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m

질문 1
해시태그 없이 키워드만 일치하는 질문은 개수에 포함되지 않아요.

일 년 전 · 강병진 님의 새로운 답변

S3와 Cloudfront로 웹사이트 배포 후 ACM으로 커스텀 도메인 설정 과정에서 레코드 생성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Gatsby로 만든 개인 블로그를 CloundFront 로 배포했습니다. 아시겠지만 CloundFront 로 배포하면 도메인주소가 지저분하잖아요? 못생기고... 그래서 AWS Certificate manager를 이용해 커스텀 도메인과 https를 적용하려는데 문제가 생겼습니다. us-east-1 리전(버지니아 북부)로 설정하고 인증서 요청을 진행했습니다. 근데 인증서 요청해서 만든 CNAME이 계속 검증 대기중으로 뜹니다... 세부정도 갱신자격도 부적격으로 뜨구요ㅠㅠ Route 53 레코드 생성 버튼을 눌러봐도 레코드생성 버튼이 비활성화 되어있구요... 원인이 뭔지 도무지 모르겠네요ㅠㅠ 도와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aws

#acm

#cicd

#domain

답변 1

댓글 0

조회 108

일 년 전 · 백승훈 님의 댓글 업데이트

Nginx, Express 연결 후 프론트에서 이미지 파일 전송시 408 Error

안녕하세요. 혼자 해보던 도중 도저히 해결이 되지 않아 문의드립니다. - 서버 설계 - 현재 저는 Express앱을 AWS EC2 인스턴스에 NGINX를 설치한 후 proxy_pass에 express앱이 구동중인 port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ALB를 통해 ACM을 연동하여 HTTPS 프로토콜이 사용가능하게 설정까지 하였습니다. 이미지 파일업로드는 multer-s3를 이용해 s3버킷과 연결하여 업로드 되는 방식입니다. - 문제상황 - 로그인과 기본적인 CRUD는 문제없이 되는데, 프론트에서 이미지 파일(multipart/form-data)을 서버로 전송하면 504 오류가 출력됩니다. 1. nginx의 access.log에는 해당 uri의 상태코드가 408이라 출력됩니다. 2. nginx의 error.log에는 readv() failed (104: Connection reset by peer) while reading upstream가 출력됩니다. 3. 개발자도구의 console창에 'server의 이미지 업로드 uri' from origin '프론트 도메인'이 has been blocked by CORS policy: No 'Access-Control-Allow-Origin' header is present on the requested resource. 이라 출력됩니다. 위 오류를 해결해보기 위해 시도해본 것은 아래와 같습니다 1. NGINX의 proxy_connect_timeout, proxy_send_timeout, proxy_read_timeout, send_timeout을 600으로 설정, client_max_body_size를 500M으로 설정 2. ALB의 유휴제한시간 600 설정 3. Express 앱에 app.set('trust proxy', true); 추가 4. Express-session에 app.use(session({proxy:true})) 추가 5. body-parser에 app.use(bodyParser.json({limit: '1000mb'})); 추가 및 app.use(bodyParser.urlencoded({limit: '1000mb', extended: true})); 추가 6. 업로드되는 uri의 미들웨어에 (req, res, next) => { req.setTimeout(1000000); next(); } 추가 7. upload.single()미들웨어를 주석처리 후 req.file 출력 시도 아직도 해결을 하지 못하였습니다 ㅜㅜ 연휴임에도 도와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aws

