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전 · CL@Supercoding 님의 새로운 답변
SaaS 운영시 Git이 구성되는 환경(?)
안녕하세요. 현재 자그마한 B2B 솔루션 회사에서 운 좋게 SaaS 프로젝트에 참가하게된 2년차 주니어 엔지니어입니다. 현재로써는 운영 아키텍처가 정해지지 않은 상태이고, EKS 기반의 퍼블릭 개발환경에서 CI/CD 및 메인 서비스에 대한 PoC를 진행하는 중에 있는데요,, 프로덕션으로 들어간다고 하면 Git과 같은 레포지토리 서버는 당연히 EKS 클러스터가 위치한 Private VPC에 구성되어야 하는게 맞는걸까요? ex) VPC Peering을 활용한 운영환경 <-> 개발환경 간의 분리, VPN G/W 활용...등 혹, 위 언급드린 방식이 올바른 경우라면 소스 커밋과 같은 작업들은 개발자들이 어떤 식으로 수행하는지 궁금합니다. 그 외로 SaaS <-> 레거시 개발환경과의 큰 차이가 존재하는 부분에 대해 언급을 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devops
#ci/cd
#argocd
#saas
#kubernetes
답변 1
댓글 0
조회 60
2달 전 · 이상래 님의 새로운 답변
3년차 프론트엔드 개발자입니다 이직 관련 고민으로 조언 부탁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3년차 프론트엔드 개발자 입니다! 요즘 원티드로 서류를 100개 정도 넣었는데 1개만 서류가 붙고 다 떨어졌어요...(너무 창피하지만요..ㅠㅠ) 그래서 이력서가 문제인지 아니면 추가로 뭔갈 제출해야하는지 너무너무 고민입니다.. 주로 원티드에 지원할때는 원티드 이력서와 직접 작성한 이력서 pdf파일을 제출하는데요 pdf에는 깃허브 주소와 진행한 사이드 프로젝트의 배포 주소, 레포지토리 주소를 올립니다 리드미에는 프로젝트 소개 기간 기술 화면설명 등등을 적어두었구요 혹시 뭔가 추가로 더 필요한게 있을까요? 아니면 이력서가 문제일까요? ㅠㅠ 혹시 가능하시다면 이력서를 봐주실수있는지도 여쭙고싶어요.. 말씀해주시면 이력서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개발자
#이직
#이력서
#취업
답변 2
댓글 0
조회 342
6달 전 · 신민규 님의 질문
파사드 패턴 사용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현재 학부생 3학년으로 spring 사용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질문이 생겨 글 올립니다. 제 프로젝트의 구조 일부를 먼저 설명 드리면 노트 도메인과 멤버 도메인이 존재하고 각 도메인의 레포지토리에 어댑터 패턴을 적용해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각 서비스에서, 예를 들어 노트 서비스에서 멤버 어뎁터를 참조하고 멤버 서비스에서 노트 어뎁터를 참조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이라 역의존성이 존재하는 상황이고 결합도에 문제가 있는것 같아 파사드 패턴을 사용해야 하나 고민중에 있습니다. 그런데 파사드 패턴을 사용하게 될 경우 연관있는 도메인을 묶는 파사드 클래스가 너무 많이 생기게 될 수 있을것 같다는 우려가 있고 결합도 감소에 크게 유의미한가에 대한 고민이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아래와 같은 질문이 있습니다. 1. 제가 쳐해있는 상황에서 파사드 패턴이 제 고민의 해결 책이 될 수 있을지 2. 실무에서 도메인과 연관관계를 해결하기 위해 파사드 패탄을 사용하는지 3. 파사드 패턴 말고도 도메인의 역의존성 혹은 복잡한 연관관계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있는지
개발자
#spring
#spring-boot
#java
#백엔드
답변 0
댓글 0
조회 40
9달 전 · 익명 님의 질문
micro repo 세팅하면서 격은 문제(같은 문제 격는 분들 댁글)
