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 전 · 포크코딩 님의 새로운 답변
Supabase와 Springboot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현재 기계공학과 4학년으로 캡스톤 디자인을 진행 중이며, 팀원들과 함께 앱 개발과 창업까지 목표로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기술 선택 문제로 고민이 많아 조언을 구하고자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상황 요약 - 저희 팀: React Native + Spring Boot 기반으로 개발 중 제가 직접 백엔드 설계/구현 예외처리, 디버깅 포함 전체 구조 정확히 이해 진행도 약 60-70%, 구조 안정적, 유지보수 자신 있음 - 교수님 프로젝트: Next.js + Supabase 진행도 약 80% 다만 구조가 낯설어 코드 파악과 에러 수정에 시간 소요 예상 고민 포인트 - 교수님 코드 이어받으면 빠르게 MVP는 가능하지만, 구조 이해가 부족하고 디버깅이 어려움 - 제가 만든 Spring 기반 프로젝트는 구현은 부족하지만, 구조적으로 명확하고 확장성에 유리함 - 배포까지 걸리는 시간은 둘 다 비슷할 것으로 예상됨 저희의 목표 - 단기: MVP 완성 → 실제 사용자 배포 - 장기: 창업을 고려한 실서비스 개발 - Redis / Kafka / Elasticsearch 등 트래픽 대응과 기능 고도화 예정 - 따라서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이 핵심 질문 - 기능 많은 Supabase 기반 코드를 이해하고 고도화하는 게 나을까요? - 아니면 Spring 기반 구조를 그대로 밀고 나가는 게 더 현명할까요? - 장기적으로 유지보수와 확장성을 고려했을 때 어떤 선택이 실무적으로 맞는 결정일까요? 비슷한 경험 있으신 분들이나 현직자 분들의 현실적인 조언 부탁드립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supabase
#spring-boot
#backend
#front-end
#back-end
답변 1
댓글 0
조회 83
한 달 전 · CL@Supercoding 님의 새로운 답변
컴공입니다. 휴학과 졸업유예 중에 고민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컴공 4학년 대학생입니다. 작년에 진로고민을 엄청 많이 하다가, 대학원을 가려고 준비하였습니다. 그러나, 정말 연구의 길이 맞는지 확신이 서지 않아서 한참 고민하였고, 연구랑은 성향이 안맞다고 생각해서 백엔드로 진로를 바꾼지 3개월 정도 되었습니다. 학점은 4.4x 이고, 수도권 대학이며 자격증은 없습니다. 객관적으로 프로젝트 경험이 부족합니다. 백엔드를 선택한 이유는, 먼저 프론트, 안드로이드를 약간 경험해봤는데 너무 재미가 없어서 남은 선택지였기 때문이구요. 데이터 만지는 거를 좋아하는데 백엔드도 비슷한 거 같아서 선택하였습니다. 전에는 백엔드도 재미없을 것 같다고 생각해서 안해왔는데, 제가 원리를 좀 깊이 파는 거를 좋아하는 편이기도 하고 머릿속으로 시나리오 그리면서 개발할 수 있어서 은근 재밌더라구요. 특히 데이터쪽을 좋아해서 취미로 데이터쪽도 같이 보고 있고, Ai는 필수라고 생각해서 그쪽도 같이 공부하는 중입니다. 현재 인프런에서 백엔드 강의를 들으면서, 교내 연합 개발동아리를 하나 하고 있구요. 알고리즘 문제도 매일 풀고 있습니다. 백준 골드4 되었지만, 실제 수준은 그정도는 아닙니다. 그런데, 당장 취업하기에 스펙이 되지 않을 것 같아서 휴학을 해야할지 고민입니다. 1년만 더 일찍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하고 싶은 게 많습니다. 2,3학년 때 개발을 많이 했어야했는데… 라는 생각이 많이 들더라구요. 졸업작품으로 백엔드 맡아서 하고 있는데, 소셜 로그인도 진행시키고 싶고, 대량의 트래픽을 발생시켜서 안전하게 처리되는지, 보안 로직은 제대로 되어있는지 등등 리팩토링을 하고 싶은 게 많습니다. 그러면서도 학교를 빠르게 졸업해서 어디든 경험을 쌓아야하려나? 싶기도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휴학을 하는 게 맞는지, 아니면 계속 다닌 후에 졸업하는 게 나은지, 졸업 유예를 하는 게 맞는지 선생님들께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쓴 소리도 감사히 받아들이겠습니다.
개발자
#백엔드
#취업
#대학생고민
#대학생
답변 1
댓글 0
조회 162
2달 전 · Estre 님의 답변 업데이트
윈도우 개발자 노트북 이정도는 괜찮을까요?
모델명 : LG 그램 15ZB995 ✅️CPU : 인텔 10세대 코멧레이크 코어 i5 10210U ✅️RAM : DDR4 - 16G ✅️HDD : SSD512G ✅️VGA : Intel UHD Graphics ✅️DISPLAY : 15.6D인치 FHD LED(1920X1080) ✅️OS : Window 11 pro 대용량 트래픽 공부하고싶은데 현재 노트북을 8기가짜리로 쓰고있어서 새로 사려고합니다 맥북은 사고싶은데 취준중이라 금전적으로 힘들어서 나중에 취업후 사려고합니다 지금 당장은 웹이랑 안드로이드만 개발예정이라 저렴하게 살 수 있는걸로 3년간 쓰고싶습니다 다들 32기가에 i7를 추천하던데 이유가 뭔지 알 수 있을까요? 도커도 쓰긴 해야하는데... 도커쓰려면 다들 좋은거 쓰라고 하더라구요ㅠㅠ
개발자
#노트북사양
#노트북
답변 1
댓글 0
조회 81
3달 전 · CP 님의 새로운 답변
금융권에서 다른 IT기업으로 이직하신 분 조언 부탁드립니다
금융권에서 근무한지 1년정도 된 개발자입니다 지금까지 업무를 진행하면서 개발은 거의 해보지 못한 것 같습니다 핀테크 it 기업으로 이직할 만한 개발 경험 (계정계 개발 등과 같은)도 없습니다 더 늦기전에 이직을 준비하려고 합니다 코딩테스트나 기술질문은 어떻게 준비할지 감이 잡히는데 프로젝트는 정말 막막하네요.. 회사 업무 중에 포트폴리오로 넣을 만한 경험은 없어서 개인적으로 진행하려고 합니다 혹시 다른 IT기업으로 이직하신 분들은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구성하셨는지 궁금합니다 개인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엔 MSA나 대규모 트래픽 처리하는 것과 같이 구현하기에 한계가 있는 영역이 있고, 그렇다고 직장인 부캠이나 동아리로 준비하면 다른 분들과 포트폴리오가 비슷해질 것 같아서요 신입 -> 금융권 취업 후기는 많은데, 금융권 -> 다른 도메인 기업 후기는 별로 없어서 막막하네요ㅠㅠ
개발자
#이직
#금융권
#포트폴리오
#개발자
답변 1
댓글 0
조회 136
5달 전 · 익명 님의 질문
대기업SI와 서비스 기업
안녕하세요 현재 2개의 회사에서 최종합격을 한 상태인데 두 회사의 장단점이 명확하여 어떤 선택이 좋을까 의견을 듣고 싶어 글을 써봅니다 1. 제조 대기업 SI 연봉 : 5천 중반 워라밸 좋음 SM 업무를 주로 할 예정, 그룹사 시스템 개발 업무 레거시가 많고 쿼리에 비지니스 로직이 담긴 프로젝트가 많음 2. 시리즈 B 이상 서비스 기업(200인 이상 규모) 연봉 : 4천 중반 워라밸은 잘 모르겠음 백엔드 개발 업무 진행 예정, 코드리뷰/사내스터디와 같은 개발 문화 존재 꾸준한 트래픽과 성장하는 기업 서비스 운영 중(매출액으로는 000억대) 영끌 연봉으로는 1번 기업이 훨씬 높을 것으 로 예상 됩니다. 이전에 스타트업에서 근무를 했었기에 대기업 입사를 목표로 취준을 했지만 최종적으로는 IT 대기업에서 근무를 해보고 싶습니다. 선배님들이라면 어떤 선택을 하실까요...?
