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러닝

질문 29
해시태그 없이 키워드만 일치하는 질문은 개수에 포함되지 않아요.

2달 전 · 준용 님의 질문

머신러닝,딥러닝을 사용한 석사경험으로 취업준비를 어떻게 할까요?

안녕하세요. 저는 지금 대학원에서 의료영상을 보고 질병을 진단하는 모델링 연구를 진행중인 석사과정생입니다. 위 연구실은 의료영상 자체에 관심이 많은 랩이고, 딥러닝과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연구하는 순수 AI랩은 아닙니다. 저는 머신러닝(SVM.XG-Boost,Random forest)와 같은 기법들부터 시작해서 Transformer,GNN,GAN,ResNet과 같은 딥러닝 모델을 제 데이터에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중입니다. 요지는, 과연 위 모델들을 사용해본 경험으로 취업이 가능할까요? 제가 아직 이 분야에 대해서 자세히 알지는 못하기 때문에 드리는 질문이지만, 알고리즘 자체를 개발하는 엔지니어가 되어야 취업이 되는것은 아닌지 불안해서 여쭤봅니다. 아마 이 문장으로 제 질문이 요약될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딥러닝,머신러닝 모델에 대해서 이해도가 높고 잘 쓰는 사람 VS 딥러닝,머신러닝 알고리즘을 만들어본 사람 회사 입장에서는 어떤 사람을 선호할까요???

개발자

#딥러닝

#머신러닝

#석사

#취업

답변 0

댓글 0

조회 87

6달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신입 웹개발자의 커리어 전환과 로드맵 설계에 대한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일본의 직원 수 약 500명 규모의 SaaS 관련 벤처기업에서 웹개발자로 근무 중인 학부생입니다. 현재 학부 4학년으로 인턴 신분이며, 3개월 차에 접어들었습니다. 정직원 전환이 확정된 상태이지만, 앞으로의 커리어와 성장 방향에 대해 고민이 많아 조언을 구하고자 합니다. 현재 상황 1. 근무 환경과 업무: 저는 Ruby on Rails(백엔드)와 Vue.js(프론트엔드)를 사용하는 웹개발팀에서 주로 백엔드 업무를 맡고 있습니다. 필요 시 프론트엔드도 다루며, 주로 회사 프로덕트의 버그 수정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에서 원격으로 근무 중이며, 팀 내에서 저만 원격근무라 즉각적인 질문 및 피드백을 받기 어렵고, 회사의 분위기를 파악하기도 힘든 상황입니다. 2. 전공 및 경력: 전기정보공학과를 졸업 예정으로, CS 전공자라고 보기엔 애매한 학과 출신입니다. 이전에는 컴퓨터 비전, 딥러닝, 머신러닝, LLM 등 웹개발과는 관련이 적은 분야에서 프로젝트를 경험했으나, 웹 개발 경험은 전무합니다. 3. 지식 및 준비 부족: 취업 준비 없이 바로 회사에 입사했으며, 현재 CS 지식, 웹 개발 기본 지식, Ruby on Rails와 Vue.js 같은 프레임워크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한 상태입니다. 현재는 GPT, Claude, GitHub Copilot 등의 AI 도구를 사용해 주먹구구 식으로 업무를 해결하고 있지만, 이 방식에 한계를 느끼고 있습니다. 4. 커리어 목표: 저는 현재 백엔드 개발자로서 경력을 시작했지만, 장기적으로는 머신러닝 엔지니어나 데이터 엔지니어로 전환하고 싶습니다. 그러나 현재 웹 개발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해 커리어 전환은 커녕, 현재 맡은 업무조차 비효율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5. 불안한 점: 팀원들과의 거리가 느껴지는 원격 근무 환경에서, 사내 분위기 파악이 어렵고 실질적인 피드백을 받기 힘들어 성장 속도가 느리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업무 수행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저는 다음과 같은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1. 현재 맡은 업무를 더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어떤 기술이나 지식부터 학습해야 할까요? 2. 백엔드 개발자로서 기본기를 다지는 동시에, 머신러닝/데이터 엔지니어로의 커리어 전환을 준비하기 위한 로드맵은 어떻게 설계해야 할까요? 3. 회사 업무와 병행하며, 원격근무 환경에서도 효율적으로 공부하고 성장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경험 많으신 개발자분들의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주니어개발자

#주니어의고민

#신입고민

#웹개발

#백앤드

답변 1

댓글 0

조회 208

6달 전 · HypeBoy 님의 새로운 답변

AI응용개발자 학습 루트

빅데이터를 전공하는 3학년 학생입니다. 사실 웹개발을 훨씬 배우고 빅데이터 관련 수업은 2개 정도만 있어서 잘 모릅니다. 종강하고 개강까지 딥러닝 이론 기초 부터 파인튜닝 등을 배우며 AI 응용 서비르 개발 및 클라우드 배포를 학습하고 싶은데 어떻게 학습하는 것이 가장 좋을까요??

