 모두 감사히 읽겠습니다. 2. 제가 생각하는 공부 순서가 맞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 웹 프론트엔드를 공부하기로는 확실히 결정한 상태고, Internet>HTML>CSS>JS 으로 진행하는 것이 맞는지. 아니면 동시에 진행을 해야하는 것이 있는지 여쭙습니다. 3. 혹시 군대에서 개발공부를 시작해보신 분의 조언을 구합니다. - 현재 저는 싸지방에서 정보를 찾아보고, 개발공부 환경을 만들어보려고 여러가지를 찾아보고 있습니다. 혹시 이와 비슷한 경험이 있으시다면 감히 조언을 구합니다. 4. 그 외로 해주시고 싶은 말씀이 있으시면 남겨주시면 정말 감사히 읽겠습니다. - 저는 무엇을 질문할지도 아직 잘 모르는 사람입니다. 오지랖이라고 생각마시고 어떤 조언이든지 남겨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프론트엔드

#웹

#자바스크립트

#html-css-js

#군대

답변 1

댓글 1

조회 57

10달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백엔드 vs 데이터분석

컴공 현재 4학년에 재학중인 여학생입니다. 솔직히 군대를 간것도 아니고 휴학도 해본적이 없어 23살에 아직은 기회가 많은거 같아 진로에서 두가지 선택중에 너무 고민에 빠졌습니다 백엔드로는 node.js 프로젝트 경험이 있고 리액트로 프론트 경험도 있습니다. 데이터분석쪽으로는 파이토치로 ai서비스를 졸작으로 했었구요 경진대회에서 스마트팜 데이터 분석쪽으로도 수상경험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백엔드쪽으로 가려면 바로 취업 준비를 하는게 맞다고 생각이 들어서 현재는 학점연계되는 자바 풀스택 국비 교육을 수강중입니다 근데 솔직히 공부하면서도 막 남들처럼 열정적으로 개발에 미치지 않은것도 같고 저보다 잘하는 동기들 보니 잘할 수 있을까? 이런 생각도 있습니다 무엇보다 데이터분석쪽도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자꾸 들어서 현재 국비 수강중에 자꾸 이게 맞나 라는 의구심이 들고 확신이 안서요 교수님과 상담했을때는 제가 학점도 4중반 정도고 데이터 관련 대학원도 추천해주셨어요 교수님께서는 천천히 생각해보고 알려달라고 한 상태구요. 이 두 분야중에 어떤걸로 선택을 하면 좋을지 진로선택에 있어서 어떤것을 기준으로 선택하는것이 좋을까요 어떤 조언이든 감사히 받겠습니다

개발자

#백엔드

#취업

#데이터분석

#data-analysis

#대학원

#개발자_진로

답변 1

댓글 0

조회 301

10달 전 · 이치 님의 질문

컴공 3학년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지거국 컴퓨터 공학과 3학년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현재 여름방학이고 개학까지는 한달정도 남았습니다. 군대는 다녀왔고 현재 평균 학점은 3.6 정도입니다. 공부는 전공과목 겉핥기 정도로 한 정도 밖에 안됩니다. 살짝 검색해보니 다른 사람들은 여러 프로젝트도 해보고 부트캠프라던지 활발하게 대외활동하는 것 같은데 저는 한 게 아무것도 없습니다. 일단 무엇을 할 지 찾아본 결과 모의해킹이라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고 모의해킹 쪽으로 진로를 잡고 공부를 해볼까합니다. 여기서 생기는 질문들입니다. 1. 모의해킹 업무가 정확히 무슨 일을 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2. 모의해킹이 파이썬을 주로 사용한다해서 일단 백준 단계별로 풀어보기로 파이썬 실력을 기르고 있습니다. 현재 상황에서 방학동안 더 해야할 것, 앞으로 해야할 것, 필요한 공부, 준비해야하는 것 등 조언 부탁드립니다. 많이 늦은 감이 있지만... 앞으로 무엇을 할 지 가닥이 잡힌다면 열심히 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개발자

#모의해킹

#컴퓨터공학과

#조언

#python

답변 0

댓글 0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112

일 년 전 · 김용현 님의 새로운 댓글

애매한 커리어 이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고민상담부탁드립니다..)

