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년 전 · 설송우 님의 새로운 댓글
API 서버에 데이터 요청 처리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API 서버를 별도로 구축하고, 인증은 토큰방식으로 체택했습니다! 이제 웹페이지를 제작하고있는데요, 문득 드는 의문이 API서버에 대한 데이터 요청은 클라이언트 사이드단에서 처리를 해야 맞는건가요? 아니면, 서버 사이드단에서 처리를 해야 맞는건가요? 인가에 대한 토큰은 쿠키에 있다고 한다면, 1. 클라이언트 사이드단 처리 클라이언트에서 브라우저의 쿠키 접근 -> 인가 토큰 획득 -> 헤더에 포함하여, API서버에 요청. -> 데이터 요청 완료. 2. 서버사이드 처리 클라이언트에서 브라우저의 쿠키를 헤더에 포함하여 서버사이드로 데이터 요청 -> 서버사이드에서 인가토큰을 획득하여, API서버에 요청 -> 클라이언트에게 해당 데이터를 응답 -> 데이터 요청 완료. 1번 방법은 API서버가 외부에 노출되어있어서 보안에 취약하지만, 트래픽이 많아질경우, API서버에 대한 처리만 잘 하면 될것같고, 2번 방법은 API서버는 웹서버와만 통신을 하니, 보안에 강하지만, 트래픽이 많아질경우, 웹서버에 대한 처리, API 서버에 대한 처리 둘다 고민해야할것같은데.. 보통 어느방법을 선택하나요??
개발자
#msa
#api
답변 1
댓글 1
조회 76
일 년 전 · 안희수 님의 새로운 답변
윈도우 2019서버로 자바 스프링 was 서버 구축
윈도우 2019 서버를 사용하고있습니다. 자바 스프링 or 전자정부프레임으로 만든 웹을 운영할 수 있는 was 웹서버를 구축하려고 하는데 iis 로는 불가능 한건가요? 아파치를 사용해야할까요?
개발자
#웹서버
답변 1
댓글 0
조회 66
일 년 전 · 이양일 님의 답변 업데이트
노드 https질문
안녀하세요. 프로젝트를 진행중에 애러를 만났는데 혹시 알고계신분 답변해주시면 정말 감사합니다. 리액트로 프론트를 만들고 node+express 를 웹서버 역할로 프록시 설정을 했습니다. 그리고 ssl 인증을하여 브라우저에 https로 접속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문제는 여기부터인데,, 기존 통신 api가 http로 되어있었는데 그런데 백앤드 개발자분이 api도 https로 바꾸셨다고 하여 https 통신을 하니 Error occurred while proxying request happyman:11111 to https://happyman:11111/ [EPROTO] (https://nodejs.org/api/errors.html#errors_common_system_errors) 라는 오류가 났습니다. 또 신기한건 기존 http로 설정된 api 통신은 되네요? 인터넷이서 하라는거 대부분 했는데 잘 안되네요ㅠㅠ
개발자
#react
#node
#express
답변 1
댓글 1
추천해요 1
조회 460
일 년 전 · 백승훈 님의 답변 업데이트
Nodejs 웹서버 배포 도메인 접속 불가현상
Nodejs fastify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nextjs 앱을 배포하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배포를 해도 서버 아이피주소가 아닌 로컬호스트만 접속이 되는데 왜 그러는 걸까요??
개발자
#nextjs
#nodejs
#배포
답변 2
댓글 0
조회 107
일 년 전 · 장성호 님의 새로운 답변
네이티브앱과 웹뷰 통신이 서버를 경유하나요?
