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

질문 7
해시태그 없이 키워드만 일치하는 질문은 개수에 포함되지 않아요.

12일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Si 중소 1년차인데 벽이 느껴지네요😩

그냥 별생각없이 중소si회사 다니고 있는 개발자입니다 학생때는 대기업 갈거라고 얘기하고 다녔는데 막상 취준하니 쉽지않더라구요 더 준비하기도 싫고 그래서 아무 생각없이 그냥 붙은곳 바로와서 약 1년 정도 다니고있습니다.. 요즘들어 기술블로그 찾아보는데 여기서 벽이 느껴졌네요 원래 대기업과 그냥 중소기업의 차이가 이렇게 심한가요?? 다른 2-3개월차 인턴 후기글이나 개발글 보면 저는 해보지도 못하고 알지도 못하는것들을 하더라구요 앞으로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회사에서 개발을 해도 제대로 된 체계도 없고 PR이라던지 윗사람들이 코드 봐준다던지 뭐 그런거 하나도 없습니다. 대기업이 목표는 아니지만 저 혼자서라도 그런 식으로 해보고싶은데 막막하네요 그냥 막막해서 생각나는대로 막 적었습니다 😞

개발자

#개발-고민

#개발고민

#개발공부

#개발

답변 1

댓글 0

조회 135

16일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포트폴리오용 프로젝트에 AI쓰는 것 인식 어떤가요?

포트폴리오용 프로젝트 AI사용한 코드로 개발하는 것 회사에서는 인식이 어떤가요? 그리고 AI사용 했으면 포트폴리오에 일부 코드는 AI사용해서 개발했다는 거 언급해야될까요?

개발자

#ai

답변 0

댓글 0

조회 45

23일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저 중소 si에서 중견/대기업 si로 이직 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앞으로의 진로가 너무 고민인 5년차 남자입니다! 좀 긴 글이라서 미리 양해를 부탁 드립니다.. 자격증 x (정처 필o, 실기 준비중 7월 시험) 현재 4년 좀 넘게 다니던 중소si 회사를 퇴사하고, 프리로 전향해서 초까지 하다 현재는 쉬면서 이직 준비를 하려고 하고 있어요. 핑계지만, 몸도 그렇고 정신적으로도 그렇고 일하면서 병행하면 너무 힘들 거 같아서 쉬면서 준비하려고 합니다. 아래는 해온 일들 입니다. ###. [통신사 B2C 오더처리 시스템 si/sm] (통신사 k*) 대략 2년 K*망 기반 블*** 연계 서비스의 개통·해지·번호 변경 등 다양한 오더 업무를 담당하며, 시스템 운영 및 기능 개선 수행 통신사 업무 특성상, 도메인 지식 없이는 개발이나 유지보수가 어려워 초반에는 업무 이해도를 높이는 데 집중해야 했습니다 1. 요구사항 분석 - 운영팀과의 화상회의 주 1회 참여 - 업무 흐름 및 요청사항에 대해 정의서 및 분석 문서 작성 2. 개발 및 문서화 - 기능 개발 및 단위 테스트 수행 - 개발 문서 및 QA 문서 작성 3. 코드 검토 및 공유 - 코드 리뷰 진행 - IA(Information Architecture) 문서 작성 및 발표 - 개발/QA 문서 발표 4. 운영 이관 및 배포 - 테스트 완료 후 운영 이관 작업 수행 - 정기 배포 일정에 맞춰 배포 완료 개발보다는 요구사항 분석 빡세게 하고, 설계는 사수 도움 좀 받으면서 개발하고 테스트하고 모든 걸 문서화해서 운영팀이 참석한 회의에서 발표했었네요. 연동 테스트 시나리오 같은 건 직접 짜고, 일정 협의해서 진행했습니다. 상세 업무까지는 기억 나지 않는 상태입니다. ###. [건설 ERP 인사/채용 시스템 구축](포*코 E**) 9개월 - 인사/채용 관리 ERP 시스템 화면 및 연동 기능 개발 1. 인사·채용 화면 개발 2. 사용자 편의성 중심 UI 개선 및 외부 연동 모듈 적용(프린트:외부 출장 대응 - 더*) 외부 연동 모듈은 메뉴얼 및 가이드 문서 요청해서 받고 문서 토대로 적용 시키고 테스트 했습니다. ###. [통신사 대용량 파일 처리 시스템 개발] (K*) · 4개월 1. 기존 레거시 소스 분석 후 Runnable 기반 멀티스레드 구조로 개선 2. 수천만 건 규모의 데이터를 스레드 단위로 분할 조회하여 파일 생성 및 압축 처리 구현 3. 생성된 파일을 SFTP를 통해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크론탭 기반 배치 스케줄링 적용 ###. [공공기관 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수*시*) 1년 - 혼자 공공기관 포털 시스템 유지보수 및 운영 전반 업무 수행 1. 시스템 화면 생성, API 연동, 기초 DB 스키마 설계 및 생성 2. 외부 시스템 연동 및 협의, 타 시스템 API 개발 및 문서 제공 3. 인증서 갱신, 라이선스 관리, 취약점 분석 및 조치 4. 주간 보고서 작성 및 관리 업무 수행 5. CentOS → Rocky Linux 신규 서버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 폴더 구조 및 구성 요소 재설정, 운영 환경 이관 작업 수행 6. 서비스 장애 대응 AWS EC2 서버에 GitHub 연동 CI/CD 자동 배포 파이프라인 구축해서 도메인 연결까지 한 상태로 사이드 프로젝트를 현재 진행 중이고, 깃허브와 velog에 정리 하면서 부족한 개발 역량을 키우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이제까지 해 온 걸 토대로 녹여내면서 공부하고 정리할 거 같습니다. 하지만 그 전에 조언을 듣고 좀 더 나은 방향을 잡는데 참고하고 싶어서 이렇게 글을 적었습니다. 개발 역량은 턱없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고, 알고리즘, 자료구조 지식 또한 낮다고 생각합니다. 코딩 테스트 준비 해본 적은 없습니다... 막상 회사를 목표로 이직 하려고 하니 막막합니다... 잠도 줄이면서 깨어있을 때 전부 공부하면서 준비할 자신 있습니다. 대기업은 고사하고, 중견기업 si/sm 라도 갈 수 있을까요? 개발 뿐만이 아니라, 문서 작업, 관리 쪽으로도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개발자

