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전 · CL@Supercoding 님의 새로운 답변
자기주도적인 개발이 너무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올해 3월에 부트캠프를 수료하고 취업준비를 하고있는 프론트엔드 지망생입니다. 부트캠프를 통해 js, react, vue, tailwind, zustand등의 스택을 주로 사용하며 프로젝트를 만들었습니다. 부트캠프를 진행하면서 react에서 useEffect훅은 컴포넌트의 생명주기 사이 ~때에 사용한다, 페이지 라우팅 기능을 사용하려면 리액트 라우터 같은 라이브러리를 활용해서 써야한다, 테일윈드가 현재 개발시장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CSS 라이브러리다 이런 정도로 기술스택들이 학습되었습니다. 이제 부트캠프도 수료하고 혼자 공부하는 시간이 찾아왔는데 어떤것 부터 어느정도 까지 손을 대야할지 감이 잡히질 않습니다. 1. 어떤것 부터 해야하는지 예를 들어 현재 저에게 가장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스택은 next 프레임워크, zustand 외의 전역 상태관리(recoil, redux), 필수 개발 외의 인프라적인 스택?(Storybook, monorepo, sentry, jest )이라고 생각하는데 이 지식들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방법과 이 외에도 개발자 시장에서 반드시 장착하고 있어야 하는 필수 스택에 무엇이 있는지를 알고싶습니다. 2. 어느정도 까지 손을 대야할지 예를 들어 React 같은 경우엔 하나의 프로젝트를 만드는 역량까진 가능해졌지만 프로젝트 안에서 퀄리티 있는 디자인 패턴이라던지, 사용해보지 못한 수많은 리액트 메서드들을 딥다이브 해봐야 할 거 같은데, 어느정도 까지 공부해야 너무 깊게 들어가지 않고, 현재 개발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지식을 쌓았다고 할 수 있는지의 경계를 모르겠습니다. 강사님의 강의에서 벗어나 혼자서 주도적인 학습을 진행하려고 하니 시간낭비를 하게 될 거 같고, 겉햝기 식으로 공부하는 나날을 보내게 될까 심적으로 큰 부담이 됩니다.. 현업 개발자님들의 조언을 듣고싶습니다!!🙇♂️🙇♂️🙇♂️
개발자
#프론트엔드
#프론트엔드-취업
#공부방향
#공부법
답변 2
댓글 2
조회 291
23일 전 · 정의헌 님의 새로운 답변
트렌드에 맞춰서 공부방향을 정해야할까요?
현재 si회사 웹개발자로 일 하는 중입니다. 저는 부트캠프 통해 취업을 하게 됐는데 si회사 인지라 몇 년 후(대략 2년)에 이직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직하기 위해서 제가 뭘 공부하면 도움이 될까요? 현재 기술스택은 자바와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고 있고 코테공부, 자바공부, 웹 프로젝트 등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공부를 하는게 맞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현재 트렌드를 따라가려면 ai공부나 앱을 공부해야할까요 ? 비전공자라서 그런지 주변에 도움을 구할 사람이나 조언을 구할 사람이 없습니다 ㅠ
개발자
#개발공부
#방향성
#이직
#인공지능
#ios
답변 1
댓글 0
조회 129
3달 전 · 포크코딩 님의 새로운 답변
php + NestJS(Express) 백엔드 개발자를 찾습니다.
안녕하세요 저희 회사에서 php + NestJS(Express) 개발자를 찾고 있는데 적합자를 찾아내기가 쉽지 않아 가입하게 되었습니다. 관심 있으시다면 공고 한 번 봐주셨음 좋겠어요!!!!!! 그리고 저희 기술스택에 맞는 개발자를 찾을 수 있는 팁?이 있으신분들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ㅠㅠㅠㅠ https://www.saramin.co.kr/zf_user/jobs/relay/view?isMypage=no&rec_idx=49757484&recommend_ids=eJxVjrkNAzEMBKtxTi6%2FZexCrv8uTPuAowxFg5FG610dTr%2Bo%2Bqq3d8NK7WrBDxltsMeWQSMG87bmEnwwlfBamzTqk6rpav5ZOy3C9yNOGDIoN3YYYmekw0%2FsOXvZINabIqC1mDpDD%2FQk9q2GlxxlkN9V%2BQGdzkCp&view_type=search&searchword=%EB%B9%84%ED%81%AC%EC%BD%94%ED%8D%BC%EB%A0%88%EC%9D%B4%EC%85%98&searchType=search&gz=1&t_ref_content=generic&t_ref=search&relayNonce=4558130b90d1e71342c4&paid_fl=n&search_uuid=c2ac4cf3-f5ad-42fb-9011-3bf856e40282&immediately_apply_layer_open=n#seq=0
개발자
#구인구직
답변 1
댓글 0
조회 60
4달 전 · 이진호 님의 새로운 댓글
1년차 이직 준비 관련 고민
선배님들 안녕하십니까. 저는 현재 금융관련 스타트업 회사에서 1년 남짓 근무한 병아리 개발자입니다! 현 회사에 백엔드 개발자 타이틀을 달고 들어왔지만 어쩌다 보니 프론트엔드도 다루면서 사실상 풀스택(?) 개발자로서 일하고 있고 여러가지 사정으로 9-10개월정도 후에 이직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현회사 입사후 바쁜 업무핑계로 자기계발에 전혀 쏟지 못했었는데, 두세달 전부터 각오를 다지고 나름의 계획을 짜며 커리어 개발에 노력을 조금씩 해보고 있습니다. 본격적으로 이직을 생각하다보니 입사후 초라해진 이력서와 녹슨 코딩테스트 실력 등등에 마음이 조급하고 혼란스러워 제 상황을 설명드리고 조언을 구하고자 글을 올려봅니다…! 현재 진행중인 저의 노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CKA 공부 사실 회사 들어오기 전까지는 쿠버네티스가 뭔지도 모르는 생초짜 학생이었습니다… 아무래도 회사 규모가 작다보니 버그가 생겼을때 주변의 도움없이 해결해야 하는 경우가 있었고 애플리케이션 코드 밖에서 발생하는 이슈들에 대응하며 무력감을 많이 느껴 운영/인프라쪽 공부를 조금 해보자 란 마음에서 시작한 노력입니다… 주니어 레벨에서 시간투차할 이유가 크게 없다고 조언해주신 분들도 종종 계셨지만…시작한 이상 꾸준히 해서 4월, 늦어도 5월 안에는 자격증 취득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원래도 그렇게 자신있는 종목이 아니었는데 1년동안 많이 까먹어서.. 틈틈히 풀면서 공부중이고 백준 기준 골드 초급문제 까지는 고민 많이 하면 풀 수 있는 수준 정도입니다 그리고 제가 염두에 둔 계획은 크게 다음과 같습니다 1. 