이번 프로젝트에서 하나의 레포지토리에서 client, server, admin, common 4가지 패키지를 만들었습니다. client, server, admin은 common을 의존하도록 모노레포로 만들었고, client는 admin을 의존할 수 있게 micro로 만들었습니다. 간단한 패키지 설명: - client: 메뉴 헤더 등 구현, 페이지는 admin을 remote 해서 사용, React로 구현 - admin: 페이지에 나오는 콘텐츠의 전반적인 부분이 컴포넌트로 되어있음, React로 구현 - server: Node.js로 되어있고 실제 Spring 서버에서 준 데이터를 포맷하는 형태 - common: 공통 컴포넌트, 라벨 등 문제1: 다른 프로젝트에서 expose 되어있는 Next.js 프로젝트(scss로 스타일 구현)를 client에서 사용할 때 의존성 관련 오류가 생깁니다. client의 package.json에서 peerDependencies로 next를 설정해줘야 하는지, 양쪽 패키지(다른 프로젝트와 client)에서 Next.js와 React를 share 설정을 해야 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여러 방법으로 시도는 해봤지만 의존성 오류나 Next.js에서 훅을 사용 못하는 오류 때문에 해결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문제2: 빌드 최적화를 위해 트리쉐이킹이나 코드 스플리팅을 해야 합니다. 웹팩에서 아래와 같이 코드 스플리팅을 하면 청크 파일 이름이 겹치기 때문에 filename을 해시값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여기서 문제가 생기는데, micro의 client처럼 remote 하는 부분에서 remote.js, app.js 청크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름이 해시값으로 바뀌면 해당 청크를 찾을 수 없습니다. 또한 ModuleFederationPlugin이 빌드 시 자동으로 코드 스플리팅을 해준다는 이야기도 있는데, 이 부분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저와 같은 문제를 격고 있거나 해결하신 분들 같이 나눴으면 합니다.
개발자
#micro
#react
#monorepo
#nextjs
#build
답변 0
댓글 0
조회 32
일 년 전 · 프레드윰 님의 답변 업데이트
K8s에 쓸 os선택
개인적으로 vagrant를 이용한 멀티노드 k8s클러스터를 만들어보고 있습니다. Kubespray를 사용하려면 python3.10이 필요한데 centos7은 기본적으로 python3.6까지 제공됩니다. 강제로 레포지토리를 등록하고 바이너리파일을 받아서 bashrc alias를 등록하여 설치는 했지만 pip을 이용한 의존성 설치에서 계속 에러가 생겨 centos8로 올렸습니다. Centos8가 오픈소스가 아니라는 말도 있고 centos7에 비해 너무 무거워서 os선택에 고민이 있는데 보통 포폴 혹은 개인적인 개발목적으로 쓰는 os는 어떤게 있나요?
개발자
#k8s
#centos
#ubuntu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82
일 년 전 · 허형준 님의 답변 업데이트
인생 망했는데 어찌 살아야할지요
안녕하세요 전 살면서 서투른것 뿐이고 재밌는 것도 없었어요 그러다 코딩을 만나게됐네요 살면서 처음 본 재밌는 무언가였어요 그렇게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몇년간 공부하고... 근데 그거마저 재능은 없었나봅니다 시간을 그렇게 투자해도 제대로 다룰줄 아는 프레임워크도 없고 제가보기엔 3개월정도 배운 사람이 저보다 잘하는 것 같네요..어찌 다들 버그를 드라마틱하게 해결하고 성능개선도 멋지게하는지 전 단순히 중복작업하는 코드 지우거나 변수 잘못쓰고있는거 고치는 정도만해왔는데 네 전 무스펙입니다 레포지토리엔 질좋은 플젝도 없고; 그래서 뭘 해야할지가 고민입니다 살면서 많은걸 부딫혀본 뒤에 찾은 유일하게 재밌는 분야니까 이걸 파야할지 아니면 더 많은걸 경험해서 조금이라도 잘하거나 밥벌어 먹을 수 있는 것 찾아야할지... 제가 나이가 그렇게 적은 것도 아니라 빨리 길을 찾아야할텐데요
개발자
#인생
#진로
답변 1
댓글 0
조회 386
일 년 전 · lala 님의 질문 업데이트
깃허브 private 레포지토리 반영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count_private=true 가 작동하지 않는 건에 대하여
https://github.com/anuraghazra/github-readme-stats 깃허브 redme파일에 저걸 넣고자 하는데요. public하게 커밋한것만 기록이 되는 것 같더라구요..? ㅠㅠ &count_private=true를 넣어주면 된다기에 넣어봐도 마찬가지라서.. 혹시 방법이 없을까요? 사용 언어 스탯은 꼭 넣고싶은데요..