개발자

#학습방향

#ai

#ai엔지니어

#대학생-공부고민

답변 1

댓글 0

조회 33

7달 전 · 백승윤 님의 새로운 답변

AI / 딥러닝 엔지니어) 얕고 넓은 기술 경험을 가진 엔지니어에 대한 인식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4년차 딥러닝-컴퓨터비전 엔지니어로 스타트업에서 근무중입니다. 저는 딥러닝이 아닌 다른 개발 분야로 전환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제게 주어진 업무 범위가 제 능력보다 넓어 커리어를 잘 쌓지 못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 상황은 컴퓨터비전 엔지니어로 입사했으나 강화학습, 시계열 업무를 여러 도메인에 적용하는 업무와 엣지디바이스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또한 4년차가 될 때까지 프로젝트 단위의 업무 경험은 비전, 강화학습 1건씩이며 나머지 시간은 잡무 또는 준비단계에서 엎어진 프로젝트들을 수행했습니다. 그래서 엔지니어로서의 업무 경험도 적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넓고 깊게 많은 것을 할 능력이 없고 주어진 시간 내에 결과를 내기 위해 기술과 도메인에 대해 수박 겉핥기식으로 익히고 업무를 진행하여 제 연차에 비해 역량이 많이 부족하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이직을 고민해봤으나 제 커리어 자체가 가치가 없다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어딘가에 들어가더라도 제 연차에 기대되는 역량을 보여줄 수 없을 것 같습니다. 현업에 계신 분들은 저처럼 한가지 기술을 깊게 경험하기보다는 몇 가지 기술을 얕게 경험한 엔지니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시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딥러닝

#업무범위

답변 1

댓글 0

조회 215

8달 전 · 홍세준 님의 질문 업데이트

현재 대학교 자동차 학과에 다니면서 sw개발자에 관심이 생겨 공부를 하고 진로 방향성을 정하고싶은데 전공을 살리는게 sw개발자되는길에 도움이 되는 방법이 있을까요?

현재 대학교에서는 자동차공학을 전공으로 다니고있습니다. 최근들어 코딩에 관심이 생겨서 코딩 c언어를 공부하고있는데 코딩이랑 전공을 살려서 진로를 정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자동차 공학이랑 코딩이랑 연관성은 있어보여서 찾아봤을때 나오는게 많이 없습니다. 그래서 현재 고민이 과연 전공을 살려서 sw개발자가 되는 길이 있을까? 입니다. 자동차 회사에 개발을 현업으로 하시는 분들은 어떻게 생각할지 궁금합니다. 차라리 전공을 버리고 코딩에 집중해서 굳이 자동차 회사가 아니더라도 여러분야 개발자로 취업하는게 좋을까요? 그리고 현재 c언어를 공부하고있는데 알고리즘 딥러닝 기술 혹은 컴퓨터 그래픽 기술, 게임개발 기술 등을 배우면 좀 더 취업에 도움이 될까요? 마지막으로 자격증이 있으면 좋다는 말을 들었는데 자격증 정보처리산업기사 자격증을 따는게 좋을까요? 궁금합니다..

개발자

#취업

#대학교

#대학생

#공부고민

#방향성

#진로

답변 0

댓글 0

조회 49

8달 전 · 조용주 님의 질문

앱 개발자 취업에 대해 궁금합니다!

지금 대학교4학년 25살 남 졸업 예정자 입니다. 취업에 대해 많은 고민이 있습니다. 일단 제가 하고 싶은건 프론트엔드 개발자입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해 왔던 프로젝트 총 3개가 안드로이드 앱 프로젝트 입니다. 1. 카카오와 관광공사 공모전에서 장려상을 받았으며 이 프로젝트는 지도를 이용하여 자신이 지니고 있는 알레르기릉 통하여 음식점을 추천해 주는 어플입니다. (스토어에 출시까지 해봤습니다.) 2.3은 한이음 참여한것 입니다.(상x) 2. 딥러닝을 이용한 회인식 어플을 만들었습니다. (스토어에 출시까지 해봤습니다.) 3. gpt기반 챗봇 아파트 가격 알려주는 어플 만들었습니다. 이런 상황이라 앱 프론트엔드 쪽으로 가면 어떨까? 라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프로젝트에서 사용한 기술은 flutter, RN입니다. 가지고 있는 자격증은 정처기(필기)이며 실기 공부 중입니다. 이렇게 준비 해봤는데 어떤식으로 준비해봐야하나요.. 졸업하고 좀 빨리 취직하고 싶은데 괜찮을까요? 더 준비를 해야하는 상황일까요??

