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전 · . 님의 새로운 댓글
서비스 회사에 취업
안녕하세요. 서비스 회사에 취업을 하게 되었는데 개발자가 2명뿐인 회사입니다. PM으로 되어보이시는 분과 3년차인 저 이렇게 두명이 될 예정입니다. 제가 고민이 되는건 서비스회사에서 PM으로 되어보이시는 개발자분이 저의 사수가 되어서 일을 진행 해주실지 아닐지 애매하다는 점과 기존 회사의 시스템을 리액트로 버전업 하는게 메인 개발건이라고 들었는데 문제는 그 개발건을 si 업계에 어느정도 맡긴다고 이야기 하셨습니다. 이럴 때 제가 어떻게 공부하고 성장하는 방식이 옳은지 혹은 다른 회사를 알아봐야하는 것인지 고민이 됩니다. 또 다른 고민으로는 회사 생활 중에 코드리뷰나 비즈니스 로직같은 경우 혼자서 회사생활 및 공부하면서 진행해야할 때 다른분들은 어떻게 하셨는지 궁금합니다!(ai를 활용해서 코드리뷰를 했다거나 혹은 리팩토링을 어떻게 하셨는지) Ps.면접때는 개발을 한다고는 하셨습니다.
개발자
#사수
#성장방법
#개발고민
답변 1
댓글 5
조회 121
4달 전 · tool 님의 질문 업데이트
컴퓨터 운영체제 선택
제가지금 백엔드개발자인데 데스크톱 투모니터 쓰고 윈도우11 사용하고있습니다. 여기서 옆에 노트북하나 더 둬서 쓰리모니터 사용하면서 회의나 코드리뷰할때 이동식으로 가지고 다닐려고하는데 맥북사면 호환성이나 이런거 문제없을까요
개발자
#개발환경
#운영체제
#환경
답변 0
댓글 0
조회 36
5달 전 · 익명 님의 질문
대기업SI와 서비스 기업
안녕하세요 현재 2개의 회사에서 최종합격을 한 상태인데 두 회사의 장단점이 명확하여 어떤 선택이 좋을까 의견을 듣고 싶어 글을 써봅니다 1. 제조 대기업 SI 연봉 : 5천 중반 워라밸 좋음 SM 업무를 주로 할 예정, 그룹사 시스템 개발 업무 레거시가 많고 쿼리에 비지니스 로직이 담긴 프로젝트가 많음 2. 시리즈 B 이상 서비스 기업(200인 이상 규모) 연봉 : 4천 중반 워라밸은 잘 모르겠음 백엔드 개발 업무 진행 예정, 코드리뷰/사내스터디와 같은 개발 문화 존재 꾸준한 트래픽과 성장하는 기업 서비스 운영 중(매출액으로는 000억대) 영끌 연봉으로는 1번 기업이 훨씬 높을 것으 로 예상 됩니다. 이전에 스타트업에서 근무를 했었기에 대기업 입사를 목표로 취준을 했지만 최종적으로는 IT 대기업에서 근무를 해보고 싶습니다. 선배님들이라면 어떤 선택을 하실까요...?
개발자
#스타트업
#대기업
#백엔드
#신입
답변 0
댓글 0
조회 124
9달 전 · 아기 개발자 님의 새로운 답변
코딩 과외받는게 효과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저는 비전공자로 시작해 전공물타기를 거쳐 현재 컴공과에 재학중입니다. 지식이야 머리에 때려넣으면 돼서 괜찮은데 실무적인 코딩실력이 너무 초급이라 여러모로 공부를 하고 있는데요, 학교 방학동안 (4-6월) 실력향상을 좀 많이 시켜보고자 온라인으로 일대일 과외를 진행했습니다. 배우질 않아서 방법을 모르는 부분은 코딩을 못하지만 배우고 나서 문제를 풀때는 솔직히 제가 코딩머리가 아예 없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수업 받으면서 문제풀때도 웬만한 건 금방금방 쉽게 풀었구요 수업은 보통 수업전까지 기본적인 개념이나 문법에 관한 영상링크를 보내주면 그걸보고 실습을 해보고, 숙제로 문제를 주시면 그걸 제가 풀어보고 만든다음 피드백을 받는 형식이었는데요. 그런데 피드백이란 게 음…한달반 넘는 시간동안 피드백을 요청했을때 “~~~부분 아직 잘 모르시는 것 같고 더 자세하게 어떻게 해야 코드가 더 좋아질지 피드백은 공부를 좀 더 하고 나중에 짚어야할 것 같아요~~~” 이런식으로만 말씀하시고 코드리뷰나 이런게 없었습니다. 유튜브나 인터넷 코스강의 듣는 것과 비교했을 때 뭐가 더 엄청나게 다른지도 못느꼈구요… 과외를 받는 것의 목적은 결국 내가 가려운 부분을 바로 긁어주듯 저의 필요에 맞게 수업을 제공해주는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그 부분이 느껴지지가 않았습니다. 물론 제가 너무 초급실력인건 알지만 시간당 4-5만원 짜리 수업인데 이게 과연 맞는건지 의문이 들더라구요. 요즘 유튜브며 인프런이며 여러 코딩 강의사이트들이 잘 되어 있는데 차라리 질문답변을 꾸준히 잘 해주시는 인터넷 과정을 수강해서 돈과 시간을 아끼는게 낫나 싶구요. 초급에서 벗어날 때까지는 스스로 강의수강하면서 실력을 좀 더 쌓고 나중에 개인 수업을 듣는 게 나을까요? 아니면 좀더 버티면서 개인수업을 이어나가는 게 나을까요? 선생님을 바꿀수도 있구요…참고로 수업은 자바랑 JS 입니다 경험 많으신 분들의 조언이 꼭 필요합니다 당분간 인터넷 코스 들으면 혼자 공부해도 괜찮을지 아니면 개인수업이 그만큼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시는지, 혹은 추천하시는 공부방법이 있다면 고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
#코딩공부
#공부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90
일 년 전 · 장훈 님의 새로운 댓글
JSP파일의 <Script> 위치?
