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 전 · 문종호 님의 새로운 답변
4년차입니다. 이런 경우 이직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만 3년 11개월 입니다. 입사초기에는 java/spring/vue.js 로 웹 개발 진행하다가 이후로 python, django, fast api 등 프로젝트 진행했습니다. 프레임워크도 그저 기본적인 부분만 한 것 같습니다. 간단한 관리자 정도? 근데 회사가 경영악화로 곧 망할 것 같아요. 어쩔 수 없이, 이직 준비하려고 보니 해당 언어/프레임워크로 3년 이상 요건으로 걸려있네요. 이것저것 해본 것도 경험이라 할 순 있겠지만 지금 같은 시장에선 경쟁력이 없는 것 같습니다. 분명 1년 정도 까지는 물경력은 되지 말자고 자기계발하고 그런 생각이었는데 현실과 현재에 안주하고 있던 저를 보니 후회 되네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선배님들.
개발자
#이직
#물경력?
#경험
#여러가지
#깊이
답변 1
댓글 0
조회 138
2달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Django serializer 현업에서는 어떻게 설계를 어떻게 하시나요?
안녕하세요 RN 개발을 진행하면서 백엔드로 Django를 사용하고 있고, Django를 공부한지 몇개월 되지 않았습니다. 개발을 진행하면서 아래의 문제가 생겼는데, 혹시 애초에 serializer와 model을 잘못 설계한 것은 아닌지, 또한 현업자 분들은 어떻게 시리얼라이저를 사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문제 설명] 프로젝트의 모델에는 하위 게시글 모델이 여러 개 올 수 있습니다. 모델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Project { id: number, posts: Post[], } Post { id: number, project: number, <- 무한 참조를 방지하기 위해 id } 앱 개발을 하다가 Post 데이터에서 Project까지 UI를 그려야하는 상황에서 또 프로젝트를 불러오는 API를 사용하니까 (프로젝트 id에서 프로젝트 오브젝트 불러오기, fetchProjectAPI). UI 지연이 되어서 프로젝트 오브젝트를 불러오고 싶은데, 프로젝트 시리얼라이저 내에서 또 포스트 오브젝트가 나오고 거에서 또 프로젝트가 나오는 문제가 생기더라구요. 이와 같은 경우에는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까요? posts를 제외한 ProjectSummarySerializer를 새로 생성하면 되겠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제외하고 싶은 필드가 생길때마다 시리얼라이저를 만들어야하니깐요). 혹시 애초에 모델을 잘못 설계한걸까요? 또한 애초에 오브젝트로 반환하는 것을 잘 안하나요? (DB 와 송수신 로드를 줄이기 위해서 아이디로만 반환한다던지)
개발자
#django
#serializer
#model
답변 0
댓글 0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59
3달 전 · 포크코딩 님의 새로운 답변
CS 전공 4학년 진로고민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생성형 비전 ai를 연구 중인 전공자 4학년 학부 인턴입니다. 요즘 제가 생각보다 연구에 대한 끈기가 부족하다는 것을 깨달아서 (빨리 성과가 나오지 않으면 답답하고 몇개월을 갈아넣은 연구 성과가 학문/이론에서 그치는 것도 답답하더라구요) 랩실을 나오고 취준을 해볼까 고민 중입니다. 연구 자체가 엄청 거부감 들고 싫은건 아니지만.. 결국은 연구를 해도 나중에 리서처나 개발 직군으로 취업을 해야하는데 회사에서 리서치 직군을 애초에 많이 뽑지는 않는데 저보다 탐구/실험하는 과정을 정말 잘 하는 주변 사람들을 보며 제가 충분히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지 잘 모르겠더라구요... 지금 fe be ai 다 한 번씩 건들여봤는데 이 중에서 취업할만큼 전문성을 가진 분야는 없는거 같아요. 그래서 빠르게 결단을 내리고 랩실을 나오고 취준을 할지, 랩실에 계속 있을지 고민 중인데 취준을 한다면 fe/be/데이터분석+데이터 엔지니어 중에 고민 중에 있습니다. (ai 엔지니어도 고려 중인데 학위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긴 하지만석사를 따는게 유리하다고 하네요. 