개발자
#github
#깃허브
#레포지토리
#readme
#readme.md
답변 0
댓글 0
조회 107
일 년 전 · 바보 님의 질문 업데이트
프로젝트할 사람을 어디서 구하나요?
많은 곳에서 협업/소프트스킬을 원하고 있고 개인 프로젝트하면 모든 제어권이 제 자신에게만 있어서 인사이트가 제한되는 느낌이더군요 그래서 여러 플랫폼(여기,인프런,프로그래머스 이외 커뮤니티)에서 협업할 사람을 구해왔는데, 툭하면 튀어버리고 게다가 악의적으로 레포지토리 엎는 사람도 봤었고 배포경험 쌓고싶대서 ok했는데 인수인계안하고 갑자기 튀어버리고 아니 결론적으로 개인프로젝트할때보다 이슈가 더 많은 것 같습니다 하.. 이럴거면 처음부터 혼자하지 지금까지 7번정도 제가 구하거나 들어갔는데 툭하면 폭파되네요 첫인상은 무슨 최고로 성실하게 하겠다 완전 눈빛 똘망똘망했고..창업목표다 실제서비스하겠다 조사완료했다..이런 말도 못믿겠네요 제가 이끌어보고 대화를 해보려해도 다 거부하는 사람밖에 없으니 도대체 어디서 구해야할까요? 저도 동아리를 알아보고 지원하고 있긴 한데, 대부분 제대로 된 협업프로젝트를 요구하더군요 동아리입장 생각해보면 협업 잘하는 검증된 사람 뽑고싶을테니.. 막막합니다
개발자
#프로젝트
#협업
#사이드프로젝트
답변 0
댓글 0
조회 106
일 년 전 · 박범수 님의 답변 업데이트
만약 Git과 Github가 하루 아침에 사라진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가끔 이런 생각을 하곤 합니다. 하루 아침에 깃과 깃허브가 사라지면 어떻게 해야 할까? 깃허브의 모든 코드들이 해킹 등의 이슈로 모두 삭제된다면 어떻게 해야 하지? 저는 혹시 모를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깃허브 레포지토리 압축 파일들을 모두 개인 PC에 저장해두고 있습니다. 정말 뜬금없는 질문이지만 여러분들은 어떤 식으로 이런 상황에 대비하는지, 좋은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개발자
#github
답변 2
댓글 3
조회 335
일 년 전 · 장준영 님의 답변 업데이트
Spring에서 레이어드 아키텍처 관련 코드 패턴 질문
안녕하세요 개발을 진행하는 도중 코드 디자인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생겨, 여러 선배님들께 질문을 드려봅니다 검색 목록 조회 시, 많은 parameter 처리 방법 특정 검색화면을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값들인 등록일 검색 날짜, 검색어와 같은 부문을 Controller 에서 modelattribue 로 받았는데 필드 수가 10개 이상 됩니다. 문제는 해당 field 들을 서비스 > 레포지토리 까지 옮겨야 하는데 modelattribute 객체를 사용하자니 view 에 종속 된 객체를 옮기는 게 맞을까 라는 의문이 들고, 각 field 를 모두 꺼내자니 메서드 마다 10개씩 파라미터 받는게 또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러한 상황들은 어떤식으로 처리하시는 지 궁금합니다. JPA 를 사용 중인데, open in view 속성을 막아놔서 service 레이어에서 entity를 dto로 변환하는 작업을 진행합니다. 이때 궁금한 점은 해당 method 에서 반환 시 다른 entity의 field값 하나가 필요한 경우가 간혹 있다는 것 입니다. 해당 dto 에 field 를 추가하자니 해당 값이 필요없는 경우에도 다른 entity를 조회하여 db select 나가는게 싫고 객체를 하나 더 만들자니, 다른 상황에서도 비슷한 경우가 많아 객체가 너무 많아질 것 같아 고민입니다. 계속 해서 좋은 방법을 고민하고 찾아봤지만, 결론이 나질 않아 선배님들께 질문 드려 봅니다.