#이직

#중견si

#대기업si

답변 1

댓글 0

조회 218

25일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초보자 프론트엔드 프로젝트 공부하는 법 질문있습니다.

현재 프론트엔드 개발자 취업을 준비중인데 간단한 거라도 개인프로젝트를 한번 만들어보면서 공부를 하려고 합니다. 프로젝트 구상은 했는데 어떤 api나 어떤 설치가 필요로 하고 또 코드를 어떻게 작성을 해야될지는 생각이 잘 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음악을 검색 후 음악을 플레이 하는걸 만들어 본다라고 할 때 일단 스포티파이api를 사용해 음악 목록이 나오게 하고 음악은 유튜브를 통해 재생을 시켜줄껀데 찾아보니 유튜브api 경우 할당량문제로 제한적이어서 axios를 통해 유튜브의 검색결과를 불러온 후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을 한다라고 되어있는데 이 글이 무슨 말인지 어렵고 또 스포트파이api 보는 법과 사용방법, 어떤 코드를 어떻게 작성을 해야되는지 등 이런것을 모를 때 초보자가 어떤 식으로 공부를 하면 좋을까요?

개발자

#프론트엔드

#취업

#공부

#프로젝트

답변 1

댓글 0

조회 68

한 달 전 · 포크코딩 님의 새로운 댓글

클라우드 비용 질문입니다..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현재 외주 개발로 사진·영상 공유 키오스크를 운영 중인데, 유지비 관련해서 조언을 받고 싶습니다. 서비스 구조 촬영 후 QR코드 출력 → 사용자 폰으로 사진·영상 다운로드 QR 링크는 서버에 계속 누적 저장 중 (2개월 치 데이터 있음) 1회 촬영 시 약 13MB 하루 평균 촬영: 5~15건 정도 Google Cloud(GCP) 인프라 사용 중 외주 개발사 제안 비용 (월 기준) 트래픽 비용: 장비 2대 × 각 5만원 = 10만원 DB 서버: 6만원 관리비: 5만원 총합: 21만원/월 → 참고: 초기 제안은 7만원이었습니다. 질문 월 약 4GB 내외의 트래픽으로 장비당 5만원(총 10만원)의 트래픽 비용이 GCP 기준으로 적절한 수준인가요? QR 링크나 파일을 주기적으로 삭제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저장 구조를 바꾸면 비용 절감 효과가 있을까요? 전체적으로 21만원이라는 월 유지비가 단순 촬영·링크 공유 시스템 2대 기준으로 봤을 때 일반적인지 궁금합니다. 경험 있으신 분들의 의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

#클라우드

#gcp

답변 1

댓글 2

조회 62

한 달 전 · 민우 님의 새로운 답변

이렇게 공부하는게 맞는지 전혀 모르겠습니다.

대학교 4학년 컴퓨터 관련학과 다니는 학생입니다. 학부연구생 비슷한걸 하고있는데 교수님께서 특정 프로젝트를 지도해주십니다. 그런데 이게 맞는지 전혀 모르겠어요. 예를 들어, 스프링 사용 웹을 만드는 거라면 이 기능을 구현해보라고 하시고 그걸 구현하면 그 다음에는 이 기능을 구현해봐라..이런식입니다. 그런데 중요한건 전 스프링 모릅니다. 챗지피티와 티스토리, 깃허브 보면서 코드 비슷한거 붙여넣기만 하고, 에러나면 고치고, 돌아가면 그대로 냅두고...이런식으로 하고있는데 이게 맞는건가요??? 스프링을 공부해보려고 했는데 과제 내주시는 속도를 도무지 못잡겠더군요... 무엇보다 사정이 있어 전공도 많이 못들은 상태라 기본지식이 부족해 스프링 인강도 잘 이해가 안됩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참고로 백엔드 지망 자바 사용하는 사람입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

#대학생

#프로젝트

#고민상담

답변 1

댓글 0

조회 243

한 달 전 · 민우 님의 새로운 답변

Ai를 어디까지 써야할까요?

