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

질문 1
해시태그 없이 키워드만 일치하는 질문은 개수에 포함되지 않아요.

한 달 전 · 성대규 님의 새로운 댓글

앱 배포시 백엔드 서버와의 간극 해결방법

안녕하세요! 장고로 백엔드 서버를 개발하고 RN로 프론트엔드 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 초반이라 요구 사항이 자주 변경되어서 테이블을 재설계하거나 api 응답 스키마(serializer)를 수정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백엔드 서버는 배포시에 바로 반영이 되지만, 앱 배포의 경우 앱스토어의 심사 + 자동 업데이트로 인해 2~3일 정도의 간극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백엔드 응답 스키마가 앱의 old 버전과 일치하지 않아 문제가 발생합니다 ㅠㅠ 현업에서는 이런 문제를 사전에 어떻게 방지하는지, 배포 파이프라인을 어떻게 구성하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조사한 바로는 base_url에 버전을 표시하거나 (../api/v1/…), http header에 버전을 명시해서 라우팅을 해주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요구사항에 대한 변화가 잦다 보니 더 좋은 방법이 있을까 싶어거 여쭤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앱배포

#rn

#django

#배포방법

답변 1

댓글 3

추천해요 1

조회 79

4달 전 · 허니 님의 새로운 답변

프론트엔드 기본기를 기를 수 있는 도서가 있을까요??

지난해 하반기 취업하여 풀스택 개발자(프론트 비중이 높은)로 일하며 프론트엔드의 핵심이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취준할때 백엔드와 devops 관련으로 많이 공부했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백엔드 개발자로서 저만의 가치관과 개념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근데 프론트엔드는 빠르게 변화해서 그런지 뭐랄까 핵심이, 중심이 되는 가치가 뭔지 모호한 것 같습니다. UI/UX라고 생각하니 이건 너무 디자인 쪽으로 흘러가는게 아닌가?? 디자인은 감각의 영역아닌가?? 복잡한 로직이나 데이터 관리를 생각하니 이런건 다 백엔드에서 처리해야하지 않나?? 라는 생각으로 빠지는 것 같습니다. 신입개발자로 프론트엔드의 핵심가치에 대해 배울 수 있는 책이 어떤게 있을까요??

개발자

#프론트엔드

#웹개발

#풀스택

답변 1

댓글 0

조회 131

6달 전 · 이상래 님의 새로운 답변

1년차 신입개발자 고민있어요

제가 약 10개월 정도 SI 회사에서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재직중입니다. 고민은 얼마전 react 프로젝트를 마치고 vue를 처음 시작해보면서 state 변화 감지에 대해 사수에 질문을 했었습니다. 그렇지만 제 예상과는 달리 잘 모르겠다는 말과함께 다른방식으로 접근해보는게 어떻냐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수긍을 하고 고치는 찰나 방법이 무조건 있을것같다는 생각에 구글링과 챗지피티를 통하여 단순히 computed 연산을 사용하면 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아무리 함께 성장하는 회사이고 하더라도 이게 맞는가 싶은생각이 들었습니다. 사실상 제 사수는 백엔드 경력이 더 많고 회사에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저와 제 사수뿐입니다. 저는 저의 기술적 성장도 하고싶고 여럿 기술을 어깨넘어 배우시고 싶지만 요즘은 제가 프론트 지식을 더 많이 알고있을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점점 갈수록 사수에 대한 불신이 커지는 시점에 이직이 옳을까요??

개발자

#이직고민

답변 1

댓글 0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251

6달 전 · 익명 님의 질문

리액트에서 이벤트 루프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리액트에서 이벤트 루프 동작 관련해서 제가 이해한내용이 맞는지 질문드립니다! 코드를 간단히 설명드리면 List를 그리는 scroll container가 있고 아이템이 추가되면 마지막으로 추가된 아이템으로 스크롤을 시키려는 코드입니다. (useEffect를 사용해도 되지만 이벤트 루프를 이해하기 위해서 작성하였습니다!) 스크롤을 시키기 위해 작성한 코드는 세가지입니다! 1번 코드는 스크롤이 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리액트에서 batch 업데이트 과정에서 렌더링되기 전에 호출되었으니 스크롤이 되지 않습니다. 2번 코드는 스크롤이 되었습니다. 리액트의 상태변화는 마이크로태스크큐에서 실행이 되었고 렌더링이 발생한 후에 매크 태스크큐가 실행되기 때문에 올바르게 렌더링 후에 실행이 되었습니다. 3번 코드는 스크롤이 되었습니다. 이건 이유를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개발자 도구에서 실행된 시점을 봐도 마이크로태스크큐에서 스크롤 함수가 실행되었지만 올바르게 실행이 되었습니다. 마이크로 태스크 큐 실행과정에서 appenchild가 발생하고나서 렌더링이 되기전에 이미 레이아웃이 다 계산은 완료가 되는걸까요? 어떻게 이해를 해야될지 모르겠습니다.