새로운 프레임워크 배우기 저희 회사에서 제가 다루고 있는 프로젝트들은 전부 NodeJS 기반 (Next JS, Nest JS) 에서 이루어져 왔습니다. 학교다닐때야 언어라도 이것저것 간단히 다뤄봤지만 사실상 지금 제대로 다룰줄 아는 백엔드 개발 프레임워크는 Nest JS 밖에 없는것 같습니다. 근데 아무래도 한국에서는 Node 개발자의 풀이 그다지 넓지 않다보니 성공적인 이직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익혀볼까 하는 고민이 됩니다. 그래서, 만약 배운다면 어떤 프레임워크를 추천하시는지 궁금합니다. 현재는 Spring + Java, Python + Django 를 후보로 생각중입니다. 조금 부연설명을 하자면 Java는 학교에서 초급레벨 수업들으며 2학기정도만 해봤고 Python 같은경우는 언어 자체는 익숙하긴 하지만 AI, 알고리즘 등 외에 제품 개발에 사용해본 경험은 전무합니다. 또한 저는 현재 병역특례로 근무중인 상황이라 이직을 하더라도 스타트업/중견 업체를 겨냥해야 합니다. 2. 프로젝트 제가 원래도 컴공 전공자가 아니다보니 깃헙/포폴들이 전부 통계나 AI 관련이고 개발 관련해서는 좀 약한편이었습니다. 그런데 인터넷에서 대단하신 분들의 이력서를 구경하다 보니 제 포트폴리오를 조금 보강해야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또 조금 더 욕심을 부리자면 위의 1번 질문에서 조금 더 나아가서 새로 익힌 프레임워크에 대한 숙련도를 증명하는 목적으로 프로젝트를 하나 시작하는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보고 있습니다 쓰고나서보니 상황설명에 하소연만 실컷 하는 글이네요…ㅋㅋ 아무래도 주변에 조언을 구할 분들이 적다보니 이래저래 걱정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제가 계획하고 있는 노력의 방향성이 바람직한지. 좀더 선택과 집중을 해야한다면 어떤 방식이 좋을지, 별도로 지적해주실 내용이 있는지 (ex.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독학하기보다 지금 가지고있는 기술스택으로 더 완성도 높은 프로젝트를 해라). 선배님들의 귀중한 의견 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 두서없는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이직-준비
#프로젝트
#이직
#기술스택-변경
#커리어
답변 1
댓글 1
조회 173
6달 전 · 김준오 님의 질문
MFC 개발자로 시작할 시 이후 커리어...
2개의 회사 중 고민중인 취준생입니다 하나는 평범한 웹 백엔드 엔지니어고, 하나는 제조업 회사의 sw개발 담당인데 여기 기술스택이 MFC와 C#등등이라고 합니다 후자가 초봉 자체는 7-800정도 높은데, mfc라는게 이미 deprecate된 철지난 기술이라는 이야기가 많아서, 지금 당장 초봉만 보고 덜컥 들어갔다가 이후 미래가 어떻게 될 지 몰라 고민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관련해서 경험 있으신 분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
#mfc
#c++
#커리어
#c#
답변 0
댓글 0
조회 122
6달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개발의 흥미를 잃어가는 중입니다.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올라와 현재 중소기업 1년 재직중입니다. 연봉은 3천으로 계약했고 기술스택 Java로 웹 프로젝트 구축사업을 해왔습니다. 초기 입사했을 때는 회사에서 주어지는 업무와 관련된 공부를 병행하면서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새로운 지식과 윗분들의 개발 노하우를 쌓으면서 배움에 초점을 뒀습니다. 배운 것을 토대로 시키는 일은 어떻게든 잘 이행했고 신입 개발자의 역할은 충분히 해냈다고 생각합니다. 6월쯤 어떠한 사정으로 제가 빚을 2천 정도 떠맡게 되었습니다. 이때 부터 시간이 갈수록 빚때문에 현타가 자주왔고 자존감도 많이 망가졌습니다. 사회초년생이 겪는 일들 중 빚은 진짜 감당하기 쉽지 않은 듯합니다. 이런 현실적인 문제가 닥치니 퇴근하고 개인 플젝은 물론 공부조차 하기 싫게 되더라구요.(손땐지 몇 달 됐습니다) 자연스레 업무시간엔 집중력도 하락했고 업무 데드라인도 지키지 못해 일에 차질이 생길 뻔한 적도 있었고요. 학창시절엔 순수 개발이 좋아서 이 분야에 뛰어든건데 머릿속에 빚이 사로잡히니 개발의 권태기라고 할까요? 배우고 경험해야할 시기에 열정을 쏟지 못합니다. 한 마디로 재미가 없어졌어요. 팀 내에서 개발뿐만 아니라 그 외 업무 실력을 인정받지 못하는 것 같구요. 이 상태로 살다보니 개발자 커리어를 그만두고 다른 일을 찾아야할지..쉽지 않습니다. 현실문제로 세상을 바라보는 시야가 좁아졌나봅니다. 머릿속에선 개발(일)실력을 키워서 연봉을 높여보자 하는 욕심은 가득한데 부정적인 생각이 자꾸들어 나태해진 삶을 사는 듯 합니다. 저보다 험난 경험을 하시고 그 위치까지 올라기신 선배님들은 어떻게 이겨내셨나요 마인드셋을 어떻게 잡아야할까요 위로보단 뼈때리는 말도 좋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개발자
#개발고민
#개발공부
#직장
답변 2
댓글 3
조회 363
7달 전 · 김은선 Sunny 님의 질문
프론트엔드 경력(혹은 그에 준하는 실력) 모집하는데, 이력서에 백엔드 경력은 아예 안 쓰는게 좋을까요?
저는 자바 스프링 백엔드 경험이 2년 반 정도 있는데, 프론트엔드로 전향하고 싶어서 퇴사후 1년정도 typescript, react, next.js, react 상태관리 라이브러리 공부해서 프로젝트 만들고 이제 이력서 작성하려고 하는데요.. 이력서에 자바 스프링 웹개발 경력은 아예 빼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웹개발 경험을 해봤다는 것 자체가 플러스 요인일 수 있으니 기술스택이 달라도 넣는게 좋을까요?..
개발자
#프론트엔드-이직
#이력서
#웹개발
#백엔드-프론트엔드-전향
답변 0
댓글 0
조회 65
8달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솔루션 회사 취업vs 계속해서 서비스 회사를 위한 취준
이번에 공공기업을 위한 솔루션회사에 최종합격을 했습니다. 회사는 Vue를 주로 사용하는 곳입니다. 저는 서비스 회사로 경력을 쌓아가고 싶으며 React 혹은 Next를 사용하고 싶어요. 하지만 계속되는 취준보다는 Vue를 쓰더라도, 솔루션 회사라도 현업경험을 쌓는게 더 좋은게 아닐까 하는 고민이 계속 됩니다. 원하는 기술스택, 원하는 회사가 아니어도 취업을 하는게 맞는걸까요? 아니면 원하는 방향의 회사를 위해 취준을 더욱 하는게 맞는걸까요?? 현재 저는 2년정도 취준을 했고, 비전공자로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 준비중입니다.