입사한지 3개월된 28개월 경력 개발자입니다. 요즘 ai를 어디까지 어떻게 써야하나 고민입니다. 업무를 할당받으면 제 동료는 전에 있던 템플릿과 자신이 원하는 목적을 ai에 입력해 결과 코드를 뽑아냅니다. 테스트해보고 에러가 나면 에러를 언급하며 ai로부터 코드를 받습니다. 이런 식으로 코드를 고도화 합니다. 저는 기존의 코드를 분석하고 함수들을 학습하고 코드를 만듭니다. 당연히 결과와 피드백은 동료가 압도적으로 높고 저는 결과물 산출이 아니라 거의 학습을 하는 수준이네요... 저는 너무 ai에 의지하면 안될거같은데 제가 시대의 흐름을 못따라가는건가 싶기도해요... ai를 어떻게 사용하는 것이 좋을까요?

개발자

#인공지능

#gpt

#개발고민

#프로그래밍

#개발

답변 2

댓글 0

조회 144

12일 전 · kmj0973 님의 새로운 댓글

개인 프로젝트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경험 삼아 공모전에 제출한 개인 프로젝트입니다! 서울시 공공 데이터를 활용한 프로젝트로 근처 헬스장 및 공공체육시설을 찾을 수 있고, chat gpt api를 연동하여 식단을 만들고, ai챗봇을 통해 운동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여러모로 부족한 부분이 많이 있지만 4주라는 기간 동안 열심히 만들어 봤습니다! 기술 스택: 프론트엔드: Next.js, TypeScript, Tailwind CSS 데이터베이스: Firebase 보여주고 싶은 기능: 가장 맨 위 카드란에 있는 (해, 달)이미지를 누를 시 아침, 점심, 저녁에 맞는 식단이 나옵니다! PWA를 사용하여 웹앱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피드백 요청: 폴더 구조나 코드 품질에 대한 조언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성능 최적화 부분에 대해서 조언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버그나 에러 처리에 대해 문제가 있다면 알려주세요! 테스트 아이디 : test@naver.com 테스트 비밀번호 : 123123 사이트 링크 : https://nadaum.vercel.app GitHub 링크 : https://github.com/kmj0973/nadaum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next.js

#react

#tailwind

#firebase

#개인-프로젝트

답변 2

댓글 1

추천해요 1

조회 165

한 달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코드를 쉽게 짜는법

기존회사에서 봐주는 사수 없이 거의 혼자 시스템을 맡아 하는중인데 코드리뷰없이 진행해서 제가 뭐가 잘못됐는지를 모르는상태로 경력을 쌓아 이직하는데 기능은 다 해내지만 코드를 어렵게 짠다는소리를 듣습니다 알기쉽게 짜는건 타고나야하는건가요? 여러방법이 있는건데 쉽게짜는법 정답이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기본적인 변수명, 함수명 알기쉽게 짜고 기능단위로 모듈화 이런건 아는데 생각의 차이인거같아 어렵네요

개발자

#코드작성

#이직

답변 1

댓글 2

조회 93

한 달 전 · 익명 님의 새로운 댓글

기획/디자인과 프론트엔드 개발

작은 스타트업에서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첫 커리어를 시작한지 1년 조금 넘은 주니어 개발자입니다. 기획자와 디자이너가 따로 없어서 프로덕트 개발할 때 제가 기획 및 디자인도 어느정도 하면서 프론트 개발을 하고있습니다.. 이러다보니 일은 많지만 기획/디자인에도 흥미가 좀씩 생깁니다. 어떤 서비스를 만들것인지 정의하고 사용자 입장에서 구조와 디자인을 구상하는것도 나름 재미있더라구요. 그리고 구상한걸 ui로 구현하는것도 나니까 의견 충돌할 일도 없구요. 다행히 디자인 감각도 좀 있어서 결과물에대한 반응도 좋습니다. 기획 디자인쪽도 제대로 공부해보고싶은 생각이 드는 요즘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보통 기획, 디자인, 프론트엔드 개발이 별개의 직무이고 이들을 다 하는 인력을 필요로하는 경우는 거의 없잖아요. 이런 상황에 프론트 공부하기도 바쁜데 기획/디자인까지 공부하고 실무에서도 여기에 계속 시간을 할애하는건.. 너무 영양가없는짓이 아닌가 싶어서 고민이 됩니다. 역시 그냥 프론트에 매진하고 여력이 된다면 차라리 백엔드를 하는게 나으려나요. 아무리 ai 시대라고 해도, 기획과 디자인, 프론트엔드 개발까지 프로덕트의 클라이언트단을 모두 담당하는 직군이라는게 과연 생길까요? 이들을 다 할줄 아는게 경쟁력이 있을까요? ai가 앞으로 코드 짜는건 상당부분 해주니 여력이 생긴다고 해도, 개발자면 역시 개발에나 전념하는게 맞는걸까요 선배 개발자분들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개발자

#프론트엔드

#기획

#디자인

답변 2

댓글 2

추천해요 1

조회 163

3시간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사수없는 신입 퍼블리셔, 물경력이겠죠?