개발자
#스타트업
#대기업
#백엔드
#신입
답변 0
댓글 0
조회 124
8달 전 · 익명 님의 질문
[사이드 프로젝트] 패션 이커머스 플랫폼 '푸츠(PUTS)' 앱 개발팀 모집
프로젝트 소개: ‘푸츠(PUTS)_Pick Up The Style!’서비스는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를 중심으로 BM특허까지 보유한 혁신적인 패션 커머스 플랫폼서비스 입니다. 데모버전까지 외주개발을 통해 개발이 완료되었지만 현시점에서 리뉴얼하여 새롭게 런칭버전을 개발하고자 역량있는 팀원을 모집합니다. <참고> 본 서비스의 시장성은 2024년 약 19조 5천억원(캐주얼) 정도의 시장성을 예상하고 있으며 연간 약 3.5%씩 지속적으로 성장 중에 있습니다. 3-5년이내 시장의 10%이상 점유를 목표하고 있으며 시장을 장악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과 마케팅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참조: https://global.fashionseoul.com/2023-11-10/Korean-Fashion-Market-Size-Anticipated-Highest-Growth-Ever) 우리는 패션과 기술을 접목해 사용자와 소비자에게 최상의 쇼핑 경험과 정보 공유, 소득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패션산업의 큰 파도를 함께 일으킬 분들을 모집합니다. 사이드 프로젝트 형태로 진행되며, 유연한 근무 환경에서 협업을 지향합니다. 3-5년이내 엑싯을 목표로 진행됨으로 임금지급 방식이 아닌 지분분배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프로젝트 완료시 파트별 기여도에 따라 지분설정이 되며 관련 내용은 프로젝트 진행 전 협의를 통해 산정하여 계약진행 예정.(급여를 제공 받고자 하시는 분은 정중히 사양합니다.) 모집 직군: 1. 프론트엔드 개발자 (1~2명) o 주요 업무: 모바일 앱 UI/UX 구현, 웹 랜딩페이지, 사용자 인터페이스, 어드민 프론트엔드 개발 o 기술 스택: React Native 또는 Flutter, JavaScript/TypeScript, HTML/CSS o 우대 사항: 모바일 퍼포먼스 최적화 경험, 패션 커머스 개발 경험 2. 백엔드 개발자 (1~2명) o 주요 업무: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 설계, API 개발, 어드민 백엔드 개발 o 기술 스택: Node.js, Django, AWS, PostgreSQL, RESTful API o 우대 사항: 대용량 트래픽 처리 경험, 보안 및 결제 시스템 개발, 이커머스 어드민개발 경험, 포인트관리 및 쿠폰설정 관리 등 3. UI/UX 디자이너 (1명) / 대표자와 함께 진행 또는 대표자가 진행 o 주요 업무: 모바일 앱 디자인, 사용자 경험 설계 o 필수 스킬: Figma 또는 Photoshop, Illustrator o 우대 사항: 패션 브랜드 디자인 경험, 사용성 테스트 및 피드백 반영 경험 근무 형태: • 프로젝트 기반 협업 (파트타임 가능) • 원격 근무 가능 (주 1회 온라인 미팅) • 유연한 일정과 주도적인 업무 환경 우대 사항: • 사이드 프로젝트 경험 • 패션, 커머스에 대한 관심과 열정 • 스타트업 문화에 익숙한 분 • 책임감 강하신 분 지원 방법: • 이력서와 포트폴리오를 [dcode00@naver.com]로 제출 • 지원 시 사이드 프로젝트 경험 및 참여 가능 시간을 명시해 주세요. 문의: • 이메일: [dcode00@naver.com] • 카카오톡/오픈채팅방: [https://open.kakao.com/o/gi5ixgVe] • 회사주소: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한양대학로55 제2과학기술관 지하2층 B210호 (한양대학교 에리카캠퍼스 소재) 지원 마감일: [채용 완료시까지] 로켓펀치 참여링크 https://www.rocketpunch.com/jobs/139647 문의: • 이메일: [dcode00@naver.com] • 카카오톡/오픈채팅방: [https://open.kakao.com/o/gi5ixgVe]
개발자
#사이드플젝
#사이드프로젝트
#팀빌딩
답변 0
댓글 0
추천해요 1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179
8달 전 · 신민규 님의 새로운 댓글
백엔드 공부중인 학부생인데 실무 관련해서 단순한 궁금증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백엔드 개발 공부중인 학부생입니다. 공부중 현업에 관련해서 간단한 궁금증이 있는데 알고있는 현업자분이 없어서 여기에다가 질문 남깁니다. 제가 트랜잭션에 대해 공부하다가 spring의 open-in-view 속성에 대해 알게 되었는데 이 설정을 현업에서는 false로 하는지 궁금합니다. False로 할 경우 lazy load하는 부분에서 문제가 생긴다고 하는데 제 추측으론 현업에선 연관 데이터가 많을것 같고 그럼 lazy load를 사용해야 해서 문제가 있을것 같고 또 키자니 트래픽이 많을때 요청이 종료될때까지 영속성 컨텍스트가 유지되면서 커넥션 풀에 커넥션이 고갈하는 현상이 발생할 것 같은 이런 상황을 현업에선 어떻게 대처하는지 궁금합니다!