개발자

#취업

#취업고민

#flutter

#react-native

#앱개발자

답변 0

댓글 0

조회 56

8달 전 · 백승윤 님의 답변 업데이트

추천시스템 공부 고민

안녕하세요, 데이터사이언티스트를 목표로 하고 있는 수학과 3학년 학생입니다. 최근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추천시스템 구현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 이 분야의 기초를 다지고자 공부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현재 스터디를 계획 중인데, 추천할 만한 책이 있으시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특히, 제 경우 머신러닝과 딥러닝 지식이 많이 부족한 편인데, 어떤 부분부터 공부를 시작해야 할지 조언해 주신다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

#추천시스템

#데이터사이언티스트

#딥러닝

#머신러닝

#데이터분석가

답변 2

댓글 0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1,764

9달 전 · 유연 님의 질문

자연어처리 VS 이미지처리

이제 공부를 시작하는 입장에서 자연어처리와 이미지처리 중 어떤 분야를 가고 싶은지에 대한 것을 미리 정해야한다는 조언을 받았습니다 여기서 문득 생긴 궁금증이 있습니다 자연어처리를 하는 직무에서 이미지처리를 하는 직무로 변경하는 것이 뿌리부터 바꿔야할정도로 많이 다른 분야일까요? 1. 이미지처리 쪽에 하고 싶은 분야가 있는데 이 분야가 딥러닝을 필요로 하는 것에 있어서 석사를 고려해야하는 것에 부담이 있습니다 2. 공기업 준비한다면 자연어처리가 더 나을 거라는 생각이 드는데요(금융권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걸 사기업과 공기업의 차이로 볼 순 없겠지만, 자연어처리와 이미지처리의 직무 이동을 고려한다면 거의 불가능이라고 봐야할까요?

개발자

#자연어처리

#이미지처리

#공기업

#사기업

답변 0

댓글 0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67

10달 전 · 유형근 님의 댓글 업데이트

신입 웹 개발자가 취업하기위해서 무엇을 준비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웹개발자로 취업을 희망하는 27살(남) 입니다 지방국립대 정보통신공학과로 졸업하였고 4학년 2학기때 늦은 입대로 관련지식은 거의 사라진상태에 어찌저찌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은 취득하였습니다 졸업 후 국비교육을 통해 빅데이터기반웹 양성과정을 수료하고 급전이 필요했던 개인사정으로 당시 지인추천으로 전공과 관련없는 계약직으로 배관설치 현장사무직으로 1년간 일을 하다 계약이 종료되고 또 다시 백지 상태가 되어 웹개발자로 취업을 희망하고있습니다 개발자가 되기위해선 개발블로그나 깃허브관리가 필수라 하기에 시작한지 이제 한달정도가 다되어가네요 예전에 국비를 통해 배웠던 jsp게시판만들기나 spring게시판만들기를 위주로 다시 복습하면서 개발블로그와 깃허브에 올렸습니다 하지만 요즘 it쪽 취업시장이 좋지않다고 하더군요... 학점은 3.0으로 솔직히 학창시절에 조금 놀았습니다 과거 학창시절에 졸업프로젝트로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한 ai 얼굴인식 딥러닝 프로젝트 말고는 적을 프로젝트가 아무것도 없더군요 회사는 학원처럼 배우는곳이 아니기에 1인분은 하는 신입 웹 개발자를 구한다고 알고있습니다. 웹서핑을 통해 정보를 구하려고 하면 죄다 코딩학원광고?글 같은것뿐이고 딱히 도움되는 글은 없었던것 같습니다 정보가 부족하다보니 어떤것을 해야하는지 참 막막합니다.... 제가 생각하기엔 프로젝트나 수상경험이 없는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어떤 프로젝트를 추천하시는지 또 부족한점이 있다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신입

#웹개발

#웹개발자

#취업고민

답변 2

댓글 2

조회 646

10달 전 · 백승윤 님의 새로운 답변

인공지능 공부 순서 추천해주세요.

인공지능 관련 대학원을 진학하려고 하는 대학생입니다. 파이썬은 어느정도 다룰줄 알고 수학은 미적분, 확률 등등 배웠는데 선형대수는 아직 배운적이 없습니다. 머신러닝 -> 딥러닝 -> 이미지처리 -> 자연어처리 -> 생성모델 순으로 공부를 시작하려고 하는데 혹시 더 좋은 인공지능 공부 로드맵이 있을까요?? 대학원을 졸업하고 자율주행 쪽으로 가고 싶습니다!!