개발자
#취업고민
#솔루션회사
#프론트엔드
답변 1
댓글 0
조회 96
9달 전 · 이상래 님의 새로운 댓글
이력서에 잘만든 프로젝트 1개 vs 다수 프로젝트
안녕하세요. 2년 반 정도 백엔드 개발자로 일하다가 작년 9월에 퇴사하고 11월부터 Next.js, typescript 등의 스택으로 포트폴리오용 사이트를 지금까지 제작중입니다..... 주말빼고 매일 8~9시간을 투자했는데 아직 프로젝트가 안 끝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React, js 지식은 있었지만 Next, typescript, react-query, recoil 등 다른 기술스택은 새로 공부해야했는데, 제대로 쓰고싶은 마음에 공부기간이 너무 길었던것 같아요 (공부욕심이 있어서 너무 하나하나 꼼꼼하게 보고 노션에 정리도 하고 하느라 프로젝트 진행이 지체된게 있습니다... ) 2. 실서비스에 가깝게 만들고 싶다는 욕심으로 프로젝트 규모는 컸지만 협업하던 사람들은 프로젝트 경험이 아예 없거나, 작업한지 1~2달만에 취업 등의 이유로 그만두고 올해 상반기부터 저 혼자서만 프론트/백엔드 모두를 작업했는데, 혼자서도 구현하고 싶은 기능이나 전체적인 퀄리티를 못내려놔서 수정에 시간이 많이 걸렸습니다 애초에 프로젝트 시작할때, 새로 배우는 기술스택이지만 실서비스에 가까운 프로젝트 만들면서 실무에서 무리없이 쓸 만큼 경험을 해보자는 생각이었고, 실제로 원없이 욕심부리고 고생하고 배우면서 스스로 자신감이 생긴 상태이긴 한데요.. 앞으로 조금이긴 하지만 프로젝트도 아직 마무리가 안 되었고, 취준기간동안 한 프로젝트가 이것 하나밖에 없는게 이제서야 돌아봐지면서 이력서 쓸 내용이 걱정이 되네요ㅠ..... 프로젝트 하나지만 하면서 배운것, 경험한건 정말 많아서 지금당장 실무 한다고 해도 겁나지 않고 이 프로젝트에 대해서 기술적으로 무슨 고민을했고 뭘 배웠는지 구체적으로 쓰는건 자신이 있는데요.. 다른 이력서들 랠릿 등에서 보면 프로젝트 하나가지고 자세하게 쓴 경우는 거의 없더라구요.. 지금이라도 간단하게 프로젝트를 하나 더 해야하는걸까요.... 아니면 알차게 쓰면 프로젝트 하나로도 좋은 이력서 만들수 있는걸까요ㅠ?.....
개발자
#이직
#프론트엔드
#next.js
#중고신입
답변 1
댓글 2
추천해요 3
조회 606
9달 전 · 호원 님의 새로운 댓글
개발 공부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현재 컴퓨터공학과 3학년에 재학 중인 대학생입니다. 아직 여러가지로 공부하며 배우고 있지만, 더딘 성장에 여러 번 번아웃이 왔었습니다. 인스타나 각종 sns의 개발자 성장과 관련된 다른 사람들의 글을 보면, 빠르게 성장하려면 일단 실전으로 들어가보라는 말씀들을 많이 하십니다. 저 또한 프로젝트를 시도하고 경험하면 그 과정에서 개발과 관련된 실력은 확실히 늘어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어떤 흐름으로 개발하는 지는 알게 되어도, 내가 사용하는 것들이 어떻게 동작하고 그렇게 동작하게 되는 원리까지는 자세히 모르게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결론은 실전 경험이 물론 중요하지만, 베이스가 없이 수행되는 프로젝트들은 얕은 지식만 쌓이게 되는 것 같아 나중에 겪게 될 상황이 조금 두렵습니다. 그렇다고 그 많은 기술스택들을 처음부터 공부를 하는 것도 맞는 방법인지 의문이 들어 이런 고민 속에서 생겨난 질문인 것 같습니다. 아직 많이 방황 중이라 글이 너무 두서없고 횡설수설 했다면 죄송합니다. 다른 분들은 어떻게 공부하셨었나요? 혹은 어떻게 공부하고 계신가요?
개발자
#개발공부
#개발고민
#개발자
#개발자-실력
#개발자_진로
답변 2
댓글 2
조회 112
9달 전 · 한상훈 님의 질문
진짜 물경력이 되어버렸습니다.최근 1년간 성과를 내세울 게 없습니다
저는 회사에 입사한지 5년차인 학사학위 비전ai 응용개발자입니다. 회사가 늘 과제 위주로 업무가 진행되며 보고서를 채우기 위한 결과 작성만 하거나 과제 지원서에 쓸 내용만 채우다 경력이 지지부진한 상태에 빠졌고, 저는 건강이 요 몇년간 좋지 않아 회사에서 주어진 일만 하고 아무것도 하지 못했습니다. 최근에서야 좀 건강이 정상 궤도에 가까워지고 있는데, 그 사이 세상은 여러가지로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CNN에서 LLM으로, 한 태스크를 수행하는 모델에서 멀티모달로.. 저는 그 사이 어떤 지식도 채우지 못하고 오히려 증발하기만 했죠. 채용시장은 어려워지고.. 회사는 살아남기 위해 로봇 산업에 끼기를 추구하려 해서 개발자에서 점점 멀어지는 것 같아 두렵습니다. 베이스를 채우려고 이제 정신차리고 선형대수학과 확률론을 살펴봐도 어렵기만 합니다. 웹 관련으로는 한 번도 개발이나 배포를 해 본적도 없고, 기술스택도 사실상 순수 파이썬에 가깝습니다.. 누구를 탓할수도 없고 탓해봤자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는 걸 알기에 신세한탄을 하며 뭘 어떻게 해야할 지 모르겠습니다. 이직은 하고 싶고 여태 해온 일들이 다른 회사에서 보기엔 성과로 비춰지지 않을 것 같고.. 앞으로 회사에서 진행될 일들도 이력서에 적을만한 내용이 없는 일들 투성이입니다. 위축만 되어 있습니다. 이젠 제가 하고 싶은게 뭔지도 모르게 되어버렸습니다. 지금이라도 웹을 따로 공부해서 연봉이 800이 적어지더라도 신입 웹개발자로 들어가는 게 나을까요?