안녕하세요 저는 비전공자 it교육을 받고 현재 26개월정도 프로그래밍을 하고 있는 초급 개발자입니다. 현재 금융 프로젝트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여느때와 다름없이 고급 선배분들의 경험치를 흡수하며 성장 중이었어요 사건은 작일 일어났습니다. 코드리뷰를 받던 중 JSP에 있는 <script>위치가 왜 html 밑에 선언이 되어있냐는 지적을 받게되었습니다. ???? 저는 지금까지 스크립트 태그가 body 밑에 선언이 되어있는 jsp파일들을 여러 봤었기도하며 배울때도 css html js 이런식으로 페이지 구성을 해야한다고 배웠던걸로 기억을 했습니다. 하지만 20년이 넘어가는 경력을 가지신 선배님이 자기는 그런식으로 코드를 짜는 사람은 지금까지 단한번도 본적이 없다고 선언하셨죠.. 그래서 코드리뷰를 받은 저는 현재 갈팡질팡 하고 있습니다.. 물론 js에 async와 defer 같은 기능들이 있지만 그런걸 사용은 안하고 있습니다. 구글링을 해보면서도 스크립트가 아래에 위치해야한다 스크립트가 아래에 위치하는건 옛말이다 등등 많은 글들이 많아 헷갈려서 여쭤봅니다. 솔직히 얘기하면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서 둘다 틀린 말은 아닌 것 같지만 요즘은 jsp 파일을 구현할 때 어떤식으로 프로그래밍을 하시는지 궁금하네요
개발자
#jsp
#javascript
답변 1
댓글 2
조회 84
12일 전 · 7900X 님의 답변 업데이트
CHAT GPT의존도가 너무 심한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국비6개월 수료하고 취업한 3개월차 신입개발자입니다. 첫 직장을 스타트업에서 시작하는 바람에 생신입인데도 불구하고 DB설계업무부터 시작해서 API설계는 물론, 성능개선이라거나 새로운 기술스택도 제가 도입해야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GPT의 도움을 정말 많이 받았는데 이제는 GPT가 없으면 일을 못할 정도입니다. 저의 코드리뷰가 깊이가 없다는 피드백을 받았는데 GPT에게 리뷰를 부탁해보니 저의 시야보다 너무 넓은 리뷰를 해주는걸 보고 약간 좌절감을 느꼈습니다. 저의 개발 방향이 잘못된걸까요 GPT의존도를 줄이고 저 자신의 실력을 키우는 시간을 가져야할까요? 아무래도 기본기를 공부한 시간이 많이 부족한데 곧바로 1인분하는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 편법을 자주 사용했고 너무 의지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개발자
#gpt
#신입
답변 4
댓글 0
조회 1,623
일 년 전 · 안희수 님의 새로운 답변
여러가지로 궁금한 점이 있어서 남겨봅니다.
3월에 국비지원 수업 다 끝나고 세미프로젝트 진행겸 자격증 준비하면서 이력서 지원하기 시작했는데 자격증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어서 남겨봅니다. 제가 자바 풀스택으로 공공데이터포털 이용한 api 수업을 듣고 나서 자격증 그래도 있으면 좋겠다해서 검색하다가 우연히 온라인 강의 듣는곳에서 sqld 관한 강의 한다해서 듣기 시작했는데 sqld 자격증 준비하다가 같이 프로젝트 한 팀원들은 정보처리기사 시험본다고 하더라고요.. 조건상 저는 전문대 2년제라 정보처리 산업기사를 보려하는데 정보처리 산업기사를 봐야할지, sqld를 봐도 될지, 만약 두개 한번에 못할경우 대비해서 어떤걸 자격증 공부하는게 맞을지.. 두번째는 코드리뷰를 하는데 어제 처음 하는데 저희가 맡은 파트부분을 설명하면서 의문제기나 조언을 하는데 보통 코드리뷰를 어떻게 하나요? 자신이 한 코드를 설명하고 설명하다가 중간에 의문제기나 조언을 하는게 맞는걸까요..? 또.. 많은 질문이라 죄송합니다.. 세미프로젝트는 대체로 어떻게 시작하는걸까요..? 개인 프로젝트를 하려하는데 참고할만한 무언가가 있을지.. 아니면 보통 어떻게 시작하는지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이제 막 수료 다하고 그래서 취업은 해야하는데 뭔가 준비가 덜 된 기분이여서요..
개발자
#sql
#sqld
#자격증
답변 1
댓글 0
조회 112
일 년 전 · lili 님의 새로운 댓글
주니어끼리 코드리뷰하는게 의미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저는 1년차 JAVA 백앤드 개발자입니다. 현재 코드리뷰가 없는 강소기업에서 1년 정도 근무중에 있는데 저와 회사의 발전을 위해서 제가 주도적으로 도입을 추진해볼까 고민중에 있습니다. 하지만 저도 코드리뷰를 한번도 격어보지 않아 코드리뷰를 어떻게 진행할지 고민이 있어 질문글을 올립니다. 1. 직접 이야기해보진 못했지만 사측입장은 업무도 바쁜데 코드리뷰할 수 있는 시간을 따로 내어주지는 않을것으로 생각됩니다. 따라서 코드리뷰를 진행하게된다면 개발자들이 개인시간을 활용해서 진행하게될듯합니다, (물론 코드리뷰 문화가 어느정도 정착하게된다면 업무시간중에 할 수 있도록 건의드릴 예정입니다.) 아무래도 개인시간을 사용해야하다보니 길게는 할 수 없고 짧게 30분에서 1시간정도 일주일에 하루만 할듯한데 코드리뷰하는데 이정도 시간에 가능할지? 궁금합니다. 2. 사내 개발자가 약 30명 정도되는데 업무 특성상 거의 다른 회사나 다름없는 부서를 재외하고는 코드리뷰에 참여할 수 있을 인원이 많아야 5명 정도 될듯합니다. 이정도 인원으로 코드리뷰하는게 적당할지 궁금합니다. 3. 사내 개발자들간 사용하는 프레임워크나 언어가 완전이 다르더라도 코드리뷰를 하는 의미가 있을까요? 저 같은 경우는 JAVA Spring 위주로 개발을 진행하기 때문에 Python이나 Node.js 와 같은 코드를 리뷰하기 어려울듯한데 의견 부탁드립니다. 다른 회사의 경우는 사용하는 기술이 비슷해서 코드리뷰가 진행이 되는지.. 아니면 각자 자신의 분야에서 진행하는지 궁금합니다. 4. 회사에 중간 개발자가 없어 주니어 개발자 위주로 코드 리뷰가 진행될것으로 예상 되는데 이럴 경우 고오급 개발자들의 리뷰를 받을 수 없어 코드리뷰를 통한 발전이 저해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이런경우에는 어떤 방식으로 코드리뷰를 진행하는것이 효율적일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제가 초청? 할 수 있는 시니어 개발자분이 한분정도 있는데 이분이 오시게 되면 거의 이분 혼자서만 답변을 줄것으로 예상되는데 어떤 방향으로 가는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4. 마지막으로 그외 어떤 조언이던지 해주실 수 있는 조언이 있다면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
#코드리뷰
#주니어
답변 7
댓글 6
추천해요 14
조회 6,014
일 년 전 · 이승훈 님의 답변 업데이트