안녕하세요 웹뷰에서 앱 함수 호출은 @javascriptInterface 를 이용하구요 앱에서 웹뷰의 javascript를 호출할때에는 webview.loadUrl() 함수로 가능한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이 두가지 통신 모두 클라이언트 사이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송수신으로 웹서버를 경유하지 않고 웹뷰에 표시된 웹화면과 앱간 다이렉트로 주고받는 통신이라고 이해하고 있는데요 아니다, 웹서버를 경유하는 데이터 통신이다 라는 주장이 있더라구요 다른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투표
개발자
#javascript
#native
#app
#ios
#android
답변 1
댓글 0
조회 116
2년 전 · 이상선 님의 새로운 답변
별도의 인증서버가 있는 환경에서 jwt를 통한 인증 질문
jwt는 제대로 다뤄본 적이 없어 요즘 로컬환경에서 이런저런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구성은 이렇습니다 웹서버(jquery + 스프링부트 with thymeleaf) 인증서버(스프링부트로 만든 Rest API) 로그인과 토큰 발급에 대한 일련의 과정이 헷갈려서 제가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브라우저에서 로그인 요청 -> 웹서버에서 인증서버로 로그인 요청 -> 인증서버가 DB조회후 액세스토큰, 리프레쉬토큰 발급후 웹서버에 전달 -> 웹서버의 세션에 토큰정보 저장(?) -> 클라이언트단에 쿠키로 토큰정보 저장 -> 다음 요청부터 헤더에 토큰 첨부해서 요청 -> 웹서버는 세션에 있는 토큰과 클라이언트의 토큰을 비교하여 인증여부 확인 (how?) 1. 웹서버의 세션에 토큰정보를 저장하는것이 맞는지 2. 만약 스프링 시큐리티를 연동하려면 웹서버단에서 설정해야하는게 맞는지 대부분의 예시가 별도의 api나 인증서버를 두지 않고 한 프로젝트에서 처리하는것같아서 봐도 헷갈리네요.. 맞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jwt
#springboot
#spring-security
답변 2
댓글 0
조회 133
2년 전 · 백승훈 님의 답변 업데이트
웹서버 구축 프론트엔드 백엔드
여러분들 회사에서는 웹서버 구축은 보통 프론트엔드가 하시나요 백엔드가 하시나요..? 저는 프론트엔드 신입인데 웹서버를 nginx로 만들라는 지시가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제가 찾아본 바로는 nginx express 또는 안깔고 노드로? 다양하던데 웹서버를 효율적으로 구성하려면 백엔드가 사용하는 프레임워크나 구조를 잘 체크해서 맞추려면 따져야할 부분들이 있을까요? 그리고 백엔드 쪽에서 웹서버를 구축하는건 어려운부분일까요…?
개발자
#웹서버
#nginx
#express
#프론트엔드
#백엔드
답변 2
댓글 1
조회 233
2년 전 · 익명 님의 새로운 댓글
aws ec2 - 도메인 연결 관련
제가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질문드립니다 route53와 alb(ssl인증서)를 통해 도메인과 ec2 인스턴스 연결하엿습니다 도메인으로 접속시에는 route53와 alb를 거쳐 인스턴스로 연결되고, 인스턴스의 ip로 접근시에는 위를 거치지 않고 바로 인스턴스로 연결 되나요? 추가로 한가지 궁금한점이 ip로 접속시 도메인으로 리다이렉트 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스프링부트 사용중입니다 기본적으로 내장 웹서버가 설치 되어있는걸로 인지하고 있는데 어떻게 웹서버 설정을 할수 있는지 잘 모르겠네요ㅠ) 감사합니다!!
개발자
#aws
#ubuntu
#ec2
#route53
답변 1
댓글 1
조회 104
2년 전 · 손우진 님의 새로운 답변
nginx를 통해 로드밸런싱하려합니다. 성능과 관련해서 질문있습니다.
springboot 프로젝트를 gcp인스턴스에 docker컨테이너로 배포하려합니다. 웹서버 인스턴스를 따로 둬서 nginx를 설치하고 실행합니다. 문제는 프리티어 gcp라 그런지 springboot 컨테이너를 한 인스턴스에 두 개를 띄우고, 추가로 mariadb와 redis로 컨테이너로 띄워 총 4개의 컨테이너가 실행되는데, 이렇게 하니 인스턴스 접속이 점점 느려지다 어느 순간 멈춰버립니다. 결국 인스턴스를 중단했다가 다시 켜야 다시 원 상태로 돌아옵니다. 물론 해결방법은 구글 클라우드에서 지원하는 cloud storage같이 방법이 있고, 다른 인스턴스를 만들어 로드밸런싱 되는지 확인할 수 있지만,.. 궁금한 게 생겨 확인해봐야할 것 같습니다. 정말 gcp의 프리티어로는 이렇게 여러 컨테이너들을 띄우는 게 어려운 지 궁금합니다.
