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민

질문 1
해시태그 없이 키워드만 일치하는 질문은 개수에 포함되지 않아요.

6달 전 · CP 님의 답변 업데이트

웹개발자로 갈 수 있는 회사 종류?? 선택 기준?

컴공 재학생입니다. 지금까지 봤을 때 웹개발자로 갈 수 있는 회사 종류는 1. 일반 대기업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 웹서비스가 메인이 아닌(?) 기업. 은행도 여기 포함되는 걸로 본다면) 2. si 업체 (lg cns, 현대 오토에버 등) 3. 서비스 기업 (네이버, 카카오, 배민 등) 4. 스타트업 이 정도가 있는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짧은 지식&경험에서) 생각했을 땐 1, 3 > 2 > 4 일 것 같은데 제 주변에서는 대부분 2로 취업하는 경우를 많이 본 것 같습니다. 여기서 3은 실력이 제일 중요한 요소이니 제끼고 생각할 때, 2의 경우가 1보다 많이 보이는 이유가 단순히 2. si업체에서 뽑는 웹 개발자의 인원이 더 많아서 이렇게 느껴지는 건지, 아니면 실제로 1보다 2를 선택하는 이유가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투표

개발자

#회사

답변 2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962

9달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개발자는 도메인이 같은 산업으로 이직해야 유리한가요???

아직 신입이라서 개발업계에 모르는게 많습니다. 도메인 지식 도메인 지식하는데, 도메인 지식이란게 제가 알기론 이커머스, 교육 , 금융 등등 하나의 산업에서 개발 지식 외에 개발을 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비즈니스 로직을 만들기 위한 기반이 되는 필요한 지식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근데, 아무래도 하나의 산업에 대해서 그 지식을 알면 이전 직장에서 다음 직장으로 이직한다고 할때 같은 도메인 지식을 가지고 있는 회사라면 이직하기가 더 쉬울거 같은데 실제로 그런건가요?? 네카라쿠배를 다니는 대학 선배들 보면, 5개 기업들 모두 도메인이 쿠팡, 배민 말곤 도메인이 겹치는 경우가 거의 없는데도 5개 안에서만 골라서 이직하는 선배들을 많이 보는데, 어떤 경우는 도메인이 중요한 산업이 있고 어떤 경우는 도메인 지식이 중요한게 아니라 기술적인게 더 중요한 산업도 있는건지요?? 그리고 이직을 하게 된다면, 산업군이 다른 이직하려고 하는 회사에서 이전 직장의 도메인 지식에 대해서 어느정돈 알고 있는지 체크하는 경우가 많나요??

개발자

#이직

답변 0

댓글 0

조회 228

일 년 전 · 롤롤 님의 새로운 답변

클론 디자인, 코딩으러 연습해보고 싶은데

배민어플에 있는 아이콘들은 어떻게 구할 수 있나요..?

디자이너

#클론코딩

#연습

#피그마

답변 1

댓글 0

조회 77

일 년 전 · 정상헌 님의 새로운 답변

배민 함께주문과 같은 기능을 구현하려면 어떤 기술이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최근 소프트웨어에 관심을 가지게 된 비전공자입니다. 배민 함께주문처럼 하나의 페이지 정보를 여러 사용자에게 동시적으로 실시간 반영하여 노출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은 어떤 소프트웨어 기술을 사용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찾아보니 클라우드서버?가 해당되는 것 같은데 맞을까요? 아니면 통신 기술을 사용한 것일까요..?

개발자

#배달의민족

#배민

#함께주문

#소프트웨어

답변 1

댓글 0

조회 109

일 년 전 · 익명 님의 새로운 댓글

UX 라이팅은 어떤 직무에 속하나요?

제품 디자인 쪽을 하다가, 앱 서비스에 흥미가 생겨 UX 라이팅 쪽으로 준비해서 이직을 할까 생각 중입니다. 채용 공고부터 살펴보고 있는데, UX 라이터를 뽑는 회사가 극소수더라고요... 쿠팡/배민 등등 조금 유명한 기업에서만 채용을 하지 보통의 대기업이나 다른 스타트업들에서는 채용을 하지 않는 모습이더라고요.. 그래서 그런데 보통 UX 라이터가 따로 없는 서비스를 만드는 회사나 팀은 어떤 직무의 분들이 UX 라이팅을 맡으시는 지 궁금합니다!

디자이너

#ux

#라이터

답변 1

댓글 1

조회 92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백앤드 전환 기술스택 선택 고민

현재 Flutter로 현업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백앤드에 흥미가 생겨서 좀 더 공부 후 백앤드 개발자로 전향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매우 나중에 들어가고 싶은 회사는 당근, 토스, 배민입니다. (한참 뒤에야 이력서 쓸 정도가 될 수 있을거 같습니다) 고민하고 있는 부분은 앞으로 공부 순서에 대한 내용이고 다음과 같습니다. 1. Nest.js 공부 -> Node로 빠르게 취업 -> 나중에 코프링을 공부하여 목표 회사 준비 2. java spring공부 -> 해당 스택으로 취업 이렇게 보면 당연히 2번아닌가? 라고 느끼시겠지만 직장인으로 일하면서 공부하는 점을 생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러닝커브를 무시하기 힘들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래서 차라리 단계적으로 공부하는게 맞는건가? 라는 생각 때문에 1번과 2번중 고민하고 있습니다. 어차피 스프링으로 최종적으로 스택을 갈 것이기 때문에 오래걸리더라도 바로 spring을 공부하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비교적 러닝커브가 낮은 nestjs로 공부하여 일단 백앤드 직무로 빠르게 현업에서 일하는게 좋을까요? 감사합니다.