개발자

#인공지능

#대학원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475

10달 전 · 𝙍𝙞𝙘𝙝𝙖𝙧𝙙 님의 새로운 답변

데이터분석 세부 직무에 대한 고민을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저는 데이터 분석 직무를 목표로 하고 있는 수학 전공 및 소프트웨어 공학 복수 전공 3학년 학생입니다. R 프로그래밍 수업을 통해 데이터 분석에 흥미를 갖게 되었고, 통계적 방법론을 배워 데이터 분석에 접근하고자 수학과로 전과하여 공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데이터 분석 직무가 생각보다 매우 넓다는 것을 알게 되어 세부적인 직무를 결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데이터 분석 연합 동아리 활동을 통해 다양한 프로젝트를 경험하며, 선배들로부터 "자신이 데이터를 가지고 하고 싶은 일을 명확히 알아야 한다"는 조언을 많이 받았습니다. 최근 대시보드 제작 프로젝트를 통해 가설 설정 및 퍼널 분석에 큰 재미를 느꼈지만, 유저별 추천 시스템 모델을 구축하는 딥러닝에도 관심이 생겼습니다. 데이터 분석 직무의 JD를 찾아보면, 데이터 사이언티스트(DS), 데이터 분석가(DA), 프로젝트 매니저(PM) 등 해각각 요구하는 사항이 다르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이에 따라 저는 어느 직무를 선택해야 할지, 각 직무에 필요한 역량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고민이 됩니다. 1. 데이터 분석 직무 중 DS, DA, PM의 주요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2. 각 직무별로 요구되는 주요 기술 및 역량은 무엇인가요? 3. 저와 같은 상황에서 어떤 방향으로 준비를 하는 것이 좋을까요? 4. 직무를 선택하고 준비하는 과정에서 유의할 점이나 추천해주실 자료가 있나요? 경험과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

#데이터분석

#취업고민

#현직자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2

조회 268

10달 전 · 망망이 님의 새로운 댓글

제가 원하는 직무와 다른 쪽 공부한게 취업에 도움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현재 3학년 2학기을 마치고 휴학한 컴휴터공학과 학생입니다. 저는 원래 백엔드 엔지니어를 꿈꾸며 여러 사이드 프로젝트(기술 스택: node.js,spring,django)를 해보았고 앱개발(flutter)로 4개월 인턴도 했었습니다 현재 졸업까지 1년 반정도 남았는데요, 그 긴 시간동안 또 대학생들과 비슷한 프로젝트를 하는 것 보다는 ai,data, cloud 처럼 다른 분야를 공부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현재는 딥러닝과 데이터를 공부해보고 있는데, 제가 백엔드 엔지니어로 취업을 할때 이런 스펙이(교육 과정 이수 및 간단한 프로젝트) 의미 있을까요?

개발자

#스펙

#취업고민

답변 1

댓글 3

조회 266

한 달 전 · CL@Supercoding 님의 새로운 답변

컴공 취업 고민됩니다

컴공 재학중인 3학년입니다. 이제 취업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할 시기라서 걱정이 많습니다. 크게 잘 하는건 없지만, 웹이든 앱이든 만들어 보고싶다는 생각으로 컴공에 진학했습니다. 그런데 막상 다녀보니 분야가 생각보다 많고, gpt같은 인공지능 기술 때문에 개발자의 미래가 불안정하다는 말때문에 마음이 조급해 집니다. 웹/앱 백엔드 개발자를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 진로를 계속 가져도 될까요? 주변 친구들은 기ㅖ학습이나 fl, 딥러닝 같은 심화분야를 생각하던데 저는 그냥 무언갈 만들고 싶은 의지가 강합니다. 현직자 분들이 봤을때 gpt같은 서비스가 개발자의 입지를 많이 흔들까요? 대학생인 제가 백엔드 개발자가 되어도 미래가 불투명하진 않을까요?

개발자

#컴공

#취업

답변 2

댓글 0

조회 173

일 년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국가과제 R&D 개발자 경력 질문 있습니다.

스타트업에 원래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취업을 했으나... 사람들이 그만 두고 파이썬으로 R&D 국가과제를 진행하다보니... 패캠에서 딥러닝, 인공지능 강의 패키지를 회사에서 구매해주셔서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얼마전까지 퇴사를 해서 프론트엔드 길로 다시 가야되나 생각을 했지만, 파이썬과 R&D 국가과제로 오픈소스 실증/ 간단한 모델 개발이 재미를 느끼고 있습니다. 그래도 스타트업이다 보니 단점이 있습니다. 현재 개발자가 이사님 1분 그리고 저 1명 있습니다. 회사에서는 개발자 1명 더 공고내서 구한다고 말을 했습니다. 그런데 고민이 생겼습니다. 만약에 연구과제 종료 이후에 R&D 개발자는 나중에 이직이나 재취업시 힘들까요?