이번 달로 8개월을 채우는 퍼블리셔입니다. 퍼블리싱만 하기엔 작은 곳이라, 외주로 제작한 워드프레스 기반 사이트의 정보 업데이트(정보 제공위주인 사이트라 자료 보고 공부해서 필드그룹 일일히 채우기), cs업무, 퍼블리싱+디자인, php 소스수정(새로 생성된 필드명 정의해서 값 가져오기, 스크립트 추가 등), 사이트 seo, 콘텐츠 마케터 역할 등을 합니다.. 기획도 하는데 요즘은 사장 니즈에 맞춘 기획페이지(워드 문서로 받음)를 받아서 그 내용으로 퍼블리싱 하고 있습니다. 보조도 하구요 지피티로 초안잡는게 허다하고 사수없이 박아가며 조금씩 정보습득이 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ㅜ 근데 신입임에도 연봉을 경력직으로 높게 쳐줬기에 계속 남아있던 것인데 최근에 급여 아깝다는 식의 가스라이팅을 받아서 맘고생을 좀 심하게 하고 있습니다.. 제가 과연 퍼블리셔로 재취업이 가능할까 생각이 듭니다. 현재 제가 작업해놓은 코드를 보고 다들 무슨 생각을 할까 걱정이 되네요..

개발자

#퍼블리싱

#퍼블리셔

#기획

#신입고민

답변 2

댓글 2

조회 139

2달 전 · 백승훈 님의 답변 업데이트

경력 4년차 하지만...

SI 경력 4년차이고 1년 반정도는 Spring과 Oracle을 사용했지만, 고객사에 상주하여 운영을 하면서 거의 쿼리만 1년반 동안 짰었고, 나머지 2년반은 고객사에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맡아서 nextjs 개발을 했었고 현재는 회사를 그만두었습니다. 하지만 서비스 회사로 백엔드 엔지니어 이직을 하고싶은데 내세울만한게 운영업무하면서 고객사의 요청을 받아서 그에 맞는 로직으로 쿼리짜본 경험과 nextjs 개발을 한 것이 다라서 딱히 백엔드 엔지니어로서 내세울만한 것이 없습니다 그래서 승부를 볼만한게 사이드 프로젝트밖에 없다고 생각하여 프론트 백엔드 인프라까지 독학해서 혼자서 멀티 클라우드 컨테이너 리소스를 쿠버네티스로 관리하고, ci/cd를 구축하여 자동화 배포 시스템을 만들고, 실제 서비스 중인 백엔드 서비스 코드를 단위 테스트 코드 작성, grafana까지 실제 서버에서 연동하여 모니터링 관리까지 대규모까지는 아니지만 작게나마 프로덕션 레벨의 사이트까지 1인으로 개발/운영해보려고 하는데 기껏해야 사이드 프로젝트가 이직에 도움이 될까요? 이직 관련 질문에 대한 답으로 어떠한 답변은 사이드 프로젝트가 필요없다는 경우까지 보았어서요 실제로 4년동안 백엔드업무라고 해봤자 1년반 동안 쿼리만 손대본게 전부입니다... (참고로, 매번 같은 업무만 하다보니 너무 질렸는데 백엔드 개발과 더불어 요즘 백엔드 엔지니어들은 인프라쪽까지 관리한다고하여 인프라쪽도 공부해보니 재밌기도하고, 평소 cs 지식에 관심이 많다보니 이해도 더 잘되서 인프라까지 붙여볼 생각을 했습니다. 최대한 트렌디한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사이드 프로젝트에서 돋보일수 있는 장점이라고 생각하여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까지 적용하려고 했지만 너무 과하다고 생각해서 추후에 염두에 두고 백엔드를 개발하려하고 이직에 낼 프로젝트에는 넣지 않으려고 합니다...)

개발자

#이직

#백엔드

답변 2

댓글 0

조회 262

2달 전 · 개꿀공유맨 님의 질문

현금 10만원 공짜로 받아가세요

앱 간단설치만 해도 현금, 상품권, 네이버페이 10만원치 꽁짜로 줍니당 (신상요구,본인인증 절대X) 크로만326328님이 100,000원 상당의 포인트를 보냈어요! https://go.kroket.app/hjdpcss?referral=LYLJJKD6 방법1: 링크클릭 or 플레이스토어 kropot 검색후설치 방법2: 추천코드 LYLJJKD6 입력 , 미입력시 지급x 방법3: 10만원 받기 완료, 출금하시면 됩니다 가입만하면 10만원 바로 출금가능, 편의점도되고 상품권도 교환가능 심지어 op코인 전환도 되는 신생개꿀앱테크 추천코드 LYLJJKD6 필수로.입력해야 들어옵니다 왜 안들어오냐 하지마세요ㅠㅠ

개발자

#이직

답변 0

댓글 0

조회 90

2달 전 · 이태현 님의 새로운 댓글

dist만 배포된 라이브러리 수정하기

안녕하세요. 프론트 준비하고 있는 대학생입니다. 토스에서 만든 overlay-kit 라이브러리를 수정해서 사용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하는지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https://www.npmjs.com/package/overlay-kit 1. patch-package를 사용하려고 했는데, /dist만 배포 되어있어서 불가능합니다. 2. 해당 레포를 fork하고 코드를 수정하긴 했는데, 제 서비스에서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모르겠네요. 수정한 레포를 설치하려고 하면 아래의 오류가 발생합니다. 3. 해당 라이브러리는 모노레포로 구성되어 있는 것 같은데, 어떤 걸 공부 해야 해당 라이브러리의 구조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react

#라이브러리

#frontend

#프론트엔드

답변 1

댓글 1

조회 239

3달 전 · 익명 님의 새로운 댓글

포트폴리오에서 언어를 통일하는게 좋을까요?