개발자

#react

#javascript

#event-loop

답변 0

댓글 0

조회 50

6달 전 · 이상래 님의 새로운 답변

프론트엔드, 백엔드 고민

프론트엔드와 백엔드에 대해서 고민이 많아 이렇게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조금 많이 찾아보긴 했는데 프론트엔드는 디자이너, 백엔드 등 다양한 직무의 사람들의 요청에 따라서 일일이 수정을 해야하고, 시대의 흐름에 따라서 그때그때 빠르게 수정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프론트엔드는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을 수렴하면서 다양한 시도를 해보는거를 좋아하는 사람이 하기에 좋다고 알고 있고, 저도 그런 사람이라 생각합니다. 백엔드는 설계를 탄탄히하고, 기초부터 차근차근하면서 진득한 사람이 잘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저는 시대의 흐름에따라 다양한 변화를 받아들이는건 좋아하고, 설계를 탄탄하게 하는것을 좋아하지만, 진득하지가 않고, 너무 빠른 시대의 흐름에 스트레스를 받을까 고민입니다. 저도 당연히 둘 다 시도해보고 결정하는게 더 좋다는것을 알지만, 일단 성향상으로 보았을때 어떤게 더 잘맞을지 궁금합니다!

투표

개발자

##프론트엔드

##백엔드

#고민

#개발자_진로

답변 1

댓글 0

조회 476

8달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공기업 취업 고민 -

안녕하세요 지방대 컴공 2학년을 마치고 휴학 중인 힉생입니다. 처음엔 사비스 회사(사기업)를 가야지 하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성향상 빠르게 변하는 it 트렌드에 적응하기 힘들어 합니다. 지식 습득하는 것을 싫어하지는 않는데 하나의 지식을 습득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반복학습을 통해 하나를 깊게 파는 것을 좋아합니다. 그리고 안정성을 중요시하구요. 이러한 성향으로 봤을때 사기업보다는 공기업과 금융권 분야가 제게 맞다는 생각이 드는데 (금융권이 그나마 기술적 변화가 좀 적은 편이라는 말을 들어서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사기업과 공기업의 취업 방향성이 다르다고 들어서 고민입나다… 그리고 이러한 성향을 가진 사람은 it라는 넓은 분야에서 어떤 쪽을 선택하는 게 좋은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일단 웹쪽은 별로 흥미가 생기지 않는 것 같습니다.

개발자

#진로

답변 1

댓글 0

조회 155

8달 전 · 포크코딩 님의 새로운 답변

API 변경 시 가장 효과적인 처리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API 변경 처리에 대해 여러분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현재 우리 프로젝트에서는 POST api/model 엔드포인트를 사용 중입니다. 이 API의 request body 구조에 큰 변화가 필요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가장 좋을까요? 제가 생각한 간단한 접근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api/model2라는 새로운 엔드포인트를 생성합니다. 2. 기존 api/model을 deprecated 처리합니다. 3. 프론트엔드에서 api/model2를 사용하도록 수정합니다. 4. 일정 기간 후 api/model을 제거합니다. 5. api/model2의 이름을 api/model로 변경합니다. 이런 방식이 일반적인가요? 아니면 다른 더 효과적인 방법이 있을까요?

개발자

#백엔드

#api

#협업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41

9달 전 · 한종원 님의 질문

<항공/기후산업의 혁신을 함께할 프론트엔드 개발자 모집>

주식회사 노바에어는 고가의 장비 인프라 없이 항공기 상태 변화 기반으로 난기류를 진단하고, AI 기술을 적용하여 운항관리사와 조종사에게 최적화된 실시간 난기류 대응책 도출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솔루션을 통해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공/모빌리티 운항 환경 구현을 목표로 합니다. ★ 대표자 - UAM/항공 분야 프로젝트 및 연구 다수 진행 - 총 3회 수상 이력 (국토교통부 장관상. 한국공항공사 사장상. 한국교통안전공단 이사장상) ★ 팀원 - 리서치/운영 지원 1명, PO/PM 1명, 웹 풀스택/네트워크 개발 1명, 안드로이드 개발 1명, 디자인 1명 - 항공기상 빅데이터융합, 대기과학 인공지능 분야에서 20년 이상의 경험과 노하우를 갖춘 해외 대학 박사학위 보유자 두 분 (Adviser) 우리 팀과 함께 기술 고도화와 시장 확장을 이끌어갈 아래에 해당하는 신규 팀원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항공시장을 혁신하고 지속 가능한 하늘길을 만들고자 하는 열정적인 분들의 많은 지원을 기대합니다. I. 프론트엔드 개발자 (1명) : 파트타임 및 인턴 직무 내용 - 항공 운항 관리 및 통제용 난기류 실시간 모니터링 및 대응 솔루션 웹 플랫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개발 요구 사항 - Kepler.gl 등 Map GL을 사용한 개발 경험 필수 - React에 능숙하신 분 주도적인 마인드로 가슴 설레는 일을 하고 싶으신 분들은 나이, 전공, 경력 등 불문하고 연락 주십시오. 학/석/박사학위자 및 과정 중, 직장이 있으신 분도 환영합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아래 오픈 카톡방으로 입장해주세요! https://open.kakao.com/o/s66vjKgg

개발자

#항공

#기상

#react

#맵gl

#mapgl

답변 0

댓글 0

조회 107

9달 전 · 익명 님의 질문

이직을 위해 뭘 해야할까요?