개발자
#커리어
답변 0
댓글 0
조회 214
10달 전 · 백승훈 님의 답변 업데이트
프론트엔드 개발자 취업, 회사
안녕하세요. 곧 졸업을 앞두고 있는, 프론트엔드 개발자를 준비중인 전자공학과 학생입니다. 예전에는 막연하게 규모도 좀 있고, 중견기업이상에 가고싶다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제가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되고 싶었던 이유 가장 큰 이유 중 하나가 UI/UX 개선에 대한 즐거움입니다. 그래서 아무래도 B2C회사가 잘맞을것 같고, 공고들을 보니 주로 스타트업들이 UI 개선에 관심이 있는분들을 선호하는 것 같더라구요. 그리고 개인적으로 좀 자유로운 분위기의 회사였으면 좋겠는데, 그리고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던점은 프론트 영역의 질문을 할 수 있는 사수가 있는 회사를 가고싶습니다. 질문할 상사가 없으면, 스트레스도 스트레스고, 내가 잘 하고 있는건지 객관적으로 알 수도 없을것 같고, 취준생때마냥 제자리 걸음일것 같은 느낌도 들고.. 그러다보니 규모가 어느정도는 있어야하지 않을까 싶지만, 중견기업쯤들 공고를 보면 SI 회사들도 꽤나 많더라구요.. 가끔씩 많이들 사용하지 않는 기술스택을 사용하는 기업들도 있던데, 그런 기업들은 처음 신입으로 일하기엔 적합하지 않을지도 궁금합니다. 일단 요새 채용시장이 어렵기도하고, 다들 좀 규모있는 회사 가고싶으면 경력 좀 쌓아서 이직하는게 더 빠르다고 많이들 그러더라구요... 그래서 일단 괜찮아보이는 곳은 규모에 상관없이 한번씩 지원 해볼까하는 생각은 하고있는데 아직 제가어떤 회사들이 잘 맞을지, 어떤 기준으로 기업을 보고 지원기준을 세워야할지 막연하게 모르겠습니다ㅠㅠ 아직 모르는점이 많아서, 그냥 아무 조언이던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개발자
#프론트엔드
#개발자
#취업
답변 3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148
10달 전 · 오두호 님의 질문
신입 백엔드 개발자 이력서 질문 및 피드백 요청드립니다!
백엔드 개발자로 근무하길 희망하는 취업준비생입니다! 이력서 작성에 왕도는 없겠지만, 선배님들이 어떻게 작성했는지 혹은 채용자 입장에서 괜찮은 이력서를 찾는 기준이 무엇인지를 많이 찾아보다보니까 오히려 머리가 복잡해지는 것 같아서 최대한 제 얘기를 담은 이력서를 작성하려고 노력중입니다. 다만, 제가 작성하는 방법이 채용자가 원하는 방법이 아닐 수 있기에 몇가지 질문과 가능하시다면 피드백 해주실 수 있는 선배님들이 계실까 해서 글 남겨봅니다. Q1. 이력서 내 프로젝트에서 기여 혹은 개선사항을 작성할 때 사용한 기술을 상세히 적으며 풀어나가는 것이 좋을까요 혹은 어떤 점을 어떻게 개선했는지 포괄적으로 작성하는게 좋을까요? ex) 사용자 인증 정보를 RedisTemplate의 opsForValue 메소드를 통해 캐싱하여 DB 호출 횟수 4회 -> 1회로 최적화 vs Redis를 활용한 사용자 인증 정보 캐싱으로 DB 호출 횟수 4회 -> 1회로 최적화 (적절한 예시일지 모르겠지만 생각나는대로 적어봤습니다,,ㅎ) Q2. 직무와 연관되지 않았지만 활용될만한 기술스택은 작성하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제외해도 괜찮을까요? ex)Scrapy, Selenium등의 크롤링 툴, 프론트엔드 기술 Q3. 이력서 외에 자기소개서 내용에서 기술적인 얘기를 많이 담는 것이 좋을지 항목에 맞는 에피소드로 자신을 드러내는 것이 좋을지 궁금합니다! (자기소개서를 읽는 채용자는 기술에 대해 자세히 모를 수 있다는 얘기도 들어봐서 고민되는 부분입니다. 1번 질문의 의도와 비슷한 내용일 것 같네요.) 이외에도 혹시 개인적으로 피드백 해주실 수 있는 분이 계시다면, 이력서 공유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요즘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데 도움 주실 수 있으시다면 정말 감사할 것 같습니다. https://drive.google.com/file/d/1LFqNNNQ3skF26xInwbYzxjZOGIlzE0lQ/view?usp=drive_link 링크 첨부를 했는데 반영이 안돼서 다시 질문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
#개발자
#취업고민
#취업
#취업준비생
#백엔드
답변 0
댓글 0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224
10달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신입 백엔드 개발자 이력서 관련 질문
백엔드 개발자로 근무하길 희망하는 취업준비생입니다! 이력서 작성에 왕도는 없겠지만, 선배님들이 어떻게 작성했는지 혹은 채용자 입장에서 괜찮은 이력서를 찾는 기준이 무엇인지를 많이 찾아보다보니까 오히려 머리가 복잡해지는 것 같아서 최대한 제 얘기를 담은 이력서를 작성하려고 노력중입니다. 다만, 제가 작성하는 방법이 채용자가 원하는 방법이 아닐 수 있기에 몇가지 질문과 가능하시다면 피드백 해주실 수 있는 선배님들이 계실까 해서 글 남겨봅니다. Q1. 이력서 내 프로젝트에서 기여 혹은 개선사항을 작성할 때 사용한 기술을 상세히 적으며 풀어나가는 것이 좋을까요 혹은 어떤 점을 어떻게 개선했는지 포괄적으로 작성하는게 좋을까요? ex) 사용자 인증 정보를 RedisTemplate의 opsForValue 메소드를 통해 캐싱하여 DB 호출 횟수 4회 -> 1회로 최적화 vs Redis를 활용한 사용자 인증 정보 캐싱으로 DB 호출 횟수 4회 -> 1회로 최적화 (적절한 예시일지 모르겠지만 생각나는대로 적어봤습니다,,ㅎ) Q2. 직무와 연관되지 않았지만 활용될만한 기술스택은 작성하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제외해도 괜찮을까요? ex)Scrapy, Selenium등의 크롤링 툴, 프론트엔드 기술 Q3. 이력서 외에 자기소개서 내용에서 기술적인 얘기를 많이 담는 것이 좋을지 항목에 맞는 에피소드로 자신을 드러내는 것이 좋을지 궁금합니다! (자기소개서를 읽는 채용자는 기술에 대해 자세히 모를 수 있다는 얘기도 들어봐서 고민되는 부분입니다. 1번 질문의 의도와 비슷한 내용일 것 같네요.) 이외에도 혹시 개인적으로 피드백 해주실 수 있는 분이 계시다면, 이력서 공유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요즘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데 도움 주실 수 있으시다면 정말 감사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
#취업
#백엔드
#개발자
#고민
#취업고민
답변 1
댓글 0
조회 136
10달 전 · 임세혁 님의 질문
데이터 분석가가 하는일
1. 하는일 기술스택 2. 요즘 취업시장 3. 웹개발 했던 사람이 직무전환하기에 유리하진 않나요?
개발자
#데이터분석가
답변 0
댓글 0
조회 37
일 년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이직 한 회사에서 성장가능성이 낮다고 생각해 퇴사할 지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만 3년이 안된 주니어 백엔드 개발자입니다. 2년반 조금 넘게 중소기업에서 si업무를 하며 인프라부터 백, 프론트까지 풀스택 개발을 담당했고 기획 업무도 했었습니다. 좀 더 백엔드개발에 집중하고 싶어 스프링부트와 JPA, AWS를 공부하고 회사에서도 공부했던 걸 적용하면서 아웃풋도 냈지만 회사에 JPA와 스프링부트를 제대로 사용할 환경이 되지 않아 이직을 선택하게 됐습니다. 중견기업으로 이직하게 되었고 이직한 회사는 채용공고와 다르게 전자정부프레임워크를 주로 사용하고 있고 AWS 혹은 JPA는 접해볼 기회가 없습니다.. 또한 업무 난이도도 쉬운 편이라고 판단됩니다.. 이직한 지 3일차 되는 날이라 너무 섣부른 판단이지만 서비스가 매력적이지도 않고 기술스택도 맘에 들지 않아 이대로 여기 있다간 성장하지 못할 것 같아 걱정이 너무 됩니다ㅠㅠ.. 좀 더 근무하면서 여기 있는 것이 좋을까요.. 아님 퇴사하고 다른 회사로 이직하는 것이 좋을까요...