그리고 MLOps 분야는 신입을 잘 안 뽑는다고 알고 있어서..) 결정을 내린 다음 대학원을 안 가고 취준을 한다면 1~1.5년 정도 한 분야에 더 집중할 생각입니다. 그리고 지금은 학사/석사 취업 모두 어느 분야를 취업하든 다 경쟁이 매우 치열한거 같더라구요... 만약 fe를 하게 된다면 제가 시각적인 것을 좋아해서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쪽으로 커리어를 쌓고 싶다는 생각이 있긴한데, 이게 현실적으로 가능한 것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FE는 제가 얕게나마 react, react native를 파본 경험이 있는데 화면에 보여지는게 즐겁긴 하지만 공들여서 만든걸 많이 수정할 때 좀 마음이 아팠던 경험이... 그리고 쏟아지는 기술들을 계속 배워야 한다는 것에 없지않아 피로감을 느꼈던거 같습니다. (그런데 이건 IT쪽이면 연구/개발 어느 분야든 똑같이 적용되긴 하는거라...) BE는 제가 django나 flask로 CRUD 위주로만 구현한..야매로밖에 경험을 안 해봤고 spring은 김영한님 강의 듣다가 중간에 너무 알아야할게 많은거 같아 포기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데이터 분석 + 데이터 엔지니어 같은 경우에는 통계 베이스/데이터 파이프라인 stack 기반이 부족해서 더 공부를 해봐야 할거 같습니다. 관련 공모전 경험도 아직 없고요.. ai 엔지니어 경험으로는 2~3개 정도 프로젝트 형식으로 flask로 ai 모델 서비스에 야매로 연결해본 경험이 전부입니다. (MLOps 역량을 가진 사람을 뽑으려는 추세인거 같은데 kubernetz, docker, 클라우드는 따로 또 공부를 해봐야 합니다) 결국에는 어떤 분야든 다 넘어야 하는 산이 있는 느낌이라 이에 대한 각오는 되어 있는데, 어떤 분야로 더 나아가는게 현명하고 후회없는 선택일지 너무 고민이 됩니다..ㅠㅠㅠ 어떤 직무든 다 힘들고 고된 점들이 있기에 제 성향을 고려하고 각각의 직무의 현실(?)을 보고 제가 이건 정말 오랫동안 하루종일 못 하겠다 싶은 같은 일들을 위주로 가지치기를 하면 좋을거 같다는 조언을 들었습니다. 그래서 각각 직무의 실제 업무 생활이 어떠한지, 그리고 실제 실무에서는 어떤 역량이 중요할지, 어떤 성향을 가진 사람이 어떤 상황을 감내해야 오래 버틸 수 있을거 같은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직간접적으로나마 아시는 각각의 직무에 대한 정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조언해주시면 제 스스로 현명한 선택을 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개발자
#진로
#커리어
#고민
#진로고민
답변 1
댓글 0
조회 154
4달 전 · 박채연 님의 질문
서버 배포 시기 및 협업
안녕하세요, Django와 RN을 이용해서 팀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직 경험이 많이 없는 학생이라 AWS 배포는 처음입니다. (무료 호스팅만 이용해봤습니다) 현재 개발 초기 단계이고, 회원가입 로그인 정도만 API 개발된 상태입니다. 프론트에서 서버를 요청해서 AWS서버를 구축하려 하는데, 1. 지금 이 시기가 AWS 서버 구축을 하는 게 맞는지?(프리 티어여도 개발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서버를 벌써 시작하는 게 맞는 지 궁금합니다) 2. AWS 실제 서버를 구축하지 않고도 프론트와 백엔드의 연결 즉 API요청을 프론트 측에서 할 수 있는지? -> 서치해 본 결과로는 ngrok 등을 이용해서 서버를 구축하지 않고도 프론트가 백엔드의 코드에서 테스트 해볼 수 있다는 것 같은데 이 방법을 더 자주 이용하는 편인지, 다른 방법이 있는지 가 궁금합니다! 프론트도 백엔드의 코드를 받아볼 수는 있으나 RN개발 환경과 백엔드의 코드를 둘 다 띄우기에 컴퓨터 자체가 어렵다고 하여 서버 배포를 고민 중에 있었습니다.. 많이 헤매고 있지만 여기서 많은 도움 받고 있습니다! 경험해보신 분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개발자
#서버
#aws
답변 0
댓글 0
조회 46
