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시스템

질문 5
해시태그 없이 키워드만 일치하는 질문은 개수에 포함되지 않아요.

8달 전 · 백승윤 님의 새로운 답변

AI/ML 엔지니어, 데이터 엔지니어 취업 고민

안녕하십니까 이번 학기를 마지막으로 졸업을 앞둔 대학생입니다. 저는 경영학 전공으로 데이터 분석을 하다가 데이터 엔지니어링, ML 엔지니어링 까지 관심이 확장되었습니다. 그에 맞게 데이터 분석이나, 데이터 파이프라인, CNN 객체 인식 등 관련 프로젝트를 하면서 흥미를 많이 느꼈습니다. (경험: python, C++, AWS, GCP pytorch, kafka, Elasticsearch, langchain, faiss 경험) 이번 하반기에는 백엔드, 데이터 분석, MLOps 직군으로 금융권이던 SI 이던 모두 지원하였습니다. 서류 합격은 약 30프로 정도 되었지만 코딩 테스트, 인적성 검사 단계에서 통과하지 못했습니다. 이번 하반기를 경험하면서 백엔드가 아니라 AI 개발, MLOps, 데이터 엔지니어링 직무를 하고 싶어졌습니다. 이 세가지 직무에 취업하기 위해 석사를 요구하는 회사가 대부분임을 보았습니다. 그에 따라 컨텍없이 AI 대학원을 지원하였는데 입학만 합격한 상태입니다. 그리고 관심 분야(LLM, 추천시스템)의 교수님과 면담을 앞두고 있습니다. 1. 저의 고민은 대학원에 들어가는 것이 좋은 선택일지, 아니면 다음 상반기를 제대로 준비하고 안된다면 작은 회사에서 부터 경력을 빨리 쌓는 것이 좋은 방법일지 고민입니다. 물론 대학원에 들어간다면 열심히 할테지만, 갑작스럽게 결정한 만큼 많은 것을 얻고 나올 수 있을지, 시간만 허비하는 게 아닐 지에 대해 고민이 됩니다. "도피성으로 대학원을 들어가서는 안된다." "대학원에서 배운것이 실무에 쓰이는 일이 생각보다 없고 빨리 현업에 뛰어들어 경력을 쌓는게 더 유리하다." 등의 말을 들어보니 어떤 생각과 자세를 가지고 선택하는 것이 좋을지 고민입니다. 2. 학사 비전공자의 신분으로 이쪽 분야에 취업할 수 있을지 고민입니다. 물론 이쪽 분야의 연합동아리,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프로젝트 경험이 있지만, 학문적으로는 독학한 것이 전부인지라 채용하는 입장에서 저를 어떻게 생각할지 궁금하네요. 3. 현재 싸피라는 교육 프로그램도 생각 중입니다. 싸피를 통해서 부족한 알고리즘, Spring, java 부분을 공부할 수 있고, 취업하는 과정에서 많은 정보와 기회 측면에서 도움이 될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도 궁금합니다. 돈을 많이 버는 것이 정말 좋지만, 돈의 욕심보다는 아직 젊은 만큼 원하는 업무를 통해 커리어를 쌓고 싶은 맘이 더 큽니다. 물론 아직 세상을 너무 모르는 것도 있습니다 ㅎㅎ 긴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개발자

#진로

#신입

#신입-개발자

#대학원

#인공지능

답변 1

댓글 0

조회 408

일 년 전 · 백승윤 님의 답변 업데이트

추천시스템 공부 고민

안녕하세요, 데이터사이언티스트를 목표로 하고 있는 수학과 3학년 학생입니다. 최근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추천시스템 구현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 이 분야의 기초를 다지고자 공부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현재 스터디를 계획 중인데, 추천할 만한 책이 있으시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특히, 제 경우 머신러닝과 딥러닝 지식이 많이 부족한 편인데, 어떤 부분부터 공부를 시작해야 할지 조언해 주신다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

#추천시스템

#데이터사이언티스트

#딥러닝

#머신러닝

#데이터분석가

답변 2

댓글 0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1,816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오프라인 A/B 테스트는 어떻게 해요?

궁금한게 온라인 A/B TEST는 이해가 가는데.. 서비스에 바로 노출시키면 되니까? 오프라인은 어떻게 하는거에요? 예를들어 어떤 추천시스템이라 하면.. 오늘이 4/3일이면. 3/24~4/1로 학습하고 4/2 데이터로 테스트하고 정답을 실제 클릭한걸로 하면되는걸까요? 그럼 그냥 단순하게 모델 학습할때 test셋으로 넣는것과 다른게 없는거 아닌가요?

