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UI

질문 4
해시태그 없이 키워드만 일치하는 질문은 개수에 포함되지 않아요.

2달 전 · 김소영 님의 질문 업데이트

삼성 SDS UX 디자이너 취업 준비

제품 디자인학과(UX 디자인 전공)에 재학 중인 대학교 4학년입니다. 삼성 SDS UX 디자이너 직무에 관심이 있어서 제대로 준비해보고 싶은데, 포트폴리오에 넣을만한 프로젝트가 마땅치 않아 졸업 유예 후 인턴 6개월 경력을 쌓고 공모전 출품 등 한 후 포트폴리오를 탄탄히 만들고 나서 지원을 해볼까 생각 중입니다. (학교 졸업생 분 중 SDS에서 CX 업무를 하고 계신 선배님께서 인턴 경력을 쌓고 지원하는 것을 적극 추천해주셨습니다.) 현재 포트폴리오에 넣을 만한 프로젝트는 학부 UX/UI 디자인 학회 진행 프로젝트 2개(공모전 지원했지만 수상을 못했습니다... 그래서 넣을 수 있는 퀄리티일지 조금 걱정이에요 ㅠㅠ), 동계 현장실습 인턴 때 진행했던 B2B 프로젝트 1개(웹사이트 디자인 했었고 AI 코칭, 챗봇 기술을 넣은 코칭 플랫폼이 주제였습니다. 기업 대시보드 디자인도 했었는데 삼성에서 대시 보드 디자인 경험을 선호한다는 이야기도 들은 적이 있습니다), 올해 진행하는 졸업 산학 연구 프로젝트 2개 정도가 전부일 것 같습니다. 다 팀 프로젝트여서, 개인 프로젝트가 부족해서 인턴 이후에는(혹은 하면서) 공모전에 개인 프로젝트를 지원해볼 생각도 있습니다! 이 스펙으로는 택도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삼성에서는 성적을 본다고 알고 있는데 학점이 3.7정도라 인턴 후에는 취준 하면서 학점도 조금 올릴까 생각 중입니다! 이 계획이 도움이 될지, 아니면 그냥 바로 취업 준비를 하는 게 맞을지, 회사에서는 취준 기간도 공백 기간으로 따지는지도 궁금합니다. 그냥 동계 계절 때 인턴을 짧게 하든 공모전에 출품을 해보든 하는 게 더 나을까요...? 취준을 1년이나 하는 게 맞을지 ㅠㅠㅠ 또 SDS 디자이너 지원을 위해 준비해야 할 사항 있다면 뭐든 알려주시면 감사할 것 같습니다! 첫 직장으로 삼성 취직하기 굉장히 어려운 것 알지만, 중소에서 경력 쌓고 대기업 가는 루트가 굉장히 희박하다고 들어 제대로 준비하고 취업하고 싶습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ㅠㅠ 감사합니다!!

디자이너

#삼성

#삼성sds

#ux

#uxui

#ux디자이너

답변 0

댓글 0

조회 69

8달 전 · 익명 님의 질문

웹 UX/UI 프로젝트 디자이너 모집합니다!!

스타트업 'Gapture'에서 모바일 반응형 웹서비스 피그마 디자인 프로젝트 팀원을 구합니다.😊 디자인 내용&과정 - 기획자들이 작성한 데이터플로우, 기획, 컨셉 이미지와 컬러는 구성되어 있음. - 와이어프레임 작업 + 디자인 작업 약 12페이지 내외 - 실무 개발자(주니어개발자 2인, 풀스택 17년 경력자 1인)와 지속적인 소통을 통한 협업 근무형태 - 서울 거주자 : 재택, 줌 - 원주 거주자 :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컨버젼스홀, 줌 보수 : 100만원 작업물에 따라 추후 추가 프로젝트 요청 계획 있음 시작일 : ASAP 디자인 데드라인 : 10/30일(일) 해당 작업에 시간을 충분히 할애할 수 있는 분 휴학생, 졸업생, 고학번 우대🔥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로 문의주세요!! https://open.kakao.com/o/sIuiDJNg 위 링크로 접속해서 성함/연락처/생년월일/학번 그리고 최신 작업물이나 포트폴리오 보내주세요!!