개발자

#r&d

#국가과제

답변 2

댓글 0

조회 72

일 년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부트캠프를 어떤걸 고르는 게 맞을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싸피에서 백엔드를 배우고 나중에 ai엔지니어나 mlops로 전환을 시도할지, 네이버 부스트캠프에서 ai프로덕션을 배워서 바로 ai엔지니어 취업을 노릴지 고민입니다. (대학원은 진학하지 않을 예정입니다.) 저는 어느 특정 도메인에서 딥러닝이 활용되는 것에 관심이 있습니다. 그래서 여태 딥러닝쪽 을 공부해오고 있었으나 취업이 너무 힘들어서 일단 백엔드를 배우고 나중에 기회가 되면 다시 ai엔지니어를 도전해보자 라는 생각으로 싸피에 지원했는데 합격을 했습니다. 그런데 막상 붙고보니 좀 아쉽더라구요... 싸피는 ai나 mlops 등을 가르치지 않으니 나중에 직무 전환이 가능할지 의심이 되기도 하구요. 하지만 금융 기업 등과 협력이 있으니 취업면에선 큰 강점이 있다는 게 끌리는 것 같습니다. (이 경우엔 ai쪽은 포기해야겠지만요) 그리고 네이버 부스트캠프 ai tech도 원래 관심이 있었는데 아직 모집중이라서 붙는다고 확신할 수는 없지만 일단 지원은 해놓은 상태입니다. 네부캠은 ai production을 배울 수 있으니 좀 더 끌리는 것 같지만 수료 후에도 취업이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이 걸립니다. 어떤 선택을 하는 것이 지금 시기에 현명할까요? 현재 취업 상황이 매우매우 안좋아서 모두가 어디든 취업해서 경력을 쌓으라고들 하십니다. 그래서 마냥 하고싶은걸 하기는 어려운 것 같아 결정하기 참 쉽지 않은 것 같네요... 선배님들의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개발자

#취업고민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253

일 년 전 · 기욱 님의 새로운 댓글

팀을 어떻게 이끌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뉴비 리드 엔지니어입니다. 근래에 데이터팀을 이끌게 되었는데 어떻게 이끌면 좋을지 모르겠네요.. 제 베이스는 머신러닝 엔지니어로 주로 논문을 보고 아키텍처나 트렌드를 익히는 세미나는 해왔습니다.. 지금 데이터 팀에서 데이터엔지니어까지 있는데 딥러닝 논문 세미나나 캐글을 하기엔… 무리가 있지 않나 싶네요..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뭔가를 해야할거 같은데.. 고민이 많아지는 나날들이네요

개발자

#초보자

#팀장

#데이터

답변 2

댓글 1

조회 195

일 년 전 · JSON 님의 새로운 답변

중소기업 딥러닝 개발자(비전공자)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전 현재 중소기업의 약 1년째 AI개발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SI회사여서 다양한 사업들을 하는데 yolo,bert 등등 제가 학원에서 일주일 배운 딥러닝을 통해 딥러닝 알고리즘들을 꾸역꾸역 해내고 있습니다. 근데 인공지능 개발자 인력이 저와 이제 들어온 신입뿐입니다. 1년동안은 어떻게든 야근 주말 공부로 어떻게든 진행이 됐는데 이제는 더이상 못버티겠네요. 위의 계신 분들께도 AI 경력자들을 뽑아달라고 계속 얘기했지만 지원지가없다, 지금까지 잘하고 있다.. 등등 모종의 이유로 1년째 들어오고 있지않네요. 지금 퇴사마음이 너무 커져서 퇴사하고자 하는데 선배님들의 충고 및 조언을 듣고싶습니다. 두서없이 얘기했지만 읽고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퇴사준비

#이직고민

#비전공자-개발자

답변 1

댓글 0

조회 88

일 년 전 · 유연 님의 질문

데이터 직무 종류?

데이터 관련 직무(데이터 분석, 머신러닝, 딥러닝, 인공지능 등)는 전부 개발자인 건가요? 데이터 분석에 관심이 있고 빅데이터분석기사를 준비해보려고 하는데요 빅데이터분석기사를 보면 개발자의 역량이 필요하진 않는다는 것을 느낍니다 빅데이터분석기사가 포함하고 있는 정도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직무는 없나요?(만일 있다면 태블로나 BI관련 필수 역량이 따로 있을까요? 어떤 것들이 있나요? 빅데이터분석기사는 시각화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서 시각화 부분에 취약할 것으로 보입니다)

개발자

#빅데이터분석기사

#데이터직무

#데이터분석

답변 0

댓글 0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132

일 년 전 · 남동욱 님의 새로운 답변

국비지원 없이 데이터 직무 취업 가능할까요?

저는 지방국립대 공대를 졸업했고 성적은 3.3이면서 프로젝트가 하나도 없는 사람입니다 정처기와 빅데이터분석기사를 준비하고 있고 adsp나 sqld를 가지고 있는데요 1. 이번에 국비지원으로 프로젝트 경험을 쌓으려고 하는데 저는 국비지원 과정 중 데이터분석 관련 기초 강의보다는 프로젝트만 하는 쪽으로 원하고 있어요 주변에 조언을 구했을땐 혼자 머신러닝과 딥러닝 공부를 하면서 캐글 대회를 준비하고 그걸로 프로젝트를 진행해서 취업준비를 하라고 하더군요(국비지원 말고요) 혹시 이렇게 하신 분이 계실까요? 2. 전 데이터분석직무를 원하는데 딥러닝까지 공부하기엔(조언으로 인해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 책으로 공부하려 합니다) 너무 부족할까요? 3. 텐서플로우나 파이토치 관련 경험이 전혀 없는데 혼자 하기에 충분할지도 궁금합니다 4. 사실 어느 정도의 프로젝트가 좋을지 잘모르겠어서 국비지원이냐 독학이냐는 생각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 커뮤니티는 무시하기 좀 그래서요...