개발자
#spring-boot
#docker
#nginx
#loadbalance
답변 2
댓글 0
조회 210
2년 전 · 닉네임을 등록해주세요 님의 질문
VM에 VPN(Wireguard)을 통한 접속 방법
안녕하세요. 제발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 제가 궁극적으로 하고 싶은 것 : 외부에서 노트북으로, 저희 집 데스크톱에 VM으로 띄워 놓은 서버에 VPN을 통해서 접속 (네트워크 지식이 부족하여, 어느 부분이 빠졌는지, 뭘 고려해야하는지, 뭘 알아야하는지... 등 조언과 훈수 부탁드립니다. 구체적인 방법을 알려주시면 가장 좋고요ㅠ) 현재 저의 상태입니다. 1. LG 유플러스 인터넷 사용, 집에 있는 데스크톱에 랜선을 꽂아서 인터넷 사용중 (IP : 192.168.219.102) 2. VMware - Bridged 방식으로 VM 서버(Ubuntu 22.04) 하나를 띄워 놓음 (IP : 192.168.219.201) 3. 위의 VM 서버에 Wireguard VPN을 설치 (VPN 서버 + 개인용 웹서버로 사용하기 위해) 4. https://jjeongil.tistory.com/2062 블로그를 보며 VPN 서버 구축을 함 5. Wireguard 설정 ㅇ 서버측 wireguard 설정(VM) [Interface] Address = 192.168.219.1/24 SaveConfig = true PostUp = iptables -A FORWARD -i %i -j ACCEPT; iptables -t nat -A POSTROUTING -o ens33 -j MASQUERADE PostDown = iptables -D FORWARD -i %i -j ACCEPT; iptables -t nat -D POSTROUTING -o ens33 -j MASQUERADE ListenPort = 51820 PrivateKey = xxxxxxxxxx= [Peer] PublicKey = xxxxxxxxxx= AllowedIPs = 192.168.219.202/32 ------------------------------------------------------------- ㅇ 클라이언트쪽 wireguard 설정(노트북) [Interface] PrivateKey = xxxxxxxxxx= Address = 192.168.219.202/24 [Peer] PublicKey = xxxxxxxxxx= AllowedIPs = 0.0.0.0/0 Endpoint = 192.168.219.201:51820 ============================================================= [ 로그 ] 2023-09-22 16:18:28.666678: [TUN] [srm-pjt-vm-server] Starting WireGuard/0.5.3 (Windows 10.0.22621; amd64) 2023-09-22 16:18:28.667384: [TUN] [srm-pjt-vm-server] Watching network interfaces 2023-09-22 16:18:28.669947: [TUN] [srm-pjt-vm-server] Resolving DNS names 2023-09-22 16:18:28.669947: [TUN] [srm-pjt-vm-server] Creating network adapter 2023-09-22 16:18:28.750000: [TUN] [srm-pjt-vm-server] Using existing driver 0.10 2023-09-22 16:18:28.762403: [TUN] [srm-pjt-vm-server] Creating adapter 2023-09-22 16:18:28.967072: [TUN] [srm-pjt-vm-server] Using WireGuardNT/0.10 2023-09-22 16:18:28.967588: [TUN] [srm-pjt-vm-server] Enabling firewall rules 2023-09-22 16:18:28.938662: [TUN] [srm-pjt-vm-server] Interface created 2023-09-22 16:18:28.972410: [TUN] [srm-pjt-vm-server] Dropping privileges 2023-09-22 16:18:28.972410: [TUN] [srm-pjt-vm-server] Setting interface configuration 2023-09-22 16:18:28.972932: [TUN] [srm-pjt-vm-server] Peer 1 created 2023-09-22 16:18:28.974501: [TUN] [srm-pjt-vm-server] Monitoring MTU of default v4 routes 2023-09-22 16:18:28.974501: [TUN] [srm-pjt-vm-server] Interface up 2023-09-22 16:18:28.977259: [TUN] [srm-pjt-vm-server] Setting device v4 addresses 2023-09-22 16:18:28.995686: [TUN] [srm-pjt-vm-server] Monitoring MTU of default v6 routes 2023-09-22 16:18:29.023405: [TUN] [srm-pjt-vm-server] Setting device v6 addresses 2023-09-22 16:18:29.072431: [TUN] [srm-pjt-vm-server] Startup complete 2023-09-22 16:18:29.070847: [TUN] [srm-pjt-vm-server] Sending handshake initiation to peer 1 (192.168.219.201:51820) 2023-09-22 16:18:34.106156: [TUN] [srm-pjt-vm-server] Handshake for peer 1 (192.168.219.201:51820) did not complete after 5 seconds, retrying (try 2) 2023-09-22 16:18:34.106156: [TUN] [srm-pjt-vm-server] Sending handshake initiation to peer 1 (192.168.219.201:51820) 2023-09-22 16:18:39.107654: [TUN] [srm-pjt-vm-server] Sending handshake initiation to peer 1 (192.168.219.201:51820) 2023-09-22 16:18:44.115294: [TUN] [srm-pjt-vm-server] Sending handshake initiation to peer 1 (192.168.219.201:51820) 2023-09-22 16:18:49.267198: [TUN] [srm-pjt-vm-server] Handshake for peer 1 (192.168.219.201:51820) did not complete after 5 seconds, retrying (try 2) 2023-09-22 16:18:49.267198: [TUN] [srm-pjt-vm-server] Sending handshake initiation to peer 1 (192.168.219.201:51820) 2023-09-22 16:18:54.340284: [TUN] [srm-pjt-vm-server] Handshake for peer 1 (192.168.219.201:51820) did not complete after 5 seconds, retrying (try 2) 2023-09-22 16:18:54.340284: [TUN] [srm-pjt-vm-server] Sending handshake initiation to peer 1 (192.168.219.201:51820) 2023-09-22 16:18:59.355253: [TUN] [srm-pjt-vm-server] Sending handshake initiation to peer 1 (192.168.219.201:51820) 2023-09-22 16:19:04.414034: [TUN] [srm-pjt-vm-server] Handshake for peer 1 (192.168.219.201:51820) did not complete after 5 seconds, retrying (try 2) 2023-09-22 16:19:04.414034: [TUN] [srm-pjt-vm-server] Sending handshake initiation to peer 1 (192.168.219.201:51820) 2023-09-22 16:19:07.916126: [TUN] [srm-pjt-vm-server] Shutting down 2023-09-22 16:19:07.922350: [MGR] [srm-pjt-vm-server] Tunnel service tracker finished
개발자
#network
#ubuntu
#vpn
#wireguard
#vm
답변 0
댓글 0
조회 421
2년 전 · 손호영 님의 질문
닫힌 질문 | c언어로 rastapi를 한번 만들어볼려고 하는데요
웹서버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이에요
개발자
#c
#api
답변 0
댓글 0
조회 83
2년 전 · 손호영 님의 질문 업데이트
닫힌 질문 | c언어로 rastapi를 만든는데 왜 웹서버가 필요해요?
datebase를 만든는 데 웹서버가 어디다 쓰나요?
개발자
#python
답변 0
댓글 0
보충이 필요해요 4
조회 70
2년 전 · 김도열 님의 답변 업데이트
Nodejs API 동시요청은 어떻게 처리하나요?
이제 막 nodejs 백엔드를 입문한 주니어입니다 Sequelize와 Mysql을 이용해서 웹서버를 개발중인데 이용자의 API동시 요청 때문에 애를 먹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회원의 쿠폰사용 승인 API를 두개의 컴퓨터에서 동시에 호출을 할 경우 회원의 쿠폰사용이 중복으로 처리가 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express-rate-limit모듈도 적용을 시켰는데 가끔씩 중복으로 처리가 됩니다 다른 분들은 어떻게 처리를 하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개발자
#node.js
#sequelize
#api
답변 2
댓글 3
추천해요 7
조회 819
2년 전 · 이양일 님의 답변 업데이트
하둡에서 클라이언트란?
