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펙토링

질문 1
해시태그 없이 키워드만 일치하는 질문은 개수에 포함되지 않아요.

7달 전 · 런각 님의 질문

1년 6개월차 프론트 개발자 이직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저는 비전공, 부트캠프를 나와 경험을 쌓고 있는 개발자 입니다 저에게는 신입 이었던, 아무것도 모르는 저에게 손을 내밀어준 정말 고마운 회사가 있습니다 지금도 항상 배려해주고 말없이 기다려주는 팀원들과 대표님 에게 감사함을 느끼며 근무하고 있습니다 소규모 인원 스타트업이라 복지라고 할건 없지만 1년이 되었을때 프로젝트 기여도를 인정받아 연봉도 제 기준 4000정도로 준수하기도 합니다 다만 그런 회사 환경과 다르게 저한테도 이직 고민이 찾아온거 같아 현실적인 조언을 듣고자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웹, 앱 서비스 출시 전 개발팀의 구성은 백1 프1(본인), 외주업체가 있었고 같이 협업하여 웹, 앱을 출시 및 서비스를 운영 중 이었습니다 입사 당시 프론트 개발자는 저 혼자 였던 지라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이리저리 삽질해가면서 스택을 배우고 학습한 걸 실무에 적용시킨 케이스 입니다 솔직하게 실력이라고 한다면 현재 저의년차 보다 조금 못 미치는 실력 입니다 그럼에도 이직을 고민하게 된 계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회사의 성장 방향성 서비스 출시와 한동안 서비스 운영에 있어서 열정있게 다들 나아 갔으나 서비스 BM이 없고 매출이 0원에 가까워 현재는 많이 부진해지고 느슨해진 상황 입니다 또한 다른 프로젝트들을 구상하고 바라보고 있어 상사나 임원분들도 제가 담당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여유가 없다는 이유로 등한시 하고 있는 상황도 있습니다 2. 본인의 성장 방향성과 발전 침체가 된 상황에서 제가 할 수 있는게 많이 없어진 상황이고 시간을 지루하게 보내는걸 싫어하는 저에게 지금 현재 월급 루팡의 느낌을 받고 있어 불편합니다 그러지 않기 위해 리펙토링도 진행 하고는 있지만 사소한 css나 에러 수정 정도가 전부라 눈치가 보입니다 3. 운영에 대한 불만 회사와 팀원이 좋은것과는 별개의 문제로 입사부터 지금까지 기획이나 디자인이 없어 기능이 점점 많아지고 있는 플랫폼의 퀄리티가 낮아지고 있다고 생각하였습니다 또 하나의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은 현재 들어 오신지 몇개월 안되신 팀장님은 뭔가 안될때마다 전 외부업체 잘못된 코드 탓을 하시곤 하는데 이게 앞으로 팀장님 에게 방패를 쥐어 드린 느낌입니다 이런 부분이 지금까지 닥치는대로 시도하고 해봤던 저와는 조금 맞지 않는다고 느꼈습니다 4. 체계적인 회사에 대한 갈망 기획팀이나 디자인팀이 명확하게 업무를 수행하진 않더라도 최소한 그런 포지션이 존재하는 회사에서 그리고 어느정도 개발팀의 인원이 조금 있는 곳에서의 개발환경을 경험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요즘 들어 부쩍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고민을 안고 이직을 생각 하고 있습니다 시기가 안좋거나 아직 제가 어떤게 좀 부족하다 라고 생각 되는게 있으시면 말씀해주시고 어떤 식으로 이직을 준비하는게 도움이 될지 조언을 좀 얻고 싶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이직

