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프로젝트

질문 1
해시태그 없이 키워드만 일치하는 질문은 개수에 포함되지 않아요.

5달 전 · 이상래 님의 새로운 답변

신입 개발자의 준비

안녕하세요 저는 지방대 4년 컴공 4-2학기에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백엔드 개발자 준비로 나름 학점도 4점대이고 정처기, sqld도 취득했구요 캡스톤디자인이나 웹프로젝트도 좋은 결과를 낸게 5개 정도 됩니다 이런 노력덕분인지 좋은 기회가 생겨서 백엔드 직무로 내일 인턴을 갑니다….너무 떨리고 지방에 살다 서울에 처음 올라가 걱정도 많습니다 괜히 실수 하지않을까 조마조마 하구요 인턴에서 잘 되면 정규직 전환이 되는데..잘 될지도 걱정이네요 혹시 선배님들 인턴으로서 어떤 행동, 자세, 꿀팁이 있을까요ㅠ 당장 내일인데 잠도 안오네요 ㅠ 인턴인데 너무 어려운거 시키는곤 아닐지 ㅠㅠㅠ보통 인턴이 하게 되는 일이 ㅁ뭔지 궁금합니다

개발자

#백엔드개발

답변 3

댓글 0

추천해요 5

조회 873

일 년 전 · 박정환 님의 답변 업데이트

Mysql 작동 구조?

안녕하세요. 3일째 고생하다 질문 남깁니다 ㅠ 여러문제로 고통받다 수차례의 재설치끝에 성공은 한거같습니다. (M1 맥북 hombrew 통해 다운) 1인웹프로젝트 독학중에있습니다. 이클립스를이용해 서버연결된 웹사이트 만드는것이 목표입니다. 1.웹사이트에서 다운받았을땐 시스템설정에 mysql아이콘이 있었습니다. 이건 어떻게 하면 생길까요? 2.dbeaver도 끄인다고 해서 다운받았는데 mysql과 같이 사용하는건가요? 혹시 아시는 분있다면 답뱐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당

개발자

#mysql

#db

#web

답변 1

댓글 0

조회 48

2년 전 · 행복한뉴비 님의 답변 업데이트

전공자인데 고민이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컴공 전공이고 졸업을 앞두고 있습니다. 컴퓨터에 대한 지식이 없는 채로 학교에 들어오다보니 학과공부를 하는 것만으로도 시간을 쫓겨왔던 것 같습니다. 학과에서 배우는 지식 자료구조,알고리즘을 배우는 것은 흥미로웠지만 프로젝트를 어떻게 진행해야 할 지 몰라서 갈피를 잡을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현재 제대로 된 프로젝트라고 내세울 만한 것이 없습니다. 이제는 개발에 대한 작은 목표가 생겼으며 어떤 것부터 시작해야할지 갈피가 잡히지 않습니다. 알고리즘공부는 c,c++,python,java를 찍먹수준으로 해서 프로그래머스,백준 등을 풀어보고는 있습니다. 주변을 보면 다들 알아서 잘 찾는 것 같은데 어떻게 해야 시작하는지 막막함이 생겼습니다. 백엔드로 가고 싶긴하나 프론트로 먼저 시작하면 도움이 될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제가 세워본 계획은 웹프로젝트를 먼저 진행해보는 것입니다. html,css,javascript 를 하는 것이 먼저인 것 같은데 html,css는 조금만 보고 js로 넘어가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맞을 까요? 그리고 인공지능쪽에도 관심이 있어 어떤 것을 우선순위로 두고 공부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마지막으로 블로그 정리에 관한 질문입니다. 블로그 정리에 대한 경각심없이 4년동안 공부를 했기에 기록된 자료가 없습니다. 물론 제출했던 과제는 가지고 있지만, 이론 공부를 정리한 것은 없습니다. 전공과목 인공지능,CS,데이터마이닝,데이터베이스 이런 과목들은 필수로 정리하고 넘어가는 것이 나을까요? 아니면 현재 취업을 먼저 생각하여 프로젝트를 먼저 완성시켜보는 것이 나을 까요? 두서없이 쓴 긴 글이지만 조언을 해주신다면 감사할 것 같습니다.