전문대 졸업 후 잡코리아에서 면접 제의 온 회사에 입사했습니다. 1. 전자제품을 다루는 곳이였습니다, 개발 회사라고 해서 들어갔는데 개발은 가끔 통신 장애 나 화면 표시를 바꾸는 정도의 수정이 있을때만 참여하고 대부분 생산제품 검사, 현장 출장이였습니다. 그래서 1년도 못다니고 퇴사를 하고, 2. 그뒤 2달뒤쯤 MES 회사를 다니게 되었습니다. C#을 주로 다루고 DB를 다루고 가끔 비베도 다루는 회사 였습니다. 초짜라 다름 없는 실력이기 때문에 실력도 많이 부족했는데 회사에서 권고사직을 제안했습니다.. 회사에 크게 누를 끼치거나 그런 부분은 없었는데 전 이런 취급 받으면서 일하기 싫고 스펙을 키워야 된다는 생각을 갖게 됩니다. 3. 안드로이드 자바 개발자 과정을 다니게 됩니다. 그곳에서 C, Android Java , php 기초 등을 다시 배우게 됩니다. 4. 코딩교육콘텐츠개발 회사에 입사하게 됩니다. 적은 월급이였지만 꾸준히 연봉인상을 해주었지만 제 개발 스텍 성장은 멈추게 되었고 초중위주로 하다보니 발전성도 떨어지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결정적인 부분은 코로나 시기가 문제였는지 연봉을 최저시급올라간만큼 정도만 올려주었습니다. (한달에 4만원 더 받는 수준?) 5. 그 후 퇴사후 사무직에서 2년가까이 일을 했습니다. 그러던 와중 IT붐(AI 신드롬)이 다시 일어났고, 저는 IT 업종에 다시 뛰어들기로 결정합니다. 그리고 그러기 위해 제 스텍도 쌓고 몸풀기겸 국비학원을 다니게 됩니다. Python 웹 개발. Android 자바 기반으로 연계해서 서비스 개발 , 오픈 라이브러리 사용(쳇 지피티, 구글 오픈라이브러리 등등) 그리고 24년2월말에 수료하게 됩니다. 6. 현재 입사지원서는 80개 가량 (python 인공지능, 웹개발, 소프트웨어 개발) 등 다양한 회사에 골고루 지원했습니다. 서류통과는 6번정도 있었고, 2 군대는 근무조건이 너무 좋지 않아 면접 포기했고 3번은 면접에서 광탈했고.. 현재까지 구직활동 중 이며, 일경험도 신청했는데 서류도 떨어졌는지 연락이 없습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스텍이 C# - wpf,winform 구조 사용 Android (Java) - 코틀린은 다루어보진 않은 상태입니다. Mysql, 오라클 Python은 Flask를 다루어보았습니다. -- 취업공고를 보니 대부분은 자바 Spring 이고 Python은 Node 아니면 Django를 많이 사용하는 것 같은데, 그 스텍에 대해 다시 공부하고 포폴이라도 만들어서 취업하는게 맞는거지.. 다른 일이라도 하면서 틈틈이 집에서 방통대 또는 사이버대학교를 다니며 4년 학위를 맞추고, 코딩 레드오션이 끝나길 기다리는게 맞는거지.. 정말 고민이 많습니다. 어떤것이 현명한 선택일까요..

개발자

#이직

#구직준비

#백수

#고민상담

답변 1

댓글 1

조회 223

일 년 전 · 채희동 님의 질문

전술 C4I 합격했는데 어떤가요?

올해 신설된 Ai 학과 학생이라서 학과 기반이 잡히는 것을 기다리고자 1학년 1학기 끝나고 군대에 가려고 전술 C4I 운용병에 지원해서 합격했습니다. 전술 C4I 운용병 어떤가요?

개발자

#군대

#전산병

답변 0

댓글 0

조회 1,368

일 년 전 · 김시연 님의 새로운 댓글

대학교 2학년 코딩캠프 괜찮을까요?