개발자
#spring-boot
#jpa
#영속성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
답변 1
댓글 1
조회 76
10달 전 · 백승훈 님의 답변 업데이트
근래에 고민이 많은 SI 9년차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지방에서 프리랜서로 SI업무를 하는 개발자입니다. 우선 제목에서 느끼는 것 처럼 오랫동안 저는 SI 업무를 일하였고, 최근 서비스 직군에서 일하는 친구와 많은 대화를 하였습니다. 그친구는 네카라쿠배 한 곳에 속한 탑티어 회사였고, 그들이 일 하는 방식과 프로젝트의 관점 자체가 너무 다르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많은 트래픽을 경험하며 이를 분산 하기위한 노력 유지 보수 편리를 위한 끊임 없는 리팩토링 서로 서로가 자극제 역할을 하는 코드 리뷰 끊임 없는 트러블 슈팅이 나오고 이를 해결 하고자 하는 모습이 제가 이상적으로 생각한 개발자의 모습 이라고 생각 됩니다. SI에서 제가 본 모습은 협업이 힘들고 일을 서로 미루며, 문제가 되지않는 코드를 굳이 건드릴려고 하지 않으며, 개발자들이 수동적으로 일 하는 모습이 많았습니다. (모든 SI를 싸잡는 것은 아니며 제가 본 경험을 얘기드립니다.) 머리로는 서비스 직군에서 많은 경험하는 것이 개발자 수명에도 제 미래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알고 있지만, 현재 프리랜서로 돈을 만족하면서 잘 벌고 있고, 결혼도 해서 빚 없이 집한채 차한대 몰며 잘살고 있는데 굳이 좋은 회사를 갈 수 있다고 장담도 못하는데 상경 해야되나 고민 되네요. 어제 , 오늘 하루종일 머리가 복잡하고 혼란 스러워 제 속내를 여기 털어 놓습니다. 비슷한 상황이라면 어떻게 하셧는지 궁금하네요
개발자
#si
#서비스
#상경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3
조회 118
10달 전 · 바보 님의 질문
Nextjs, 비용차이 많이 날까요?
안녕하세요 그냥 제 주변인이나 학우 대상으로 플젝 조그만하게 만드는 사람입니다 새 프로젝트를 nextjs로 가다보니 단순 호기심이에요 지금까지 프로젝트는 csr 방식으로 제작해 배포했고 비용은 0원나왔어요(트래픽이 많이 발생한 것도 아니고ㅋㄷ) 이번 플젝은 nextjs approuter을 사용하지만(ssr) client component만을 사용할 것이고 server side에서 Fetching하지 않을 계획이에요 실제 트래픽이 유의미하게 발생해야하고, 배포 플랫폼(버셀, aws)에 따라 다르지만 여러분들의 사례를 대충 알려주신다면 제 궁금증이 해소될 것입니다
개발자
#react
#next.js
답변 0
댓글 0
보충이 필요해요 3
조회 134
10달 전 · 짹 님의 새로운 답변
3시간 동안 1만 트래픽 해결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이번에 어쩌다 보니 정적 페이지를 만드는데 정적 페이지에 사진 30개 정도가 올라가고 거기에 최소 1만 명 정도가 몰릴 거 같은 상황입니다, 그래서 현업 분들이시라면 금액을 최소한 해서 배포해야할 경우에 어떻게 하실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
#트래픽
#트래픽-성능-측정
#배포
답변 1
댓글 0
조회 87
일 년 전 · 설송우 님의 새로운 댓글
API 서버에 데이터 요청 처리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API 서버를 별도로 구축하고, 인증은 토큰방식으로 체택했습니다! 이제 웹페이지를 제작하고있는데요, 문득 드는 의문이 API서버에 대한 데이터 요청은 클라이언트 사이드단에서 처리를 해야 맞는건가요? 아니면, 서버 사이드단에서 처리를 해야 맞는건가요? 인가에 대한 토큰은 쿠키에 있다고 한다면, 1. 클라이언트 사이드단 처리 클라이언트에서 브라우저의 쿠키 접근 -> 인가 토큰 획득 -> 헤더에 포함하여, API서버에 요청. -> 데이터 요청 완료. 2. 서버사이드 처리 클라이언트에서 브라우저의 쿠키를 헤더에 포함하여 서버사이드로 데이터 요청 -> 서버사이드에서 인가토큰을 획득하여, API서버에 요청 -> 클라이언트에게 해당 데이터를 응답 -> 데이터 요청 완료. 1번 방법은 API서버가 외부에 노출되어있어서 보안에 취약하지만, 트래픽이 많아질경우, API서버에 대한 처리만 잘 하면 될것같고, 2번 방법은 API서버는 웹서버와만 통신을 하니, 보안에 강하지만, 트래픽이 많아질경우, 웹서버에 대한 처리, API 서버에 대한 처리 둘다 고민해야할것같은데.. 보통 어느방법을 선택하나요??