개발자
#이직
#성장
#주니어백엔드
답변 1
댓글 0
조회 226
일 년 전 · aigoia 님의 댓글 업데이트
28살 비전공자인데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되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28살 생명공학 전공 취준생입니다. 22년부터 개인적인 시험 준비를 2년간 하다가 포기한 후 올해 초에 제 전공 관련 대기업에 지원해서 면접 탈락하고 진로 고민중입니다. 개인적으로 전공을 살려서 갈 수 있는 직무에 관심이 없어서 뭘 해야하나 고민하던 와중에, 주변 지인을 통해 개발자 직무에 관심을 가지게 됐고 며칠간 찾아보면서 관심이 생겼습니다. 예전부터 애플 사이트처럼 참신하게 사이트를 구성하는걸 보면서 신기하고 감탄했던 적도 있었고, 개인적으로 수리나 추리문제를 푸는 걸 즐기기도 해서 프론트엔드 개발자 적성도 어느정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새로 뭔갈 배우는걸 싫어하지도 않고요. 알아보니 비전공자가 개발자가 되기 위해선 1. 채용연계형 부트캠프(ssafy, 우테캠, KT AIVlE스쿨, 현대소프티어 등등)를 수료해서 채용연계 혜택을 누리는 것과 2. 독학..으로 가고싶은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를 공부하고 기술스택?을 쌓아서 코테보고 들어가기 이 두 가지 방법이 있을 것 같은데요. 사실 대학 졸업하고 시간이 많이 지나기도 했고, 부트캠프가 필수가 아니라고 하니 불안정한 상태를 길게 기져가는 것보다 차라리 빨리 준비해서 어디든 들어가 경력을 쌓는게 맞지 않나? 하는 생각이 많이 드는 상태입니다. 채용공고에서 신입 채용 조건인 HTML, CSS, 자바스크립트 등등.. 혼자 독학하려면 엄청 힘든 과정이 있을 것 같습니다. 당연히 제 인생이니 선택은 제가 해야겠지만, 저와 비슷한 고민을 해보셨거나 또는 현직에 계신 분들은 보다 현명한 조언을 해주실 수 있을 것 같아 이렇게 긴 글 작성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프론트엔드-취준
#프론트엔드
#부트캠프
답변 1
댓글 6
조회 321
10달 전 · 정지우 님의 새로운 답변
(Java) '연봉/워라벨은 좋으나 레거시한 기술스택 회사'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나름 큰 기업의 오퍼를 받았습니다. 연봉 및 워라벨은 나름 좋은 편입니다. IT 총판사라고 합니다. 근데 사용하는 기술스택이 Java, 스프링 프레임워크, 전자정부 프레임워크, Vue.js 등이며, 지원자격에 JSP, JQuery 개발경험 등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B2C기업, JPA사용 등 조건의 IT회사에 가고싶지만 당장 코테도 준비가 안되어 있어서 원하는 방향의 좋은 기업은 못가고, 코테를 보지않는 괜찮은 기술스택 회사 위주로 알아보고 있긴 합니다만,, 연봉/워라벨이 발목을 잡네요ㅠㅠ (비슷하게 금융권SI도 최신의 기술 스택위주는 아닌 것 같네요) 현재 SI 3년차인데, 여러분들이라면 어떻게 하실 건가요? 조언이나 경험공유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투표
개발자
#java
#백엔드
#jsp
#전자정부프레임워크
답변 7
댓글 0
조회 1,980
일 년 전 · 프레드윰 님의 새로운 답변
대학생 4학년 (여름방학-졸업) 질문
안녕하세요, 여름방학을 맞이한 대학교 4학년 대학생입니다 현재 앞으로 무엇을 해야할지 참 고민이 되어 질문 드립니다. 현재 벡엔드 기술스택을 희망하고 취업을 원하고 있는데요. 현재까지 프로젝트 경험은 이번에 졸업작품 하면서 처음 해봤습니다. 개인적으로 만든 토이프로젝트나 사이드프로젝트도 없습니다. 공부를 하면서 지식은 쌓았으나 이를 토대로 뭐 프로젝트를 만든 경험이 없는데요. 그래서 이번 여름방학부터 졸업할때까지 무엇을 해야할지 고민입니다. 부트캠프, 혹은 국비교육을 들어서 프로젝트 경험을 쌓을지 아니면 이러한 교육 말고 혼자 혹은 프론트쪽 친구와 함께 자체적인 프로젝트를 한번 여러개 제작을 해보는게 좋을지 선택의 기로에 있습니다. 이시기를 이미 거쳐 가신 선배님들의 조언이 궁금합니다.
개발자
#취업
#백엔드
#spring-boot
#부트캠프
#국비교육
답변 1
댓글 0
조회 123
10달 전 · J.H Lee 님의 새로운 댓글
9년차 sm만하던 개발자가 서비스 기업으로이직할수있을까요?