현재 제 포트폴리오에는 <A>언어 앱 프로젝트 1개, <B>언어 웹 프로젝트 1개, <C>언어 그래픽스 프로젝트 1개 이렇게 있습니다. 어쩌다보니 제가 한 프로젝트들 중 그나마 내세울만한 것들을 모아놨더니 서로 다른 언어들이어서 난감한 상태입니다. Q1. 일관성 없이 여러개 나열하는 건 회사 입장에서 안좋게 볼 수도 있나요? Q2. 지원하는 회사에 맞춰서 이력서나 포트폴리오를 바꿔서 내야 할까요? Q3. 포트폴리오에 올린 프로젝트 중에서 현재는 잘 사용하지 않는 기술 스택(코드나 문법은 거의 잊어버림, 프로젝트 나 기여한 부분은 설명 가능한 수준)은 지우는게 나을까요?

개발자

#이력서

#포트폴리오

#취업

답변 1

댓글 1

조회 134

3달 전 · 익명 님의 새로운 댓글

서비스 회사에 취업

안녕하세요. 서비스 회사에 취업을 하게 되었는데 개발자가 2명뿐인 회사입니다. PM으로 되어보이시는 분과 3년차인 저 이렇게 두명이 될 예정입니다. 제가 고민이 되는건 서비스회사에서 PM으로 되어보이시는 개발자분이 저의 사수가 되어서 일을 진행 해주실지 아닐지 애매하다는 점과 기존 회사의 시스템을 리액트로 버전업 하는게 메인 개발건이라고 들었는데 문제는 그 개발건을 si 업계에 어느정도 맡긴다고 이야기 하셨습니다. 이럴 때 제가 어떻게 공부하고 성장하는 방식이 옳은지 혹은 다른 회사를 알아봐야하는 것인지 고민이 됩니다. 또 다른 고민으로는 회사 생활 중에 코드리뷰나 비즈니스 로직같은 경우 혼자서 회사생활 및 공부하면서 진행해야할 때 다른분들은 어떻게 하셨는지 궁금합니다!(ai를 활용해서 코드리뷰를 했다거나 혹은 리팩토링을 어떻게 하셨는지) Ps.면접때는 개발을 한다고는 하셨습니다.

개발자

#사수

#성장방법

#개발고민

답변 1

댓글 5

조회 166

2달 전 · nox 님의 답변 업데이트

스프링부트 공부방법

현재 고2이고 학원에서 스프링부트 배우고있는 고등학생입니다. 3월초부터 지금까지 배웠고 기본적인 mvc, jpa는 조금 아는데 코드볼줄 모르겠어요. 개인프로젝트중이라 gpt쓰면서 해도 이해가안되는데 어떻게 공부하면 좋을까요?

개발자

#백앤드

#스프링부트

답변 2

댓글 0

조회 110

3달 전 · 포크코딩 님의 새로운 답변

Supabase와 Springboot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현재 기계공학과 4학년으로 캡스톤 디자인을 진행 중이며, 팀원들과 함께 앱 개발과 창업까지 목표로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기술 선택 문제로 고민이 많아 조언을 구하고자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상황 요약 - 저희 팀: React Native + Spring Boot 기반으로 개발 중 제가 직접 백엔드 설계/구현 예외처리, 디버깅 포함 전체 구조 정확히 이해 진행도 약 60-70%, 구조 안정적, 유지보수 자신 있음 - 교수님 프로젝트: Next.js + Supabase 진행도 약 80% 다만 구조가 낯설어 코드 파악과 에러 수정에 시간 소요 예상 고민 포인트 - 교수님 코드 이어받으면 빠르게 MVP는 가능하지만, 구조 이해가 부족하고 디버깅이 어려움 - 제가 만든 Spring 기반 프로젝트는 구현은 부족하지만, 구조적으로 명확하고 확장성에 유리함 - 배포까지 걸리는 시간은 둘 다 비슷할 것으로 예상됨 저희의 목표 - 단기: MVP 완성 → 실제 사용자 배포 - 장기: 창업을 고려한 실서비스 개발 - Redis / Kafka / Elasticsearch 등 트래픽 대응과 기능 고도화 예정 - 따라서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이 핵심 질문 - 기능 많은 Supabase 기반 코드를 이해하고 고도화하는 게 나을까요? - 아니면 Spring 기반 구조를 그대로 밀고 나가는 게 더 현명할까요? - 장기적으로 유지보수와 확장성을 고려했을 때 어떤 선택이 실무적으로 맞는 결정일까요? 비슷한 경험 있으신 분들이나 현직자 분들의 현실적인 조언 부탁드립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supabase