개발자

#abtest

답변 0

댓글 0

조회 60

일 년 전 · 디큐 님의 답변 업데이트

인공지능 도메인 추천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인공지능 관련학과 학생입니다. 학사수준에서 취업가능한 분야가 궁금하고, 석사,박사수준에서 가능한 도메인 분야가 궁금합니다. 되도록이면 학사수준에서 도메인을 정하고싶은데 제가 어떤분야로 가야할지.잘 모르겠습니다 또, 그저 그런 코드만 복붙하는 일 보다는 경쟁력있는 일이였으면 합니다. 제가 관심있는 것은 컴퓨터비전을 통해 생활에 도움을 주는것, 도서 추천시스템같이 삶에 도움을 주는것, 데이터 분석을 통한 상황파악 정도입니다. (마케팅,즉 돈벌기 위해 하는데이터분석은 극혐입니다.. 물론 돈도 중요하지만 재밌는걸 하고싶습니다.) 그리고, 스마트팜같은 경우는 iot쪽도 따로 공부를 해야할까요? 그쪽분야를 처음부터 시작하기엔 너무 벅차서요. 또, sw개발은 잘 맞지 않고요. 무엇보다 생활에 도움을 주는 곳에서 일하고 싶습니다!!.(의료분야는 질병이미지가 싫습니다.) 위 분야에서 학사수준에서 가능한것이 무엇일까요? 공부는 계속하겠지만, 직접실무에서 일하며 성취감을 느끼고싶습니다.

개발자

#ai

#데이터-분석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408

일 년 전 · 포크코딩 님의 새로운 답변

추천시스템 vs CTR 예측 시스템

둘 사이에 명확한 차이가 있는 건가여? 추천과 검색 그리고 랭킹 차이도 헷갈리는데.. CTR 예측까지 나오니..뭐가 어떻게 다른건지 개념이 안잡혀요

개발자

#추천시스템

답변 1

댓글 0

조회 47

일 년 전 · 백승윤 님의 답변 업데이트

AI /ML 엔지니어가 되려면 "지금" 무엇을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올해 4학년이 된, 인공지능 관련 학과에 재학중인 학부생입니다. 어디에든 도움을 청하고 싶은데, 이런 질문들을 할 수 있는 창구가 마땅치 않아 커리어리에 질문을 남겨봅니다. AI 관련 직무를 꿈꾸는 많은 분들이 그러하듯, 저 또한 대학원 진학과 취업의 기로에 서서 고민을 하고 있는데요. 기존에는 대학원 진학을 강하게 희망하고 있었지만 올해 들어 취업 쪽으로 마음이 기운 상황입니다. 그런데 제가 여태 대학원생이 되기 위한 준비만 해와서, 어떻게 해야 취업을 잘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전혀 모르고 있더라구요. 공모전보다는 학부 성적 + 논문 연구에 집중해왔고, 교내외 활동을 통해 AI 관련 프로젝트 진행 경험이 몇 번 있긴 하지만 이마저도 요즘 기업에서 선호하는 종류의 프로젝트가 아닌 것 같습니다. 최근 트렌드는 LLM이나 추천시스템 쪽인 것 같은데, 저는 그동안 음성과 이상치 탐지에 관심이 많아서 이쪽을 열심히 해왔거든요. (둘 다 상당히 마이너한 분야라고 알고 있습니다.) 동향이 어떤지 살펴보고자 채용 공고를 확인해보고는 있지만 공채가 아니고서야 대부분 신입보다는 경력직, 석사 학위가 있는 사람을 뽑는 추세라 "여기에 적힌 요구사항들이 학부 졸업 신입에게도 똑같이 적용이 되나?" 하는 의문이 들기도 해요. 뭔가를 열심히 채워가도 학부 신입이 해봤자 얼마나 하겠어, 라는 마음으로 제 포트폴리오를 보실까 싶기도 하고... 그렇다보니 열정이나 인성 쪽을 더 우선해서 고려하시려나? 싶다가도 "중고 신입" 급의 경력 빵빵한 신입을 원할까 싶고... ㅜㅜ 졸업이 얼마 남지 않아 마음이 조급해지다보니 지금으로서는 막연히 이거 해야겠다, 저거 해야겠다 생각은 많은데... 채용 절차에서 어떤 부분을 중요하게 보는지, 실무진이 AI 엔지니어로서 어떤 역량을 요구하는지 알게 된다면 그런 부분들을 위주로 조금 더 확실하게 실적을 채워나갈 수 있을 것 같아요. 결론적으로, 학부 졸업 후 AI 엔지니어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역량을 갖추어야 할지 현업에 계신 분들께 여쭙고 싶습니다. 제가 지금 어떤 활동을 하고, 어떤 부분에 집중해서 어필해야 할까요? (조금 더 구체적으로 질문을 적어보자면, 기업이 신입에게 기대하는 부분은 어떤 것이고, 그것을 어떤 형태로 어필하면 좋을까요? "아무 대회"나 수상한다고 좋은 것은 아니겠지만, 그래도 수상 실적이 아예 없으면 마이너스가 될 수도 있을 텐데, 만약 공모전을 나간다면 어떤 류의 공모전이 좋을까요? 현재 기업이 진행하고 있는 여러 사업과 fit한 프로젝트 이력이 반드시 필요한가요? 기업의 도메인과 무관한 인턴 경력도 충분히 경력이 될 수 있을까요?) 그리고, 요즈음의 학부 AI 엔지니어들은 상술한 공모전/플젝/인턴 등의 경험을 얼마나 하고 들어가는 편인가요? 질문이 너무 많아 죄송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려요.