퇴사 후 중고신입으로 지원 vs 경력 2년 이상 채우고 이직
안녕하세요. 저는 서비스 기업에 다니는 2년차 백엔드 개발자입니다. 최근 커리어와 관련해서 고민이 있어 글을 올립니다. 이제 만 2년에 가까운 경력이 쌓였기에, 제목과 같이 퇴사 후 중고신입으로 지원하느냐, 만 2년 이상의 경력직으로 이직하느냐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우선 회사를 떠나고자 결심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술적으로 성장하기 어려운 환경 그동안 코드리뷰가 없었고, 사수도 없었습니다. 그리고 팀 분위기 자체가 서먹하고, 각자 알아서 일하는 식이라 공유도 활발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기술적인 부분은 혼자 알아서 습득하려고 노력했는데 이것도 한계가 있다고 느껴집니다... 무엇보다 코드리뷰와 같은 피드백 체계가 거의 없다보니 제가 엉망인 코드를 짜도, 제가 업무를 엉망으로 하고 있어도 무엇이 잘못이고 무엇이 개선할 점인지 자각하기 어렵다는 점이 치명적인 것 같습니다. (사실상 지금까지 한 업무도 물경력인 것 같습니다...) 그래도 사용자 트래픽이 좀 있는 편이어서 계속 남아서 일을 하다보면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면서도... 그냥 도메인 지식만 좀 있는 우물 안 개구리가 될까봐 걱정이 됩니다. 2. 기초적인 실력 부족 비전공자에서 개발자로 전향하였고 그렇다보니 기초 지식이 많이 부족한 게 느껴집니다. 신입 때는 기초 지식이 부족해도 어떻게든 눈치껏 개발해서 대충 커버가 되었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지금까지 해온 것처럼 눈치껏 개발하는 게 아니라 알고 개발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특히 그 '알고 개발하기' 라는 게 결국 기초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깨달았고, 그때마다 제가 기초적인 부분을 정말 많이 모른다는 걸 발견했습니다. 업무를 하면서 발견한 부족한 부분들을 틈틈이 채웠다고 생각했지만... 여전히 너무 부족한 것 같습니다. 그탓에 조금이라도 어려운 업무를 만나면 굉장히 헤매기도 하고, 또 네트워크 모임에 나가보면 비슷한 연차의 다른 개발자들에 비하면 여전히 기초가 제대로 안잡혀있다는 게 확연히 느껴집니다. (예를 들면 주로 자바, 스프링에 대한 이해도, 네트워크, CS 등...) 사실 기초 실력 부족은 계속 저의 약점이기도 했고, 그러다보니 매순간 저의 자신감을 깎아먹는 부분이기도 해서... 진짜 경력직이 되기 전에 기초를 제대로 다시 닦고 싶은 마음이 듭니다. 그래서 퇴사 후 유명 부트캠프 같은 곳을 갈까도 생각중입니다... 그래서 현재 생각중인 선택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퇴사 후 약 3~6개월 공부(유명 부트캠프 목표) -> 중고신입으로 지원 2. 만 2년 이상 경력 채우고, 경력직으로 이직 사실 마음이 가는 것은 1번입니다. 경력으로 이직하기에는... 곧 만 2년이 되어 3년차가 다 되어가는데 제가 과연 그곳에 가서 경력직이란 타이틀에 맞게 퍼포먼스를 낼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또 3년차 부터는 중고신입으로 지원하기도 어렵다는 이야기도 있어서, 3년차가 되기 전에 퇴사한 후, 6개월 미만으로 기초를 다잡는 시간을 가지고, 중고신입으로 지원하고 싶습니다. 하지만 저의 부족한 경험과 좁은 시야 안에서 판단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들어, 이렇게 질문을 올려 의견을 구하고자 합니다. 부디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
#커리어
#백엔드
#중고신입
#이직
#퇴사
답변 2
댓글 0
조회 2,722
일 년 전 · 프레드윰 님의 새로운 답변
신입이 프로젝트 빠르게 적응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현재 웹 백엔드 쪽으로 취업한 신입입니다 최근에 업무 진행 속도가 느리다는 피드백을 받았어요. 그걸 해결하고 싶어요. (관련해서 여쭤보니 문제 해결할때 너무 깊게 파는 것 같다고 하셨어요) 예를 들면 이런 느낌이에요. 자세히 모르는 개념이 있어요. 이 개념이 해결해야 할 업무에도 포함이 되어있어요. 그렇기에 깊게 파요. 그게 프로젝트에도 도움이 될거라 생각해서 말이죠. 그러다 보면 시간을 많이 잡아먹게돼요. 이 부분에서 시간을 많이 썼으니 다른 부분에서 시간을 뺄 수 밖에 없어요. 그러다보니 깊게 고민해야할 부분에선 깊게 고민을 안하게 돼요. 그런데 이런 것들이 코드리뷰 부분에서 걸려서 시간이 더 지체될 때도 있어요 .. 저는 현재의 문제가 기초를 잘 모르기 때문이라고 생각해서 주말에 시간을 내서 미뤄뒀던 기초 공부를 했어요.. 근데 공부를 하다보니 문득.. 당장 업무 속도도 느린데, 차라리 이 시간에 업무를 제대로 처리해야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어떤 것에 우선순위를 둬서 해결을 해야하는걸까요? 시간은 한정되어있어서 우선순위가 필요할 것 같아요. 그리고 어떤.. 가이드라인이 필요할 것 같아요..
개발자
#신입개발자
#웹백엔드
#고민
#공부방법
답변 1
댓글 0
조회 247
7달 전 · 손유승 님의 답변 업데이트
성장이 더딘 주니어 개발자, 그만두는 게 맞을까요.
이제 1년 좀 넘은 백엔드 개발자입니다. 비전공자고 운좋게 서비스 기업으로 들어가 개발 생활을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체계가 잘 잡혀있진 않았고 시니어 개발자 분들도 워낙 바빠서 가끔 질문하면 받아주시긴 했지만 따로 전담 사수를 해주시진 않았습니다. 코드리뷰도 다들 일이 바빠서 손에 꼽을 정도로만 받아본 것 같습니다. (일정이 바빠서 혼자 어떻게든 우당탕탕 만들고 운영에 반영하는 식이었던 것 같습니다...) 이런 개발문화는 아쉽지만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하고 혼자 나름대로 공부해봤지만 실력이 잘 늘지 않는 느낌입니다... 최근엔 여기 온지 1년이 넘었는데 아직도 잘 모르냐는 식으로 은근히 지적을 받기도 했고, 이젠 제 퍼포먼스를 믿지 못하시는지 잡일이나 쉬운 일만 넘겨주시는 것 같습니다. 어떻게든 개인 공부하면서 애써본 것 같은데 별로 실력이 늘지 않은 것 같고...그래서 지난 1년의 시간이 물경력인 것만 같아 우울합니다. 아니면 이런 환경이나 노력을 떠나서... 그냥 제가 재능이 없는 건 아닐지 생각도 듭니다... 이대로 이직을 할 수 있을지도 잘 모르겠고... 그냥 개발자를 그만두는 게 맞을까 고민이 드네요... 조언이나 따끔한 충고 부탁드리겠습니다...