현재 연세대 미래캠퍼스에 재학중인 2학년입니다. 1학년을 마치고 군대를 전역한 후에 대학교에 복학하였는데 코딩에 대한 것들도 대부분 까먹고 공부가 어려워졌습니다. 학교에서 공부를 배우는데 이것을 어디다가 쓸지도 잘 모르겠고 프로젝트에 참여도 해보고 싶은데 어떤 것을 수행할 능력이 없어서 도움이 될 자신이 없습니다. 이렇게 대학생활이 쭉 흘러가게 된다면 이도저도 안되게 졸업해서 취직도 안될 것 같고 인생을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할지도 잘 모르겠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지금 2학년 1학기를 하고 잠시 휴학하고 코딩캠프에서 6개월 공부를 하고 복학해도 괜찮을까요? 솔직히 요즘 AI분야가 유행한다는데 대부분 최소 석사까지는 따야지 AI 분야에서 활약할 수 있다고 하는데 석사까지는 생각을 안해보고 있어서 어떠한 분야에 도전해야 할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이렇게 능력도 없고 2학년때 학점도 제대로 안나오는데 뭐라도 해봐야하나 라는 생각이 계속 듭니다. 그래서 2학년 2학기를 코딩캠프로 대처해서 실습을 습득한 다음에 3학년때 프로젝트나 인턴쉽에 참여해서 나중에 자기 PR을 할 수 있게 하는게 어떤가 싶어서 도움을 청합니다. 걱정되는건 엇복학이 되는 것과 6개월동안 인연들이 단절되는 것 정도인데 조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대학생

#코딩캠프

답변 1

댓글 1

추천해요 1

조회 254

일 년 전 · 박태현 님의 새로운 댓글

학교를 늦게 들어와서 휴학을 해도 괜찮을지 고민입니다

군대를 전역하고 학교에 들어와서 24살에 2학년입니다. 재학 중인 과는 데이터 사이언스학과입니다. 휴학을 고민하는 이유는 지금 저의 코딩 실력으로 계속 학교를 다니면 남은 2년을 허무하게 날려버릴 것 같아서 휴학 중 코딩 공부를 하고 복학할까를 고민 중입니다. 하지만 제목에서 말한 것처럼 학교를 늦게 들어와서 휴학을 하고 졸업을 하게 되면 28살에 졸업을 하게 됩니다. 주변에서는 벌써 사회생활을 시작한 친구도 있어서 너무 늦는 게 아닌가 하는 압박이 됩니다. 어떻게 하는 게 맞는 걸까요..

개발자

#휴학

#고민

답변 1

댓글 1

조회 151

일 년 전 · 프레드윰 님의 새로운 답변

공부 과정에 대한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대학교에서 전공생으로 개발 공부의 맛을 보고 현재는 육군으로 군복무를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학교에서 1년이 약간 넘는 매우 짧은 기간동안 간단한 개발 공부를 진행해 보고 저는 개발이라는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민하고, 노력하는 과정이 굉장히 재밌고, 흥미롭게 다가와 개발자를 저의 진로로 정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관심을 가지고 깊이 공부해보고 싶은 분야는 클라우드와 데이터, 데브옵스 이렇게 3가지 입니다. 관심이 생긴 분야에 대해 최대한 빨리 공부하고자 하는 욕심이 생기지만 군대라는 제한적인 상황에 처해있다보니, 이 분야들에 대한 공부를 어떻게 진행해야할 지 충분한 정보를 얻기가 힘든 상황입니다. 게다가, 아직 개발이라는 분야에 대해 깊은 공부를 하지 못한 상황이라 해당 분야들 간의 연관성과 공부 방향성의 연관성을 찾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클라우드, 데이터, 데브옵스 이 분야들의 연관성과, 공부 방향에 대한 조언을 해주신다면 감사할 것 같습니다. (추가적으로 주변의 선배들의 추천으로는 군대에서 코딩테스트를 준비하는 것이 차라리 좋다고 하기에 이에 대하여도 고민중입니다.) (-> 사지방에서 공부를 해야하여 개발 환경 설정이 불가능한 상황이기에, groom edu와 같은 코딩 교육 사이트에서 개발 환경 설정 없이 사이트 내부 코딩으로 학습이 가능한 방향도 생각중입니다.)