개발자
#java
#spring
#jpa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716
3달 전 · 차근차근개발자 님의 새로운 댓글
제발 살려주세요ㅜㅜ 실무에서 코드 관리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신입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스타트업에 취업한지 2일차된 신입입니다ㅠㅠ 사수도 없고, 직원도 없고, 대표님이랑 저밖에 없는 작은 규모의 이제 시작하는 스타트업 입니다.. 2년차 개발자님이 계셨는데 저 출근하는 날 퇴사하셔서 조언을 구할 곳이 없습니다ㅠㅠ 코드 관리를 어떻게 할지 보고서를 작성해서 제출해야 하는데 경력도, 실무경험도 없어서 일반적으로 코드를 어떻게 관리하는지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아직 코드가 어디에 어떻게 있는지는 모르지만 최대한 검색을 통해 찾아보았습니다. 검색해본 결과 GITHUB이나 GITLAB에 저장하는 경우가 일반적인 것 같은데 보통 어디에 저장하게 되나요? Gitlab의 경우 리눅스만 사용이 가능한 것 같은데 windows를 이용할 예정이라 사용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면 될까요? 앞으로 인원이 충원된다고 하더라도 3명정도의 인원이 개발을 진행할 것 같습니다. github의 경우 3명의 인원이 private 레포지토리를 사용한다고 했을 때 따로 비용 청구가 없고, Private CICD 시간과 용량에서만 유료 버전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했습니다. 프로젝트의 용량이나 CICD의 시간의 경우 어느정도의 양인지 가늠이 되지 않아 판단이 어렵습니다.. 일단 배포 전까지 GITHUB의 Private 레포지토리를 이용하여 협업을 진행할 계획으로 말씀드려도 될까요?
개발자
#git
#github
#gitlab
#버전관리
답변 2
댓글 2
조회 344
2년 전 · 윤성하 님의 질문 업데이트
스프링 테스트코드 작성
스프링 강의를 수강하며, 스프링에 종속되지 않은 테스트 코드가 바람직하다는 내용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당연히 옳은 말이지만, 복잡한 의존 관계를 가진 클래스들을 하나씩 초기화하는 과정이나 레포지토리 클래스에 새로운 함수나 쿼리가 추가될 때마다 그에 따른 로직을 새로 작성하여 테스트해야 하는 점 등이 상당한 어려움으로 다가왔습니다. 그렇기에, 현업에서 진행되는 테스트 코드 작성 과정에서 스프링에 어느 정도 종속적인 코드를 작성하는지, 그 비율은 어느 정도인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이제 막 공부중이라 내용이 이상할지도 모르지만 너그럽게 양해 부탁드리고 팁같은게 있으시다면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spring
#test
답변 0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67
2년 전 · 강용석 님의 새로운 답변
프론트엔드 신입 포트폴리오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지방대 전공자이며 프론트엔드 취업을 희망하고 있는 취준생입니다. 현재는 8월에 졸업하고 취업 준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3~4학년 때 학교와 시청의 지원을 받아 외주 프로젝트를 진행한 경험이 2건 있습니다. 1. 관공서 주관 지역 경제 활성화 웹 ( react,redux-saga,express, aws 풀스택 ) 2. 자동차 공업사 웹 ( react ) 두 프로젝트 모두 팀으로 진행하였지만 팀원의 큰 도움없이 스스로 개발하였습니다. ( 협업에 대한 컨벤션도 없었으며 어쩌다 보니 혼자 개발하고 알려주는 형식이였습니다. ) 현재는 포트폴리오와 github에 레포를 고정으로 넣어 둔 상태입니다. 취업 준비 중 모 기업의 인턴십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총 4개의 프로젝트를 팀,개인으로 진행을 하였습니다. 많은 성장을 했다고 스스로도 느끼고 있으며 코드 퀄리티와 협업에 관한 컨벤션, 리드미 정리 등 위의 두 프로젝트와 수준 차이가 극심히 난다고 생각이 듭니다. 혹시 이런경우엔 위 두 프로젝트는 대표 레포지토리에서 빼놓고 포트폴리오에서만 설명을 하는게 나을까요 ? ex) 리팩토링도 생각해봤지만 1번 프로젝트는 제 기준 너무 큰 프로젝트라 시간이 오래걸릴 것 같습니다..