#고민

답변 0

댓글 0

조회 204

일 년 전 · 개발자H 님의 새로운 답변

성과를 수치로 작성하는게 어려워요

안녕하세요, 현재 퍼블리셔로 일하고 있습니다. 업무를 진행하며 이직 이력서를 작성 중인데, 성과를 수치로 나타내는 것이 어렵습니다. 대부분 과업 특성이 어떤 레이아웃 혹은 기능을 구현하는 수준에서 결과물이 도출했다 라는 것인데요 "성과를 수치로 작성하는 것이 참으로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x%에서 xy%로 시간 단축/혹은 고객확보 이런식으로요 제가 구현한 UI가 사용자/고객에게 어떤 불편함이 있었고 혹은 이전 대비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확인하기가 어렵습니다. 저와 같은 고민에 있었거나/ 있는 분들은 어떻게 이런 이슈를 해결하셨나요? 저와 같은 경우, 관심있는 라이브러리/언어로 개인 포트폴리오로 어필을 해야할까요, 현재 회사에서 다음의 작업을 진행했고/하고 있습니다, : 회사 홈페이지, 웹&모바일 리뉴얼 및 JS인터렉션 기능 추가 : GSAP으로 서비스 가이드 애니메이션 구현 => GSAP을 회사에서 정해준게 아니라, 필요한 기능이 GSAP으로 할 수 있는거 같아, 진행함 : 리액트로, 채팅앱 UI 프론트 담당 - 비동기 통신, 상태관리를 제외한 채팅앱 UI 기능 구현(프론트 담당) > 비동기 통신, 상태관리 데이터 구조는 백엔드 개발자가 정리한 목업 데이터를 가져다 사용하다 보니 - 컴포넌트 기능 개발(ex) 아코디언, 체크박스 등등 ) 성과-> 수치에 대한 방법에 대해 의견있는 분 있을까요? P.S 1. 혹시 저와 같이 퍼블리셔인데 리액트 업무를 하시는 분들은 어떻게 진행한 리액트 작업/업무는 어떻게 어필을 하면 좋을까요? 2. 현재 리액트 코드는 (회사에서) 작업 중 인데, 리펙토링하게 된 계기와 이유 혹은 코드 정리하는 것으로 성과(수치)를 설명해야 할까요? 감사합니다

개발자

#이직

#퍼블리셔

답변 1

댓글 0

조회 195

일 년 전 · 구운감자 님의 새로운 답변

신입 개발자 클린코드 고민

현재 실습으로 인턴 생활 중인 1인입니다. 회사에서 프로젝트를 하나 만들라고 해서 다른 인턴과 같이 진행하고 있습니다. 저는 최대한 리펙토링과 클린 코딩을 생각하며 만들러 노력했는데 먼저 끝나고 다른 인턴의 작업물을 보니까 참담합니다. 죄다 챗지피티랑 블로그에서 긁어오고 필요 없는 코드인데 작동은 잘 되니까 냅두고..... 무슨 기능인지도 확실히 모르고.... 이 작업물이랑 제것이랑 합쳐야하는 데 눈 앞이 캄캄합니다ㅠㅠ 그래서 지금부터라도 더욱 리펙토링과 클린 코딩을 배워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이 능력들을 향상 시키는 자신만의 방법들 있으신가요?