개발자

#클라우드

#devops

#data

#cloud

#데이터

답변 1

댓글 0

조회 85

일 년 전 · lecarap 님의 답변 업데이트

2학년 학부생입니다. 객관적인 의견과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4년제 대학교 소프트웨어과 2학년 휴학중인 학부생입니다. 올해 2월에 군제대를 한 후 전공이 2학기때 열리는 이유로 휴학중이며, 올해 2학기때 복학할 예정입니다. 지금 휴학중이고 개인적으로 정말 중요한 시기라 생각이 들어 2월부터 꾸준히 공부를 해오고 있었습니다. 현재 인프런 김영한 강사님의 강의를 모두 구매하고, 고급이나 실전을 재외한 10개 정도의 강의를 완강한 상태입니다. 따라서 스프링, 스프링부트, JPA, 스프링 JPA, 타임리프 정도 해봤다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1학번 코로나 학번이어서 개발 관련 지인이 없어 협업 프로젝트 경험은 없습니다. 개인 프로젝트로는 김영한 강사님 강의를 들으면 만들어지는 쇼핑몰 페이지를 발전시킨 정도입니다. 기본적인 회원, 상품, 주문 추가 및 수정 기능. 회원가입 과 카카오 api를 통한 카카오 회원 가입 기능 상품 좋아요 기능 상품 가격별, 좋아요, 이름 순 정렬 및 페이징 기능 관리자 페이지 기능 (관리자는 상품 추가 가능, 멤버 강제 삭제 가능 등..) 정도의 기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코딩 테스트는 현재 백준 골드 4이며, 프로그래머스는 230문제 정도 푼 거 같습니다. 사실 래벨과 문제 양만 많지 실력은 뛰어나지 않는 것 같습니다. 프로그래머스 2단계 까지는 무난하게 풀고, 3단계부터는 1-2시간 이상 걸리거나 못 푸는 것 같습니다. 프로그래머스 기준 카카오 인턴 커트라인 언저리에 있는 것 같습니다. CS는 아직 학교에서 배우지 않았고, 유튜브와 KOCW를 통해 공부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이화여대 반효경 교수님의 운영체제 강의를 듣고 있습니다. 백엔드라는 진로는 군대에서 정했고, 군대에서는 코테와 인프런 강의를 조금 들었습니다. 지금 제 상황은 현재 이렇습니다. 군대 전역한 지 3개월 지났고, 9월 복학까지는 3개월 정도 남았네요.. 군 전역 후 3개월 열심히 공부했다고 생각하지만, 막상 하루 집중량은 많지 않는 것 같습니다. 지금은 스터디카페에서 계속 독학중인 상태입니다. 유명 개발 동아리는 몇 번 지원해봤지만, 서류에서 떨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물론 포트폴리오나 깃허브는 정말 잘 안 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지금 고민은 공부의 방향과 방법에 확신이 들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즉, 어느 쪽에 힘을 주고 공부를 해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개인 프로젝트를 더 해볼까 싶지만 개인프로젝트이기 때문에 할 수 있는 생각에 한계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개발을 하면서 특히 스프링 데이터 JPA를 하면서 이런 식의 찍먹 기술은 정말 위험하다고 생각했습니다. 페이징 처리나 정렬 처리가 너무 쉽고 간편했기 때문입니다. 영상에서 특정 스킬의 찍먹은 신입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말을 들어 더 그런 것 같습니다. 따라서 이런 식의 기술 스텍의 찍먹이 아닌, 서블릿부터 JDBC까지 기본적인 부분을 자세히 공부를 먼저 해야 하나 싶기도 합니다. 그래서 현재는 코테 준비와 CS 공부만 하고 있습니다. CS 강의와 코테를 공부하고 공부한 내용을 티스토리 블로그에 정리하는 형식으로 복습하고 있습니다. 지금 계획으로는 9월 복학까지 CS 및 코테 공부를 확실히 한 후, 내년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에 신청할 생각입니다. 소마는 코테 실력을 많이 본다는 점에서 좀 유리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또 스프링 기본 지식이 필요할까봐 토비의 스프링 책도 1,2를 구매했고, 1권 절반정도 읽은 상황입니다. 사실 읽다가 너무 어려워서 포기한 감이 있습니다... 지금 다시 또 공부해야할지도 또 고민입니다. 또 최근에는 프로젝트 배포 경험이 중요한가 싶어 도커와 AWS도 기웃기웃거리고 있습니다. 글을 보시면 아시겠듯이 지금 저는 하나에 몰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무엇을 공부해야 할 지. 하루 스케줄은 어떻게 해야할지. 지금 내가 하고 있는 공부가 맞는건지에 확신히 서지 않습니다. 특히 저는 병렬적인 공부에 취약한 것 같습니다. 사실 하나만 파는 것이 더 쉬워보입니다.. 실력있는 개발자가 되고 싶고, 평생 공부하며 발전하고 싶습니다. 목표는 졸업 후 1년 내 대기업 취업입니다. 1년 해보고 안되면 바로 경력을 쌓을 예정입니다. 졸업은 별일 없다면 25살 겨울에 할 것 같습니다. 공부에 손이 잘 잡히지 않습니다. 막막하고 답답한 기분이 요즘 많이 들고 있습니다. 열정은 있지만 정말 아는게 없네요.. 현업 개발자 선배님께 조언을 여쭙고 싶습니다. 지금 저는 객관적으로 어떤 상황이고, 무엇을 해야할까요?