서비스기업으로의 이직을 원하는 30대중반프리랜서 입니다. 처음에 취직한다고좋아했는데 그냥 생각없이 일하고보니 벌써9년이나 지나가버렸네요.. 요즘 개발에대해 하던것만 하니 현타가 오던중 우연히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기업문화와 성장에 대한 내용들을 보다가 서비스기업으로의 이직을꿈꾸게되었습니다. 하지만, 연초부터 조금씩 지원했다가 서류탈락하는 모습을 보고 충격을먹었습니다. 네.. 그동안 커리어가 꼬인줄도모르고 일을했었다가 이 사단이 나버렸네요..그래서 서비스기업에서 필요한 역량이 뭘까 찾아보니 해당연차에는 cs지식, 개발실력은 당연한거고 거기에 쿼리튜닝,설계능력괴 주니어개발자들을 이끌수있는 능력을 많이 보는데 제가 그동안 유지보수만해서 설계를 해본적이 한번도 없고 쿼리튜닝또한 해볼기회가 많지않았고 그동안 혼자서개발을해왓었기때문에 누군가를 이끌어본 경험도 많지않습니다. 그렇다고 요즘 자주 등장하는 aws? 도커? 레디스? 카프카? 대용량처리경험? 테스트코드 작성? 이런 스택들을 도입하지않은 프로젝트고 내부망이라 해당 스팩들을 도입하기가 힘든 환경이라 이런것들을 업무적으로 경험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제가 나이도있고 프리경력이 많다보니 이렇게 시간이 가면 갈수록 대기업, 스타텁은 고수하고 요즘 기술스택을 사용하는 솔루션 회사도 못갈꺼 같은 두려움이 듭니다.. 요즘 거짓말로 이력서를 쓰면 안되지만 해도 좋으니 그렇게라도 써서 면접이라도 가고싶은 마음이 간절합니다. 이런 스팩을 가진 개발자가 서비스기업으로 이직을 할수있을까요? 이대로그냥 제2의 직업을 찾는게 좋을까요? 만약에 갈수있다면 무엇부터해야할까요?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경력이직
#이직고민
#백엔드
답변 1
댓글 1
추천해요 1
조회 436
일 년 전 · 프레드윰 님의 답변 업데이트
신입개발자입니다..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10인 미만 중소 기업에 취업한 한달이 채 안된 신입 개발자(비전공, 국비)입니다. 저희 회사는 헬스케어 제품을 개발하여 만드는 제조업 벤처 회사(정부 과제를 주로 하는)입니다. 그런데 이곳에서 저는 스마트 헬스기기의 관리시스템 서버를 운영, 유지보수 하는 일이 제 업무입니다. (외주업체에서 개발해준 시스템을 제가 맡아서 운영해야하는 업무) 아직 상용화도 되지 않은 시스템입니다.(상용화가 될지 안될지도 모르구요) 저는 백엔드로 입사했는데 막상 와보니 개발보다는 운영관리 쪽인것 같아 빠르게 나오고 싶지만 백수로 3년 정도 있었던 지라 당장 돈도 급하고 해서 일단 다녀볼까 하며 갈팡질팡하고 있습니다. 회사에 개발자라고는 cto 분과 저 둘밖에 없어서 개발자로서의 성장 가능성도 안보이고, 회사가 개발쪽이랑은 거리도 먼거 같아서 어느정도 있다가 나와야할지 모르겠습니다. (cto 분이 저한테 질문하세요ㅠㅠ 진짜 몰라서 하시는 질문입니다. 신입 테스트용이 아니에요) 그나마 회사 장점이라면 너무 뭐가 없어서 정말 다 해볼 수 있다는거...? (이 부분도 뭘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이러다가 물경력 되어 이직하기도 무척 어려울것같고...ㅜㅠ 요새 취업 시장이 어렵다지만 아무렴 이런 곳 보다는 나을것같기도 하고... 또한 직원들끼리 사이는 좋은데 월급이 종종 밀린다는 이야기도 있어서 더 두렵고 불안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계속 다니는게 맞을까요? 회사가기가 너무 싫습니다......밤에 울면서 잠들어요..... 안먹던 불안 완화 약까지 찾아먹게 되네요... 여길 다니면서 포폴과 자격증을 쌓아 빠르게 이직하는게 좋을까요? 연봉은 3천 초반입니다. 나이가 28이라 시간이 가면 갈수록 마음이 무척 조급해져서 불안함이 무척 커지더라구요. 잘못 하면 인생 꼬일것같아서 더 두렵습니다. 제가 아무것도 못하는 사람처럼 느껴져요..... 개발이 제 진로랑 맞는지도 모르겠구요.... 업무 프로젝트가 제 기술스택이랑도 달라서 거의 지피티에 의존하면서 구글링하고 있습니다ㅠㅠㅠㅠㅠ이것도 현타가 오더라구요 (백엔드가 아닌 거의 프론트 위주....) 원래 실무는 다 이런건가요? 많이 혼란스럽습니다..... 인생 선배님들! 마음을 다잡을 수 있도록 따끔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개발자
#이직
#신입
#중소기업
#개발자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294
일 년 전 · cozy 님의 답변 업데이트
Java Servlet 공부해야하는가
안녕하세요 자바공부를 끝내고 백엔드에 관심이 생겨 spring 공부를 하려는 컴공과 3학년 학생입니다 학교에서 전공공부를 진짜 겉핣기식 으로해서 지금 cs지식도 없고 프로젝트도 없고 학년도 높고 기술스택도 없어서 굉장히 많이 늦었다 생각합니다 Spring 공부를 바로 하려는데 어떤분들은 jsp servlet 공부를 먼저 하라고 하십니다 Spring boot 김영한님의 5시간짜리로 전체적인 청사진을 보여주는 무료강의를 들어보니 이해가 어렵습니다 그러면 servlet을 먼저 공부하는게 맞겠지요?? 아니면 시간이 없으니 김영한님의 spring강의로 바로 넘어가야할까요??
개발자
#백엔드
#java
#servlet
답변 1
댓글 1
조회 150
일 년 전 · 백승훈 님의 답변 업데이트
프론트엔드 개발자 부트캠프 고민 중 입니다..
안녕하세요 프론트엔드 개발자를 준비하고 있는 1인 입니다. 요번에 운좋게 부트캠프 2개를 붙어서 결정을 해야 하는데 어떤게 더 좋은지 모르겠어서... 질문 남깁니다.. 1. 유데미 웅진씽크빅 풀스택 부트캠프 https://udemy.wjtb.co.kr/event/id/244?utm_medium=paid&utm_source=googleads&utm_campaign=nnt_traffic_bootcamp-KDT_SA&utm_content=id_244&utm_term=240409&gad_source=1&gclid=Cj0KCQjwxeyxBhC7ARIsAC7dS3-3gWAFIN_KxCxPxMz3BPiXaYOnJAtTtj8mtwbt_lJ_lhrhksM5DKwaArdtEALw_wcB 2. 이스트소프트 오르미 프론트엔드 부트캠프 https://estfamily.career.greetinghr.com/o/108906 이렇게 2개를 붙었는데 뭐가 더 좋을까요..? 유데미 웅진씽크빅 풀스택 기술스택 - Html, CSS, Javascript, React.js, Java, Spring, MySQL, AWS 이스트소프트 부트캠프 기술스택 - Html, CSS, Javascript, React.js, Redux, TypeScript, GitHub, Figma 입니다. 둘 다 온라인강의가 기본베이스고 유데미는 오프라인 모임도 진행을 한다고 합니다. 유데미는 신청할 때 프론트엔드 백엔드 풀스택을 고르라고 해서 프론트엔드를 골랐는데 교육과정만 보면 이스트소프트가 맞는거 같은데 어떤걸 선택해야할지 잘 모르곘습니다 ㅠㅠ 도와주세요..
개발자
#부트캠프
#유데미
#오르미
답변 1
댓글 0
조회 340
일 년 전 · 박정환 님의 답변 업데이트
30중반 주니어 개발자 조언을 구합니다.