개발자
#주니어
#비전공자
#이직
답변 5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672
일 년 전 · 프레드윰 님의 답변 업데이트
신입에게 책임을 묻는 회사
안녕하세요. 서버 개발하는 신입 5개월차 입니다. 제가 입시한지 1개월만에 백엔드 개발자 다 퇴사하고, 저는 최소 1년은 있어야 이직할 수 있다는 생각에 남아있습니다 그러다보니 간단한 api부터 결제로직까지 다루고 있습니다. 결제로직은 퇴사하셨던 분이 작업한 부분에서 건드린적이 없는데, 최근에 문제가 생겨 문제찾아가며 거래내역 비교하며 겨우 대응했습니다. 다음날 회의에서 이런 문제가 벌어지면 당신이 (제가)책임져야한다. 라는 말을 들으니 (코드리뷰 매일 하고 팀원들 approve 받아야 merge합니다) 제가 어떡해 받아들여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코드 건드리는게 무섭고, 다음에 발생하면 진짜 내가 책임져야하나 싶고….. 지금은 빨리 이직하고 싶은 생각만 있네요.ㅠㅠㅠ 조언주시면 감시하겠습니다
개발자
#신입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278
일 년 전 · 김민성 님의 새로운 댓글
우아한테크코스 vs 중견기업
안녕하세요, 저는 우아한테크코스와 중견 기업에 합격한 상태입니다. 어느 방향이 좋을지 도움을 구하고자 질문을 남겼습니다. 우아한테크코스의 경우 10개월간 진행되고 다른일과 병행할 수 없습니다. 중견기업의 경우 제가 속할 팀은 규모가 작고 사수분이 없는 상황이라 들었습니다. 금전적으로는 괜찮은 편에 속합니다. 우아한테크코스를 택하는 경우 몰입하며 성장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현업자분의 코드리뷰를 받을 수 있고, 개발 방법론에 대해 깊이 탐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수료 후 취직이 어려울 수도 있다는 점이 문제입니다. 채용 시장이 얼어붙은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우테코 5기의 경우 우아한형제들 면접 기회조차 없는 파트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중견기업을 택하는 경우 빠르게 경력을 쌓으며 실무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경력을 쌓아 이직 혹은 중고신입을 도전해볼 수 있습니다. 다만, 배울 사수가 없고 기술스택도 레거시합니다. 또한 제가 속한 분야가 이 기업에서는 후순위입니다. 추후 이직을 하는 경우 메리트가 될지 의문입니다. 물경력이 걱정되기도 합니다. (물론 제가 적극적으로 기술들을 도입하고 공부하면 될 것 같기도 합니다.) 저는 네이버와 같은 IT 기업에서 일하며, 속한 분야의 전문가가 되는 것이 꿈입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개발자
#커리어
#flutter
#react-native
답변 1
댓글 1
조회 1,400
일 년 전 · 이재웅 님의 새로운 댓글
직장인 사이드 프로젝트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안드로이드 개발자 1년차를 앞둔 직장인입니다. 기존 제가 희망했던 업무는 개발직종이나, 회사에 오고보니 유지보수 업무만 맡고있는 실상입니다. 언젠가 이직도 해야할텐데 커리어도 걱정이 되고 개발에 대한 갈증이 느껴져 지인들(회사동료, 과동기)과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려는데 선후배님들의 조언을 받고싶어 글 씁니다. 현재 생각중인 방향성으로는 - 인원 : 4인 (모두 안드로이드 개발자) - 프로젝트 주제 : 모집 후 선정 예정 - 기간 : 직장인으로 구성된 만큼 일반 프로젝트의 1.5-2배로 산정 할 예정 - 플랫폼 : 안드로이드 - 언어 : 코틀린 혹은 플러터 (플러터로 생각중) 1. 언어 공부 2. 클론코딩 (학습한 언어와 친해지기) 3. 프로젝트 시작 이렇게 계획중이구요, 2주에 한번 평일 저녁이나 주말에 화상미팅 혹은 만나서 개발 진행상황 공유 및 코드리뷰를 생각중입니다. 모두 안드로이드 개발자로 이뤄진 만큼 디자인은 크몽 외주로 부담되지 않는 금액을 생각중이고, 백엔드는 오픈 API를 사용하거나 로컬 데이터 송수신만 필요한 프로젝트로 생각중입니다. 최종 목표는 스토어 앱 출시입니다. 혹시 생각해둬야할 유의사항이나 좋은 팁이 있다면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추가로 신입으로 유지보수를 했을때 장단점도 작성해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사이드
#사이드프로젝트
#유지보수
#안드로이드
#aos
답변 1
댓글 4
조회 299
일 년 전 · 임동규 님의 답변 업데이트
주니어 백엔드 개발자 고민
안녕하세요. IT스타트업에 입사한지 5개월 된 신입 백엔드 개발자 입니다. 현재 제 상황 바탕으로 커리어를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하고 있는 중입니다. 지금까지 회사 상황을 정리해봤으며, 질문은 마지막에 있습니다. 꼭 해당 질문에 대한 답이 아니더라도, 제 상황에 대해서 말씀해주실 부분이 있다면 자유롭게 답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회사 이야기 - 백엔드 기술 스택 : Kotlin, Spring boot, MariaDB, Mybatis, Kafka - 입사한 이후로 지금까지 계속 코드 품질, 개발 생산성 개선보다는 일정 압박받으며 API 찍어내기 바쁨. (백오피스 개발 프로젝트 진행중) ## 기술 - 코드리뷰 없음 - dev 브랜치에 바로 커밋&푸시 - 먼저 물어보지 않는 한 피드백이 거의 없고, 팀원분들 항상 바빠서 자주 물어보기도 어려웠음 - 테스트코드 없음 - 백엔드 팀원 개개인이 포스트맨으로 테스트함 - 스펙 A or 기능 A 가 수정된 이후에 기능 B 가 영향받는지 여부를 사람의 기억력에 의존하고, QA 나오면 그때 문제점을 인지함. (기획,운영팀분들이 QA로 못 찾으면 문제점 인지 못함) - 개발팀장님께 테스트 코드 작성을 건의했으나, 시간 부족과 잦은 기획 변경을 이유로 반려됨. - Mybatis 사용 - 원래 JPA, queryDSL 이었으나, raw 쿼리문을 써야 쿼리 최적화를 잘 할 수 있다는 이유로 대표님이 도입 - 개발 생산성이 저하됨 - REST API 변형 - 대표님께서 보안 강화를 위해서 모든 API 요청은 POST로 보내되, end point 를 get-staff-profile 이런 식으로 작성한다고 통보함 ## 소통 - 비합리적인 일정 - 개발자 의견 반영 없이 경영진이 일방적으로 결정 - 그래서 야근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생기고 “항상” 일정이 미뤄짐. - 개발자들이 여러번 항의했으나 의견 반영 안 됨, 개발팀장님이 경영진이랑 대화가 안 된다고 포기한 상태 - 기획팀 소통 비용이 높음 - 피그마 UI 보면서 개발 중인데, 기획의도가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아 직접 메신저로 물어보거나 이후에 QA 올라와서 의도를 깨달음. # QnA 1. 경력 초반에 성장하고 싶은데, 이 회사에서 백엔드 쪽으로 잘 배우고 좋은 문제 해결 경험을 할 수 있을까요? 이 회사에서 제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2. 이직을 생각해야할까요? (1년 미만 경력이라 고민됩니다.)