개발자
#msa
#api
답변 1
댓글 1
조회 69
일 년 전 · 양명우 님의 질문 업데이트
프론트에서 백엔드로 커리어 전환
안녕하세요, 저는 3년차 프론트엔드 개발자입니다. 저는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된 이후부터 계속 백엔드 개발자에 대한 미련이 있었는데 이번 이직 도전 시기에 백엔드로 커리어를 전환할지 고민이 돼서요 ㅜㅜ 특히 프론트 조직보다 백엔드 조직에 더 큰 힘이 실리는것을 많이 보아서 더 고민이 되는것 같아요 제가 고민하고 있는 부분은 1. 현재 회사에서도 Nest.js로 어느정도 트래픽이 있는 BFF를 만들어서 제품 환경에 내보내 보았는데 DB는 사이드 프로젝트로만 다뤄본게 전부여서요. 저의 경력을 백엔드 개발자로 이어나갈 수 있는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2. 한국은 대부분 Spring 백엔드로 이루어져 있는데 Node.js만으로 제 커리어를 그려나갈 수 있을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node.js
#react
#next.js
답변 0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187
일 년 전 · 상현 님의 새로운 답변
jquery, 굳이 버려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최근 이직 후에 첫 프로젝트로 cms 리뉴얼 개발을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이직한 회사에서는 jquery와 html, css를 사용하여 전자정부프레임워크에 붙여넣는 방식으로 사용하게 되어 있습니다. 저는 react 프레임워크 사용을 만 3년 이상 하였고, jquery도 학생시절부터 초년생 때 까지 만 1년 이상 사용하여 개발에 큰 문제는 없습니다. 다만, 유지보수 및 확장성에 지속적으로 의문을 갖게 되었고 이에 react로 마이그레이션을 제안하고자 생각했습니다. 제안하기 전에 react로 기술 전환하고 싶은 이유를 몇가지 정리해봤습니다! 1. 인력 수급 : 전자정부프레임워크로 react를 채택하고 있는 만큼 최근 react의 수요와 공급 급증 2. 커뮤니티 : react 등의 프레임워크는 점점 커지고 있는 강력한 커뮤니티를 가지고 있음 3. 확장성, 최적화 : 가상 DOM, 대용량 데이터 및 트래픽 처리 용이, 속도 최적화, 경량화, 대규모 애플리케이션 확장성 등에 유리함 4. 테스트 및 문서화 : 다양한 테스팅 라이브러리, 컴포넌트 단위의 테스트 및 문서화에 유리함 정도로 최소 4가지의 이점을 가질 수 있다고 판단했는데요! 반대로 생각해보면 jquery를 굳이 버려야 할까요? 1. 인력 수급 : 예전만큼은 아니지만 아직도 jquery를 사용하는 기업 및 웹사이트가 다수 존재함 2. 커뮤니티 : 여전히 버전 업그레이드도 하고있고 십여년의 커뮤니티에 쌓인 정보는 매우 많음 3. 확장성, 최적화 : DOM 접근이 쉬워 개발 속도가 빠름, 또 어떤 것이 있을까요? 도움 부탁드립니다😅 4. 테스트 및 문서화 : 또 어떤 것이 있을까요? 도움 부탁드립니다😅 다소 편향적인 조사지만,,, 팀원들에게 마이그레이션 제안하기 전에 여러 시점의 생각이 궁금했습니다. 잘못된 정보나, 다양한 의견 얘기해주세요! 감사합니다.
개발자
#react
#jquery
#기술스택
답변 4
댓글 0
조회 452
일 년 전 · 박병석 님의 답변 업데이트
스타트업 대푭니다. 개발자분 연봉협상 / 채용 고민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초기 스타트업 운영중인 사람이고, 앱서비스 하고 있습니다. 공동 창업자 개발자 한놈이랑 사업 시작 했는데요. 이녀석도 시작할때 개발 경험이 학부따리 웹 프런트 / 백 1년정도밖에없어, 앱 공부하면서 만든 케이스입니다 (RN + firebase 로 개발중) 앱에 사람이 많이 몰려서 서버에 렉이 계속 걸리는데, 이 친구 혼자서 못잡아내고 있고, 시니어급을 한분 고용 하려고 합니다. 자금 상황이 녹록치가 않아서 파트타임 혹은 자문자 포지션으로 구인하려는데요. Q1. 시니어급 파트 (혹은 자문) + 제친구 풀타임 이 조합으로 , 대규모 아키텍처 개선 전까지 버틸수 있을까요. 혹은 시니어분을 풀타임으로 뽑아야할까요 Q2. 시니어급이라고 써놓긴 했는데 몇년차(3년차? 혹은 CTO급?) 뽑아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물론 문제에 따라 다르겠지만, 이런 트래픽 문제릉 해결 하려면 몇년차 백엔드 / 클라유드 개발자 분이 필요할까요 Q3. Q2에서 말씀 드린 분 풀타임기준으로 연봉이 어떨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파트로 갈시에 그냥 연봉에서 시간 대비로 깎으면 될지도요. Q4. 지분을 주고 데려온다면 얼마정도 드려야할지 고민됩니다. 보통 얼마선에서 협상 되는지요
개발자
#스타트업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2
조회 582
일 년 전 · 백승훈 님의 답변 업데이트
3년차 프론트엔드 개발자 커리어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최근 이직을 준비하게 되었고 좋은 기회를 얻게되어 이직에 성공을 하긴 했습니다. 하지만 붙은 회사를 가야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입니다. 연봉은 전에 있던 직장보다 현저히 높고 복지도 굉장히 좋습니다. 그러나.. 직무가 너무 맘에 안듭니다ㅠㅠ 기술지원 엔지니어로 합격하게 되어 개발을 거의 하지 않을 것 같고 오히려 PM 직무로 활동할 것 같습니다. 개발은 개발직무에서 개발을 한 후 이슈가 생긴 부분을 유지보수 하는 것으로 들었는데요.. 워낙 프론트엔드 개발을 하는 것을 좋아하기도 하고 커리어적인 욕심이 있습니다ㅠㅠ 그래서 전문가 분들에게 질문이 있습니다.. 해당 회사에 입사한 후 넥스터즈 같은 동아리나 사이트 프로젝트로 개발을 꾸준히 지속하는게 커리어적으로 끊기지 않고 진행할 수 있는 부분일까요?? 아니면 입사하지 않는 것이 좋을까요?? PM 직무도 개발에서는 중요하다 보니 어느 기간동안 담당한다면 제 커리어적으로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기는 합니다! 그러나 개발 영역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실무이며 트래픽이 있는 프로젝트를 구축 및 운영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기에 고민이 됩니다ㅠㅠ 하지만 정말 욕심이 나는게 솔직히 말해 연봉 차이가 정말 심하게 나긴 해서 쉽게 결정하기가 어렵네요.. 저와 같은 고민을 겪으셨던 분들이나 방안을 제시해주실 수 있는 분들 답변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ㅠㅠ