중소 si에 다니고 있고 언어는 아주 초반에 c#잠깐 그 이후론 자바 위주로 했고요 화면도 리액트,jsp 조금 그리고 웹스퀘어도 잠깐 다뤘었네요 si다 보니 가는 프로젝트마다 환경이 제각각이라서 뭐 하나 진득히 하진 못했어요 이직을 생각할 시기인데 사실 뭐부터 공부해야 할지 도저히 감이 안잡힙니다 비전공자 출신이라 cs지식 굉장히 부족하고요 솔직히 개발자가 아니라 코더라는 생각이에요 아직도 제가 뭘하는지 잘 모르겠어요 그냥 로직 짜는 것 밖엔 할줄 아는게 없네요 뭘 공부해야할까요? ㅠ 스프링 공부하면서 사이드 프로젝트를 해야할까요?ㅠ 사실 이직을 어디로 하고 싶은지도 모르겠어요 공공기관이나 공기업을 가고싶은데 티오가 너무 없더라고요... 변화해야하는데 갈피를 못 잡고 있습니다 ㅠ

개발자

#이직

답변 0

댓글 0

조회 66

10달 전 · great 님의 새로운 답변

카프카 컨슈머 파티션 할당 질문

스프링부트 2.7버전을 사용하고 있고, 컨슈머 스태틱 멤버십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A서버 group.instance.id: testA B서버 group.instance.id: testB 동일 토픽의 파티션을 할당받을 경우 A서버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먼저 띄움 (A서버 컨슈머 A토픽 파티션 전부 할당받음) 이후 B서버에서 애플리케이션 띄움 -> A토픽 파티션 할당 변화 없음 반대로 B서버 애플리케이션을 먼저 띄움 (B서버 컨슈머 A토픽 파티션 전부 할당받음) 이후 A서버에서 애플리케이션 띄움 -> A토픽 파티션 할당이 전부 A서버 컨슈머로 변경 아무리 찾아봐도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모르겠습니다 ㅠ

개발자

#kafka

#kafka-consumer

#spring-boot

답변 1

댓글 0

조회 42

10달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새로운 회사에서 잘 적응 하는 법

안녕하세요. 3년간의 물경력을 가지고 있다가 현재상황에 변화를 두고자 퇴사 후, 최근에 이직을 하게 되었습니다. 1년차 이상 개발자를 뽑는 곳이었고, 금융권 회사입니다. 1. 3년의 백엔드(자바) 경력이 있지만 개발보단 엑셀을 더 다룬 것 같습니다. 경력직으로 이직하게 된 거라 실무 업무에 잘 적응할 수 있을 지 걱정되네요ㅠ 2. 이직이 처음인데, 회사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전 회사를 너무 쉽고 편하게 다녔던 터라 이번 회사는 정말 열심히 다니면서 스스로 성장한다는 느낌도 받고 싶은데, 회사에서 기대하는 값에 미치지 못할 거 같은 생각에(아마 무조건..) 두렵네요ㅠ. 주말마다 스터디를 통해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만 그럴 때마다 제 수준이 너무 낮다는 걸 깨닫게 되네요🥲 23일 첫 출근을 앞두고 걱정되는 마음에 글을 올려봤습니다. 하소연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이직

#java

#물경력

답변 0

댓글 0

조회 83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진짜 물경력이 되어버렸습니다.최근 1년간 성과를 내세울 게 없습니다

저는 회사에 입사한지 5년차인 학사학위 비전ai 응용개발자입니다. 회사가 늘 과제 위주로 업무가 진행되며 보고서를 채우기 위한 결과 작성만 하거나 과제 지원서에 쓸 내용만 채우다 경력이 지지부진한 상태에 빠졌고, 저는 건강이 요 몇년간 좋지 않아 회사에서 주어진 일만 하고 아무것도 하지 못했습니다. 최근에서야 좀 건강이 정상 궤도에 가까워지고 있는데, 그 사이 세상은 여러가지로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CNN에서 LLM으로, 한 태스크를 수행하는 모델에서 멀티모달로.. 저는 그 사이 어떤 지식도 채우지 못하고 오히려 증발하기만 했죠. 채용시장은 어려워지고.. 회사는 살아남기 위해 로봇 산업에 끼기를 추구하려 해서 개발자에서 점점 멀어지는 것 같아 두렵습니다. 베이스를 채우려고 이제 정신차리고 선형대수학과 확률론을 살펴봐도 어렵기만 합니다. 웹 관련으로는 한 번도 개발이나 배포를 해 본적도 없고, 기술스택도 사실상 순수 파이썬에 가깝습니다.. 누구를 탓할수도 없고 탓해봤자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는 걸 알기에 신세한탄을 하며 뭘 어떻게 해야할 지 모르겠습니다. 이직은 하고 싶고 여태 해온 일들이 다른 회사에서 보기엔 성과로 비춰지지 않을 것 같고.. 앞으로 회사에서 진행될 일들도 이력서에 적을만한 내용이 없는 일들 투성이입니다. 위축만 되어 있습니다. 이젠 제가 하고 싶은게 뭔지도 모르게 되어버렸습니다. 지금이라도 웹을 따로 공부해서 연봉이 800이 적어지더라도 신입 웹개발자로 들어가는 게 나을까요?