개발자

#백엔드

#공부-방법

답변 1

댓글 0

조회 348

일 년 전 · 박정환 님의 답변 업데이트

24살 지거국 대학생 질문 드립니다.

현재 지거국에서 2학년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진로에 대해 고민이 있어 현업자분들에게 여쭤보고자 질문을 남깁니다. 고등학교는 특성화 고등학교로 나와 현장실습에서 전산기기 관리 업무를 하다 3개월 하고 개발자가 하고싶어 나왔습니다. 그리고 코로나 시기라 군 문제를 먼저 해결하려 토익이나 토플 준비를 했고 애매한 점수 670점, 60점을 받았습니다. 군생활은 개발병으로 복무해 괜찮은 경험을 했습니다. 실제 서비스를 유지보수 및 신규 기능과 서비스를 제작하는 경험도 했습니다. 언어는 Vue.js, Node.js, MySQL을 메인으로 겉핥기는 PHP, JSP, Docker 을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군대에서 고민한 결과 대학교 졸업장이 있어야 지원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질것 같아서 수능 준비도 병행해서 지거국에 합격했습니더. 하지만 군 보안 때문에 따로 경력으로 쓸수 있게 코드를 보존하지 못했습니다. 지금 제일 후회하고 있습니다. 기억을 더듬어서 다시 만들어 git에 올릴까 고민만 하지 외주하느라, 학교 공부하느라 바쁘다고 핑계대며 실행은 못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서울에서 지방으로 내려와 혼자 생활비를 충당하고 있어서 프리랜서와 학업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학생으로는 받기 힘든 금액을 벌면서 크몽으로 Vue.js, Node.js, MySQL을 사용하여 풀스택으로 간단한 외주를 담당하여 1년간 1500 ~ 2000정도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학업은 전체 학점은 3.1 전공 학점은 3.8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계획으론 아래와 같습니다. - 대외활동 : 창업 대회 또는 해커톤 입상 최소2회 - 알고리즘 : 백준 플레티넘 문제는 풀 수 있을정도로 반복 - 프로젝트 : 생활비를 벌기 위해 외주를 계속할 예정이며, 시간이 남는다면 개인 프로젝트 진행 계획도 있습니다. - 그 외 : 매일 개발 관력 책을 읽고 있는데, 배웠던 내용 중 하나를 매일 쇼츠나 블로그에 업로드해서 꾸준히 무언가 하고싶습니다. 현재 고민중인 부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 현재 스팩으로 또는 계획대로 성장한다면 대기업 취업이 가능할까? - 만약 어렵다면 어떻게 해야할지 감이 잡히지 않아서 질문을 올리게되었습니다. - 지금 중소기업/스타트에 취업하는게 커리어적으로 더 좋을까요? 지나가다 재미없는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현업자분들의 쓴소리 부탁드리겠습니다!