4달 전 · 이진호 님의 새로운 댓글
1년차 이직 준비 관련 고민
선배님들 안녕하십니까. 저는 현재 금융관련 스타트업 회사에서 1년 남짓 근무한 병아리 개발자입니다! 현 회사에 백엔드 개발자 타이틀을 달고 들어왔지만 어쩌다 보니 프론트엔드도 다루면서 사실상 풀스택(?) 개발자로서 일하고 있고 여러가지 사정으로 9-10개월정도 후에 이직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현회사 입사후 바쁜 업무핑계로 자기계발에 전혀 쏟지 못했었는데, 두세달 전부터 각오를 다지고 나름의 계획을 짜며 커리어 개발에 노력을 조금씩 해보고 있습니다. 본격적으로 이직을 생각하다보니 입사후 초라해진 이력서와 녹슨 코딩테스트 실력 등등에 마음이 조급하고 혼란스러워 제 상황을 설명드리고 조언을 구하고자 글을 올려봅니다…! 현재 진행중인 저의 노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CKA 공부 사실 회사 들어오기 전까지는 쿠버네티스가 뭔지도 모르는 생초짜 학생이었습니다… 아무래도 회사 규모가 작다보니 버그가 생겼을때 주변의 도움없이 해결해야 하는 경우가 있었고 애플리케이션 코드 밖에서 발생하는 이슈들에 대응하며 무력감을 많이 느껴 운영/인프라쪽 공부를 조금 해보자 란 마음에서 시작한 노력입니다… 주니어 레벨에서 시간투차할 이유가 크게 없다고 조언해주신 분들도 종종 계셨지만…시작한 이상 꾸준히 해서 4월, 늦어도 5월 안에는 자격증 취득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원래도 그렇게 자신있는 종목이 아니었는데 1년동안 많이 까먹어서.. 틈틈히 풀면서 공부중이고 백준 기준 골드 초급문제 까지는 고민 많이 하면 풀 수 있는 수준 정도입니다 그리고 제가 염두에 둔 계획은 크게 다음과 같습니다 1. 새로운 프레임워크 배우기 저희 회사에서 제가 다루고 있는 프로젝트들은 전부 NodeJS 기반 (Next JS, Nest JS) 에서 이루어져 왔습니다. 학교다닐때야 언어라도 이것저것 간단히 다뤄봤지만 사실상 지금 제대로 다룰줄 아는 백엔드 개발 프레임워크는 Nest JS 밖에 없는것 같습니다. 근데 아무래도 한국에서는 Node 개발자의 풀이 그다지 넓지 않다보니 성공적인 이직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익혀볼까 하는 고민이 됩니다. 그래서, 만약 배운다면 어떤 프레임워크를 추천하시는지 궁금합니다. 현재는 Spring + Java, Python + Django 를 후보로 생각중입니다. 조금 부연설명을 하자면 Java는 학교에서 초급레벨 수업들으며 2학기정도만 해봤고 Python 같은경우는 언어 자체는 익숙하긴 하지만 AI, 알고리즘 등 외에 제품 개발에 사용해본 경험은 전무합니다. 또한 저는 현재 병역특례로 근무중인 상황이라 이직을 하더라도 스타트업/중견 업체를 겨냥해야 합니다. 2. 프로젝트 제가 원래도 컴공 전공자가 아니다보니 깃헙/포폴들이 전부 통계나 AI 관련이고 개발 관련해서는 좀 약한편이었습니다. 그런데 인터넷에서 대단하신 분들의 이력서를 구경하다 보니 제 포트폴리오를 조금 보강해야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또 조금 더 욕심을 부리자면 위의 1번 질문에서 조금 더 나아가서 새로 익힌 프레임워크에 대한 숙련도를 증명하는 목적으로 프로젝트를 하나 시작하는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보고 있습니다 쓰고나서보니 상황설명에 하소연만 실컷 하는 글이네요…ㅋㅋ 아무래도 주변에 조언을 구할 분들이 적다보니 이래저래 걱정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제가 계획하고 있는 노력의 방향성이 바람직한지. 좀더 선택과 집중을 해야한다면 어떤 방식이 좋을지, 별도로 지적해주실 내용이 있는지 (ex.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독학하기보다 지금 가지고있는 기술스택으로 더 완성도 높은 프로젝트를 해라). 선배님들의 귀중한 의견 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 두서없는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이직-준비
#프로젝트
#이직
#기술스택-변경
#커리어
답변 1
댓글 1
조회 169
4달 전 · 박채연 님의 새로운 댓글
React Native 프로젝트 백엔드 언어는 어떤 것이 좋을까요?