#alb

#nginx

#express

#ec2

답변 2

댓글 4

조회 318

일 년 전 · 장훈 님의 새로운 댓글

AWS 로드밸런서 504 오류

안녕하세요. 혼자 해보다가 도저히 해결이 되지않아 도움을 구하고자 글을 작성합니다. Express로 구축한 서버를 배포하기위해 AWS EC2를 이용해 ubuntu 인스턴스를 생성한 후 Nginx를 인스턴스 내에 설치하고 Express를 pm2로 구동한 후 Nginx와 proxy를 연결하여 정상적으로 작동됨을 확인했습니다. (Curl 확인 및 퍼블릭 ip주소 접근) 그런데 ACM을 통해 발급받은 SSL인증서를 연동하여 HTTPS연결이 가능하게하려고 로드밸런서를 생성하였는데 cdn접속시 504 오류가 나옵니다. 또, 대상그룹도 아래 사진과 같이 Unhealthy, Request timed out이라 나옵니다 (인스턴스 퍼블릭 IP주소는 정상적으로 접근이 가능함) 어떻게해야 ssl인증서를 연동하여 https연결이 가능하게 할까요 ㅜㅜ 제발 살려주세요 12시간 넘게 삽질중입니다.ㅑ

개발자

#ec2

#express

#nginx

#https

#ubuntu

답변 3

댓글 13

조회 820

2년 전 · 손정현 님의 답변 업데이트

cloudflare vs aws

안녕하세요 최근 서버 아키텍처 및 보안에 관심이 생겨 대표적인 서비스인 aws의 다양한 기능들을 맛보기로 구경하고 공부해보고 있습니다. 역시 ec2 같은 기본적인 서비스 외에도 cloudfront, WAF, ACM, event bridge 등 이미 수많은 서비스들이 aws에 모두 존재하더군요.. 그러나 아직 제대로 사용해본적이 없어 있다는 것만 알고 구체적인 비용 정책이나 자세한 사용법은 모르고 넘어간 상태입니다. aws에 다양한 기능들이 있으며 배포 시에 필연적으로 aws를 마주하게 되지만.. 아직 취업을 하지 못하고 사이드 프로젝트만 하는 저는 비용적인 면이 크게 부담이 되었는데요.. 여기서 경제성과 편리성을 고려했을 때 cloudflare의 서비스들이 굉장히 매력적으로 느껴졌습니다. 보안 전문가가 아닌 취준 백엔드 개발자인 제가 몰랐던 보안취약점까지 모두 cloudflare가 관리하며 프리티어에서는 미국 리전이긴 하지만 cdn 서비스까지, 그리고 이 모든 점을 무료로 제공해준다는 점이 말도 안된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한, aws s3 대신 cloudflare r2를 사용하면 미친 비용절감이 된다는 영상도 보았는데 실무에서는 다들 aws만 사용하시는 것 같더군요.. (cloudfront+WAF+ACM 등) - s3 - ec2 와 같은 아키텍처를 (cloudflare service) - r2 - ec2로 변경하면 더 나은 보안 및 편리성 그리고 경제성을 챙길 수 있을 것 같은데 이렇게 두지 않는 이유가 있을까요?? 클라우드 서비스의 요금제도 aws와 비교했을때 제공하는 서비스에 비해 저렴한 편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되네요.. 아직 잘 모르는 지망생이라 다양한 점들을 고려하지는 못했지만 aws를 사용하는 데는 이유가 있을거라고 생각이 됩니다! 의견 한번씩만 부탁드립니다! +) cdn 서비스는 한국 리전을 사용하려면 엔터프라이즈 요금제를 써야하는데 이게 엄청 비싸다는군요.. 그렇다면 해외 접속도 빈번한 글로벌 서비스라고 고려한다면 위 아키텍처가 이점을 발휘할 수 있을까요?

개발자

#cloudfront

#waf

#aws

#s3

#아키텍처

답변 1

댓글 1

조회 438

2년 전 · 달레 님의 답변 업데이트

하노이 탑 이동 순서 관련 알고리즘 문제 질문

안녕하세요, 백준 풀다가 질문이 생겨서 여쭤봅니다 ㅠㅠ https://www.acmicpc.net/problem/11729 이 질문인데 이거 N이랑 N-1 관계만 가지고 푸는 게 맞나요? 재귀가 풀리는 과정을 예측하는 게 아니죠?

개발자

#하노이탑

#알고리즘

#algorithm

답변 1

댓글 0

조회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