디자이너

#ux/ui

#프로젝트

#디자인

답변 0

댓글 0

조회 86

8달 전 · 공보경 님의 질문

배포가 되지 않은 사이트 프로젝트, UX/UI 디자이너 포트폴리오에 포함시켜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현재 UX/UI 디자이너로 일하고 있고,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디자인은 완성된 상태이지만 개발 단계에서 시간이 걸리는 중입니다. 다만, 개발까지 기다릴 시간이 부족하여 포트폴리오에 넣어야 하는 상황입니다.. 이런 경우에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구성하는 것이 좋을까요..? 제 계획대로 넣는 것이 현명한 선택일까요?

디자이너

#포트폴리오

#이직

#ux/ui

#디자이너

답변 0

댓글 0

조회 125

9달 전 · 홍지상 님의 새로운 댓글

요즘 들어 많이 보이는 형태의 UX/UI 레이아웃 디자인을 지칭하는 용어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근에 쇼핑몰이나 온라인 서비스를 브라우저로 서칭하다보면 자주 보이는 형태가 있는데요. 모바일 크기인데 데스크톱이든 태블릿이든 상관없이 스마트폰 크기 하나만 지원하는 제품이 많이 보이더군요. 스마트폰보다 큰 화면에서 접속하면 양 옆이 footer 역할을 하는 형태의 제품 레이아웃을 보이기도 합니다. 반응형 대신 모바일 디자인만 고려하면 된다는 점에서 관심이 생겼는데, 이러한 레이아웃 디자인을 부르는 명칭이나 용어가 있을까 해서 질문 드립니다. Tailwind CSS를 접하면서 모바일 우선(Mobile-first)이라는 용어는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저런 형태는 모바일 온리(Mobile-only)라고 부르는 걸까요? 특정 사이트를 언급해도 되는지 모르겠지만, 링크 걸어보고 문제 시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 페이브릴 https://fabrill.co.kr - 밸런스 https://www.balance.site - 모두의셔틀 https://www.modooshuttle.com - 팬심 https://fancim.me 조금 더 넓은 범위의 레이아웃을 보여주는 - 모요 https://www.moyoplan.com

디자이너

#ui/ux

#layout

#design

답변 1

댓글 1

조회 185

일 년 전 · 정연 님의 질문

디자이너 포트폴리오 주제잡기 고민..

안녕하세요! 올해 졸업예정을 앞두고 있는 UX/UI디자이너 취업준비생 입니다. 대학 3학년이후로 프리랜서와 학교 수업을 병행하며 팀프로젝트로 포트폴리오를 쌓아왔는데.. 졸업하고보니 쓸만한 개인 포트폴리오가 없다는 어려움이 닥쳤습니다 ㅜㅜ 취업을 위해 개인 포폴을 2-3개라도 빨리 만들어야하는데 마음이 조급해서 그런지 괜찮은 주제거리를 잡아서 집중할수가 없네요 ㅜㅜ 개인 디자인 포트폴리오 제작하신 선배님들은 프로젝트를 어떻게 시작하셨나요? 어떤 고민을통해 주제를 잡아야할지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ㅜㅜ🙇

디자이너

#디자이너

#취업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답변 0

댓글 0

조회 249

일 년 전 · 영석 님의 새로운 답변

부트 캠프 vs 국비 지원

안녕하세요. 취업 특화 고등학교(특성화, 마이스터고) 3학년 학생입니다. ux/ui 개발이나 웹/ 앱 개발(풀 스텍) 또는 웹 디자인 쪽으로 일하고 싶어서 학원을 찾아보고 있습니다. 학원을 찾아보니 크게 부트 캠프와 국비지원으로 나눠더라고요. 어느 쪽으로 알아봐야 할지 고민 됩니다. 그리고 혹시 아시는 좋은 학원 있으시면 알려주시면 감사할 것 같습니다. 저의 실력? 코딩?은 c언어와 파이썬의 기본 문법 정도는 할 줄 압니다. 자바는 스윙이라는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꽤 깊게 파본 적이 있습니다.(테트리스, 스네이크와 같은 게임부터 농장물 시스템, 도서 시스템, 네비게이션 등등 여러 프로젝트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jdbc를 많이 사용해서 Mysql 계념이나 용어는 잘 모르지만 필요한 쿼리문 작성과 테이블 구성 정도는 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앱을 만들고 있습니다.