개발자

#커리어

답변 0

댓글 0

조회 245

일 년 전 · 포크코딩 님의 새로운 댓글

리액트쿼리 데이터 리패칭 이렇게 하는거 아닌가요?

home.jsx const { data, error, isLoading } = useFilteredApartmentData(); <List data={data.result} /> 훅.jsx const useFilteredApartmentData = () => { const queryClient = useQueryClient(); const [filters, setFilters] = useState({ skip: 0, take: 15 }); const { data, error, isLoading } = useQuery({ queryKey: ["aaa", filters], queryFn: () => fetchFilteredApartmentData(filters), placeholderData: keepPreviousData, enabled: !!filters, }); const mutation = useMutation({ mutationFn: (filter) => { fetchFilteredApartmentData(filter); }, onSuccess: () => { queryClient.invalidateQueries({ queryKey: ["aaa", filters] }); }, }); const updateFilters = (newFilters) => { console.log(newFilters); setFilters(newFilters); mutation.mutate(newFilters); }; return { data, error, isLoading, updateFilters, }; }; export default useFilteredApartmentData; 여기서 처음에 데이터 패칭은 잘 이루어 지는데 fillter가 바뀌면 훅의 updateFilters 가 동작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list에 다시 뿌리려고하는데 화면에 변화가 없습니다 ㅜㅜ 이렇게 하는거 아닌가요??

개발자

#react

#react-query

답변 1

댓글 2

조회 74

일 년 전 · 김하늘 님의 새로운 답변

환경이 자주 바뀌는 직무가 있을까요?

저는 수학,프로그래밍을 좋아합니다. 그래서 프로그래머나 데이터 엔지니어,분석쪽 일을 하고싶습니다. 그런데 제가 환경에 변화없이 한 프로젝트에서 계속 일을하는 것을 못견딥니다. 제가 움직이거나 프로젝트 환경이 바뀌거나 이런 역동적인 환경을 좋아합니다. 혹시 이런 직무나 업계 있을까요?

개발자

#프로그래머

#변화

#직무

#개발자_진로

답변 1

댓글 0

조회 58

7달 전 · 유길종 님의 답변 업데이트

제 이력서를 객관적으로 보지 못하여, 도움을 요청 드립니다

저는 처음 입사한 회사에서 2년 5개월 동안 일한 프론트엔드 개발자 입니다. 요즘 이직에 대해 필요성을 느낍니다. <이직 사유 1번> 지금 회사 생활에 안주하고 있다는 생각에 변화가 필요합니다. 즉, 긴장감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고인물이 되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직 사유 2번> 1번과 비슷한데, 다른 회사의 개발환경을 경험해보고 싶습니다. 사실, 어디든 완벽한 개발문화와 회사 시스템은 없습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회사마다 팀마다 고유의 색상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이직을 하고 싶은데 2년 5개월 동안 일한 저의 경력에 매력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이 글을 읽어주시는 개발자 분들께, 제 이력서를 한 번 보여드리고 싶습니다. https://www.rallit.com/hub/resumes/109889/%EC%9D%B4%EB%B0%A9%EC%9B%90?isExpanded=true 읽어보시고, 말씀 한 마디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제 이력서에 대해 객관적인 판단을 내리지 못하여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에게 도움을 요청을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

#이직

#이력서

#성장

답변 1

댓글 0

조회 243

일 년 전 · HolyMoly Developer 님의 새로운 답변

팀원과의 소통에서 주눅이 들 때

안녕하세요. 부트캠프를 수강하면서 팀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데, 팀원과의 소통 때문에 고민이 있습니다. 저희 팀에는 실력이 뛰어난 팀원이 있습니다. 프로젝트 이전에도 무언가 하나 배우면 새벽까지 공부했었다고 들었습니다. 그 덕분인지 전공자임을 생각하더라도 실력과 습득력이 좋은 편입니다. 그러나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팀원이 가끔 툭툭 던지는 말을 들으면 주눅이 듭니다. 저는 지식 습득이 빠르지 않아, 새로운 기술을 적용할 때 이것저것 찾아보며 이해하는 시간이 좀 걸립니다. 개발 속도도 비슷한 편이구요. 그런데 종종 해보니까 쉽더라, 금방 하더라, 할 일이 다 끝나서 심심하다 등의 말을 꺼내곤 하는데, 저는 옆에서 끙끙대고 있어선지 스스로 괜히 주눅이 듭니다. 제가 너무 느린 것 같기도 하고, 제 실력에 대해 답답해지기도 합니다. 물어보면 자세히 알려주고 잘 챙겨주는 좋은 팀원인데, 제가 너무 과하게 받아들이는건지. 어떻게 생각을 변화하는게 좋을지 조언을 듣고싶습니다.