개발자

#신입

#클린코드

#리펙토링

#주니어

답변 1

댓글 0

조회 84

2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모니터링 관제를 보고 있는데 이게 맞는건지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자바 기반으로 개발을 하고 있는 벡엔드 개발자입니다. 개발을 하면 할 수록 뭔가 좀 그런거 같아서 한 번 질문드려봅니다. 최근 저희 회사에서 자바 기반으로 모니터링 관제가 만들어졌는데요. 해당 모니터링 관제 내용을 보면 jvm내에서 힙 메모리 사용량, 쓰레드 갯수, 상태, minor(major) gc pause avg(max) time 등등 자바 애플리케이션의 하나하나 세세한 부분까지 해서 볼 수 있는 모니터링이라고 보시면 될 거 같은데요. 처음 나왔을때 보니까 뭔가 신기해 보이긴했는데, 이걸 통해서 좀 더 안정적인 서비스를 만드는데 도움준다는 것은 동의합니다. 한 서비스 내에 여러 부분에(쓰레드 갯수, 혹은 상태) 기준이 있는데 기준이 넘어가면 위에서 지적을 하게 됩니다. 다만 처음에만 그렇지 이게 시간이 지날수록 힘든 것보다는 좀 답답하다는 느낌이 들더라구요. 여러가지 중에 하나는 이상수치에 관한 기준입니다. 예를 들면 minor gc를 하게 되면 일시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이 멈추게 되잖아요.(stop-the-world) 그 시간이 100ms 이상이면 이상이 있다고 알람이 울리거든요. gc pause time이 100ms가 넘어가고, 그게 지속적으로 쭉 유지가 되는 부분인거라면 애플리케이션 기능,규모 혹은 트래픽 상태에 다를 수도 있겠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제가 생각하기에는 애플리케이션 기능, 규모, 혹은 트래픽 상태 이런 여러 가지를 고려하면서 기준점을 잡아야 하는데, 위에서 어떤 애플리케이션 관계없이 무조건 100ms 넘기면 안돼 이래버리니 이게 맞나 싶습니다. 심지어 트래픽 때문에 일시적(1~2초정도)으로 살짝 넘어간 상태에서 수치가 내려갔는데도 (이런 추이도 하루에 한 번정도), 위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이 이상이 있다고 판단을 해버리고(물론 엔드포인트 단에서는 잘 동작하고, 이거 관련해서 고객쪽에서 이슈 요청된 적이 한번도 없습니다.), 여지껏 정상적으로 쭉 동작하고 있었는데도 그런 모니터링 수치로 인해 리펙토링을 몇번씩 했던거 같거든요. 물론 같은 시간/패턴/수치로 알람이 계속적으로 울리게 된다면 의심정도는 하고 추후에 이상징후가 더 심해지면 개선을 하는거면 이해를 하는데, 그런상황은 아니라서 뭔가 불필요한 리소스를 계속 쓰는 듯한 느낌이 듭니다. 그래서 이 부분에 대해서 위에 보고를 했는데, 지금 이렇게 알람 울리니까 알람 안 울리겠끔 개선해라라는 식입니다. 사실 저는 해당 모니터링 자체가 제대로 로깅을 하고 있는지도 의심이 갈 정도이긴 합니다. (사실 그런게 한두가지가 아니긴 하지만 여기서 말하기는 길기에 생략하겠습니다.) 어떤 근거로 인해 기준을 잡고 까다롭게 모니터링을 하는거면 이해를 하겠는데,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 혹시 다른 회사에서는 모니터링을 어떻게 체크를 하는지, 혹은 원래 저렇게 고정된 기준을 가지고 모니터링을 관리하는지가 궁금합니다.

개발자

#자바

#모니터링

#벡엔드

#개발자

답변 0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112

2년 전 · 커리어리 AI 봇 님의 새로운 답변

2년차 swift 개발자 objetive-c 리펙토링 작업

Objetive-c 기술을 공부하는게 swift를 이해하는데 얼마나 도움이 되나요? 점차 업무 비율은 swift 로가져올수있겠지만 Objetive-c 런닝커브도 의문입니다

개발자

#swift

#objetive-c

답변 1

댓글 0

조회 152

2년 전 · 커리어리 AI 봇 님의 새로운 답변

기존 프로젝트 리펙토링 관련

안녕하세요 현재 React와 Express로 웹 개발을 하고있는 학생입니다. 프로젝트를 하나 둘 진행 할 때마다 점점 배우는게 많은데요, 예를들어 첫번째 프로젝트에서는 JS를 사용하고 css를 파일 하나에 몰아 관리하며 커밋 메세지 컨밴션이나 브랜치 전략을 제 나름의 방식대로 정하고 했다고 한다면 두번째 프로젝트는 TS를 사용하게되고 Styled-Component를 통해서 스타일을 관리하게 되었고 커밋 메세지나 브랜치 전략 또한 조금더 일반적으로 바꾸어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prettier과 eslint도 적극적으로 사용했구요 두 프로젝트 모두 현재 배포되어 있는 상태이고 지속해서 개발하고 있는 상황일 때 첫 번째 프로젝트 전체를 리펙토링(ts를 적용하거나 styled-component 도입 등)하거나, 커밋 컨밴션과 브랜치 전략을 새로 구성하는것이 맞을까요? 아니면 별다른 리펙토링 과정 없이 원래 해왔던 대로 계속 진행해도 상관없을까요?

개발자

#react

답변 1

댓글 0

조회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