개발자

#학원추천

#부트캠프

#국비지원

답변 1

댓글 0

조회 235

2년 전 · 포크코딩 님의 새로운 답변

기획자와 (UX/UI)프로덕트 디자이너의 차이를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기획자와 uxui,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롤이 겹치는 경우가 많은데,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이야기를 듣고 싶어서 올려봅니다.

개발자

#기획자

#디자이너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253

2년 전 · 따뜻하게 님의 질문

UX/UI Writer 프로세스를 새로 만들려고 합니다

기존에는 ux/ui 에 대해서 개발자가 알아서 하는 방식이었는데요. 문장 톤이 통일되지 않는 것이 프로덕트의 품질을 떨어뜨린다고 생각이 되어 UX/UI Writing을 어떻게 관리해야할지 막막합니다. 이론적이 내용들은 이해는 되지만, 어떻게 프로세스를 만들어야 할지까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당장은 이를 위해 채용을 할 수는 없기 때문에 누군가 이걸 해야되는데, 없던 단계를 새로 만드는 입장에서 조언을 해주실만한 것이 있다면 무엇이든 얘기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ux라이터

#ux/ui

#글쓰기

#서비스글쓰기

답변 0

댓글 0

조회 39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게임 디자인으로 취업하고 싶은데요

게임 UX/UI디자인, 이펙트/FX디자인, 3D모델링을 위주로 정했거든요 취업하고 싶습니다 포트폴리오, 팀프로젝트는 어떻게 준비하는지, 소프트웨어는 뭘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개발자

#디자인

#게임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151

2년 전 · 이영준 님의 새로운 답변

프론트엔드 개발자의 동기부여는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2년차 프론트엔드 개발자입니다. 현재 이커머스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일을 하다보니 정말 제 일이 가치가 있는 일인지 잘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서비스로 임팩트를 창출하는 건 기획자가 ,사용자의 편의성은 UX/UI디자이너가, 성능 향상은 백엔드 개발자가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가는 것 같은데 그 사이에서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서 주도적 역할은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프론트 개발자도 성능향상에 기여할 수 있지만, 솔직하게 저는 이제는 인터넷 속도가 너무나 빠르고 프레임워크에서 성능향상을 충분히 잘 해주고 있어서 성능에 불편함을 별로 느끼지 못해서 동기부여가 잘 되지 않습니다. 기획과 디자인을 받아서 수동적인 일만 하는 것 같네요. 물론 그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의견을 내지만요. 선배 프론트엔드 개발자 분들은 어떻게 스스로 동기부여를 하고 계신지, 이런 고민의 과정을 지나서 어떤 답을 내리셨는지 궁금합니다.