개발자

#js

답변 1

댓글 0

조회 341

2년 전 · 김상우 님의 새로운 답변

물경력5년차 이직준비하려니 온갖 걱정이 다들어요

안녕하세요 저는 년차로는 5년차가 끝나가는 개발자입니다.. 문과출신에 대학교4학년때 해외취업으로 자바개발연수가 있어 처음엔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을 해서 해외에서 첫 개발자커리어를 시작했습니다 일반적으로 해외취업시 나가는 SI기업이 아닌 스타트업회사에 입사해서 일을 하게 되었는데 워낙 소규모고 개발자출신PM정도 급 되는 상사분과 바로 일을 하게 됐는데 그 상사분은 거의 임베디드개발을 하셨고 웹은 전혀 모르셨기 때문에 기획정도만 하시고 실제 개발은 제가 주도적으로 제가 알고있는 아주 작은 지식에서 주먹구구식으로 일을 계속 해왔습니다 다행히도 언어적으로는 크게 문제가 없었어서 어쩌다 보니 클라이언트 미팅도 같이하게 되고 기획부터 마지막 테스트까지 전부 제가 주도적으로 하게됐습니다 신입개발자에게는 있기 힘든 경험이었기 때문에 좋은 경험이라고 생각하긴 하지만 연수때배웠던 기초적인 자바지식으로만 주먹구구 돌려막았기 때문에 좋게말하면 창의적으로 나쁘게 말하면 잔머리만 늘어서 아는 지식내에서 어떻게든 기능구현을 했던 것 같아요 그러니까 당연히 효율성이니 속도는 전혀 생각도 못하고 일을 했구요.. 그렇게 약 3년정도 3개웹프로젝트를 하다가 퇴사를 하고 한국에 돌아왔습니다 그때 가장 스트레스는 해외에서 이직면접시 프레임워크를 하나도 안써봤던 것 때문에 몇번 위축되다보니 프레임워크를 못하면 계속 일을 못하겠구나 해서 급하게 국비지원 학원에서 연수를 받아서 스프링은 사용할줄 알게되었고 다시 한국에서 2년정도 근무를 했습니다 하지만 막상 들어간 회사에서도 유지보수가 대다수였고 코드를 보는 일보다는 모니터링 하는 일이 너무 많았습니다.. 이것도 좋게 말하면 리눅스나 네트워크에 대해서 좀 주워들은게 많아서 대략적인 지식이 생겼긴하지만 그렇다고 아주 잘 아는 단계가 된 것도 아니구요.. 그래서 또 현타가 와서 퇴사를 했습니다 그리고 다시 이직을 하려고하니.. 5년차도 거의 다 채워서 6년차가 되어가면서도 아직도 내가 뭘 정확히 할 줄 알고 어디까지 잘 할 수 잇다라고 말할 수 있는 개발자인지 전혀 모르겠어요.. 그래서 차라리 해외경력을 빼버릴까 년차를 깍아서 2년차 3년차 개발자로 들어가면 그건 나에게 도움이 되는게 맞을까 매일 그 걱정만 하고있습니다.. 경력을 깍고 코테를 준비하는게 나을까 그래도 내 년차유지하려면 사이드프로젝트로 포폴을 준비하는게 맞을까 여기저기 고민만하면서 쑤시다보니 이것도 저것도 아닌상황으로 시간이 가니까 온갖 걱정만 더 늘어나고 해결은 안되고 우울함만 커지거 어디가서 속터놓고 얘기할 곳이 없어 글 씁니다..ㅠㅠ