개발자
#react
#typescript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282
일 년 전 · 강수호 님의 새로운 답변
프론트엔드 레퍼런스 레포지토리 추천부탁드려요!! [React.js, Next.js]
제가 제대로 개발을 하고 있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공부하기 좋은 것이나, 참고할만한 레퍼런스 레포지토리 아시는거 나눔 부탁드립니다 ㅜ. 감사합니다! 찾고있는 레포지토리 : - UI, 디자인시스템, 구조참고용, 모노레포, 좋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어떤 것이든..! 등
개발자
#next.js
#react
#typescript
#모노레포
#디자인시스템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6
조회 365
2년 전 · 달레 님의 답변 업데이트
신입으로 첫 출근하는데 준비해야할기 뭐가 있을까요?
회사가 사용하는 기술 스택에 대해선 어느 정도 공부하고 가려고 합니다. 걱정되는게 아마 노트북을 받으면 맥일것 같은데 평생을 윈도우만 쓰다보니 얼탈까봐 걱정입니다 ㅠ 그리고 깃헙 레포지토리의 경우, 회사 서비스의 레포지토리를 클론한 후에, 브랜치를 따로 파서 작업하는 걸까요? 첫 주는 보통 코드 분석부터 시작하나요? 인력부족으로 인한 갑작스러운 채용이라 빨리 성과를 내주길 바라는 것 같아 조금 부담반 걱정반이네요 ㅠㅠ
개발자
#react
#fronted
답변 1
댓글 0
조회 348
2년 전 · 커리어리 AI 봇 님의 새로운 답변
모노레포 도입 고민
안녕하세요 현재 리엑트로 pwa게발중인 대학생입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두개의 앱을 만들어야 하는데 현재에는 멀티레포방식으로 레포지토리 두개를 파서 개발중입니다. 근데 개발하다보니 두개 앱의 패키지가 아예 똑같고 공통되는 ui가 좀 많아서 모노레포로 바꾸는걸 고민중인데 모노레포 도입시에 고려할 점과. yarn workspace, turborepo 등등 여러가지 있는것으로 아는데 어떤걸 사용하는게 좋을지 추천부탁드리니다!
개발자
#react
#frontend
답변 2
댓글 1
조회 462
2년 전 · 커리어리 AI 봇 님의 새로운 답변
Git 레포지토리 관리는 보통 어떻게 하시나요?