개발자

#프론트엔드

답변 3

댓글 0

추천해요 50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2,165

일 년 전 · 이게왜 님의 답변 업데이트

코딩을 하지 않는 회사에 개발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부트캠프 비전공자 신입 개발자입니다. 현재 수습기간으로 회사를 다니고 있습니다. 저는 우선 백엔드, 프론트엔드를 가리지 않습니다. 또한 기술도 가리지 않습니다. 다만 IT 업계에서 레거시를 개선해온 데에는 이유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 편이며, 특히 AOP 등의 개념에 공감을 하고 있습니다. 자동화 할 수 있는 것은 자동화 하고 개발자는 코드의 고도화 또는 성능 개선에 힘써야 한다고 생각하며, 동시에 "개발자라면 스스로를 코딩하는 사람으로 정의하지 않아야 한다"는 말에도 깊은 공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15인 미만의 인원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 중 절반 이상이 임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간 관리자 직책은 없습니다. 다양한 서비스를 동시에 운영하고 있는데, 각 서비스의 언어와 기술 스택이 모두 다르고, 내부에 각 서비스의 기술 스택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 사람이 없습니다. 저는 JPA를 배웠는데 해당 기술을 쓰는 서비스는 없습니다. 모두 SI에 개발을 의뢰했다가 내부 개발자의 필요성을 느낀 후 내부로 끌고 오는 중입니다. 서비스 중에는 레거시한 시스템으로 구성된 것도 있습니다. 프론트와 백엔드의 영역이 나뉘지 않고, 형상관리나 버전관리가 없으며, 옛날 방식의 CMS를 그대로 쓰는 것도 있습니다. 문제는 내부에 개발을 경험했다 하시는 임원 분들이 개발에 손을 놓은지 너무 오래되셨는지 "프론트엔드=퍼블리셔, 백엔드=기능개발"로 생각하고 계신다는 것입니다. 서비스 중 하나는 형상관리와 버전관리 전략을 신입 개발자들끼리 도입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CI/CD, 기초적인 개발 환경 가이드 등(기술 스택이나 버전, env예시) 해결해야 할 부분이 많고, 그 누구도 이것을 교육하거나 키워드를 주는 것 조차 해줄 수 있는 사람이 없습니다. 오로지 비전공자 신입 몇 명 뿐입니다. 그렇기에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를 나눠서 채용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개발 측면에서 두 포지션을 구분하지 않고 잡히는 대로 일을 주고 있으며, "개발은 단순하게 동작만 되면 된다. 레거시한 기술을 바꾸고 싶거나 고도화 시키고 싶으면 나를 설득시켜라"는 말을 하기도 합니다. 프론트엔드에게 UX/UI 등의 작업을 맡기며(내부에 디자이너가 있습니다.) 또한 개발자는 기획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는 이유로 기획을 함께 해야 한다고 사업화 아이디어 강요하고, SI식의 산출물을 요구합니다. 그러나 산출물에 대한 가이드는 없고 키워드만 던져주며 서칭을 통해 어떻게든 만들어가면 원하는 방향이 아니라며 이 시간 동안 이걸 한거냐는 지적을 합니다. 가이드를 요구하면 "틀을 주면 거기에 갇힌다는 이유"로 직접적인 가이드를 주지 않습니다. 회사에선 신입에게 이런 경험을 제공하는 회사는 없으며 그렇기에 고마워 해야 한다는 말을 합니다. 프론트엔드는 퍼블리셔와 구분점이 없기에 밥그릇 뺏기기 싫다면 기획과 UX/UI를 이해해야 하고, DB도 볼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기획을 모르는 개발자는 성공할 수 없으며 인정하지 않는다고도 말합니다. 물론 이런 말이 전부 틀렸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저는 걱정이 됩니다. 하나의 언어도 제대로 구사하지 못하는 제가 최소 3개 이상의 다른 언어와 기술 스택으로 이루어진 여러 서비스를 동시에 다루는 것이 맞는건지, 환경 설정을 하기 위한 기본적인 정보(프레임워크 버전)도 알려주지 못하는 회사에서 혼자서 광범위한 정보를 찾으며 개발을 하려는게 자의식 과잉은 아닌지, 한 번도 사용해본적 없는 프레임워크를 다루기에 앞서 업무를 하기 위한 최소한의 공부도 "회사는 학교가 아니기에" 업무시간 외에 하는 것이 일반적인 개발 회사의 방향이 맞는지 아직은 모르겠습니다. chatGPT가 나왔기에, IDE가 나왔기에 요즘의 개발은 너무 쉬워졌다고. 그렇기에 개발자는 기획을 해야 한다는 말이나, 개발은 계속해서 외주 업체에 맡길거니까 너희의 역할은 외주 개발사를 컨트롤 하고 개발 기획을 정의하는 것이라는 말을 들을 때마다 저는 회사가 저에게 요구하는 역할이 개발자인지 PM인지 헷갈리곤 합니다. 비전공자인 제가 코딩을 시작한 이유는 코딩이 '객관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컴퓨터는 거짓말을 하지 않기 때문에, 저는 코딩에 정답은 없을지라도 답은 명확하게 있다는 말에 공감합니다. 그런데 회사가 저에게 요구하는 일은 어떤 의미에선 너무 주관적인 영역으로 느껴집니다. 피드백을 받고 개선해도, 다른 사람에겐 개선하기 전 상황이 더 낫다는 말을 듣거나, 아예 개선 방향을 다르게 말하기도 합니다. 어떻게 하든 결국 빈틈은 보이고, 꼬투리는 잡힙니다. 단어 하나를 집요하게 물고 늘어지며, "이 단어는 보통 이런 의미로 쓴다.", "너는 지금 단어를 잘못 썼다.", "이 단어 함부로 쓰지마라" 등의 말을 하고 그 다음번엔 사용하지 말라하던 그 단어를 언급하며 "이때는 이 단어를 써야 하는 것 아니냐."는 말을 하곤 합니다. 사실 저는 개발을 배우기 전에 디자인과 기획, 컨텐츠 생산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관련 공부나 일을 하기도 했습니다. 해당 경험에서 주관적인 업무에 회의감을 느껴 개발을 시작했습니다. 처음엔 회사의 방향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제가 해왔던 공부가 쓸모 없는게 아니었다는 위로를 해주는 것 같기도 했습니다. '서비스를 이해하는 개발자', '기획자와 소통하는 개발자'라는 타이틀을 꿈꾸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저는 주객전도를 원하지는 않습니다. 그래도 저는 개발자로서 스스로를 코딩하는 사람으로 정의하지 않는다고 해도 스스로 코딩을 못하는 사람이 되고 싶지는 않습니다. 저는 코딩하는 일이 즐겁고, 목표를 이루었을 때 느끼는 성취감을 계속해서 느끼고 싶습니다. 제게 이 회사가 너무 과분한 걸까요? 제 역량에는 회사의 요구가 그렇게 느껴집니다. 이대로는 개발자로 성장하지 못할 것 같고, 심지어는 개발이나 기획이 싫어질 것 같기도 합니다. 인격적으로 좋아 보여서 입사의 이유가 되었던 임원분도 더 이상 좋은 분으로 느껴지지 않습니다. 그분의 말도 이제는 가스라이팅으로 여겨집니다. 제게 이 회사가 너무 과분한 걸까요? 저는 내일부터 업무시간 외에 야근을 하지 않으려 합니다. 1시간, 가끔은 2시간씩 일찍 가던 회사에서 더는 업무를 일찍 시작하지는 않으려 합니다. 대신에 그때 개인 공부를 하고자 합니다. 회사에서 배울 수 없고, 회사에서 사용할 수도 없는 것들에 대한 공부를 하고자 합니다. 비슷한 상황을 겪어보신 분이 계실까요? 방향을 어떻게 잡으셨는지 궁금합니다.