개발자
#이직
#프론트엔드
#pm
#직무-변경
#커리어
답변 1
댓글 0
조회 295
일 년 전 · ㄱㅎㅁ 님의 답변 업데이트
정기적 서버트래픽 데이터센터가 나을까요 클라우드서버가 나을까요
안녕하세요 현재 데이터센터에서 월 25만원으로 서버를 임대해서 예약-결제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평소에는 하루에 접속자수 100명, 동시접속자는 많아야 10명인데, 한달에 한번 두시간동안 트래픽이 맥스 2500명 가량 되고 이때 서버가 다운까지는 아니고 매우 느려지는 접속지연이 심하게 발생합니다. 웹사이트 유지보수 업체에서 서버를 관리하고 추가개발 등을 의뢰하고 있는데요, 제 생각엔 aws ec2 클라우드로 배포하면 평소에 큰 리소스가 필요하지 않아서 싸게 운용하고 한달에 하루, 2시간만 확장해서 쓰면 25만원 내에서도 가능하지 싶은데.. 업체는 자세한 설명이 없고 현 서버의 cpu 사양을 두배로 올리겠다고 합니다. 그러면 비용이 25->40만원이 되구요 지금 평소에 필요하지도 않은 리소스 때문에 이미 서버 사양을 많이 올린 상태입니다. 그래도 예약 두시간에 지연이 심하게 발생하고 있구요..(서버 사양은 밑에 적겠습니다) 혹시 클라우드 서버의 과금에 대해 잘 아시는분이 계실까요?? 월 50만원까지는 사용이 가능할것 같은데 두시간을 위해 한달치 서버사양을 올리는게 맞는건지.. 여태껏 올려왔는데도 지연이 발생하는데 해결은 될지 답답합니다. 아래는 현재 데이터센터에서 임대하고 있는 서버컴퓨터의 사양입니다. CPU : xeon x5670 2EA(12코어 24쓰레드) 램 16기가 SSD 500GB SAS HDD 600GB
개발자
#서버
#서버배포
#서버이전
#서버-성능
#서버-트래픽
답변 1
댓글 0
조회 97
일 년 전 · ㄱㅎㅁ 님의 새로운 답변
로드밸런싱 분산처리 질문드려요
안녕하세요 로드밸런싱으로 분산처리에 대해 궁금한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1.흔히 분산처리란 실제 서버를 여러대에 어플리케이션을 구축해놓고 클라이언트에서 Request를 받는 컴퓨터가 각각 서버에서 트래픽을 분산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러면. 혹시 서버 한대에 도커이미지 여러개로 두고 분산처리 하는 방식은 어떤가요? 트래픽이 L4 스위치를 타고 들어오는 시점이고 어차피 트래픽을 감당하는 컴퓨터는 한대인데 가상화 하더라도 같은 NIC을 사용할텐데 이게 과연 효율이 좋은지 궁금합니다. 2.그리고 보통 여러대에 서버로 로드밸런싱 하는거말고 단일서버에도 그렇게 구축하는 사례가있을까요? 트래픽이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서비스 오픈이 얼마남지않고 처음 겪는 문제라 걱정이 많습니다. 조언부탁드립니다 선배님들
개발자
#분산처리
#springboot
#docker
#k8s
#로드밸런싱
답변 1
댓글 0
조회 67
일 년 전 · 포크코딩 님의 새로운 답변
웹배포에 관해서 질문이용 ㅠ
안녕하세요 사이드프로젝트하려는 코린이 입니다. 사이드프로젝트를 만들고 배포를 해본경험과 사용자들이 있었다는 경험이 있으면 좋겟다라고 생각해서 배포를 하려는과정중 배포를 해보지 않아서 조금 찾아봐도 사용단어 가 어렵더라구용 질문점 1. Vercel로 무료배포시 트래픽 100gb가 사용자가 버튼을클릭하여 api 쏘는 량인가요? 2. 사용자가 들어오기만해도 트래픽이 발생하나요? 3. 요즘ddos가 유행이던데 vercel이나 gitpage도 어떤부분에 대해서 초과시 요금청구를 하나요?? 4. 배포를 할때 생각해야할 요금관련이 어떤것이 있을까요 아무래도 무료로 사용하면 좋겠지만 혹시나 요금이 발생한다는것에서 어디에서 발생될지 유의해야할점이 있을까요??
개발자
#배포
#react
답변 1
댓글 0
조회 506
일 년 전 · 예범 님의 질문 업데이트
안녕하세요 대학생 사이드 프로젝트 ..
안녕하세요 아직 배포도 못해본 개발 초보 대학생 4학년입니다. 현재 React로 개인 웹페이지를 개발해서 배포하려고 합니다. 제가 아직 배포를 한번도 해보지 못해서 그 AWS 하면 맨날 과금된 사건, 디도스 공격된 사건 이런게 생각나고 .. 하기가 무섭네요. AWS에도 트래픽 제한 걸고 금액을 제한할 수 있는 것이 있겠죠 ,,? 첫 배포하는 개발 초보에게 어떤 영상이나 추천해주시는 경로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
#react
#배포
답변 1
댓글 1
조회 210
일 년 전 · 김하늘 님의 새로운 댓글
협업 하면서 백엔드 파트가 완성되지 않으면 프론트엔드는 뭘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번에 협업으로 토이프로젝트를 하면서 하고 있는데 프론트에서는 디자인과 퍼블리싱까지는 다했고 이제 백엔드에서 만든 명세서로 목 서버로 포스트맨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포스트맨 무료 버전에서는 1000트래픽까지만 할 수 있다는 걸 알고 트래픽을 다 소모해버리면 프론트에서는 어떻게 진행을 해야할까요? 프론트는 배포까지는 했습니다.
개발자
#협업
답변 1
댓글 2
조회 156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커리어 선택] 회사 vs 직무
최근에 독일 회사 2곳에서 최종 오퍼를 받게 되었습니다 1. A 회사는 규모가 크지만 (25개 국가 서비스, 4억 MU) 직무는 마케팅 플랫폼/솔루션의 BE + DE입니다 2. B 회사는 규모가 좀 적지만 (2개 국가 서비스, 5천만 MU) 직무는 결제 팀에서 BE입니다 백엔드 개발자로서 높은 트래픽에서 고민을 많이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A회사는 높은 트래픽과 다양한 문제 해결, 큰 회사의 프로세스을 경험해볼 수 있을 것 같지만, DE도 겸업해서 비즈니스 로직에서 DB를 헤비하게 다루지 못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도저도 아닐 수 있지 않을까… (이전 회사에서도 데이터플랫폼 팀이어서 비슷한 고민을 조금은 했었습니다) B회사는 회사의 결제 트레픽을 모두 받을 수 있고 결제 도메인 경험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페이먼트 쪽으로 이직할 수 있는 가능성도 있지 않을까… 합니다) 하지만 A회사보다는 규모 및 트래픽이 적어서 고민입니다 정답은 없다고 생각하지만 결정은 해야되서 고민이 됩니다. 회사는 변경할 수는 없지만 직무는 변경이 가능한 것 같아서 개인적으로는 A회사로 마음이 갑니다.. 개인적인 의견들을 여쭙고 싶습니다
개발자
#직무
#회사
#커리어
#고민
#이직
답변 0
댓글 0
조회 96
일 년 전 · ㄱㅎㅁ 님의 새로운 답변
안녕하세요. 이력서 피드백 해주실 수 있는 분 계신가요?