개발자

#국비지원

#독학

#데이터분석

#머신러닝

#딥러닝

답변 2

댓글 0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330

일 년 전 · 배금일 님의 새로운 답변

머신러닝 딥러닝 공부

딥러닝 쪽을 배우려고 하는데 뭐부터 어떻게 공부해야될지 잘 모르겠어요 머신러닝 안에 딥러닝이 있는 걸로 아는데 머신러닝 먼저 공부를 해야될까요?

개발자

#백엔드

#머신러닝

#딥러닝

#머신러닝-공부

#딥러닝-공부

답변 1

댓글 0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76

일 년 전 · HypeBoy 님의 답변 업데이트

딥러닝 vs 머신러닝

아직 정확한 진로를 정한건 아닙니다. 희망하는 방향은 백엔드입니다. 딥러닝과 머신러닝 쪽을 희망하고 있습니다. 한부분으로 확실히 정하고 공부해야 할 것 같은데, 크게는 딥러닝 안에 머신러닝이 있다. 딥러닝은 머신러닝 보다 더 방대한 데이터를 가지고 더 깊은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머신러닝은 보다 얕은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딥러닝과 머신러닝의 확실한 차이와 실무에서 하는 직무가 어떤 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개발자

#백엔드

#머신러닝

#머신러닝엔지니어

#딥러닝

#딥러닝엔지니어

답변 2

댓글 0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149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ML과 AI에 대한 질문

지금까지 기획 및 UX에 대한 공부만 하다 최근 개발도 같이 공부하면서 질문사항이 생겼습니다. 1. 3-4년 전까지만 해도 머신러닝, 딥러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서 텐서플로우를 활용한 모델 생성등에 대한 프로젝트가 많았었는데 최근에는 ML을 통한 모델 생성보다는 구글, 메타, OpenAI등에서 만든 LLM이나 모델등을 이용해서 서비스나 회사에 맞게 튜닝하여 사용하는 추세인 것 같은데 혹시 맞을까요? 2. 온디바이스에서 텐서플로우의 모델을 사용한 개발 프로젝트 등이 현재 상황에서 포폴로서의 가치가 있을까요?

개발자

#머신러닝

#모델

답변 0

댓글 0

조회 55

일 년 전 · 백승윤 님의 답변 업데이트

인공지능 공부 순서 로드맵

최종적으로는 자연어처리를 배우고 싶은데 그럴려면 머신러닝이랑 딥러닝을 먼저 배워야겠죠? 원래 파이썬은 할 줄 아는데, 인공지능은 거의 수학이라는 얘기를 들어서 선형대수나 확률과 통계,미적분 같은 내용을 먼저 공부하고 나서 코드를 구현하는게 나을까요? 아님 머신러닝 알고리즘이나 관련 강의를 먼저 듣는게 나을까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인공지능

#ai

#공부방법

#머신러닝

#딥러닝-공부

답변 2

댓글 9

추천해요 7

조회 2,541

일 년 전 · 김민식 님의 새로운 답변

전공자 부트캠프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얼마전에 컴공 졸업했습니다. 취준을 하고 있는 상태이고 취준만 하기에는 시간이 아까워 부트캠프를 신청했습니다. 정부 기관에서 8개월간 진행하는 A와 유명 스타트업에서 7개월 정도 진행하는 B가 있습니다. 인공지능 모델 개발이 주관심이고 데이터 엔지니어링에도 관심이 있는 상태입니다. A에서는 기본 교육 이후 데이터 사이언스와 데이터 엔지니어링 분반으로 나뉘어지고 B는 데이터 사이언스만 교육합니다. A는 비전공자 수강생들이 전공자에 비해 훨씬 많고 B는 말로는 중급 이상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전공자가 더 많다고 합니다. A는 기업 연계 프로젝트가 가능하고 B는 딥러닝을 진짜 깊게 파고드는 것 같습니다. A와 B 중 어느 부트캠프를 듣는 것이 좋을까요?

투표

개발자

#부트캠프

#인공지능

답변 2

댓글 0

조회 209

일 년 전 · 이현승 님의 답변 업데이트

현재 의료계열에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진로 관련하여 질문 드립니다.