개발자

#협업

#프로젝트

#부트캠프

#팀원

#소통

답변 3

댓글 0

조회 191

일 년 전 · HypeBoy 님의 새로운 답변

학과 적응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개발자를 희망해 컴퓨터공학과로 편입한 학생입니다 작년 3월에 문과에서 편입해 들어와 첫학기를 보냈지만 적응하지 못하고 1점대 후반의 학점을 받은 뒤 학과 적응을 위해 공부하자고 마음먹고 휴학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휴학 이후 공부를 하면서도 코딩 실력은 제자리를 벗어나지 못하고 문법만 알고 제대로 된 코딩은 못하는 상태입니다 지금은 인프런에서 인강을 듣고 있는데 솔직히 거의 무슨 말인지 모르겠지만 큰 틀이라도 알고 가자는 마음으로 완강을 목표로 꾸역꾸역 듣고 있습니다 (연습문제를 푸는 단계까지는 아직이라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제생각으로는 이대로라면 별 변화가 없을 것 같습니다..) 당장 다음 2학기 복학 예정인데 시간은 없고 마음은 조급해 불안하고 자괴감만 듭니다.. 그러던 중 커리어리라는 곳을 알게 되어 이렇게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학과 수업에 조금이라도 적응이 가능할 정도로 코딩 실력을 제대로 늘리는 공부를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개발자 분들의 많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너무 막막합니다..

개발자

#학과적응

#코딩

#컴공

#컴퓨터공학

#컴퓨터공학과

답변 4

댓글 0

조회 157

일 년 전 · 김인후 님의 새로운 답변

신입 백엔드 개발자 이력서 첨삭 부탁드립니다!

올해 졸업하여 취업준비하고있는 취준생입니다. 프로젝트는 주로 Java, Spring Boot 활용한 프로젝트들이 있고 서류 탈락이 여러번 있었어서 다양한 방법으로 개선해왔지만 크게 변화가 없어서 현업에 종사하고 계신 분들이 어떤걸 중요하게 여기는지, 이력서에 어떤 내용을 담으면 좋을지 말씀 해주신다면 정말 감사할 것 같습니다! 세부적인 프로젝트의 코드들, 문제점들을 위주로 봐주시면 좋겠습니다. 댓글 달아주시거나 연락 주시면 바로 이력서 pdf파일로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

#백엔드

#이력서

#첨삭

#신입

#spring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보충이 필요해요 3

조회 214

일 년 전 · 삭제된 사용자 님의 새로운 답변

학부생으로서 컴퓨터비전업무

안녕하세요. Ai관련학과에 재학중인 대학생입니다. 요새 컴퓨터비전쪽에 관심이 가서 object detection, segmentation을 공부중입니다. Inflearn에서 강의도 찾아보며 배우고있습니다. 컴퓨터비전분야는 변화가 빠른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쪽분야에서 일을 하려면 대학원을 가야할까요? 현장에선 무슨일을 하는지 도저히 감이 안잡힙니다. Pretrained 모델을 활용하거나 논문해석은 얼추 가능한데 현장에서는 무슨일을 하는지, 대학원을가면 무얼 연구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저는 활용하는걸 좋아해서 학부졸업하고 취업을 하고싶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그저 코드 가져와서 조금 수정해서 하고 있는데 이게 현장에서 요구하는 수준이 아닐거라는 생각이 자꾸 듭니다 ㅠㅠ

개발자

#컴퓨터비전

답변 1

댓글 0

조회 111

일 년 전 · 박정환 님의 새로운 답변

디자이너 개발자 협업시 어디까지 용인하나요?

디자이너 없는 개발사에서 상주 프리랜서 디자이너로 근무 중입니다. 사내 서비스 솔루션 전체를 도맡아하기에 협업한지 1년 다 되어가고. 사내 개발자 전체와 각 프로젝트 별로 협업 중입니다. 일반적으로 개발자들이 피드백이다 못해 마이크로매니징.. 도 아니고 저를 거의 툴러로 전락시키는 수준인데 다른 회사도 개발자가 이 정도로 디자인에 간섭하는지 알고 싶네요. 1. 고객사 피드백이 온 경우 디자이너의 의견 듣기도 전에 본인이 먼저 ux 운운하며 특정 레이아웃을 고집. 이 부분에 에러가 있고, ux적으로도 옳지 않아 정정함에도 이를 무시. 2. 컬러 변경시 요소별 HEX코드를 지정해서 수정 요청. 3. 10분 동안 컬러를 rgb 플러스마이너스 5~7 단위로 조정하며 색상 고르게하다 곧 모르겠다고 모르쇠. 4. 디자인 시안에 각 레퍼런스를 어떻게 활용했는지 모르겠으니 설명 요구. 등등 1년 동안 여러가지가 있었지만 위 4가지가 최근 일이주일 사이에 각 다른 개발자들 사이에게 당한 일입니다. 다시 말하지만 저는 이 개발사의 단독 디자이너입니다. 디자인팀에서 다른 팀원이나 팀장에게 받은 피드백이 아니라 개발자들이 각각의 주관적인 취향에 따른 의견을 준 거고요. 저는 이를 피드백으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솔직히 너무 불쾌할 따름입니다. 그런데 저도 제 실력에 자신이 없고 제가 너무 예민한가, 이 불쾌함의 정당함에 확신이 안 드네요. 다른 회사 개발자들도 이정도로 디자인에 간섭하나요? 제가 이 건으로 개발팀에 태도변화를 요구해도 정당할까요? 아니면 1년 정도 남은 일을 최대한 빨리 끝내고 도망치는 게 나을까요?