개발자

#java

#웹개발

#백엔드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2

조회 1,644

3년 전 · 암소메애 님의 새로운 댓글

안녕하세요 교육생입니다 조금이라도 답변만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대학은 안 나왔구요, 비전공자입니다 국비다니고 있고 자바, 자바스크립트,html,css,mysql, jstl등 기본 사용법정도만 익힌채로 웹프로젝트를 3-4주정도 진행했으나 혼자하다보니 마무리는 짓지 못한 상태입니다. 과정에 스프링이 없다보니 지금부터 독학하면서 작게나마 새프로젝트를 스프링으로 다시 진행하려하는데요 학원에서는 작성한 코드에 대한 피드백이 하나도없어서 난감합니다.. 클린코드?이런책은 지금 제가 보기엔 무리가 있을 것 같고 스프링으로 잘 구현된 조그만 토이프로젝트 소스코드를 참고해서 흐름, 구현방식, 작명 등을 모방하는식으로 익혀보려고하는데 참고할만한 깃허브주소가 있을까요?? 아니면 어디서 찾아볼수 있을까요??

개발자

답변 1

댓글 4

추천해요 2

조회 402

일 년 전 · 삭제된 사용자 님의 질문 업데이트

직무결정고민과 인턴 시작하기전에 어떤걸 공부하면 좋을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9월부터 학점연계인턴을 시작하게 됩니다! 저는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솔루션 회사에 근무하게 되었습니다. 아직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직무를 결정하지는 못했고, 관심이 생기는 분야는 모두 공부해보고 있습니다. 직무내용에는 Open API를 활용하여, 대용량 트래픽 처리 시스템과 Headless Commerce 등에 대응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해당 프로젝트에 수반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사내 연구 인력에 대한 연구 보조를 담당하게 됩니다. 이렇게 적혀있었고, 요구기술에는 - Unix or Linux 시스템의 이해 - PHP or C 언어 - html / css / javascript 기본 지식 - DBMS(RDBMS 실습 및 SQL 언어) - 알고리즘 / 자료구조의 이해 실습생 지도 계획에서는 기본 UNIX, PHP, MYSQL, 웹취약점 등 보안 관련 교육을 진행 과제 수행 후에는, 소스 리뷰 및 추가 개선사항에 따른 추가 과제를 수행 과제 수행에 따라 개발 난이도에 맞는 업무를 분배하여, 업무 적응을 진행 이렇게 적혀있었고, 면접을 볼 당시에는 제가 백엔드 업무를 담당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저는 2021-2학기 MVP패턴으로 jsp를 이용한 웹프로젝트(프론트+백엔드) 2022-1학기에는 휴학하고 iOS공부를 하여 프론트엔드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인턴에서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나, 기술이 정확히 뭔지 몰라서, 우선 스프링 - 김영한 강의를 보며 api 개발 방법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제가 어떤 업무를 하고, 어떤 기술스택을 사용하는지 잘 모르겠어서 어떤 공부를 해야하는지 막막해 질문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나이는 계속 늘어만 가는데 프론트와 백엔드 모두 결정하지 못하고 불안감만 커져가고 있습니다..ㅠㅠ 저는 여자이고, 주변 동기들은 취업한 친구들도 꽤 많이 생기고있습니다 현재 동아리에서 iOS개발에 흥미가 생긴 상황이고 동아리에서 배운 것이 정말 많아 인턴을 하면서 동아리도 같이 할 생각입니다. 인턴을 할때 백엔드 업무를 하게된다면 동아리에서 nodejs를 다루는 백엔드 파트로 지원을 하려고 생각중에 있습니다! 또 마음한편에서는 iOS 파트는 아직 공부를 깊게 하지 못했다는 느낌이 너무 강해, 한기수를 더 iOS파트로 지원해 공부하면서 학교 교내 Spring스터디를 병행할까 고민중입니다. 시니어개발자분들이라면, 동아리에서 사이드프로젝트를 진행할때 어떤 파트로 지원하실지 궁금합니다!

개발자

#백엔드

#인턴

답변 1

댓글 2

추천해요 1

조회 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