새로운 회사로 이직 한지 얼마 안된 3년차 주니어 웹 개발자입니다. 현재 회사가 IT 업체가 아니라 모든 개발과 운영을 개발 업체에 맡긴 상태입니다. 회사에서는 인하우스 개발자의 필요성을 느껴 구인을 했고, 제가 들어왔는데 모든 프로젝트 소스를 인수인계 받음에 앞서 형상 관리에 대한 의견 충돌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현재는 운영 중인 여러개의 웹 프로젝트를 같은 레포지토리에 관리 하고 있습니다. 보통 기능 개발 같은게 들어오면 웹 별 비슷한 기능을 어차피 한꺼번에 반영해야해서 한번에 수정 후 1 commit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충돌날 일도 거의 없다고 브랜치는.. 나누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것부터 이해가 안되긴 합니다. 저는 이전 회사에서 프로젝트 별 레포지토리를 생성하여 관리 했었습니다. 물론 기능 추가를 하더라도 유의미한 커밋은 여러번 했었고요. 그냥 그런 방식이 당연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저는 이전 경험처럼 형상 관리를 나눠서 하고 싶은데 개발업체 개발자가 납득할만한 설명이 바로 떠오르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일단 보류해둔 상태입니다. 뭔가.. 이상한 것 같은데 어떤 근거를 들어가며 설득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이미 그런 방식으로 계속 개발/운영 해오던 거라 그 쪽도 현재 관리 방법을 고수하고 싶은 것 같습니다. 위 내용에 대해 조언을 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혹시나 제 질문이 이해가 안 되신다고 해도 댓글 부탁드리겠습니다. ㅠㅠ 현재 회사에 입사한지도 얼마 안됐고 개발자가 저 한 명이라 도움 구할 사람이 없네요..
개발자
#git
#형상관리
#버전관리
답변 2
댓글 0
조회 220
2년 전 · HaYoujung 님의 새로운 댓글
바닐라JS 로 만든 기존 프로젝트를 리엑트로 기술 변경 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프론트엔드 취업 희망하고 있는 취준생입니다. 개인 프로젝트를 만드는 과정에서 생긴 궁금증인데 어떻게 해야할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기존에 바닐라 JS로 만든 프로젝트를 조금씩 키우다가 바닐라로는 버거워서 리엑트로 기술을 바꿔서 다시 만들고 싶습니다. 이럴 경우 같은 프로젝트니까 같은 파일 내에서..? 음 그러니까 같은 레포지토리를 사용하면서 변경을 시키는 게 좋을까요 아니면 새로운 프로젝트로 생성 후 새로운 레포지토리를 만들어서 제작해나가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정리> 1. HTML 등의 파일이 있는 기존 프로젝트 내에 리엑트를 설치한다 VS 새로운 리엑트 프로젝트 파일을 만든다. 2. 깃허브의 레포지토리를 기존에 사용하던 걸 그대로 쓴다 VS 새로운 레포지토리를 만든다. 어떤 방식이 더 괜찮은 방식일까요?? 더불어 현업에서는 기술 스택 변경 시 어떻게 하는지도 궁금합니다~~
개발자
#바닐라자바스크립트
#react
#기술스택-변경
답변 2
댓글 3
조회 232
2년 전 · 배민근 님의 답변 업데이트
레포지토리에 draw.io 파일 추가 후에 git push 가 안되는 경우..!
수업용 레포지토리인데 프로세스 구조도를 draw.io에서 그린 후 이 레포지토리에 저장을 했는데 그 뒤로 git push가 되질 않습니다 ㅠㅠ! ! [rejected] main -> main (fetch first) error: failed to push some refs to 'https://github.com/레포지토리주소.git' hint: Updates were rejected because the remote contains work that you do hint: not have locally. This is usually caused by another repository pushing hint: to the same ref. You may want to first integrate the remote changes hint: (e.g., 'git pull ...') before pushing again. hint: See the 'Note about fast-forwards' in 'git push --help' for details. 이런 오류가 계속 깃배쉬에 뜨는데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혹시나 해서 저 draw.io 파일을 지우고 시도해보았지만 결과는 같더라구요..! 레포지토리를 삭제하고 다시 만들어서 올리는 수밖엔 없을까요 ㅠㅠ?!
개발자
#깃허브
#레포지토리
#깃
#draw.io
답변 1
댓글 1
조회 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