디자이너

#디자인

#피드백

#협업

#개발자

#소통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173

일 년 전 · 오원종(Owen) 님의 답변 업데이트

IT 시장에서의 적응력이란게 뭘까요?

빠르게 변화하는 IT 시장에서 적응을 잘한다는게 어떤 것인지 문뜩 궁금해졌어요. 새로운 기술의 적응이라면 새로운 기술을 잘 다룰 수 있는 능력일까요?

개발자

#it

#기술

답변 1

댓글 0

조회 108

일 년 전 · 곽세진 님의 새로운 댓글

프론트엔드 개발 관련 서버와 동기화 문제로 인해 질문 남깁니다!

안녕하세요! 초기 스타트업에서 현재 notion과 같은 블록 에디터 기반 기능을 가진 보고서 서비스를 만들고 있습니다. 먼저 문제가 발생하기 전까지의 과정을 말씀드리면 1. 작성되어 있는 글 사이에 새로운 글을 작성하기 위해 글 사이룰 개행하여 새로운 블록을 만든다. 2. 만들어진 블록에 글을 작성하고 Enter를 누른다. 3. 변화된 블록들의 객체를 서버에 전송한다. 4. 서버에서 현재 상태에 대해 DB를 최신화하고 프론트에 전송한다. 여기서 문제가 발생하는데 3~4번의 과정 중에 유저가 빠르게 새로운 블록을 재생산하거나 기존의 에디터 상태와 DB에서 최신화된 에디터 상태가 다른 경우 새로운 블록을 재생산한 화면에서 DB를 최신화한 블록 상태로 변경되는 이슈가 있습니다. 해결하기 위해 떠오르는 여러 가지 방법들 (ex. 캐싱과 webworker )을 적용하기 전에 이런 상황들을 경험했을 선배 개발자분들께 먼저 고견을 여쭙고 진행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생각하여 질문을 먼저 올렸습니다! ( 사수가 없는 상황입니다..! ) 이런 비슷한 경험을 어떻게 해결했는지 경험이라도 공유해주시면 너무너무 감사하겠습니다! :) 좋은 하루 보내세요! ( 메일 : reblackraven@gmail.com )

개발자

#react

#프론트

#next.js

#프론트엔드

#에디터

답변 1

댓글 1

조회 125

일 년 전 · 장준영 님의 답변 업데이트

유독 프론트엔드 강의가 더 많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독학으로 개발공부를 하고있는 도중에 유독 프론트엔드쪽 강의와 커뮤니티가 백엔드 또는 앱개발에 비해 더 활성화된 느낌이 들었습니다. 실제로도 유튜브에서 무료 강의를 찾아보았을때 프론트엔드 관련 영상이 최근 업로드 된것이 더 많고 양적으로도 더 많다고 느꼈습니다. 질문하면서 생각해봤을때 입문하기 쉬운편인 js, 입문자에게 바로 보여지는 브라우저 화면으로 인한 흥미유발, 자주 변화하는 프레임워크 정도로 생각됩니다만 다른 분들의 생각도 궁금합니다.

개발자

#frontend

#backend

#프론트엔드

#백엔드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125

일 년 전 · st 님의 질문

업데이트창이 뜨지 않지만 업데이트 되어있는 앱

안녕하세요! 위 질문처럼 업데이트창이 뜨지 않았지만 앱 안에 변화가 있는 경우는 react-native가 아닌거 같은데요!(레이아웃모드로 웹뷰가 아님을 확인한 앱들이었습니다) 그렇게 업데이트 안내 없이도 앱이 업데이트 되는 방법은 어떤 방법이 있나요? 🤔

개발자

#react-native

답변 0

댓글 0

조회 37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react-query 와 zustand

현재 react-query와 zustand를 같이 쓰면서 고민이 있습니다. 현재코드는 useQuery를 통해 데이터를 가져오고 그 데이터를 가공해서 zustand에 넣어놓고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추가등의 변화가있을 때 useMutaion onSuccess -> queryClient.invalidateQueries를 통해 자동으로 갱신하게 로직을 작성했어요. 이렇게 작성하면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추가등의 변화가있을 때 마다 최신데이터가 갱신되기는 하지만 서버에 재요청을 해야하는 단점이 있어서 useMutaion onSuccess -> queryClient.invalidateQueries를 통해 자동으로 갱신하는 부분을 zustand에 추가로 데이터를 넣어주고 새로고침할때만 useQuery로 데이터를 받아오는 방식으로 변경할려고 해요. 근데 이렇게되면 새로고침하지 않으면 다른사람이 갱신한 데이터는 가지고 있지 못하게 되요. 서버 요청횟수를 줄이는 것보다 최신데이터를 가지고 있는게 더 중요한가요? 제 지인은 유저는 사이트안에서 계속왔다갔다 거릴거라 대부분은 최신데이터를 즉각적으로 갱신시켜줄 필요가 없다고 하고 저도 이 말이 맞는거같은데 다른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할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개발자