개발자

#진로고민

#진로

#진로상담

#취업

#대학생

답변 1

댓글 2

조회 238

일 년 전 · JSON 님의 새로운 답변

독학으로 취업이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24살 전역을 한달 정도 남긴 사람 입니다. 이제 전역을 앞두고 있다보니 현실로 돌아간단 생각에 불안한 감정이 생기며 이젠 취업에 대해 많은 생각이 들더라구요 저는 고등학교 졸업 후 대학진학에 실패해서 군대에 빨리 갔다 온 후에 예전부터 꿈 꾸었던 게임프로그래머를 향해 도전해 볼 생각이었습니다. 하지만 군대에서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하여 이런저런 문제를 해결하다 보니 2년이란 공백이 생기고 이제서야 전역을 앞두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게임프로그래머가 되는 여러 방법들에 대해 알아보았지만 대체로 대학에 다니라고들 권하시더군요. 하지만 다시 수능공부를 해 대학에 간다는 것에 대해선 자신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다른 길을 알아 본 것이 학점은행제 였습니다. 그러나 이 또한 많은분들의 의견들이 갈리더라구요 그 중에서 취업 후에 방통대나 학은제를 이용하시는 분들이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독학으로 2~3년 공부 후 국비지원으로 취업에 도전한 후에 나중에 되서야 제가 학력 부분에서 후회가 남는다면 채우는 것이 낫지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전제도 취업이 되어야지 의미가 있다 생각하여 제목과 같이 질문을 남깁니다. 저는 연봉이 낮더라도 취업이 된다면 상관없습니다. 저는 대학에서 전공공부를 한것도 경력이 있는 것도 아니니 당연히 낮아야지요 저는 악덕기업 만 아니면 다행이라 생각합니다. '어느 회사든 경력이 쌓이면 더 좋은 대우를 받을 수 있지 않을까?' 라는 것이 저의 생각입니다. 말이 두서가 없었습니다. 글도 잘 못 쓰면서 당장 앞날이 걱정이라 이렇게 질문남깁니다. 고졸이지만 독학으로 공부 후 국비지원 학원을 통해 취업 할 수 있을까요?

개발자

#독학

#국비지원

답변 1

댓글 0

조회 127

일 년 전 · 이서제(JayPotter) 님의 새로운 댓글

현재 게임개발자를 꿈꾸고 있는 학생입니다.

1인 개발을 하기 위해 어떤 프로그램(게임엔진)을 써야하며 게임을 개발한다면 2D로 개발을 하고 싶은데 초반에 어떤 장르의 게임이 쉬울까요?🤔 제가 10월 말에 군대를 가는데 군대가기 전에 꼭 게임을 만들어 보고 싶습니다.!

개발자

#게임-개발

#게임

#게임개발자

#유니티

#게임엔진

답변 1

댓글 1

추천해요 1

조회 90

일 년 전 · 프레드윰 님의 새로운 답변

정보처리산업기사 도움이 될까요?

현재 4년제 대학교 휴학후 군대에서 개발 공부 하고있는데 군대 내에서 정보처리 산업기사를 준비해볼까 고민하고 있는데 준비하면 저에게 도움이 될까요? 2학년 과정까지 마쳤습니다.

개발자

#자격증

#군대

답변 1

댓글 0

조회 94

일 년 전 · 이윤호 님의 새로운 답변

군대 컴퓨터 공부 어떻게 해야될 지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 전공 2학년 마치고 군대 입대한 학생입니다. 군대에 오기전에도 기초가 많이 부족하고 많이 뒤떨어지는 모습에 군대에서라도 지식을 차근차근 쌓아보려고 하는데 어떻게 공부해야될 지 모르겠어서 글 작성합니다. 언어를 공부할 지 아니면 선형대수학이나 자료구조, 컴퓨터 구조, 운영체제 등 CS를 열심히 해라고 많이 들었는데 어떤 것을 어떤 책으로 공부해야할 지 잘 모르겠어서 추천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ㅠ 그리고 아직 백엔드, 프론트 등 확실한 방향 또한 결정하지 못해서 어떻게 해야할 지 많이 고민이 됩니다.