안녕하세요. 3년차 자바 백엔드 개발자입니다. (만 3년 2개월) 현재 B2B 회사에 3년째 다니고 있습니다. - 기술적 토론을 즐겨 할 수 있는 동료 및 사수 부재 - 매 프로젝트 마다 같은 기술 스택 사용 - 적은 트래픽 - 테스트 코드와 코드 품질은 중요시 하지 않는 개발 문화 위와 같은 이유로 현재 환경에서는 더 이상 성장할 수 없다는 생각이 들어 이직 준비를 하려고 합니다. 첫 이직 준비라 이력서를 검토 받고 싶은데 주변에 검토 받을 지인이 없어서 커리어리에 요청 드립니다.. 이력서 피드백 주실분 계시면 정말 감사히 받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이직-준비
#이력서
#백엔드개발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113
일 년 전 · 이승훈 님의 답변 업데이트
퇴사 후 중고신입으로 지원 vs 경력 2년 이상 채우고 이직
안녕하세요. 저는 서비스 기업에 다니는 2년차 백엔드 개발자입니다. 최근 커리어와 관련해서 고민이 있어 글을 올립니다. 이제 만 2년에 가까운 경력이 쌓였기에, 제목과 같이 퇴사 후 중고신입으로 지원하느냐, 만 2년 이상의 경력직으로 이직하느냐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우선 회사를 떠나고자 결심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술적으로 성장하기 어려운 환경 그동안 코드리뷰가 없었고, 사수도 없었습니다. 그리고 팀 분위기 자체가 서먹하고, 각자 알아서 일하는 식이라 공유도 활발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기술적인 부분은 혼자 알아서 습득하려고 노력했는데 이것도 한계가 있다고 느껴집니다... 무엇보다 코드리뷰와 같은 피드백 체계가 거의 없다보니 제가 엉망인 코드를 짜도, 제가 업무를 엉망으로 하고 있어도 무엇이 잘못이고 무엇이 개선할 점인지 자각하기 어렵다는 점이 치명적인 것 같습니다. (사실상 지금까지 한 업무도 물경력인 것 같습니다...) 그래도 사용자 트래픽이 좀 있는 편이어서 계속 남아서 일을 하다보면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면서도... 그냥 도메인 지식만 좀 있는 우물 안 개구리가 될까봐 걱정이 됩니다. 2. 기초적인 실력 부족 비전공자에서 개발자로 전향하였고 그렇다보니 기초 지식이 많이 부족한 게 느껴집니다. 신입 때는 기초 지식이 부족해도 어떻게든 눈치껏 개발해서 대충 커버가 되었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지금까지 해온 것처럼 눈치껏 개발하는 게 아니라 알고 개발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특히 그 '알고 개발하기' 라는 게 결국 기초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깨달았고, 그때마다 제가 기초적인 부분을 정말 많이 모른다는 걸 발견했습니다. 업무를 하면서 발견한 부족한 부분들을 틈틈이 채웠다고 생각했지만... 여전히 너무 부족한 것 같습니다. 그탓에 조금이라도 어려운 업무를 만나면 굉장히 헤매기도 하고, 또 네트워크 모임에 나가보면 비슷한 연차의 다른 개발자들에 비하면 여전히 기초가 제대로 안잡혀있다는 게 확연히 느껴집니다. (예를 들면 주로 자바, 스프링에 대한 이해도, 네트워크, CS 등...) 사실 기초 실력 부족은 계속 저의 약점이기도 했고, 그러다보니 매순간 저의 자신감을 깎아먹는 부분이기도 해서... 진짜 경력직이 되기 전에 기초를 제대로 다시 닦고 싶은 마음이 듭니다. 그래서 퇴사 후 유명 부트캠프 같은 곳을 갈까도 생각중입니다... 그래서 현재 생각중인 선택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퇴사 후 약 3~6개월 공부(유명 부트캠프 목표) -> 중고신입으로 지원 2. 만 2년 이상 경력 채우고, 경력직으로 이직 사실 마음이 가는 것은 1번입니다. 경력으로 이직하기에는... 곧 만 2년이 되어 3년차가 다 되어가는데 제가 과연 그곳에 가서 경력직이란 타이틀에 맞게 퍼포먼스를 낼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또 3년차 부터는 중고신입으로 지원하기도 어렵다는 이야기도 있어서, 3년차가 되기 전에 퇴사한 후, 6개월 미만으로 기초를 다잡는 시간을 가지고, 중고신입으로 지원하고 싶습니다. 하지만 저의 부족한 경험과 좁은 시야 안에서 판단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들어, 이렇게 질문을 올려 의견을 구하고자 합니다. 부디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
#커리어
#백엔드
#중고신입
#이직
#퇴사
답변 2
댓글 0
조회 2,743
일 년 전 · 김신영 님의 답변 업데이트
물경력에 관해서 질문 드립니다
솔루션 업체를 가장한 실질적 SI 회사 다니고 있는 2년차 백엔드(22년 9월 입사) 개발자입니다. 현재는 타 부서로 파견을 와서 사내 솔루션 유지보수 업무를 하고있습니다. 현재 팀의 기술스택은 아래와 같습니다. java, groovy, spring, gradle, jdbc, mybatis, git, JIRA, aws, docker 소스코드는 방대한 레거시를 포함하고있습니다. JDBC 와 Mybatis 혼용하고있습니다. (쿼리로 비지니스 로직 처리를 하는 형태) 현 부서 특성상 대규모 트래픽, 시스템 아키텍처, 인프라, 최신 기술스택 등을 경험하기 어렵습니다. 1. 현재 팀이 사용하고 있는 기술스택만 잘 습득 했다고 했을때 향후 이직시 불리한 점이 있거나 물경력이 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부족하다고 하면 현 상황에서 어떤 공부를 어떻게 하면 좋을지 2. 연차가 어느정도 쌓였지만, 대규모 트래픽에 대한 경험이 없을때 백엔드 개발자의 커리어에 치명적일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부서 특성상 트래픽에 대한 경험을 하기가 어려운데 이부분은 제가 어떻게 접근하면 좋을지 선배님들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개발자
#backend
#java
#spring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308
일 년 전 · 민태호 님의 새로운 댓글
공공데이터 api 활용 관련
안녕하세요 대학교 4학년 학생입니다 이번에 졸업작품 겸 개인 프로젝트로 식품 영양정보 공공데이터 api를 활용해서 식단 관리 어플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근데 제가 사용하는 데이터가 식품관련 정보라서 날씨와 같이 업데이트 빈도가 높은 데이터가 아니잖아요? 업데이트가 거의 없다고 봐야겠죠.. 그래서 요청 트래픽이 제한되어있는 공공데이터를 앱 사용자가 필요할 때마다 호출하는 것이 아닌 firebase와 같은 데이터베이스에 따로 코딩으로 데이터를 저장해놓고 사용해도 괜찮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근데 또 걸리는 점이 카테고리가 식품인지라 데이터의 양이 어마어마할텐데 어떻게 처리하는게 효율적일까 고민이 되더라구요.. 혹시나 식품영양정보 공공데이터를 처리해보신 분이 나 비슷힌 고민이 있으셨던 분들의 조언을 듣고싶습니다ㅠㅜ 1. 대량의 데이터를 firebase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앱 안에서 불러쓰는게 좋을까요? VS 2. 공공데이터 api를 앱 사용자가 필요할 때마다 요청해서 쓰게하는게 좋을까요? (사용자가 api를 요청하는 상황은 식단에 음식을 추가하려고 검색 할 때로 가정했습니다!)