개발자

#spring

#nest.js

#nest-js

#spring-boot

#kotlin

답변 0

댓글 0

조회 117

2년 전 · MINGO 님의 새로운 댓글

주니어가 참고할만한 좋은 깃레포(리액트)를 아시나요?

질문앞서 토스나 배민에서 여러 좋은 영상을 많이 업로드 해줘서 잘봤습니다만, 컴포넌트 구조나, js를 이렇게 까지 완벽하게 쓴다 하는 명확한 코드를 보고싶어요. 제목과같은 고민을 하고 직접 생각하고 짜봤지만 딱히 이렇다 할 결과물이 나오지 않는듯 합니다.. 저는 20인 이하 기업인데다가 신입만 모여있어서 좋은 코드 구경하기가 힘듭니다. 레포중에 스타를 많이받거나 단순히 트랜딩되는게 다가 아니라, 특정 문제( 잦은 재렌더링,최적화된 canvas 사용 , 깔끔한 컴포넌트 구조 등) 참고가 될만 한걸 보신분이 있다면 지식을 구걸하겠습니다.

개발자

#react

#git

#레포지토리

#주니어-프론트

#프론트엔드

답변 1

댓글 2

추천해요 58

조회 2,992

3달 전 · . 님의 새로운 댓글

우아한 테크코스 vs 인턴, 뭐가 더 좋은 경험일까요?

안녕하세요 백엔드 개발 공부하는 졸업 예정자입니다. 이번에 100만명 가까이 되는 서비스를 운영중인 스타트업의 인턴(채용연계형)과 부트캠프인 우아한 테크코스에 모두 합격하게 되었는데요,, 둘 다 메리트가 크다보니 어느 곳으로 가야 앞으로 더 크게 도움이 될 지 선택하는 과정에서 갈팡질팡 하고 있습니다... 요즘 취업난이다보니 희망퇴직도 많이 발생해서, 시장에 경력자분들이 많이 풀려 계시다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안그래도 덜 뽑는 와중에 채용연계형 인턴으로 들어가서 채용 연계 노려서 1년 이상 경력 쌓는 게 이후에 더 도움이 되고 경쟁력있지 않을까 생각과, 좋은 교육 제공하는 걸로 유명한 배민 부트캠프에서 이악물고 학습해서 괴물 개발자 돼서 배운 내용과 쌓아온 스펙으로 신입 구하는 곳 입사하는게 나을까라는 생각이 부딪혀서 죽겠습니다.. 현직자분들께서 뭐가 더 앞으로 백엔드 개발자로서의 커리어에 도움이 될 지 의견남겨주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

#백엔드

#인턴

#부트캠프

#인턴vs부트캠프

#우테코

답변 1

댓글 2

추천해요 2

조회 2,312

6달 전 · 김태우 님의 새로운 댓글

부트캠프 객관적인 현실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웹 프론트엔드 취업 준비중인 비전공자입니다. 개발과 무관한 전공이고, 대학교 동아리에서 창업 경진대회 준비를 하다가 개발에 관심히 생겨 이후 독학 중입니다. 말이 독학이지 클론 코딩 몇번 해본게 전부라, 현재 개발자 취업 준비 중이라고 제 입으로 말하기도 부끄러운 상태입니다. 내년 안으로 취업이 목표라 여러 생각들이 많아, 현직자 분들이 많이 모여있는 곳에 질문을 드립니다. 1. 부트캠프를 수강하려 하는데, 정말 98% 수료율, 99% 취업률 등이 진실인가요? 부트캠프를 수강하신 선배님들 입장에서는 이러한 수치가 정말인지? 부트캠프 전반적인 분위기가 어떤지 궁금합니다. 2. 부트캠프는 배민 네이버 사피 등 대기업에서 운영하는 것이 아니면 절대 가지마라고 하던데 정말인가요? 사실 일년안으로 개발자 취업을 생각중이라 올해안에 꼭 부트캠프에 입학을 희망하고 있습니다. 대기업에서 연계 운영하는 부트캠프의 경우 탈락의 위험성도 생각을 안할 수가 없어 조금 불안한게 사실인데 위의 부트캠프들 아니면 절대 가지 않는게 맞을까요? 3. 현재 오프라인 부트캠프 위주로 생각하고 있는데 오프라인 부트캠프는 위코드, 바닐라코딩 두개가 유명하더군요. 혹시 두개 들어보신 선배님들이 있다면 전체적인 분위기는 어떤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외 부트캠프를 통해서 비전공자 개발자 취업에 성공하신 개발자 분들이 있다면 지혜를 나눠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부트캠프 고르는 팁 등등 알려주시면 내년도 등록시에 참고하겠습니다.

개발자

#프론트엔드

#부트캠프

#취업

#커리어

답변 3

댓글 6

조회 1,656

2년 전 · 또르르 님의 새로운 답변

백엔드 프레임워크를 선택하는 기준

많은 서버 프레임워크가 있는데 어떤 한 기업이 프레임워크를 선택하는 기준이 있을까요? 배민과 요기요는 왜 스프링을 사용하고 우버나 넥플릭스는 익스프레스를 사용하는 건가요? 각각의 어떠한 장점이 있는 건가요?

개발자

#백엔드

#서버

#프레임워크

#spring

#express

답변 3

댓글 0

추천해요 18

조회 4,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