개발자

#퇴사

#신입고민

#방향성

#사수

#비전공자

답변 5

댓글 0

추천해요 58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5,676

2년 전 · 윤윤 님의 새로운 답변

디자인전공 5년차 개발자. 서비스기획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기업 에서 서비스 운영 개발 직무를 담당하고 있는 5년차 직장인 입니다. 저는 대학에서 디자인을 전공했고, (편집 디자인과 ux/ui 수업을 가장 좋아했습니다.) 학부시절에 하나의 프로덕트를 완성해보자는 마음으로 개발에 도전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너무 어려워 배우고 배우다 보니.. 현재 5년차 서비스 운영개발직무를 맡게 되었네요.. 디자인과 개발은 전혀 다른 분야이다 보니 이해하고, 한사람의 몫을 해내는데 꽤 오랜 시간이 지났고, 이제는 비전공이지만 개발업무가 어떤 것인지 조금은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마음 한구석에서는 '내가 개발을 하지 않고 끝까지 ux/ui를 했다면 어땠을까' 같은 생각이 들기도 하고.. 서비스 운영/개발 업무를 하며, 서비스에 이상이 있을때 중간자(서비스 문제 파악, 사용자 문의 파악, 데이터 적인 접근법에서의 서비스 오류 파악, 해결 및 복구 대책 등.. )의 역할을 잘 하지 못해 사용자와 개발자 사이 서비스 운영에 차질이 생기는 것을 자주 목격하게 되었습니다. 실제 서비스를 사용하는 현업과 해당 요청사항을 이해하여 개발자에게 잘 전달하여 서비스를 운영하고, 문제가 있으면 해당문제를 잘 파악하여 서비스를 재 기획하는 것도 서비스 기획자의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것도 서비스 기획자의 역할이 맞을까요? 서비스 기획을 한번 배워보고 싶은데 어떻게 접근하면 좋을까요? 현직자분들의 의견이 필요합니다 ㅠㅠ