투표
개발자
#flutter
#api
#공공데이터
답변 3
댓글 4
조회 338
6달 전 · 허형준 님의 답변 업데이트
리액트를 사용하여 만든 웹페이지 질문 있습니당...!!!
안녕하세요! 리액트를 사용하여 웹페이지를 만들었는데 서버 트래픽을 확인하고 싶어서요 ..!! 어떻게 하면 측정할 수 있나요?? 또한 코드량을 줄이고싶은데 이에 대한 방법 알려주실 분 계신가욥 ..!! 🥲
개발자
#리액트
답변 1
댓글 0
보충이 필요해요 3
조회 91
일 년 전 · 장준영 님의 답변 업데이트
인구 감소에 따른 대규모 트래픽 변화
먼저 잘못된 해석을 피하기 위해 의도를 명확히 드러내고자 하는데요. 저출산 및 인구 감소에 대한 문제 제기가 아닌 인구 감소와 대규모 트래픽이 서로 어떠한 영향을 주고받을까에 대한 글입니다. 신입 개발자의 엉뚱한 호기심에서 비롯된 글이니 그냥 가볍게 읽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요즘 여러 기사나 개발 관련 글들을 보게 되면 대규모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과 방식에 대한 많은 고민과 흔적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것 같습니다. 그만큼 대규모 트래픽 관련 처리 기술과 아키텍쳐들이 나날이 발전하는 것을 직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으며 그 핵심에는 인구에 따른 많은 유저의 유입이 큰 몫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하나의 가상 시나리오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만약 인구가 점차 감소하여 약 100년 뒤 지구의 인구가 현재 인구의 3분의 1로 줄어들게 된다면 그때에도 과연 `대규모`라는 거대한 키워드가 여전히 유효할지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쩌면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은 현재가 전성기이고 약 100년 뒤에는 관련 기술이 오늘날보다 그 인식과 중요성이 감소하게 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데요. 더 나아가서 만약 그렇다고 한다면 개발자가 데이터를 바라보는 시각은 또 어떻게 변화하게 될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많은 데이터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에서 점차 한정된 데이터를 얼마나 정교하게 처리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과 기술들이 생겨나게 될까요? 제 글을 요약해본다면 이렇습니다. 1. 만약 인구 감소로 인구가 줄어든다면 현재 중요시되는 대규모 트래픽 처리 기술과 아키텍처들은 그 시점에서도 여전히 중요성을 유지할 수 있을까요? 아니면, 현재가 해당 기술들의 전성기일까요? 2. 인구 감소와 개발자가 데이터를 바라보는 시각이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면 앞으로 개발자가 데이터를 바라보게 되는 시각은 어떻게 변화하게 될까요? 혹여나 제가 잘못 이해하거나 오해하는 부분들이 있다면 그 부분에 대해서 지적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데이터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2
조회 89
일 년 전 · 오원종(Owen) 님의 답변 업데이트
경력 쌓기 좋은 회사는 어떤 회사일까요?
안녕하세요 국비 수료 후 취업에 성공한 비전공 백앤드 개발자입니다. 현재 다니고 있는 회사는 관공서에서 요청한 서비스를 다른 기관과 협력하여 몇개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고 다음주면 프로젝트가 끝이 납니다. 내년 새로운 프로젝트도 계획되어 있습니다. 입사 후 작은 규모의 프로젝트에 사용할 API만드는 작업을 했고 인턴계약을 끝으로 연장 계약을 진행하게 될것같습니다 계약 연장을 앞두고 있으니 어떤 회사가 백앤드 개발자로 성장하기에 좋은 회사인지 궁금해졌습니다. 새로운 다양한 프로젝트가 예정되어 있어 이것저것 개발할 수 있고 최근 새로운 기술 스텍이 추가되어 공부하기도 좋다고 생각되는데 한가지 신경쓰이는것은 공무원을 위한 서비스이기 때문에 트래픽이 높지않다는 것입니다. 취준시기에 대량의 트래픽을 경험해볼 수 있다는 공고를 봤는데 대량의 트래픽이 백앤드 개발자 경력쌓기에 얼마나 좋은가요? 백앤드 개발자로 성장하기에 어떤 경험을 할 수 있는 회사가 좋은 회사일까요???