개발자

#공부

#군대

#대학

답변 2

댓글 0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126

일 년 전 · 박현규 님의 새로운 댓글

해외 개발자 vs 한국 대기업 개발자

안녕하세요. 현재 미국 대학교 컴퓨터 공학과 졸업 예정인 학생입니다. 졸업 후에 진로에 대한 고민을 혼자 하다가, 여러 사람들의 조언을 얻고자 글을 작성합니다. 현재 미국의 있는 회사 중에는 두 군데에서 오퍼를 받은 상황입니다. 한 군데는 400명 정도 되는 SI업체이고(여기는 아마 가지 않을 것 같습니다), 한 군데는 개발자가 10명 내외인 항공 소프트 웨어 관련 소기업입니다. 그리고 한국 회사는 현재 삼성 전자 공채 과정 진행 중에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Urban Air mobility 관련 분야의 성장 가능성을 보고 있어서, 오퍼를 받은 두 개의 미국 회사 중 후자에 마음이 갑니다. 사실 이 시선도 아무래도 인더스트리를 겪으면서 판단을 내린 게 아니다 보니 제 시야가 좁아서 오는 희망인가? 하는 의구심도 자꾸 고개를 들고 있긴 하지만 젊었을 때 미국이라는 큰 땅에서 도전할 수 있다는 것이 미국 대학 졸업장의 가장 큰 가치 중 하나라고 생각이 되어서 긍정적으로 생각하려 하고 있습니다. 제가 염려가 되는 것은 비자 문제입니다. 미국 회사에 취업을 할 경우, 약 3년간 일을 할 수 있지만 그 3년 동안 진행되는 H1B 로터리(비자 추첨)에 당첨이 되지 않으면 다시 한국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그리고 로터리는 현재 합격률이 15% 내외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만약 한국에 돌아가게 될 경우, 해당 회사와 비슷한 계열의 회사가 한국에는 존재하지 않아서 제 경력이 크게 의미를 찾을 수 없을까 봐 걱정이 됩니다.(+회사의 메인 언어가 루비입니다. 한국은 루비 개발자 시장이 작은 걸로 알고 있고, 그나마 미국을 제외하면 일본이 조금 수요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렇게 고민을 하고 있는 와중, 부모님은 만약 합격한다면 안정적인 한국의 대기업이 좋지 않겠냐고 말씀을 하십니다. 오랫동안 20대의 대부분을 군대를 제외하고는 미국에서 지냈기에 한국의 삶도 사무치게 그립기도 하고 한국의 친구들은 대부분 "대기업이면 그냥 감사합니다~ 하고 들어가야지 or 1프로라도 한국 탈출할 수 있으면 탈출 버튼 눌러!"라는 조언? 을 합니다. 물론 아직 한국 회사는 합격을 한 게 아니긴 하지만 미리 고민을 해봐야 선택의 순간이 다가왔을 때 조금 더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을 것 같아서 다른 분들의 의견과 조언이 필요합니다. 작성하다 보니 질문이라기보다 술 먹은 후배가 푸념 늘어놓는 것 같네요. 어떤 형태든 좋으니 조언과 의견 나누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진로

#미국취업

#대기업

#신입

#개발자_진로

답변 1

댓글 1

추천해요 3

조회 338

일 년 전 · Jeahong 님의 새로운 답변

백엔드 개인 프로젝트 프론트엔드

현재 휴학중인 대학교 2학년입니다. 군대 전역 후 2학기 복학 중 스프링과 JPA 기반으로 백엔드 개발자로 진로를 정했습니다. 현재는 김영한 강사님 강의를 들으며 실력을 키우고 있습니다. 강의를 듣는 중 김영한 강사님의 강의의 코드를 이용하여 생각나는 기능들 (좋아요 기능 등..) 들을 조금씩 추가하는 정도의 수준의 실력입니다. 이제 슬슬 개인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해야할 것 같은데, 프론트엔드 처리가 막막합니다. 한번도 협업을 해본 적도 없고, 기회도 잘 없기도 합니다. 따라서 api는 대충 짤 순 있지만 그 api가 어떻게 프론트엔드에서 처리되는지, 프론트엔드에서는 api 응답을 어떻게 사용하고 어떤 응답이 좋은 응답인지가 실감되지 않습니다. 추가로 프론트적인 부분을 모르니 데이터베이스나 뒷단에서의 흐름은 알겠지만, 프론트적인 부분을 눈에 보이게 개발을 하기 매우 어렵습니다. 이 부분은 따로 프론트엔드 강의를 들어가며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할까요..? 아니면 좀 더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정리하자면 프론트엔드의 실력과 정보가 전무해서 백엔드 기술을 다양하게 사용하고, 방향을 정하고, 발전 시킬 수 없는 거 같다. 프론트엔드 강의를 들어가며 개인 프로젝트에 이용해야 할까?

개발자

#백엔드

#프론트엔드

#개인프로젝트

답변 2

댓글 0

조회 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