#react

#react-query

#zustand

#nextjs

답변 0

댓글 0

조회 486

3달 전 · 김용필 님의 새로운 답변

AI 엔지니어입니다. 이 직업을 그만둬야할지 진지하게 고민이 듭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스타트업에서 Computer Vision Engineer로 일하고 있습니다. 현재 다른 직업으로 진지하게 전향까지 고려중이라서 긴 고민 끝에 글을 올립니다... 긴 글일 순 있지만 관심 있게 읽어주시고 조언을 해주신다면 정말 정말 감사할 것 같습니다 :) 제 이력을 먼저 말씀드리면 맨 처음 AI 공부를 시작할 때, 대기업 AI 연구원이 되는 것을 목표로 AI 대학원 진학을 목표로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대학원 합격은 했지만 연구실 입실에 실패하여 취업 준비로 노선을 틀어서 취준 후, 취업을 해서 지금까지 일하고 있습니다. 요즘 드는 고민은,, "AI 직군으로 계속 일하는 게 맞을까"라는 생각과 "의욕 저하 및 끊임 없는 공부에 대한 회의 및 무망감"을 느끼고 있는 상황입니다. 사유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1. 이 업계에서 일을 하려면 석사 학위가 있어야 된다고 느낍니다.(현재 이직 준비를 하면서 체감합니다... 규모가 큰 기업은 필수 자격에 석사 학위가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진짜 연구나 공부를 하고 싶은지는 의문입니다. 애초에 풀타임 석사 진학의 가능성도 안 보이고 (컨택이 다 안되면 입시 지원을 안할려고도 생각중입니다....) 제가 연구나 공부에 뜻이 정말 있는 것 같지는 않고, 대기업 AI 연구원을 하기 위해서 석사를 계속 하려고 하는 것 같습니다. 또 현재 취업 상황은 예전과 달리 석사를 졸업한다고 해서 대기업 보장도 아닌 상황이고 해서 .....현재 이런 심리 상태에서 2년을 투자한다는게 너무 기회비용이 떨어진다고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만약 제가 AI 업계로 계속 간다고 하면 AI 엔지니어로서 일을 하면서 파트 타임 or 특수대학원(논문트랙) or 채용 연계형 대학원 과정을 생각중에 있습니다. (석사 "학위"를 위해서) 2. AI 분야의 변화가 "너무" 빠르고 선형대수 같은 수학이 힘듭니다. IT는 평생 공부해야한다는 것을 알고 이 분야에 진입했고, 퇴근 후 순공 4시간 정도 꾸준히 공부해왔고, 그걸로 실력이 쌓이고, 업무에 성과를 보이는 것이 정말 즐거웠습니다. 다행히, 회사에서 비즈니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관련된 논문을 보거나, SOTA 모델, 모델 성능 향상시키는 업무는 흥미가 조금이라도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갈수록 드는 생각은, "해도해도 끝이 없고 갈 길이 멀다". 퇴근 후 개인의 삶 없이 이렇게 계----속 공부를 해나가야되고,,,, 공부를 하면 쌓여서 연차가 갈수록 편해지는 것을 기대했는데 AI는 매번 새롭다 보니깐 계속 따라가는 게 점점 지칩니다.... 대학원 풀타임 진학은 못하고, 선대나 확통, 미적분 같은 것들도 하려면 공부 시간이 너무 투자되고,,, 스타트업에서 스타트업으로 이직, 진짜 잘해야 중견 정도로 갈수는 있을까 라는 생각과 파트랑 특수를 간다고 해도 비용이 너무 크고, 2년 뒤에도 이 업계에 있을까?? 라는 확신이 없는 종합적인 상황으로 인해 무망감이 느껴집니다. 이 2가지 고민으로 인해 현재 진로에 대해 너무나도 깊은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제가 어떻게 나아가야 좋을까요...?? 이 업계가 아니면 공공기관 취업을 생각중입니다..... 어떠한 이야기라도 괜찮습니다... 자그만한 조언이나 경험을 나눠주시면 정말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ㅠㅠㅠ

개발자

#인공지능

#ai엔지니어

#고민

#진로

#커리어

답변 8

댓글 4

추천해요 27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9,250

일 년 전 · 이창섭 님의 질문 업데이트

개발자 직무경험이 없는 신입개발자 취업 기준

메이크업 배우고 싶어서....생산직 알바 옮겨 다니면서 학원비 마련해서 했지만...나이 격차 때문에 포기하고 헤어 인턴 알바하다가 자격증 필요해서 6개월이상 하고 취득했는데...치열한 경쟁 때문에 디자이너 되기 어려워서 포기하고 키오스크 보고....이쪽으로 변화 오겠구나...해서 국비하는데... 나이 비해 학점은행제 전문학사 있고 ...개발자라는 기본 지식이 없어서 . 자바 공부하면서... 국비 신청하기 전에 상담 받고 신청 완료 하고 수업 받고 의심으로 취업 상담으로 자격증 필요하냐?필요합니다... 며칠 안되어서 포기하고 집에서 은둔생활하다가 원하지는 않은 회사 취업을 했고 그다음부터 학점은행제로 학사로 졸업하기전에 자격증 취득하고 학사 졸업할까?했는데..계약완료 후 it 학원 프론트 엔드 개발자 다시 공부하면서....취업하고 백엔드 직무 바꾸기 전에 자격증 취업하고 백엔드로 이직해야지 했는데... 코로나 끝나고 채용한파로...점점 어려워져고 30대 중후반에 신입개발자로 하기 어려웠다 나이만큼 역량이 필요했고 포기하고 산에 가야 하나? 싶다 그래서 질문을 남겨요 경력 개발자 생각은 어떤 한가요?