안녕하세요 클라이언트란 개념에 대해 질문이 있는데요. 제 컴퓨터로 웹서버에 요청하면 응답올때 제 컴퓨터가 '클라이언트'가 되는거잖아요 그런데 하둡에서는 따로 클라이언트프로그램을 다운받아야하는것으로 이해했습니다. 이게 살짝 이해가 안가는데요.. 어떤 프로그램을 다운받야지만 제 컴퓨터가 클라이언트가 되는걸까요? 아님 그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만을 이용해야 하둡에 접근할 수 잇는것같은데.. 그 프로그램 자체가 클라이언트가 되는건가요? 좀 질문이 이상한데,, 핵심은 클라이언트가 대체 무엇인가? 제 컴퓨터 아닌가요? 어떤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클라이언트가 어떻게 되나요?
개발자
#hadoop
답변 1
댓글 1
조회 91
2년 전 · 커리어리 AI 봇 님의 새로운 답변
웹개발시 템플릿 엔진 사용은 필수인가요?
안녕하세요, Express를 사용한 웹서버 구축과 관련한 공부를 하던 중 제가 보고있는 책(Node.js 교과서)에서 템플릿 엔진이라는 것을 사용하는 부분이 나왔습니다. 저는 아직 공부가 깊지 않아서 템플릿 엔진이라는 개념 자체를 처음 들어보았는데요, 제가 이해한게 맞다면 db나 서버에 있는 데이터를 웹페이지에 바인딩해주는 툴인 것 같더라구요. 그렇다면 굳이 바닐라 js와 html 대신에 템플릿엔진을 써야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잘 와닿지가 않았습니다. 문법도 html과 많이 달라서 입문 레벨인 저한테는 부담이 되고 공부를 해서 도입한다고 해도 엔진 각각마다 통일성이 없어보여서 뭘 골라야할지도 모르겠구요,, 템플릿 엔진이 필수적인 것인지 어떤지, 어떤 것을 배워보면 좋을지 의견을 여쭙습니다.
개발자
#express
#node.js
답변 2
댓글 0
조회 249
2년 전 · 커리어리 AI 봇 님의 새로운 답변
프론트엔드 도커사용
안녕하세요 프론트개발 공부중인 학생입니다 요즘 도커 많이 쓰는데 사실 백엔드는 도커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프론트엔드는 사실 환경이 브라우저이기 때문에 굳이 도커가 필요없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nginx같은 웹서버가 있다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혹시 프론트엔드를 공부하는데 도커를 공부하는게 필수적일까요??
개발자
#프론드엔드
답변 2
댓글 1
조회 594
2년 전 · 연양갱 님의 새로운 답변
회사 api 를 고객사에게 노출시키지 않는 방법
회사 api가 고객사에게 노출되지 않게 하기 위해 웹서버 <-> 로컬 서버 <-> 백엔드 api 서버로 구성하고 로컬 서버는 api를 래핑해서 감추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는데 보통 이런 방식으로 구축하나요? 사수분이 알려준 방식인데 로컬 서버로 api를 래핑하는 게 일반적인 방법인지 궁금해서 질문 남깁니다. (참고로 고객사는 400곳 정도 됩니다.)
개발자
#api
#local-server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205
2년 전 · 상도동개발자 님의 새로운 댓글
web server와 WAS의 차이점
WAS와 웹서버의 차이점이 명확히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WAS 안에 웹서버가 존재하는거라고 이해했는데 왜 그런건지 궁금합니다..
개발자
#was
답변 1
댓글 1
추천해요 1
조회 191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튜토리얼 지옥에 빠진 취준생입니다ㅠ
취업용 프로젝트 하나 만들고 싶습니다 웹개발 백엔드 지망입니다 프론트을 못만들어서 빌빌거리고 있습니다 리액트 튜토리얼 영상보고 따라치고 이제 어떻게 만들어야 하지?하고 있습니다 리액트는 어렵다느끼고 타임리프를 써보자 하다가 얘도 시간 좀 걸리겠네 Jsp하자 하다가 결국엔 다시 리액트로 가고 어떻게 만들어야하는지 몰라서 우데미 강의 듣고 있습니다 쓰면 쓸수록 한심하네요 그냥 푸념글이 된 것 같습니다 죄송합니다… 백엔드는 스프링 부트 crud 프로젝트로 Hibernate 가능합니다. 스프링 레거시 프로젝트도 가능하구요 Aws와 docker로 배포도 해보았습니다 웹서버는 nginx를 사용했습니다. 위의 배포 관련 기술들은 사용만 해보았고 문제가 생기면 아마 처리 못할 것 같습니다.