개발자
#백엔드
#주니어
#이직고민
#스타트업
#개발자
답변 1
댓글 1
추천해요 1
조회 448
일 년 전 · 문정동개발자 님의 답변 업데이트
신입개발자 방향성 고민
취준기간이 오래된 탓에 지금 재직중인 회사 최종합격발표를 통보받고, 통보받은 당일에 서류합격 연락이 5~6곳이 오더군요 최종합격한 곳 보다 조건이 더 좋은곳들이 많았지만 스트레스를 그만받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다른회사들 면접은 다 포기하고 무작정 갔습니다. 입사결정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제가 프론트엔드쪽으로 공부를 하다보니 백엔드에도 관심이 생겼었는데, 면접을 보면서 풀스택 개발자로 키워주겠다. 많이 배울수있을거다 라는 말들이 가장 결정적이었죠 현재 입사 2개월차. 그때 선택을 많이 후회하고 있습니다. 많이 배울수있는 환경이 아닙니다. 너무바빠 저를 신경쓰지 않는, 못하는 느낌입니다 취준할때 프론트엔드만 공부했던 터라 백엔드 영역은 아예 무지한 상태로 들어와서 처음 회사 프로젝트를 클론받고 와 이게 뭐지 싶더라구요 오래된 기술스택과, 한 파일에 천줄이 넘어가는 코드를 보고 많이 당황을 했죠.. jsp, jquery로 이루어진 코드와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코드들을 모듈화해서 사용하는것이 아닌, 코드자체를 복붙해서 사용한다던지.. 서버에 어떻게 요청을 보내는지 또는 렌더링 속도가 느리든 빠르든 캐싱이나 최적화 쪽은 아예 신경을 쓰지않고 그냥 돌아가면 상관없다고 생각하고 개발을 하고있는것같아요.. 코드리뷰나 깃 브랜치관리도 하지 않습니다 수정하고 이상없다싶으면 바로 merge합니다.. 지금은 그래도 근무외시간에 틈틈히 공부하여 spring으로 이루어진 백엔드 영역을 어느정도 이해하고 로직, 패턴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도 파악하고 간단한 기능들은 백단 프론트단을 혼자 구현할 정도는 되었습니다. 그러나 현재 업무는 선임개발자분들이 짠 코드를 테스트만 하고있구요... (화면상에서 이벤트가 정상 작동하는지만 확인, 발생하는 오류나 문제에 대한 코드수정은 하지않음) 코드 작성은 거의 하지않습니다. 가끔 코드짜는 업무를 주시면 재미는 있는데 1~2시간이면 다 끝나버리고 그 후에는 퇴근시간까지 저 혼자 공부하거나 멍을 때리고 있는 시간이 많아 현타가 많이오네요 연차가 높아진다고 이 회사에서 제대로된 개발을 하느냐도 사실 잘 모르겠습니다. 10년이 넘어간 개발자 분들도 새로운 기능추가나, 마이그레이션 같은 기능추가를 자발적으로 하신다기 보단 고객사에서 요청하면 그제서야 합니다. 제가 노력을 안하느냐? 그것도 사실 잘 모르겠습니다. 처음 적응기간때는 집에와서 공부하는게 좀 힘들었지만 요즘은 하루에 2시간정도는 하려고 노력을 많이 하고있습니다. 회사에서도 계속 선임분들에게 저 할일없을까요 ! 물어보고 있구요. 이 회사를 계속 다니면서 제가 공부하던 react, react-query 등과 같은 스택은 사용도 못하고 잡일, 단순 노가다같은 일을 반복해가며 이 회사에 남아있는게 과연맞는건지.. 남아있는 다고 한들 제대로된 개발업무를 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제가 추구하던 방향성은 바쁘고 야근이 많더라도 제실력을 키우면서 같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원했었는데 지금와서야 선택지가 많았는데 왜 여길왔을까 싶은 후회가 많이 되네요. 사실 적을게 더많지만 너무 흉만 보는거같네요.. 좋은점은 퇴근은 빨리한다 정도 말고는 없는거같습니다. 퇴근 이후에 따로 공부를할 때, react쪽을 더 공부해서 다시 취업을 알아보는게 맞는건지 어떻게 성장을 해나가야 할지 사실 잘 모르겠습니다. 이와같은 상황에서 어떻게하는게 맞는지 조언을 좀 구하고싶습니다!
개발자
#취업
#주니어
#개발자
#진로
#방향성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2
조회 463
2년 전 · 오원종(Owen) 님의 답변 업데이트
백엔드 신입으로서 팀에 도움이 되는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는
안녕하세요 저는 백엔드 개발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현재 일한지는 6개월도 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이번에 회사에 새로운 백엔드 개발자 분들이 오셨고, 실력도 되게 좋은신분들 입니다. 새로운 분들이 오시면서, 제가 너무 못한다는 걸 느끼고 있어 퇴사하고 다시 공부해야할까도 생각해봤지만, 그래도 회사에서 일을 하며 얻는 것이 더 많을 거 같아 다니고 있습니다. 제가 백엔드 개발자로서 팀에 도움이 되는 사람이 되고 싶어 뭘 공부해보면 좋을까 생각해봤습니다. 1. 코드리뷰를 통해서 배운 것 잊지 않기 2. Db os network 보안 자료구조 다시 공부하기 3. 프레임워크에 대해서 깊이 공부 4. 사용하고 있는 도구를 왜 사용하고 더 잘 사용하는 방법을 공부 5. 협업 능력 기르기. 프로덕트에서 원하는 요구 사항을 긴밀히 이해하고 정확히 구현하여 나중에 딴말나오지 않게 하기 이 외에도 더 공부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것. 그리고 다른 분들은 신입때 어떤 방식으로 팀에 도움이 되었는 지 공유해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나도-잘하는-개발자가-되고싶다
답변 1
댓글 1
추천해요 1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251
2년 전 · 오동녘어진이 님의 새로운 댓글
능력있는 동료와 일하고 싶은 이유로 이직하는 거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현재 스타트업에서 백엔드 개발하고 있는 2년차 개발자입니다 지금의 환경부터 말하자면, 연봉과 워라밸에는 만족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가장 가까운 동료와의 관계에 만족하지 못해서 이직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이 동료에 대한 리스펙이 생기질 않습니다 이 동료는 저보다 1년 가량 경력이 많습니다(현재 회사 짬밥은 제가 더 많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력이 저보다 좋다고 생각이 되질 않습니다 오히려 저와 별반 다르지 않거나, 부족하게 느껴질 때가 많습니다 이러한 생각들이 너무 거만한 생각이 아닐지 걱정되서 한 반년 넘게 고민해왔습니다 그런데도 리스펙이 생기지 않는 건 동일합니다 이분 이전에 함께 일했던 동료는 배울 게 많았습니다 개발적으로나, 코드적으로나, 업무적으로나 배울 게 많았습니다 근데 지금은 그렇지 않다고 생각되니 더 비교되는 것 같습니다 지금 동료는 제가 잘하고 있는지에 대한 피드백이 아예 없습니다 코드리뷰를 싫어하고 안 합니다 그냥 각자 기능 맡은 거 각자 개발하는 게 효율적이라고 말합니다 회사는 효율적인 집단이라 효율적으로 일해야한다고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제 성장을 위한 방향성을 어떻게 잡아야 할지 막막합니다 어떻게 리스펙이 안 되는 동료와 함께 잘 일할 수 있을까요?? 리스펙이 되는 동료와 일하고 싶다는 이유로 이직해도 괜찮은가요?? 현재 시장이 많이 춥다던데 이직 결정하는 게 바람직한가요?? "이끌거나, 따르거나, 떠나거나!!" 라는 문구를 보고 난후 고민이 많아집니다ㅠ