#spring-boot

#backend

#front-end

#back-end

답변 1

댓글 0

조회 136

2달 전 · CL@Supercoding 님의 새로운 답변

공공기관 si 신입 프론트엔드 개발자 고민

안녕하세요. 저는 프론트엔드 개발이 흥미가 있어서 공부를 시작했고, 미래에도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살아가고 싶다는 생각입니다. 현재는 공공기관 si업무를 하는 작은 회사에 취업을 하게됐습니다. -현재 상황- 6개월 정도 프론트엔드 개발로 일을 하다가 현재는 회사의 사정으로 인해 SI 업무를 담당하게 됐고, 현재는 전자정부프레임워크(자바, 스프링, JSP, jQuery)를 통해 개발을 진행중입니다. 부서 이동한지 2주 정도 돼서 이해는 안가지만, 코드를 보며 무작정 이해하려고 노력중입니다. -현재 고민- 프론트 엔드 개발은 흥미가 있고, 코딩 자체가 어렵더라도 개발하는게 재미가 있어 일하는게 재밌었으나, 현재 백엔드 업무(전자정부프레임워크)는 이해가 안가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매일 아침 퇴사와 이직 생각이 많이 나서 글을 적어봅니다. 물론 프론트엔드 개발자를 목표로 하더라도 6개월된 신입 입장에서는 백엔드쪽 흐름을 알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커리어의 방향을 잘못잡은건 아닌가, 다른 프론트엔드 개발자들은 실무 코드를 보고 개발하며 좀 더 깊이있게 고민하고 성장하는 반면 저는 넓고 얕게 알게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궁금한점- 그래서 결과적으로 백엔드 업무를 이해할 수 있도록 퇴근후에 스프링에 대해 공부를 하며 백엔드 공부를 하는것 vs 퇴근 후 사이드 프로젝트를 통해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프론트 개발 업무를 하는 곳으로 빠르게 이직하는것 중 어떤 선택이 좋을지 선배 개발자님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개발자

#react

#si회사

#전자정부프레임워크

#스프링

#프론트엔드

답변 4

댓글 0

조회 375

3달 전 · CL@Supercoding 님의 새로운 답변

프로젝트 고도화 vs 기반 다지기

지금 스프링부트로 플젝을 하고 있는데 crud만 되어 있는 상태에요. 프론트 없이 백만 기능 구현은 다 마쳤는데 고도화를 바로 들어가는게 좋을 지 예외 처리나 테스트 코드 작성같이 기본 구축을 끝내고 들어가는게 좋을 지 고민됩니다… 고도화라고 하면 이력서에 놓여 낼 키워드로 어떠어떠한 이유로 redis를 붙여 성능 개선했다 같은 내용입니다!

개발자

#springboot

#backend

답변 1

댓글 0

조회 131

3달 전 · Jaden 님의 질문 업데이트

이력서 작성시 학부 연구실 프로젝트 코드 첨부

안녕하세요 올해 막 대학을 졸업하고 이제 취준 시장에서 몸통박치기중인 취준생입니다. 전공은 사이버보안이지만 웹개발을 택하면서 운 좋게 학부 연구실에서 23년말 부터 24년 중순까지 프로젝트를 진행했었는데요 오래된 프로젝트기도 하고 코드를 공개하는 것에 있어서 고민이 됩니다. 질문 1. 제가 경험한 프로젝트 중에 그나마 제일 마음이 가는 프로젝트인데 시간이 많이 지난 상태에서도 첨부해도 되나요? 질문 2. 프로젝트 코드를 제 맘대로 공개해도 되나요? 질문3. 웹개발 직무로 지원 했는데 이력서에 학부에서 한 보안 관련 실습물을 써도 되나요? 운영체제 취약점 진단 및 웹 취약점 진단 실습입니다! 질문4. 웹개발 프론트엔드 직무 희망인데 ISO2700:2024 정보보호 관리체계 자격증이 이점이 있을까요? 아침이라 두서없이 작성한점 이해 부탁드립니다ㅠㅠ

개발자

#웹개발

#웹보안

#웹개발자

답변 0

댓글 0

조회 108

3달 전 · 김현균 님의 질문

클린아키텍처에서 Application 레이어는 꼭 필요할까요?

클린+레이어드 아키텍처를 공부하면서 Usecase와 Facade 같은 Application 레이어에 대해서 처음 알게되었습니다. 처음엔 하나에 모아서 service들을 호출할 수 있네? 좋잖아? 라는 생각이었는데, 실제로 코드를 작성하다보면 단순 서빙만을 하는 경우가 더 많아서 복잡성만 증가하는 느낌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MSA 에서는 Event로 도메인간 연결이 이뤄지니까 Application 레이어가 오히려 코드 복잡성만 높히지만, Monolithic에서는 유의미하게 동작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Application 레이어는 아키텍처에 따라 선택될 수 있지 않을까? 라고 생각이 들더라고요. Application 레이어의 유무가 꽤나 논쟁이 있는 주제라고 들었는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개발자

#클린아키텍처

#application레이어

#backend

#msa

#facade

답변 0

댓글 0

조회 108

3달 전 · nexter 님의 새로운 답변

java + gradle 프로젝트에 외부 시스템의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해 구조적으로 어떻게 코드를 작성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저는 지금 2년차 풀스택 개발자로 근무중입니다. 제목과 같이 고객사 데이터를 저희 시스템의 화면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진행하고자 하는데요, ex) 해당 시스템에서 게시물 제목으로 저희 데이터를 검색해서 입력할 수 있게 해주세요! 사실, 고객사에 api가 없는 상황이고 있다고 해도 고객의 요구로 인해 커스터마이징을 진행해야하는 상황인데.. 배포중인 다른 고객사에게 최대한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어떤 구조로 코드를 작성하면 좋을지 또는 좋은 방법이 있을지 현직자분들의 얘기를 들어보고싶습니다..! *프론트는 javascript 사용중입니다.

개발자

#java

#javascript

#gradle

답변 1

댓글 0

조회 94

3달 전 · 박준서 님의 새로운 댓글

리액트 프로젝트에 FSD 아키텍처 적용. 이 구성이 맞을까요?