개발자

#취업계

답변 0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333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신입개발자 진로고민

안녕하세요 현재 Jquery + sql + spring으로 업무를 진행중인 4개월차 신입 개발자입니다. 진로에있어서 고민되는게 있어 이렇게 글을 쓰게되었습니다. 첫회사다보니 1~2년은 무난히 다니려고 했으나, 현재 이직을 알아보고있습니다. 이직을 알아보게된 계기는 이렇습니다. 최근의 기술동향과, 업계의 빠른 변화를 고려할 때, 제가 현재 사용중인 기술스택은 다소 오래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오래되었다고 배울것이 없는것은 아니지만, 나중에 이직하거나 커리어를 고려했을 때, 걱정이 됩니다. 현재 회사에서 새로운기술 도입이나, 업그레이드에 대한 생각이 전혀없습니다. 제 개인적인 성장과 더 나은 개발 환경에서의 경험을 추구하기 위해 이직을 고려하게 되었고, 특히 React를 활용한 SPA 프레임워크를 적극적으로 채택하는 회사에서 일하면서 더 동적이고 현대적인 개발환경에서의 경험을 쌓고 싶은게 이유입니다. 서류를 제출할 때, 4개월밖에 안되는 경력을 기재하려고 하는데, 이런 사유를 적어두는것이 좋을지, React + JS 프론트엔드로 취업준비를 했었으며 앞으로도 프론트엔드 쪽으로 알아보려고 하는데, 이전에 진행했던 프로젝트를 리팩토링하는게 좋을지, 아니면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게 좋을지가 고민입니다.

개발자

#react

#신입

#프론트엔드

#개발자

#이직

답변 1

댓글 0

조회 163

2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Textfield 공통컴포넌트 설계질문

현재 Textfield를 위한 공통 컴포넌트를 설계하고 있습니다. Textfield에서 maxlength와 현재 value의 갯수를 보여주는 기능과, react-hook-form을 사용할수 있으며, 아이콘(버튼)을 클릭하면 특정 이벤트가 수행되는등 여러가지 기능을 아울러 수행하여 어디든 사용할수 있도록 하고싶습니다. 설계하면서 고민이 드는것이 있는데요. 저는 이모든것들을 props로 제어하려 합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은데요! 합성컴포넌트로 설계할경우 아이콘, 버튼의 갯수가 늘어나거나 위치가 변경됐을때 변화에 유연하겠지만 Textfield와 같은 공통컴포넌트의경우 기능, 디자인이 잘 변화하지 않기때문에 이런 결정을 했습니다! 혹시 다른분들은 어떻게 설계하시고 계신가요? 또는 관련된 레포나 문서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react

답변 0

댓글 0

조회 79

2년 전 · 장준영 님의 답변 업데이트

인구 감소에 따른 대규모 트래픽 변화

먼저 잘못된 해석을 피하기 위해 의도를 명확히 드러내고자 하는데요. 저출산 및 인구 감소에 대한 문제 제기가 아닌 인구 감소와 대규모 트래픽이 서로 어떠한 영향을 주고받을까에 대한 글입니다. 신입 개발자의 엉뚱한 호기심에서 비롯된 글이니 그냥 가볍게 읽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요즘 여러 기사나 개발 관련 글들을 보게 되면 대규모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과 방식에 대한 많은 고민과 흔적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것 같습니다. 그만큼 대규모 트래픽 관련 처리 기술과 아키텍쳐들이 나날이 발전하는 것을 직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으며 그 핵심에는 인구에 따른 많은 유저의 유입이 큰 몫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하나의 가상 시나리오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만약 인구가 점차 감소하여 약 100년 뒤 지구의 인구가 현재 인구의 3분의 1로 줄어들게 된다면 그때에도 과연 `대규모`라는 거대한 키워드가 여전히 유효할지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쩌면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은 현재가 전성기이고 약 100년 뒤에는 관련 기술이 오늘날보다 그 인식과 중요성이 감소하게 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데요. 더 나아가서 만약 그렇다고 한다면 개발자가 데이터를 바라보는 시각은 또 어떻게 변화하게 될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많은 데이터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에서 점차 한정된 데이터를 얼마나 정교하게 처리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과 기술들이 생겨나게 될까요? 제 글을 요약해본다면 이렇습니다. 1. 만약 인구 감소로 인구가 줄어든다면 현재 중요시되는 대규모 트래픽 처리 기술과 아키텍처들은 그 시점에서도 여전히 중요성을 유지할 수 있을까요? 아니면, 현재가 해당 기술들의 전성기일까요? 2. 인구 감소와 개발자가 데이터를 바라보는 시각이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면 앞으로 개발자가 데이터를 바라보게 되는 시각은 어떻게 변화하게 될까요? 혹여나 제가 잘못 이해하거나 오해하는 부분들이 있다면 그 부분에 대해서 지적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데이터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2

조회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