개발자
#js
#협업
#이직
답변 1
댓글 1
조회 170
2년 전 · 이상선 님의 새로운 답변
코드리뷰해주실 프론트엔드 현직자 선배님을 구합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안녕하세요, 현재 신촌 지역 연합 개발 동아리를 운영 중인 학생입니다. 저희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서로의 코드를 리뷰하고 있는데요, 서로 실력이 비슷하다 보니 피드백의 질적인 측면에서 아쉬움을 많이 느낍니다. 코드의 가독성, 효율성, 무결성, 이런 본질적인 이야기보다는 서로 이해가 안 가는 함수를 질문하거나 오류를 잡는 수준에 그치고 있습니다. 그래서 현직 개발자 분들께 코드 리뷰를 받아보고 싶다고 생각하게 되었는데, 주변에 도움을 요청드릴 만한 분들이 없어 이렇게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구체적인 리뷰 방식과 비용은 아래와 같이 생각하고 있으며 얼마든지 조정 가능합니다. - 리뷰 비용: 깃허브 화면 700줄 기준 6-8만원 정도(조정 가능) - 리뷰 방식: 깃허브 PR 기능 활용한 서면 리뷰(비대면 화상 리뷰나 대면 리뷰를 더 선호합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아래 구글폼에 정보 남겨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신청 구글폼: https://forms.gle/a56rRg61J7vpE1zW9**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시면 아래 오픈채팅방에 질문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오픈채팅방 링크: https://open.kakao.com/o/sSZkFwIf
개발자
#프론트엔드
#코드리뷰
답변 1
댓글 0
조회 111
2년 전 · 오원종(Owen) 님의 답변 업데이트
이직이 쉽지 않습니다,,ㅠ
안녕하세요, 저는 블록체인기반 솔루션 회사에서 프론트엔드로 1년 3개월정도 일한 후 임금 체불로 2월에 퇴사를 했습니다. 퇴사한 후에, 블록체인 쪽으로 더 공부하고 싶어 블록체인 부트캠프를 3월에 시작하여 8월 중순에 수료를 완료했습니다. 그런데, 이력서를 넣는 족족 서류 탈락하고 면접을 봐도 떨어지고 현재 스트레스가 굉장히 많네요ㅠ 공고를 보면 대부분 3년을 많이 두하고 제 경력이 굉장히 애매한 경력 같고 경력을 쌓고 싶어도 취업이 안되니 막막한 상황입니다. 그렇다고 아무 회사나 들어가자니 이전 회사에서는 코드리뷰도, 피드백도 없고 사수도 없고 어떠한 체계도 없이 일한데다가 임금 체불도 있었어서 이번에는 그래도 회사다운 회사를 들어가고 싶습니다. 매번 서류에서 탈락하니 이력서가 문제인 거 같은데 어떤 식으로 고쳐야 할지도 잘 모르겠습니다ㅠ 혹시 이력서 첨삭 해주실 분 계실까요?? 이메일 주소 남겨주시면 이력서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또한 대부분의 공고에서 3년 경력을 구하던데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개발자
#프론트엔드
#이직
#취업
답변 1
댓글 3
조회 547
2년 전 · 프레드윰 님의 답변 업데이트
개발자 이직관련 고민이 있어 남깁니다
안녕하세요 이제 두달차된 신입 프론트엔드 개발자 입니다. 다름이아니라 이직관련 고민이 있어 질문 남깁니다. 현재 스타트업에서 프론트엔드 직무로 일하고 있는데요! 백엔드분과 저의 협업에 있어서 저의 주어진 일 끝나고 디테일 작업을 하고있었는데, 백엔드 일이 밀렸는데 도와주지 않았다고 상사께서 불만을 토로 하셨습니다. (처음 일시킬때 백엔드업무도 도와줘야된다는 말은 없었구요) 또한 현재 디자이너가 없고, 디자인은 마음대로 만들라고 해서 만들었는데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참고할 디자인 시안 두개를 던져주고 일주일안에 하라고 하셨구요..물론 윗선에서 시키는일이기 때문에 저는 시키는대로 했습니다. 저희회사 규모는 10명정도의 규모이며 제가 현재 이직관련 고민을 하는게 맞는지 궁금하여 질문을 남깁니다. 제가 이직을 고민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디자이너,기획자가 없다보니 체계적이지 못하고 협업 경험을 쌓을수 없는점 2. 프론트엔드 실력도 부족한데, 백엔드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백엔드 업무를 도와야되는점 3. 프론트엔드 사수가 없고 코드리뷰 문화가 없다보니 성장에 한계가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개발자
#이직고민
#진로고민
답변 1
댓글 0
조회 157
2년 전 · 커리어리 AI 봇 님의 새로운 답변
코드리뷰/ git flow 어떻게 하나요
부트캠프 수업을 듣으면 …정기팀회의 설명하는 …것 어려워서…링크이나 답변 부탁 드리겠습니다
개발자
#git
답변 2
댓글 1
조회 139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프론트엔드 취업 고민입니다
현재 비전공자로서 국비로 프론트엔드 수업을 듣고 있는 30대입니다. 다닌지는 3개월정도 되었는데 선생님의 수업도 우왕자왕 하시고 보충수업 말도 계속 바뀌고 이러다보니 저처럼 완전비전공자인 사람들은 js부터 2주밖에 수업을 안한 리액트까지 당연히 코드조차 치질 못하고 챗gpt로 거의 복붙을 하는 수준입니다. 저도 당연히 코드를 하나도 작성할줄 모르고 코드리뷰도 하나도 모르는 상태인데 문제는 현재 백엔드반과 팀을 이뤄 협업프로젝트를 진행중이고 제가 팀장인 상황인데, 하지만 저도 회의같은 부분에서 제 의견도 말하고 싶고 참여를 하고 싶은데 아는게 하나도 없다보니 어떤말을 해야될지 무슨 말을해야될지도 모르겠고 또 프론트엔드에서 같은 짝궁이 된 사람은 예전에 조금 했던 사람이긴 하지만 그래도 잘하는 모습보고 저와 비교도 되고 또 팀장인 제가 아무것도 못하고 이런게 너무 자존심도 상하고 제가 못하니 짝궁에게 미안하고... 최근들어 그만두고 싶은 생각도 나면서 너무 힘듭니다. 물론 집에서도 따라잡기 위해 공부를 하지만 집에서는 예를 들어 usestate를 공부하고 있으면 현재 프로젝트는 백엔드에서 주는 데이터를 이용하는거라 axios를 사용하는데 학원에서 데이터가 어쩌구 저쩌구 설명을 해도 못알아듣고 .... 중간에 선생님께 말씀은 드렸지만 돌아오는 대답은 열심히 하면된다라는 말뿐이고 이런 상황에 어떻게 하면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개발자
#국비지원학원
#프론트앤드
답변 2
댓글 4
조회 218
2년 전 · ㄱㅎㅁ 님의 새로운 답변