의과대학에 다니고 있어, 현재 언론에서 수의 사람들이 보는 커뮤니티에 글을 쓰는게 조금은 두렵지만 용기를 내서 진로 관련하여 질문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현재 졸업까지 3년이 남았고, 졸업하고나서 의사로 살아가기 보다는 의료와 관련된 부분에서 개발자로써의 인생을 살아가고 싶습니다. 그런데 의료와 개발이 융합된 관련된 시장 정보를 찾아보는데 관련하여 어떻게 준비를 해야할지도 잘 모르겠어서 많이 막막한 상태입니다. 현재 관심있는 분야는 디지털 헬스케어, ai를 통한 수술보조 혹은 이미지 딥러닝을 시켜서 영상사진을 판독하는 툴을 개발하거나 개개인 단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정보를 받으면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 혹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앞으로 이러한 분야에 필요한 인재가 되기 위해선 어떤 학습을 해야하는지, 어떠한 컨텐츠를 통해 학습할 수 있는지 여쭤보고 싶고, 이쪽 시장과 관련한 조언을 구할 수 있을까 하여 글 올립니다.

개발자

#의사

#디지털헬스케어

#인공지능

#의료

#의료it

답변 4

댓글 2

추천해요 2

조회 613

일 년 전 · 가을 님의 새로운 댓글

영문과출신 컴공과 석사생. 무엇을 어떻게 공부할까요?

안녕하세요. 우선 글이 좀 길어질 수 있어서 양해 부탓드립니다. 저는 본래 영문과 학부생 출신이었으나 학창시절부터수학에도 관심이 있었고 과탐때문에 어쩔수 없이 문과를 간 케이스 입니다. 영문과/국제무역과 복수전공 학부 졸업 후 이과에 대한 꿈을 못버려서 풀타임으로 일하면서 사이버대에 편입해 2년간 소프트웨어 공학을 공부하고 학부졸업을 했습니다. 편입전에 정말 이 길이 내 길이 맞는지 확인하고자 개인적으로 여러 코딩 강의도 들어보면서 파이썬, 웹프로그래밍 등 실습도 해보면서 찍먹을 해보았구요. 단순히 학위가 필요한게 아니라 진심으로 커리어 전환을 원했기 때문에 편입한 사이버대에 다니면서 학과연구실 연구에도 참여하고 1저자인 국내컨퍼런스 논문 2개+공동저자인 논문 2개 출판했으며 한달에 두번씩 지방에서 서울까지 왔다갔다하면서 연구실에서 딥러닝 실험도 참여하고 이것저것 많이 했습니다. 그 덕분에 현재 캐나다에서 컴퓨터 엔지니어링 석사과정 공부하고 있습니다. 이 시점에서 제가 여러 전문가 분들의 조언이 간절히 필요한 점은, 제가 그동안 사이버대 학부생활을 할때 열심히 노력도 하고 공부도 했지만 풀타임으로 일하면서 학업을 병행하다보니 온전히 실질적인 프로그래밍에 집중하지 못했고 실무 실력이 부족하다는 점을 너무 많이 느낀다는 점입니다. 연구보조원 활동도 논문을 위한 아카데믹한 부분이 주를 이루었다보니 코딩실력을 늘릴만한 부분이 부족했고, 솔직하게 사는게 너무 바쁘고 힘들다 보니 모르는 부분을 깊게 파고들 여유가 없었다보니 전체적으로 코딩의 기본기가 부족하단 느낌이 항상 듭니다. 저는 파이썬으로 코딩을 시작했고, 편입후엔 C, Java, R 등을 배웠지만 솔직히 실제적으로 개발에 몰두했던 적이 없다보니 자신이 너무 없습니다. 다행히 현재 석사과정을 들으면서 매주 쏟아지는 과제들을 위해 파이썬과 자바에 집중해서 열심히 실습하고 있긴 하지만 솔직히 구글링과 챗지피티에게 물어보면서 에러를 잡아나가는게 주 라고 생각합니다. 왜 해외석사까지 했느냐 물어보신다면 학부생활중에는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일과 병행하느라 공부이 집중을 못했는데, 현재 좋은 기회로 장학금과 재정지원을 받아 공부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라 공부를 더 하고 싶어서 왔습니다. 제가 조언을 구하고 싶은 부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저의 (물)경력은 주로 딥러닝에 집중되어 있으나 해당 분야를 계속 고집할 생각은 없습니다. 현재가 첫번째 학기이다 보니 졸업 후 어떤 분야로 뛰어들지 아직 미정입니다. 인공지능 분야를 전문적으로 하려면 수학공부를 꼭 해야한다는 말을 여러번 들었는데 현재 시점에서 수학 공부를 하는 것이 저의 커리어에 큰 도움이 될까요? (졸업까지는 1년 9개월 가량 남았습니다) 2. 요즘 학교과제와 프로젝트가 파이썬과 자바(+FX)의 비중이 반반입니다. 파이썬에서는 큰 어려움까지는 못느끼는데 자바는 경로문제니 뭐니 하는것들이 골치가 아프고 파이썬보다 어렵게 느껴집니다… 자바 실무 공부를 위한 팁이나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그냥 처음부터 시작하는 초심자라고 생각하고 조언부탁드립니다! 3. 4-6월까지 봄방학으로 아무런 수업이나 과제가 없습니다. 그래서 하루에 최소 순공 4시간씩은 프로그래밍에 쓸 예정인데 이 기회를 어떻게 활영하면 좋을까요? 4. 단순히 파이썬이나 자바 말고도 요즘 정말 배워야할게 많다고 느낍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쓰이는 프론트와 백엔드기술을 아우르기 위해 “이건 꼭 배워야한다!” 싶은 언어나 기술이 있다면 3,4개 정도 추천부탁드립니다. 정말 진지하게 컴공을 하고싶은 학생입니다. 한줄의 답변이라도 좋으니 어떤 조언이든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java