안녕하세요. 현재 진행 중인 리액트 프로젝트에서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에 어려움을 느껴 폴더 구조를 Feature-Sliced Design(FSD) 아키텍처 기반으로 전면 리팩토링했습니다. 기존에는 `components/`, `pages/`, `apis/` 등 기능과 역할이 섞인 구조로 되어 있어, 코드의 위치가 불분명하고 협업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이를 해결하고자 다양한 아키텍처를 조사한 끝에, FSD의 레이어 개념(Layers)에 맞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구조를 정리했습니다. - `app/`: `App.js`, `index.js` 등 프로젝트 진입점과 글로벌 설정 파일을 포함 - ` entities/`: `User`, `Article`, `CodingZone` 등 주요 도메인의 데이터 모델과 API 연동 담당 - `features/`: 로그인, 게시글 작성, 코딩존 출석 등 각 기능별로 모듈화하고, 필요한 경우 `hooks/` 등의 내부 디렉토리로 세분화 - `pages/`: 라우팅과 연결된 실제 페이지 컴포넌트 관리 (예: `CreatePage`, `EditPage` 등) - `widgets/`: 재사용 가능한 독립 UI 요소들 (예: `Footer`, `Navbar`, `Pagination` 등) - `shared/`: 공통 API, 유틸, 모달 컴포넌트 등 여러 기능에서 공유되는 요소들을 배치 기능 중심의 구조로 바꾸면서, 각 요소의 역할이 명확해지고 코드 탐색 및 유지보수가 훨씬 쉬워졌습니다. 현재는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이 없어 `processes/` 레이어는 생략했지만, 추후 워크플로우가 필요한 기능이 생긴다면 도입할 계획입니다. 제가 구성한 이 폴더 구조와 레이어 분리가 실제 FSD 아키텍처 가이드에 부합하는 방향인지, 혹시 보완하거나 개선할 부분이 있다면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블로그에 정리해 두었습니다. 👉 [https://juncci.tistory.com/4](https://juncci.tistory.com/4)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fsd

#react

#refactory

#프론드엔드

#폴더구조

답변 1

댓글 1

조회 181

3달 전 · CL@Supercoding 님의 새로운 답변

프론트에서 백엔드로 변경

저는 리액트로 취업을 했습니다. 몇달 지나지 않아 리액트네이티브도 회사에서 시켜서 앱도 개발했습니다. 근데, 2년차때부터는 백엔드도 같이 하라고 합니다. 근데 거부감이 들었고, 프론트를 하고 싶었으니까요. 근데 회사 체계가 어떻게 변하면서 잠깐 2개월 코드 한줄 고치는걸로 끝나다가 3년차때 갑자기 저한테 백엔드를 맡겼습니다. 제 생각으로는 프론트로 해왔으니, 백엔드 시켜서 업무처리 속도까지는 바라진 않겠지. 당연하지. 난 프론트야. 백엔드 시킨 회사 체계 잘못이야. 라는 생각을 가지고 왔는데요. 얼마전 인사평가에서 백엔드 처리 속도 등으로 안좋게 받았습니다. 제 생각이 잘못되었는지. 회사 체계 잘못인지. 프론트로 들어왔다가 프론트만 하는 사람이 없는게 현실인건지. 따끔하게 조언 부탁드립니다. +추가적으로, 제가 하는 앱, 리액트 전부 추후에 다 jsp, 웹뷰로 바꿀 생각이라고 합니다. 제가 하는 일들 다 사라져버리는 상황입니다.

개발자

#react

#이직사유

답변 5

댓글 0

조회 969

3달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비전공자 부트캠프 출신 선배님 계십니까..?

안녕하세요 이번에 부트캠프로 교육 받고있는 비전공자입니다.. 백엔드 자바 스프링 과정이구요 자바 수업이 시작된건 2~3주차 인데요... 일단 제가 비전공자라 기초 지식이 없는것도 맞고..... 뭔가 강사님 스타일이 저랑 너무 안맞아서 수업 내내 이해를 못하고 슉슉 지나가는 느낌이에요 거의 타자 연습하듯이 코드 따라 치는 느낌으로... 저만 이런게 아닐거라 생각하고 저와 비슷한 경험을 해보신 선배님도 분명 계실걸 생각해서 수업이 잘 안맞고 이해가 계속 안될때 어떻게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따로 공부 하셨다면 어떻게 하셨는지두요..... 다음주부터 자바 끝나고 다른거 들어갈텐데 강사님 스타일도 안맞아서 걱정이에요..

개발자

#부트캠프

#자바

#java

#백엔드

답변 1

댓글 0

조회 184

4달 전 · nox 님의 새로운 답변

개발이 적성에 맞는지 모르겠어요

프론트엔드 개발자 준비하고 있고 공부한지는 2년, 취준은 7개월 정도 됐습니다. 프로젝트 할 때는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집중해서 하고 재미도 느끼는데 딥하게 들어가면 하기가 싫어져요. 팀 프로젝트 하면 1인분은 하고, 인턴도 해봤습니다. 굴러가게만 만드는게 아니라 클린코드랑 성능도 어느정도 생각하긴 해요. 근데 그 이상으로 작동 원리를 알고 싶진 않아요.. 최근에 면접도 몇 번 봤는데 그 회사에서 들어가 실무를 배우고 프로젝트 수준이 아닌 제대로된? 개발을 해야한다고 생각하니 배우고 싶다는 생각보다 두려움이 큽니다. 개발자를 하면 평생 공부해야 하는데 그 방대한 공부량이 압박처럼 느껴지고 .. 전 퇴근하고 제 취미생활을 하고 싶기도 해요. 개발을 좋아하면 그게 취미가 되겠지만... 이때까지 한게 이거밖에 없어서 일단 이거로 취업을 해야하나 싶다가도 어차피 적성에 안맞는 거라면 빨리 다른거 찾아봐야하나 고민이 됩니다. 프로젝트 하는게 재밌으면 계속 해도 되는건지, 다들 딥하게 공부하는게 좋으신건지 궁금합니다.