개발자
#프론트앤드
답변 2
댓글 1
조회 418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부트캠프 입소 전 한 달 동안, 어떤 공부를 하면 좋을까요?
'크래프톤 정글' 부트캠프에 지원해서 결과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만약 합격한다면, 4월 3일 입소 전까지 한 달 정도 시간이 남아 어떤 공부를 하면 좋을지 조언 구하고 싶습니다! 바쁜 와중에, 귀한 시간 내어 짧게라도 조언 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우선, 4달 반 동안의 커리큘럼은 아래와 같아요! 1. 자료구조, 알고리즘 학습 (백준 문제 풀면서) -> 4주 2. C언어 학습 (RB트리, 말록랩, 웹서버 제작하면서) -> 3주 3. PintOS 학습 및 프로젝트 진행 -> 6주 4. 팀별 프로젝트 진행 -> 6주 현재 제 상황은 1년 정도 컴퓨터 공학 전공 필수 수강, 간단한 웹 사이트 제작 경험이 있습니다. 단, 수강한 과목의 개념이 완전히 잡혀 있지는 않고, 알고리즘 과목은 아직 안 들어봤습니다.. 위와 같은 상황에서, 한 달 동안 1) 알고리즘 책(do it 시리즈) 1회독 + 컴퓨터공학(운영체제/자료구조/시스템프로그래밍) 개념 복습하기 2) 웹 사이트 혼자서 구현하고 배포해 보기 중 1)과 2) 중 어떤 방향이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시나요? ( 2번 방법은, 그냥 한 달 동안 웹을 재미있게 공부해보자 싶어서 생각해 봤습니다.) 1)과 2)이 아니더라도, 다른 혜안으로 조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알고리즘
#학습방향
답변 1
댓글 3
추천해요 1
조회 276
3년 전 · 정일철 님의 새로운 답변
신규 사업관련 Spring 개발 트랜드
요즘 웹서버 프로젝트를 진행을 하게되면 개발방식이 어떤식으로 진행되나요? 질문의 의도 - 신규 구축 사업협의때 필요한 개발현황 사전조사와, 신규채용(신입포함)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를 확인해보고자 올립니다. 주요 요건 - 기존 Regacy 스프링이 서비스가 되고있는 상태인데 신규 사업을 진행 후 해당 서비스를 추가할 것이다. 1. View 단의 트랜드 스프링 부트에서 권장하는건 Thymeleaf 로 알고있습니다. 저 또한 Java로 개발을 할때에도 그렇게 했습니다만.... 요즘은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2. Mabatis, JPA ? JPA는 현재 사용하지는 않아서 잘 모르는 상태입니다. 이 두가지의 트랜드를 알면 Infra관련 사전 협의는 될 것 같습니다. 의견좀 부탁드립니다. 단어만 적어주셔도 검색은 저가 해보겠습니다.
개발자
#백엔드
#프론트엔드
답변 1
댓글 0
조회 435
2년 전 · 커리어리 AI 봇 님의 새로운 답변
스타트업에서 보통 앱마켓 출시할 때 규제나 보안은 어떻게들 충족하시나요??
개인정보보호법이나 정보통신망법에 보호조치들이 여러가지가 있는데 이것들을 어떻게 충족하실까요? 예를들면, 개인정보 알고리즘 암호화나 웹서버간 암호화, 로그기록 및 탈퇴자 db 분리 이런것들이 규제상 있는데 다들 규제 파악은 어떻게 다 하시는지, 그 규제에 맞는 솔루션은 어떻게 찾는지요? 보통의 스타트업은 관련 인력이나 비용이 부족할텐데 궁금해서 여쭙습니다.
개발자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8
조회 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