개발자

#서비스기획

#직무전환

#pm

#기획자

#서비스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221

2년 전 · 삭제된 사용자 님의 새로운 답변

현업 기획자분들은 어떤 툴을 주로 쓰시나요??

안녕하세요 중고신입 기획자입니다 현제 회사에서 다루는 툴은 ppt와 draw io 입니다 현업 기획자 혹은 ux/ui디자이너 분들이 보통 많이 쓰는 디자인툴은 뭐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선배님들의 댓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개발자

답변 5

댓글 0

추천해요 2

조회 1,014

일 년 전 · 산시 님의 답변 업데이트

UX/UI 디자인을 위한 인간 심리 공부

취준이 거의 1년 5개월쯤이 된 지금, 스타트업에 일할 기회가 있었는데 디자인 결과를 보여줬을 때 결국 왜 이런 디자인을 했는지 설명을 할 수 있어야 함을 경험 한 적이 있습니다. 그것이 인간 심리 요소? 들을 바탕으로 하여 디자인이 설명 되어지는 것이 맞는 건가요?! 심미적인 디자인도 중요하지만 발견 가능성과 이해가 바탕이 된 디자인이 좋은 디자인이 맞는 거죠?! UI적인 면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다가 최근 UX의 중요성을 깊이 깨닳았어요....😭 다양한 생각들이 궁금한 취준생입니댜,,🥹

디자이너

답변 4

댓글 3

추천해요 15

조회 782

3년 전 · Ree.H 님의 새로운 댓글

웹기획과 서비스기획의 차이가 뭐라고 생각하세요?

웹기획일을 3년하고 서비스기획자로 이직하면서 확실히 웹기획과 서비스기획은 같으면서 많이 다르다라는걸 느낍니다. 제가 요즘 경험하기엔.. 예를들어, UX/UI를 대할때 웹기획은 UI를 더 크게, 서비스기획은 UX를 더 크게 생각하는 느낌입니다. 여러분들은 두개를 비교할때 차이점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PM/PO/기획자

답변 1

댓글 1

추천해요 7

조회 649

일 년 전 · 이슬기 님의 새로운 답변

UX/UI 직무 공부

취업을 준비하며 기업과 직무 관련 공부가 정말 중요함을 느낍니다. 실무자 분들은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하루에 혹은 일주일에 얼마나 어떻게 스터디를 하시는 지 궁금합니다! 하루에 아티클 세개 읽기 이런식으로 따로 공부을 하시는 걸까요? 저는 주로 프로젝트 진행할때만 해당 서비스에 관련 있는 자료들을 많이 보게되어서 평소에도 스터디 습관을 어떻게 기르면 좋을지 고민이 됩니다!!

디자이너

답변 3

댓글 0

추천해요 7

조회 375

3년 전 · Yun 님의 질문

ㅠㅠㅠZeplin오류 살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현업 UX/UI디자이너입니다. 현재 Sketch에서 Zeplin으로 파일을 export할 시, 사내 디자인 라이브러리 컴포넌트에 오버라이드 해놓은 모든 설정이 깨진 채로 export됩니다ㅠㅜㅜ 비슷한 오류 겪고 계신분이나 해결책 아시는 분 있을까요... 살려주세요..............

디자이너

답변 0

댓글 0

추천해요 2

조회 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