개발자
#경력
#이직
#신입
답변 1
댓글 1
조회 388
9달 전 · Tetz 님의 답변 업데이트
신입 백엔드 개발자 첫 직장
안녕하세요 첫 짓장으로 어떤 형태의 기업을 목표로 공부를 해야할지 고민이 많은 사회복무 중인 예비 백엔드 취준생입니다. 개발에 대한 욕심이 있고 재미도 느껴 개발자로 성공을 하고 싶습니다. 또한, 성공의 기준은 개개인이 모두 다르겠지만 저는 개발자로서 성공하여 누구나 들으면 알만 할 기업에 들어가 많은 것을 배우고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처음 개발자로 진로를 선택했을 때는 “처음에는 스타트업이나 중소, 중견에 입사해서 커리어를 쌓고 성장한 후 마지막은 당연히 네카라쿠배같은 대기업에 입사해야지!”하고 생각을 했습니다.. 하지만 공부를 하면 할 수록 느끼는 것은 “정말 내가 이직을 성공해서 네카라쿠배를 갈 수 있을까?“입니다.. 개발자로 성공하기 위해 토익 공부나 인적성 공부 같은 것들은 경솔하지만 필요없다고 단정 짓고 오로지 개발 공부만을 계속해서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사회복무요원 소집 해제까지 아직 시간이 많기도 하고, 취준까지 한다고 하면 약 2년 정도의 공부 시간이 남아있는데, 이 기간 동안 개발 공부를 정말 열심히 한다고 하더라도 2년 뒤의 필요로 하는 개발자의 모습이 어떨지, 그때 쯤이면 인공지능 어쩌고 하면서 또 어떤 요구사항이 생길지 걱정이 되네요.. 빠르게 취업을 하여 개발자로서 성장하고 성공하기 위해 이직을 하여 최종적으로 네카라쿠배를 목표로 하지만, 실제 취업을 준비하게 될 시점인 약 2년 뒤에는 또 시장이 어떻게 바뀌어 있을지.. 네카라쿠배에 이직을 성공할 수 있을지, 이곳만 보고 달려왔는데 기업 사정이 안 좋아져서 취업문이 닫힌다거나 권고사직 등..과같은 불확실성이 자꾸 제 공부 방향성에 의심을 갖게 합니다. 이러한 불확실성 때문인지, 요즘은 대기업 SI 쪽에 눈이 많이 갑니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고 공채가 있으며 필요로 하는 역량이 명확하기 때문입니다. 제가 학점도 괜찮은 편이라 이쪽은 유리하다고 생각이 들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 역시 망설여 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다음은 모두 취업 해본적도 없는 제가 대충 구글링을 통해 주워들은 내용들이니 오해하지 않으셨으면 좋겠고, 잘못된 부분은 정정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대기업이고 SI 분야이다보니 꼰..인 상사분들이 몇분 계시며 프로젝트는 대부분 레거시로 구축한다 2. 개발자의 무덤이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직장이며 연봉도 괜찮고 일도 편하다. 하지만 개발적인 역량을 키우기 좋은지는 잘 모르겠다. 3. 대체 불가능한 개발자가 되기 위해선 대용량 트래픽을 맞고 이를 해결해보는 경험이 필요하다고 개인적으로 생각이 되는데, 대기업 SI는 보통 B2B이다 보니 대규모 트래픽을 경험할 일이 거의 없다. 그렇다고 이를 따로 프로젝트로 공부하기에는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없으니 연차에 비해 트래픽 경험이 없어 타 유명 서비스 도메인으로 이직하기 어렵다 4. SI이다 보니 자사 서비스를 갖고 운영하는 기업과 필요로 하는 인재상 자체가 다르며 개발 역량이 크게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 5. 코드 리뷰나 컨퍼런스 등 협업하며 함께 성장하는(?) 개발 문화가 없다. 클린 코드, 객체 지향적 설계, 최신 기술 등등이 크게 중요하지 않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잘못된 정보가 있을 수 있고, 저는 경험해본 적 없이 단지 주워들은 걱정거리(?)들만을 나열한 것입니다! 생각나는 점들이 대충 이런 것들이라 정말 좋은 직장이지만 한번 들어가서 연차가 어느정도 쌓이면 이직을 하기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이 들게 되었습니다. 개발 공부가 너무 좋고 이렇게 배운 것들을 실무에서 녹이고 싶은 저이지만, 이곳에 들어가면 레거시 위주에 트래픽 경험도 하지 못하는 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이 드네요.. 또한, 대기업 SI를 목표로 공부하게 된다면 토익에 인적성 등등 한번도 공부한 적 없는 것들을 준비해야 하고, 좋은 코드, 좋은 아키텍처 등에 대한 고민을 하며 이것을 심도있게 공부하는 것이 필요 없다기 보다는 일단 빠른 입사만을 목표로 하는 저에게는 지금 당장은 비효율적인 공부 방향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사회 복무 중이며 복학해도 4학년이라 졸업 하자마자 바로 취업하고 싶어서 취준 기한이 2년이 남은 상황인데, 목표 및 방향성을 잡기 어려움.. 2. 개발을 좋아하여 개발로 성공하고 싶기에 네카라쿠배가 최종 목표임. 하지만 신입을 안 뽑기도 하고 진입장벽도 높아, 그 밑의 다른 서비스업에 먼저 취업하여 연차를 쌓고 네카라쿠배로 이직을 하는 방향을 생각했었음. (작은 서비스 기업 -> 큰 서비스 기업 이직) 3. 하지만 요즘 상황을 보면 2년 뒤에는 내가 필요할까? 2년 뒤에는 더 높은 수준을 요구하진 않을까? 그리고 내가 네카라쿠배에 이직을 성공할 수 있을까? 와 같은 너무 많은 걱정거리 및 불확실함이 생김.. 4. 안정적이고 해야할 것들이 뚜렷한 대기업 SI를 목표로 할까 고민이 되지만, 구글링 해본 결과들을 보면 개발자로서 많은 경험을 하지 못할 것 같고 성장하기 어려울 것 같고.. 이직을 하고 싶어도 연차가 쌓이면 어려울 것 같음. (SI -> IT 서비스 대기업) 5. 결국 어느 쪽을 선택해야 할지, 공부 방향성을 잡지 못하겠음.. 긴 글 읽어주셔서 너무 감사드리고, 잘못된 부분들이 있다면 정정해주시면 너무 감사할 것 같습니다!! 제대로 찾아보지도 않고 이런 글을 쓰는게 무례하다고 생각이 들지만 이 기업을 너무너무 가고 싶은데 잘못된 오해를 하고 있는 불쌍한 취준생이라고 생각하고 정정이나 조언 해주시면 정말 감사할 것 같습니다 ㅠㅠ
개발자
#네카라쿠배
#대기업
#백엔드
#커리어
#신입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1,278
일 년 전 · great 님의 새로운 답변
많은 유저 수를 감당할 수 있는 소셜 서비스의 백엔드 어떻게 구성하나요?
안녕하세요. 창업 겸 작은 프로젝트를 준비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소셜 앱 쪽으로 하고 있어. 많은 트래픽과 유저를 감당할 수 있는 백엔드를 구성하고자 합니다. 혼자 개발을 하고 있어 개발 리소스가 부족하고 원래 프론트를 주로 하다보니 많이 부족합니다. 저의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최대 50만 유저까지 (물론 50만 유저 달성은 정말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2. Auto Scaling이 되어 배포 후에 큰 신경을 안 써도 되며 3. 최대한 적은 비용을 유지하고 싶습니다. 우선 제가 뭐라도 공부해보고 질문을 드려야 할 것 같아서 나름대로 구성해봤습니다. 백엔드 언어: express 프론트 언어: RN 서비스 요약: 매일 하나의 사진을 올리고 유저끼리 투표하는 서비스 (많은 socket 알림이 오감) 서버 배포: AWS API Gateway+ AWS Elastic Beanstalk or AWS lambda DB: mongoDB atlas 이미지 저장: s3 push: FCM - 여쭤보고 싶은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배포를 AWS lambda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서버를 서버리스로 구성하면 더 저렴할까요? 2. mongoDB atlas에서 요금을 쓰는게, aws의 DocumentDB를 사용하는 것보다 더 저렴할까요? 3. 더 비용을 낮추기 위해서는 어떤 선택을 할 수 있을까요? 제가 뭘 더 알면 좋을까요? 많이 부족하고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express
#aws
#react-native
#mongodb
답변 4
댓글 1
추천해요 26
조회 3,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