전문대졸에 IT전공이고 현재 IT경력은 인턴까지 포함해서 총 2년 11개월, 약 3년 되어갑니다. 그중 6개월은 인턴경력이고 1년은 spring framewokr기반 SI개발 나머지는 현재회사 경력입니다. 그전에는 다른일을 했었습니다. 현재 회사에서는 kafka, snowflake등과 같은 솔루션을 포함하는 SI회사입니다. 입사할때 kafka쪽 신사업진행중이라고 java도 쓴다고하여서 들어왔는데 막상와보니 처음에 얘기한것과 다르게 해당분야 경력자분도 없으시고, java는 쓸일이 없는거 같았습니다. 입사하고 현재까지 한거라곤 kafka 관련 자격증 2개 취득, 그외에는 그냥 공부와 영업일보조? 같은 일을 하였고, 일이 계속없다보니 다른팀 업무라도 시킬생각인지 해당 팀업무를 따라다니면서 조금씩 배우고 있습니다. 맡게되는 업무들이 원하는 업무도 아니고, 일도없다보니 1년 조금넘은시점부터 이직을 위해서 다시 공부하면서 간간히 이력서를 넣고 있긴한데 너무 막막해서 조언을 구할까 하여 글을 써봅니다. 현재 저의 스펙을 정리하자면 1. 전문대졸(3년) , 현재 학점은행제 학사 진행중 2. 정보처리기사, sqld, ocp11g, kafka관련자격증2개 3. 기술스택은 : java, spring framework기반 웹개발에 관련된 기술 조금, db조금, kafka 기초 개념 + linux 설치정도 해본 상황입니다. boot는 배포까지 책보고 한번 따라해본정도입니다. 4. 코테는 예전에 2레벨 반정도 겨우 풀수있는 수준이었고 지금은 1레벨까지는 풀수있을듯합니다. 질문은 1. 제가 이력서 쓰는걸 어려워해서 취업준비할때 기간이 항상 길어졌는데 돈을내고 도움을 받는게 좋을까요..? 받아야 한다면 추천해주실만한 곳이있으실까요.. 2. 현상황에서 코테를 우선적으로 파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spring 쪽 프로젝트를 간단하게라도 만드는게 도움이될까요. 3. 만약 제입장이라면 무엇을 우선적으로 하실꺼같으신가요? 4. 힘든일이나 어려운일이 있을떄 어떻게 스스로를 다스리시나요? 제가 글을 잘 못쓰는편이라 제가 전달하고자하는 내용이 전달되었는지 잘모르겟습니다. 취직준비할때마다 저보다 잘하는사람은 너무많고 회사에서 요구하는사항은 점점 늘어나고 하다보니 진짜 어떻게 해야될지모르겠습니다. 최근에 경력과 이직생각 떄문에 스트레스가 심하게와서 탈모증상도 오고 공황도 오더군요.. 쓴소리도 달게 받겠습니다. 한마디라도 좋으니 조언 부탁드립니다. 두서없는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이직
#커리어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1,162
4달 전 · Katie 님의 답변 업데이트
국비 수료후 취업이 힘들어 다른 직종으로 변경해야하나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고졸 비전공자 26 남 입니다. 23년 12월 국비 수료후 4개월간 개인사정이 있어 공백이 있었고 어느정도 해결된 뒤 다시 개발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국비 학원에서 배운 스택은 안드로이드 앱개발 + servlet 기반 웹 개발이고 해당 기술로 프로젝트 진행해서 포트폴리오를 작성했습니다. 수료했을 당시에도 취업시장이 좋지않았고 신입에게 요구되는 기술스택 또한 학원에서 배운 기술로는 많이 부족하다 생각해서 추가적인 학습이 필요하다 판단했습니다. 그래서 spring boot, jpa, 타임리프를 기반으로 한 개인프로젝트 진행 후 jwt, aws, ci/cd 까지 학습을 목표로하고 기술을 활용한 프로젝트 진행, 포트폴리오에 추가 그리고 이력서 지원하는 전략으로 계획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제가 학습을 목표로 한 기술스택을 보유한 신입도 취업이 힘들다는 얘기를 보았습니다.. 중요한 건 화려한 기술스택이 아닌 얼마나 깊이있게 이해했는지가 중요한 건 저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치만 학습을 마치고 이력서를 보완한다고 한들 취업에 성공할 수 있을거라는 희망적인 미래가 보이지않기때문에 동기부여도 잘 안되고 다른 직종을 알아봐야하나 고민입니다.. 솔직히 개발에 재능이 있는 지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사고하는 걸 좋아하고 복잡한 고민끝에 작성한 코드가 제 의도대로 동작하는 모습이 좋습니다.. 학원에서 수업도 재미있게 들었고 "왜 이제야 개발공부를 했을까? 진작 해볼걸" 라고도 생각했습니다.. 좋아하면 계속 그냥 하면 되는 거 아닌가 싶습니다만.. 나이도 제법 먹고 이뤄낸 것이라곤 군복무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하루하루 초조하고 뭔가 이뤄내고 싶다가도 암울한 미래에 사기가 떨어지네요.. chat gpt 가 나온 이후로 신입의 일자리가 많이 사라진 지금. 지금이라도 다른 직종을 알아보는 게 좋을까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착잡하고 불안한 마음에 다소 부정적이고 정신없게 글 작성한 거 같아 죄송합니다. 😭 진심어린 조언 해주시면 감사하게 듣겠습니다. (추가적으로 개발 공부를 쭉 하는 방향을 추천 하신다면 어떤 공부를 어느정도 깊이로 해야하는지 방향을 잡아주셨으면 합니다.. 현재 spring boot + jpa 활용해서 개인프로젝트 개발 계획중입니다. 간단한 crud는 가능한 정도로 학습했습니다.)
개발자
#고민
#직종변경
#비전공자
#고졸신입
답변 3
댓글 0
추천해요 3
조회 1,953
19일 전 · 7900X 님의 답변 업데이트
CHAT GPT의존도가 너무 심한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국비6개월 수료하고 취업한 3개월차 신입개발자입니다. 첫 직장을 스타트업에서 시작하는 바람에 생신입인데도 불구하고 DB설계업무부터 시작해서 API설계는 물론, 성능개선이라거나 새로운 기술스택도 제가 도입해야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GPT의 도움을 정말 많이 받았는데 이제는 GPT가 없으면 일을 못할 정도입니다. 저의 코드리뷰가 깊이가 없다는 피드백을 받았는데 GPT에게 리뷰를 부탁해보니 저의 시야보다 너무 넓은 리뷰를 해주는걸 보고 약간 좌절감을 느꼈습니다. 저의 개발 방향이 잘못된걸까요 GPT의존도를 줄이고 저 자신의 실력을 키우는 시간을 가져야할까요? 아무래도 기본기를 공부한 시간이 많이 부족한데 곧바로 1인분하는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 편법을 자주 사용했고 너무 의지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개발자
#gpt
#신입
답변 4
댓글 0
조회 1,657
일 년 전 · 김기현 님의 새로운 댓글
부트캠프 수료까지 3주.. 현업 선배님들의 취업 조언이 필요합니다
현재 부트캠프 프론트엔드 과정을 듣는 코린이입니다 개발을 시작하기 전 영상제작 / 디자인 업계에서 3년정도 일을 했었어서 자연스럽게 프론트엔드를 선택하게 되었고 현재 부트캠프 마지막 프로젝트를 마무리 하는 과정에 있습니다. . 이제 취업이 점점 현실로 다가오면서 걱정이 많이 생겨서 몇 가지 궁금했던 내용들을 질문으로 남겨 봅니다..! 현업 선배님들의 현실 꿀팁 부탁드립니다! 1. 신입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취업할 때, 부트캠프 출신이라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노하우가 있을까요? 2. 현재 React, TypeScript, Zustand 를 사용한 프로젝트를 하고 있는데 기술스택이 현재 시장에 적합한가요? 3. 프로젝트 기획(S.A 작성, MVP 설정) + 개발 + AWS 배포 + 2~3주간 유저테스트 까지 FE 3명, BE 3명 디자이너 1명이서 진행중인데 이러한 프로젝트가 강점으로 작용하나요? 4. 현업 선배님들이 신입을 채용할 때 < 이거 있으면 눈길이 간다! > 하는 이력서 항목이나 스킬이 있을까요? ** 많이 부족하지만.. Github 링크도 첨부해봅니다 https://github.com/Dustyspac
개발자
#react
#프론트엔드
#신입
#부트캠프
#취업
답변 1
댓글 1
조회 161
일 년 전 · 김하늘 님의 답변 업데이트
프로젝트 메인스택 선정 기준(react vs next.js)
안녕하세요. 입사 7개월차인 주니어 프론트엔드 개발자입니다. 사수가 없는 작은 스타트업에서 일하고 있는데, 이번에 새로운 프로젝트가 들어가면서 메인스택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고민이 됩니다. 1. 채팅 기능이 메인 2. 장기적으로 추가 기능 계속 들어갈 계획 nextjs가 csr ssr 모두 확장성이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reactjs 혹은 nextjs로 스택을 분리해서 기술스택을 선정한다는게 의미가 없어보이는데, 그러면 매번 프로젝트 할 때마다 nextjs면 만사해결! 이라는 느낌이 들어서요. 다른 분들은 메인스택을 어떻게 선정하시나요?