개발자

#프론트엔드

#개발자

#적성

답변 2

댓글 1

조회 256

4달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Ai 안드로이드 개발자 퇴사 질문있습니다

이번에 신입으로 Si 개발직이 취직되어 다니고있는데 Ai를써서 결과물을 내는데 급급해 이해도 못한채 gpt만갈기다 6개월을 보냈습니다.. SI특성상 일을빨리안마치면 압박을 줘 이해보단 AI를 써서 오류고치고 하더라고요.. 이해를하기전 ai한테주면 코드까지 주니까요 생각도안하고 앱을 개발해 이건 아니다 싶어서 퇴사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제가 늦은나이에 신입으로 들어간거라 좀더 경력을쌓고(포폴쌓고) 서비스 회사를 노려보는게 좋을까요? 시간만 버리다 오는것같아 너무 현타가 옵니다.. 인생이 여기서 멈춘것같습니다. 차근차근 뜯고싶어도 그럴수없는 환경이에요

개발자

#이직

#퇴사

#개발자

답변 1

댓글 0

조회 115

4달 전 · 조세영 님의 새로운 답변

<프론트엔드> 웹페이지 작업중 기술 구현 질문이에요!

안녕하세요 학원에서 프론트엔드 과정을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여러 웹페이지를 보면 여러 기술들이나 효과들을 볼 수 있는데 그러한 기술들을 만들려고 할 때 대체적으로 어떻게 구글링을 하고 어떻게 찾아서 그 코드를 넣는지 궁금합니다!ㅠㅠ

개발자

#프론트엔드

#html

#css

#javascript

#react

답변 1

댓글 0

조회 90

4달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이직 시 단독 작업한게 걸림돌이 될까요?

프론트엔드 3년차 입니다. 디자이너,백엔드 개발자와 작업은 같이 했지만 프론트엔드 파트는 혼자 전부 진행하였습니다. 회사에서 보낸 시간이 너무 많아서 1년반정도가 인생에서 사라진 느낌이 들 정도였습니다. 그동안 트러블 슈팅, 혼자서 해결한 문제들이 너무 많아서 그런것들 보단 ( 알고보면 단순한 내용들이거나 시니어가 있었다면 금방 해결될 문제들입니다. ) 어려운 전제조건 하에 개발한 기능, 수치적으로 표현 가능한 기능에 대해서 이력서에 기입했습니다 허나 기입한 기능들 자체가 글로 적으면 대단해 보이지가 않는다는게 문제입니다. 오히려 단독으로 했다고 하면 과장해서 적어놓은 사기꾼같아보일까봐 걱정입니다. 이력서에 적힌걸 보면 정렬,최적화,구조 변경 이런것들이거든요... 근대 그것들을 클라이언트 단에서 디자인 패턴까지 쓰지않으면 안될정도의 복잡한 로직을 구현한거긴합니다만 결과 자체는 단순히 필터링 정렬 표기 그런것들입니다.. , 그걸 이력서에 다 기입할 수가 없어서 고민입니다. (react , next를 사용하였습니다) 또한 혼자서 서비스와 백오피스를 다 작성했다보니 효율적으로 수정 가능하게 진행했다, 다른 프로젝트에서 사용하기 용이하게 코드구조를 변경했다. 정도만 적을 수 밖에없었습니다. 어렵기 보단 얼마나 효율적으로 구조를 잡고 진행하냐의 문제였거든요. 이력상으로 봤을때 화려한 기능이나 서비스를 만든건 아니라서 더 더욱 차반 취급받을까봐 고민입니다.. 혼자서 많은 고민과 문제를 해결했지만 3자입장에서 봤을때 전혀 볼게 없는 심각한 상황입니다.. (시간만주면 3d든 스트리밍 chart든 브라우저 api 활용이든 map api든 canvas든 다 금방 배워서 할 자신이 있지만 그런 종류의 작업들은 회사 일로선 전혀 하질 못했습니다.. ) 연봉을 대거 낮춰서 신입 자리라도 지원해야할까요..? 최근엔 회사에서 먹고 자지 않아도 될정도라 알고리즘도 공부하고있고 트러블 슈팅이나 개발하면서 문제해결에 도움되었던 것들을 적으려고 블로그도 만들고 있긴합니다만. 너무나도 부족하고 모자라 보입니다.. 개발 실력도 올랐고 배포,운영 경험도 쌓였지만 작업내용 특성상 죄다 공개를 하지 못하니 어떻게해야할지 고민입니다..

개발자

#프론트엔드

#이직

#이력서

#경력기술서

답변 1

댓글 0

조회 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