#python

#공부

#실무역량

답변 1

댓글 1

조회 189

일 년 전 · 포크코딩 님의 새로운 답변

합격은 했으나 고민됩니다

비전공자로 시작하여 딥러닝 엔지니어를 꿈꾸고 있는 사람입니다. 국비 과정 2개를 수료하고 취준생활을 약 2개월간 지속하던 중, 지원했던 회사들 중 하나로부터 저번주 금요일에 합격 연락을 받았습니다. 조금은 고민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1. 제가 원하던 직무와는 다른 직무를 수행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데이터 분석을 딥하게 다뤄본 적이 없으나, 해당 회사에 입사하여 주로 수행해야 하는 업무 비중은 데이터 분석의 파이가 큰 것 같습니다. 새로 배워야 할 것들도 많을 것 같고 먼 이후의 시점의 저의 목표와는 멀어질 것 같아 고민됩니다. 2. 주변으로 부터 초봉으로 받기에는 너무 낮지 않냐는 말을 많이 듣습니다. 3천도 안되는 초봉으로 시작하면 이후에도 좋은 처우를 받기는 힘들거라고들 합니다. 맞는 말인가요..? ㅠㅠ 물론 초봉 제의를 제 능력에 맞춰서 하신거라면 저도 할말은 없을 것 같습니다. 스스로 판단하기에도 아직 부족하다는 느낌을 많이 받고 있습니다. 입사 해서도 제가 무언갈 제대로 해낼 수 있긴 할까 하는 생각도 많이 드는 요즘입니다. 입사 여부 결정해서 수요일까진 연락을 달라고 하셨습니다. 차라리 대학원을 가서 더 배우고 준비해서 입사 지원을 하는 게 나을까요 아니면 회사에 취직해서 일을 경험해보는 게 나을까요..? 어떤 종류의 조언도 감사히 받겠습니다 !

개발자

#첫직장

답변 1

댓글 0

조회 171

일 년 전 · 승헌 님의 질문 업데이트

딥러닝 독학 관련 질문드립니다

Ai분야 개발은 단 한번도 해본 적 없는데, 이번에 독학으로 한번 해보려합니다. 독학하는 데 있어서 선형대수학에 대한 지식이 반드시 필요한지 아니면 선형대수학은 api나 모듈의 작동 원리를 딥하게 파해치고 싶을 경우 필요한 것이고, 개발 단계에선 굳이 필요없는지 궁금합니다.

개발자

#딥러닝

#머신러닝

#python

답변 2

댓글 1

조회 111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Python Keras 딥러닝

1. 제가 법을 딥러닝 시켜봤는데 출력물이 이상했거든요? 그래서 이 순서가 맞나요? - 자료 전처리 - 자료 tokenizing - 딥러닝 2. 딥러닝 시킬때 일반 채팅 ai는 Q&A 형식으로 딥러닝 하던데 이 법 조항은 Q&A 형식 말고 tokenizing 된 자료만 딥러닝 해야하나요? 딥러닝이 다 된 상태라고 가정했을때 Q. 헌법 몇조 몇항은? A. ~~~에요. Q. ??에 따르면 ??는 몇년 이하의 징역에 처해? A. ~~~년 이하의 징역에 처해요 이런식으로 출력되었으면 좋겠어요 제가 시도했던 방법은 후자이고 전자로 하려면 제가 임의로 Q&A 를 제작해야하나요?

개발자

#python

#keras

답변 0

댓글 0

조회 51

일 년 전 · 배아람 님의 질문

추천 시스템의 활용 범위

안녕하세요! 현재 ai 쪽 직무를 생각하고 있는 학부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딥러닝 공부를 시작하기 전 이것저것 살퍼보고 있는데요. 최근에 추천 시스템에 관심이 생겨 알아보고 있는 와중에 의문점이 생겨 질문올립니다. 추천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 로그 데이터를 기반하여 개개인 별 추천 알고리즘을 만드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이런 ux 분야 이외에 제조업이나 유통 등 다양한 분야에 추천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고수분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개발자

#추천시스템

#ai

#딥러닝

답변 0

댓글 0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