신입 프론트 개발자 9개월차 이직조언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프론트 개발자로 9개월째 일하고 있는 신입 개발자 입니다! 아직 1년도 되지않은 이시점에서 자꾸 이직 생각이 드는데... 이런 상황에서 이직이 맞는걸지 아니면 좀더 회사를 다녀보는게 좋을지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제가 처음 입사했을당시, 리엑트를 사용하는 신규 프로젝트를 하게 되었습니다. 신규 프로젝트인데 생각보다 규모가 크고 일정이 빠듯했기에 개발을 함에 있어서 다른 무엇보다 "속도와 일단 동작되도록" 에 가장 큰 초점을 두고 일했습니다. 당연히 일정을 맞추는게 가장 급한 일이었기에 코드리뷰같은건 꿈도 못꿨습니다. 테스트코드도 없구요. redux를 사용했지만, 제대로 상태관리를 하면서 사용하기보단, 그냥 거의 모든 상태를 useState로 관리하면서 props drilling이 생기는걸 지금은 당장 급하니 나중에 생각해보자고 하시더라구요. Style같은 경우도 일단 빨리해야하니 inline으로 다 작성하자고 하시더라구요. 이런 방식으로 개발을 빠르게 진행하고 프로젝트 배포를 했습니다. 물론 지금도 계속 배포 이후 버그를 수정중인데, 버그가많아 리팩토링은 계속 미뤄지고 있습니다. 이후 저는 리엑트가 아닌 플러터 프로젝트를 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처음 배우는 거라 혼자 독학으로 틈틈히 회사다니면서 공부했고 지금 기본적으로 레이아웃 잡고 api붙이고 하는 작업들을 하게되어 웹이 아닌, 크로스플랫폼앱 개발을 3개월째 하고있습니다. 리엑트할때는 사수(팀장)가 있지만 너무 바빠서 그냥 혼자 알아서 다 했던거같습니다. 가끔 여쭈어 보아도 그냥 혼자 해보라고만 하시더라구요. 그래서 고민을 더 해보고 이런이런 이유로 이렇게 코드를 짜서 이런 결과가 도출되길 바랬는데 저런 결과가 나왔다 근데 아무리생각해도 이런 논리가 제생각엔 맞는거같은데 어디서 문제일까요? 라고 물었지만 돌아오는 대답은 그냥 알아서 잘 해봐라 였습니다.. 그래서 그냥 6개월동안 거의 구글과 gpt한테 물어보면서 일을 했습니다! 다행히 앱개발에는 다른 사수분이 새로 들어오셔서 나름 잘 알려주시고 있긴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이직을 고민하게 된 이유는 먼저 개발적인 부분에서 - 코드리뷰 및 피드백 X - 상태관리 X - 디자인시스템 적용 체계 X - 코드컨벤션 X - git branch 분리 X (only main) - 사수(팀장) 있지만 바빠서 자기일만 함 (다들 혼자 일함) - 웹개발자로 취업해서 리엑트도 아직 숙달되지안은 상태에서 갑자기 플러터를 하게되니 이도저도 아닌 경력이 되버릴까봐 걱정됨 (물론 플러터 배우는게 재밌긴 함) 이런 점들이 있습니다. 이외에 비개발적인 부분의 이유도 좀 있지만 그냥 개발적인 부분만 고민했을때 지금 회사가 기술적이나 그런 부분이 발전에 도움이 될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ㅠㅠ 그리고 제가 9개월차로 리엑트 6개월 플러터 3개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 타회사로 이직하기에도 너무 애매하게 일을 해본거같아 그런점들이 고민됩니다.ㅠㅠ 그리고 그 흔한 상태관리, 스타일라이브러리도 못다뤘기에 이력서에 어떤식으로 써서 준비해야할지도 잘 모르겠고 고민만 늘어가고 있습니다.. ++)) 추가질문! 회사프로젝트는 private 레포인데 이력서에 깃헙주소를 넣을수는 없을거같은데 그럼 이력서에 회사프로젝트 내용은 어떤식으로 정리하면 좋을까요??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객관적인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
#이직고민
답변 1
댓글 0
조회 325
일 년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코드 리뷰를 받는 입장에서 해야 하는 입장이 되었는데 다른 분들은 리뷰를 어떤 식으로 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번에 테크리드로 승진(?)하게 된 5년차 개발자입니다. 작은 스타트업에 있다보니 생각보다 빠르게 테크리드 역할을 맡게 되었습니다. 이제 제가 코드리뷰를 맡아서 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매번 코드리뷰를 받다가 하게 되는 입장이 되어서 다른 분들 의견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다들 기대하는 혹은 상상하는 코드리뷰 문화는 어떤건가요? 혹은 좋은 코드 리뷰를 경험한 분이 있다면 어떤 방식이었는지 궁금합니다!
개발자
#code-review
#코드리뷰
답변 4
댓글 0
추천해요 7
조회 1,879
2년 전 · 슈퍼신찬맨 님의 새로운 답변
공공SI에 신입으로 취직을 했는데요!! 방향성을 잡기가 너무 어려워서 질문 드립니다 ㅠㅠ
안녕하세요. 30대 초반에 비전공자로써 부트캠프를 수강후에 공공SI에 취직을 하게 되었는데요. 정부표준프레임워크인 스프링을 기반으로 교육을 들었고 그 때문에 취직을 히는데 조금 이점이 있지 않있나 싶습니다. 공부하고 이리저리 시행착오 겪는거에 대한 거부감은 없는데, 회시에서는 신입을 바로 투입하기는 어려운지 공부를 하라고 하십니다. 직원은 20명가량의 중소기업이고 주 거래처는 XX처(밝혀도 되는지 몰라서 일단 이렇게 적겠습니다.)급인 시점에서 대표님과 PL분께서 회사자체 솔루션을 가지고 일을 하시는거 같습니다. 현 시점에서 그전에 진행한 2,3,4차 프로젝트를 보고 코드리뷰를 하면서 공부하라고 하시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를 몰라서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우선 제 수준은 딱 부트캠프 백엔드과정을 들은 수준이라고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ㅠㅠ 코드를 보면서 모르던 java클래스도 찾아보고 공부하몀서 알게되고 (예를 들면 optional class, thymeleaf의 자체 라이브러리?? #string같은??) 블로그에 메모하고 노션에 따로 또 정리하면서 이론적인 공부만 하고 있는거 같습니다. 현 시점에서 제가 해야하는 공부들 중 필수가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ㅠㅠ 아니면 현재 상황에서 코드리뷰를 하면서 어떻게 공부를 하는게 적절한 방법인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개발자
#신입고민
#신입공부
답변 3
댓글 6
추천해요 9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2,777
2년 전 · 삭제된 사용자 님의 새로운 댓글
개발자의 업무범위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작은 중소 솔루션 회사에서 30살이라는 적지 않은 나이에서 2년차 웹 개발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입사 당시 프로그래밍을 독학으로 공부하다보니 Spring이나 웹 MVC패턴이라는 개념도 모른채 그저 servlet과 jsp만으로 제가 만들고 싶은 웹을 다만들어서 jsp 안에 모든 서비스 로직과 화면 렌더링을 주구장창 다때려박으면서 그저 DB와 java 정도만 알고 있던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지금의 회사에서 입사하여 입사하자마자 Spring을 공부할 시간을 1달가량 받고 그때부터 제대로 MVC패턴과 Spring 프레임워크를 통해서 간단한 게시판을 만들어낸 것을 이후로 지금은 회사를 다니면서 javascript와 ElasticSearch 등을 많이 접하고 사용하면서 프론트와 백엔드 구분없이 개발을 해왔고 그에 따라서 많은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이런점에서는 회사에 대해서 정말로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8개월쯤부터 아무래도 회사가 성장함에 따라 고객사에 늘어남과 동시 고객지원 및 솔루션 납품 설치 업무를 할일이 많아지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개발업무의 비중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어떤날은 하루에 1시간도 코드를 못볼 때도 종종있고 한달에 많으면 4~5번을 고객사로 출장을 가게되는게 지금 현상황입니다. 