개발자
#react
#next.js
답변 1
댓글 0
조회 218
일 년 전 · HypeBoy 님의 새로운 답변
물경력이 되버린것같은데 좋은 곳으로 이직을 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대학생때랑 취준생 때 여러 언어를 해봤지만 자바가 제일 취향이라서 자바 웹개발자를 하고 있습니다. 지금 회사랑 저번 회사랑 합쳐서 2년 7개월 정도 다녔는데요. 저번 회사는 3개월정도만 다녔으니 그렇다 쳐도, 지금 회사에서는 제가 속해있는 개발 팀에 배당된 프로젝트가 구축보다는 운영 위주인게 많다보니 제가 진행한 프로젝트 목록에는 같은 프로젝트인데 연도마다 새로 계약한 프로젝트가 많습니다. 운영업무라 매년 동일한 업무만 하다보니 기술경력서에 제가 이런걸 했습니다.라고 적기엔 미묘한것같습니다. 특히 그런 프로젝트 중 하나는 그 프로젝트만 쓰는 고유 orm 비스무리한 기술이 있는데 그런 특수성이 발목을 잡는것같습니다. 자바 버전도 1.7을 많이 쓰고 간혹가다가 1.8을 써도 기존 서비스들을 유지보수 하지 새로운걸 만들일이 없어서 이제는 옵셔널이나 스트림 사용법도 가끔 기억이 안 날때가 있습니다. 게다가 기술스택도 애매해져서 자바, 스프링, 자바스크립트, 플러터, 코틀린, 마이바티스라서 제가 이제는 무슨 개발자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같은 일만 하다보니 그런 일들은 숙련되서 칭찬받다보니 나태해져서 공부도 반년정도 쉰 적이 있습니다. 지금이라도 정신차려서 jpa라도 공부하고 있긴하지만 너무 늦었나라는 생각에 두려움을 느끼고 있습니다. 현실 지인들은 너는 잘한다. 기술 스택이 부족한건 채우면 된다. 일단 부딪혀라. 그렇게 얘기하긴 하지만 제 스스로에게 확신이 서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런 저라도 개발자로서 사용하고 싶은 기술이 있고 만들고 싶은 서비스가 있고 꿈이 있기 때문에 지금이라도 정신차려서 준비하려고 합니다. 푸념에 가까운 긴 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혹시 좋은 곳으로 이직하신 선배님들은 어떻게 용기를 얻어서 노력을 할수있었고, 이직을 준비하는 방법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이직
#물경력
답변 3
댓글 2
조회 752
일 년 전 · 김태민 님의 새로운 댓글
SI 프론트엔드 개발자 커리어 고민
안녕하세요. 중소si에서 일하고 있는 20대 중반 프론트엔드 개발자고, 리액트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는 올해로 6년차가 되었고 성장이 정체되고 있다는 생각과 좋지않은 처우 때문에 서비스 기업으로 이직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우선 저희 회사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프론트엔드 시니어는 계시지않고 오로지 혼자서 성장 해야하는 구조입니다. 기술스택은 리액트를 사용중이니 괜찮고, si 특성상 단순 반복성 업무가 많습니다. 두서가 길었는데요, 저는 단발성 프로젝트를 주로 했고 간단한 기능 수정, 요구사항 추가에 따른 추가 개발 및 개선과 대시보드, 모니터링 화면 개발을 주로 했습니다. 반복된 업무로 인해 업무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것도 없고 간단한 업무 위주다보니 그 중요하다는 문제 파악, 해결을 해본 경험 또한 없습니다. 있어봐야 대시보드, 모니터링 화면 로딩 속도 단축과 성능 최적화가 있겠네요. 저연차때 트러블 슈팅을 해본 경험이 있을 수도 있지만 아무것도 기억나지않습니다. 메모하는 습관을 들이지 못한 저의 잘못이죠. 그래서 지금 이력서엔 프로젝트별로 적어놓은 단순 업무 내용, 대시보드 개발, 모니터링 화면 개발, 공통컴포넌트 및 모듈 개발, 소규모 프로젝트 리드 경험 내용.. 그리구 진행하고있는 토이프로젝트가 있습니다. 정말 별 볼 일 없는 이력서라고 생각합니다. 5년이 넘는 세월동안 대체 어떤 것을 해온건지 그저 한탄스럽기만 합니다. 저는 서비스 기업으로 이직을 희망하고 있는데 그 흔한 트러블슈팅 경험도 없습니다. 이 상황에서 제가 준비할 수 있는 게 뭐가 있을까요? 사이드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기는 문제에 대해 트러블슈팅을 해보고 이력서에 추가해야할까요? 지금은 현재 일하는 분야와 다른 기업으로 이직해서 경험을 더 쌓으려고 생각하고 있는데요, b2g 솔루션 기업에 지원한 상태이고 최종결과만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입니다만, 이 기업은 약간 si, 솔루션 반반입니다. 만약 최종합격한다면 경험을 더 쌓을 생각으로 다니려고 하는데요, 좋은 생각일까요? 코테를 준비하라는 말들을 많이 찾아볼 수 있던데, 붙어도 면접에서 말할 게 없어서 불리할 것 같은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생각할 수록 머리가 복잡해져서 방향을 못잡겠습니다. 방향을 어떻게 잡아야할지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si
#커리어
#이직
답변 2
댓글 3
추천해요 8
조회 2,0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