개발자

#ai

#ml

답변 4

댓글 6

추천해요 1

조회 2,170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AI 개발자 분야(진로고민)

안녕하세요! 현재 인공지능학과 4년제 대학을 다니고 있는 학생입니다. 이번 학기로 3학년이 되어가는데요. 진로를 정해서 관련 공부를 더 깊이 해야하는데 AI 개발에 정확히 어떤 분야로 나눠지는지 궁금합니다. ( 백엔드, 프론트엔드 이정도도 좋습니다.) 추가로 제가 머신러닝 추천시스템에 대해 관심이 많은데 이쪽 관련 직무를 가질려면 어떤 분야에 대해 더 서치를 해야하는지 답변 남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인공지능

#ai

#ai개발

#ml

#추천시스템

답변 1

댓글 1

추천해요 1

조회 593

2년 전 · 커리어리 AI 봇 님의 새로운 답변

다른 고객이 함께 본 상품, 추천시스템 구축 방법중 질문

MF 모델을 이용해서 "다른 고객이 본 상품" 상품리스트를 정렬할 때 어떤 기준으로 하시는 지 궁금합니다. 현재 이벤트 데이터를 MF 모델에 학습완료한 상태입니다. 제가 생각한 방법은 해당 상품의 item_factor와 모든 유저의 user_factor를 곱해서 유사도 top 5유저를 뽑고, 해당 유저들에게 추천될 상품리스트를 합쳐서 내려주려고 했습니다. 다만, 이때 어떤 방식으로 다섯명에게 내려줄 상품리스트를 합쳐야 할지, 정렬해야 할지 고민이 되었습니다. 해결하셨던 방식이 있으시거나 다른 방법이 있는지 아시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개발자

#recsys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110

2년 전 · 조원배 님의 새로운 답변

인공지능 분야 컴퓨터비전 vs 추천시스템(그래프) 중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학교를 졸업하고 취준을 하고 있는데 진로가 고민되어 질문 드립니다. 석사 때 연구한 분야는 그래프 쪽이여서 추천시스템쪽으로 준비를 하려고 했으나 추천시스템은 이미 발전할만큼 발전했다는 말도 있고 그래프쪽이 실무에선 추천시스템 말고는 새롭게 적용할만한 분야가 없는 것 같아 망설여집니다. 그래프쪽으로 팠을 때 추천시스템 외에도 활용되고 있는 분야가 있을까요? 그리고 추천시스템의 전망도 궁금합니다. 이런 고민이 들다보니 자연스럽게 컴퓨터 비전쪽으로 눈이 가더군요,, 정말 다양한 곳에 사용되고 있기도 하고 레드오션이라고 말하지만 수요도 그만큼 많아 보이네요,, 하지만 석사 때 컴퓨터 비전쪽으론 해놓은게 하나도 없기도 하고 새롭게 공부해야 하는 부분도 많습니다. 이런 경우에 컴퓨터 비전과 추천시스템(그래프) 둘 중 어느 쪽을 도전해보게 좋을까요? 감사합니다.

개발자

#머신러닝

#추천시스템

#컴퓨터비전

#취업

답변 1

댓글 0

조회 778

3년 전 · 황우진 님의 새로운 답변

AI 모델과 웹 프레임워크의 조합에 관해 질문드려보고 싶습니다.

AI 모델과 웹 프레임워크의 조합에 관해 질문드려보고 싶습니다. Python을 이용해서 추천시스템을 개발하고, FastAPI를 이용하여 api를 개발한다고 할 때, 웹 프레임워크로는 spring을 쓴다면 api를 짜서 처리를 해야하는걸까요? 다른 방법은 어떤게 있을 지 궁금합니다..!! 만약, 위 과정만이 방법이라는 이유로 굳이 api서버를 따로 만들지 않고 FastAPI를 이용하여 웹 개발까지 진행하는 것도 괜찮을 방법일까요??

개발자

#백엔드

#인공지능

답변 2

댓글 0

추천해요 5

조회 8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