물론 솔루션 납품과 설치를 위해서 리눅스를 알아야하고 회사 제품을 더많이 이해되면서 개발을 진행할 때도 고려하지 못했던 부분들을 고려하게 됨에 따라 생각도 넓어지고 인프라적인 요소들도 많이 알게되어서 배우는 점은 분명하게 있지만서도 계속 이회사를 다닌다고 해서 개발자로 성장할 수 있을까? 라는 고민이 듭니다. 백엔드와 프론트엔드 개발 구분없이 풀스택 개발자 처럼 개발 업무를 진행 해야하는점도 전문성이 결여되는 느낌이 들고 다들 너무나 바쁘다보니 코드 리뷰, 테스트 코드 작성 이런건 전혀이루어지지 않고 회사에서 원하는 화면과 기능 등을 정해진 일정도 없이 고객사 출장이 없으면 없는대로 있으면 있는대로 일정을 알아서 도출해서 완료하고 하는대로 되는대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백엔드 프론트엔드 구분 없이 개발하거나 코드리뷰나 테스트 코드 이런거는 사실 바라지도 않습니다. 요즘 ChatGPT가 얼마나 좋은가요 제가 작성한 코드에 대해서 ChatGPT를 통해서도 리뷰를 받아볼 수 있고 이러하니 백엔드 프론트엔드 구분없는 것은 오히려 웹개발의 전반적인 과정을 경험할 수 있으니 오히려 좋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고객 지원(전화응대, 이메일, 서버 납품및 설치와 정기점검을 위한 출장 및 외근)의 범위가 넓어지고 하다못해 세금계산서 발행 처리와 관련된 문의도 대신 받아서 해당 담당자에게 전달하는 이메일까지도 받습니다. 고객사 출장이 잦아지다보니 어떤날은 1~2시간 코드를 보면 많이 보는날도 종종 생기고 개발업무를 하다가도 전화받고 이메일 확인 때문에 개발자체에 집중하기도 어렵습니다. 개발에만 집중해서 성장하기에도 시간이 부족한데 개발업무는 개발업무대로 주면서 이러한 고객지원업무까지 하려니 회사에 대한 고마움은 사라진지 오래고 정이 떨어졌습니다. 사실 개발업무도 수시로 요구사항이 변하니 원하는 대로 개발해놓고 가져가면 갑자기 말을 바꿔서 다른 방식이나 기능을 언급하면서 일을 2번하게 되는 일도 허다해서 정말 짜증이 너무나서 이제는 제가 알아서 회의가 끝나서 회사의 요구사항을 정리하고 난 뒤 ppt로 화면정의서 같은거를 대충 만들어서 이렇게 개발해서 보여드리면 될까요? 확인받고 진행을 하게 되더군요. 작년만 하더라도 시키지도 않은 일도 아랑서 잘 깔끔하게 하려고하고 회사에 대한 애정이 정말 있었지만 이로인해서인지 몰라도 이제는 출근해서 회의를 하면 기분이 않좋아지고 회의가 하기싫어집니다. 요즘엔 이런식으로 계속 회사를 다니면 개발자로는 물경력이 될 것같다는 생각이 너무나 확고하게 자리잡았습니다. 물론 회사에다가도 이야기는 했습니다. 개발업무외에 고객지원 업무 때문에 개발업무에 집중이 안된다. 고객사나가는 것이 부담스럽다. 첫회사였고 애정이 있던 회사였던지라 섣부르게 퇴사를 고민하는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고 있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개발자
#개발자-업무범위
답변 1
댓글 1
추천해요 1
조회 737
10달 전 · 김영진 님의 새로운 댓글
사내 코드리뷰... 어떻게 하는게 맞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요즘 정말 고민인 부분이 있는데 따로 조언을 구할 곳이 없어서 질문 올려봅니다. 맥락을 좀 설명하자면, 사내에서 개발자들끼리 연차 상관없이 서로 코드 리뷰를 하는 시스템이 잡혀있습니다. 전 입사한 지 1년 정도 되었고, 같이 일하시는 분들은 0~10년차 이상 다양해요. 문제는 크게 2가지 입니다. 첫 번째는, 코드 리뷰를 할 때 제 개인의 기준을 잣대로 활용해도 되는가? 입니다 저는 코드를 짤 때 저만의 기준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면, 코드를 읽다가 “이런 변수명은 지양해야지, 이렇게 함수 중첩이 되면 가독성이 떨어져, 이 함수는 하는 일이 너무 많은 것 같은데?” 라는 생각이 들면 코멘트를 작성하는 편입니다. 근데 문득 저만의 기준을 상대방에게 강요하고 있는 건가..?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혹시 여러분들은 코드 리뷰를 할 때 기준이 있나요? 있다면 무엇을 기준으로 하시나요? 개인의 경험인가요? 두 번째는, 연차가 많으신 분의 코드를 리뷰 할 때 “내가? 해도 되는 건가?” 라는 생각이 들어요. 물론, 개발자라면 연차 상관없이 코드 그대로만 리뷰하는 게 맞지만, 리뷰를 하다 보면 “이게 맞는 건가? 내가 너무 시야가 좁은 것은 아닌가? 내가 고려하지 못한 다른 부분 때문에 코드를 이렇게 작성하신 게 아닐까?” 라는 생각이 자주 들어서 썼던 코멘트도 지우는 경우도 많거든요 ㅎㅎ 연차가 있으신 개발자 분들이 느끼기에 저연차 또는 갓 들어온 신입이 본인 코드에 리뷰를 달면 어떤 기분이신지도 궁금합니다. 두서없이 쓰다보니 길어졌는데요. 결론은 사내 코드리뷰를 어떻게 하시는지, 기준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
#code-review
#코드리뷰
답변 6
댓글 7
추천해요 86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4,880
2년 전 · 커리어리 AI 봇 님의 새로운 답변
코드리뷰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안녕하세요~! 1년차 인공지능 엔지니어입니다. 저희 회사가 인원수가 매우 적다가 이제 회사가 커지면서 코드 리뷰 진행에 대해서 고려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진행되는 것이 좋은지 감이 잘 오지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각 회사에서는 어떻게 코드리뷰가 진행되는지 또는 어떻게 진행되는게 효율적인지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개발자
#코드리뷰
#python
#github
답변 2
댓글 1
추천해요 1
조회 210
2년 전 · 커리어리 AI 봇 님의 새로운 답변
Typescript에서 as 는 왜 안 좋은가요?
오늘 회사에서 코드리뷰를 받았어요. 회사에서는 typescript를 사용합니다. typescript를 처음 써보니까 어렵네요. props의 depth가 너무 깊어서 type을 추론하기가 어려워서 any를 사용하거나 as를 사용해서 코드를 짰습니다. 이 부분에서 코드리뷰에서 받은 코멘트가 as나 any는 좋지 않다라는 의견을 받았네요. 개발자 선배분들은 어떤 점에서 as가 안 좋다고 생각하시나요? 그리고 좋은 수정방법이 있을까요?
개발자
#typescript
답변 4
댓글 2
추천해요 5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7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