백엔드 희망하고 있는 대학생입니다. 동기들과 프로젝트를 진행하려는데 프론트 쪽 프레임워크는 React Native로 결정되었고 백엔드 언어를 정하려고 합니다. 대부분 경험이 많이 없어 저희 상황에 적합한 언어를 선택하려고 합니다. 앱을 만들되 추후 AI기능을 도입할 예정이라서, 여러가지 안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ReactNative가 Node.js와 호환이 잘 된다고 알고 있어서, Node.js+python으로 해야할지, 팀원들에게 익숙한 java+python으로 해야할지, python(Django or Flask)만을 이용해서 백엔드 업무를 할 수 있는지 아니면 다른 방식을 추천해주실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대부분 현업에서는 ReactNative로 개발을 할 때 백엔드 언어를 어떻게 설정하는 지도 궁금합니다! 조언, 답변해주시면 모두 감사드립니다!!
개발자
#reactnative
#백엔드
#언어
답변 2
댓글 2
조회 217
7달 전 · 양승조 님의 질문
신입 프로젝트 질문 (아이디어, 팀플...)
백엔드(django) 취업을 준비하려는 사람입니다. 프로젝트에 관해서 몇 가지 질문 드리고 싶어요. 1. 팀플이 필수인가요? 부트캠프에서 팀플을 진행했고 협업 경험을 얻을 수 있었던건 좋았지만 솔직히 코드 퀄리티는 많이 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걸 살려야 할 지 버릴지 고민됩니다. 문제는 이걸 버리면 저에게 팀플 경험이 안 남는다는 것인데 개인 프로젝트로만 포트폴리오를 구성해도 괜찮을까요? 좀 우려되는건 팀플 모집하는 글을 보면 대부분 spring이나 spring boot라서... 2. 프로젝트 아이디어 제가 기존에 진행하던 개인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하면서 재미도 느끼고 나름 새로운 것들도 배우고 있는데 소재가 뻔한 느낌이 강하게 듭니다. 이 프로젝트를 계속 진행할지, 프로젝트를 새로 만들지 고민되네요.
개발자
#백엔드
#django
#팀-프로젝트
#개인-프로젝트
#포트폴리오
답변 0
댓글 0
조회 66
7달 전 · 형준 님의 질문 업데이트
프로젝트 경험이 부족한 4학년 전공자 부트캠프를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경기도권 대학 컴퓨터공학과에 재학중인 4학년 학생입니다. 우선 현재 제 상황을 설명해보겠습니다. 프로젝트는 총 두 번 진행했습니다. 첫 번째 프로젝트는 Django와 chatGPT를 이용한 프로젝트이고 전 이 프로젝트에서 기본적인 API 구현, chatGPT 연동 그리고 rabbitMQ와 celery를 이용하여 chatGPT의 답변을 비동기로 가져오는 기능을 구현했습니다. 두 번째 프로젝트는 Springboot와 Flask와 RVC(음성 변환 AI 오픈소스)를 이용한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SpringBoot는 REST API를 작성하는 서버이고 Flask는 RVC AI 모델 서빙만을 위한 서버입니다. 이 프로젝트에서 SpringBoot REST API 구현, CRUD 구현과 Flask 서버 구현을 맡아서 진행했고 AWS EC2 배포, S3, RDS, DOCKER(Compose), Nginx, Github Action(CI/CD)도 구현했습니다. 올해 여름 방학에 알고리즘 스터디를 통해서 주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에 대해 공부하고 공부한 내용을 블로그에 정리했습니다. 코테 문제는 대략 100문제 조금 안되게 풀었습니다. 대충 실력은 실버 4~2까지는 어찌저찌 풀 수 있는데 실버 1 골드 5는 쉬운 건 풀고 어려운 건 못 푸는 수준입니다. 현재는 CS 스터디 진행중이고 이제 시작하는 단계입니다. 자격증은 정처기 있고 올해 11월 SQLD 응시 예정입니다. 첫 번째 프로젝트는 포폴로 쓰기 애매하고.. 두 번째 프로젝트는 Devops 경험은 충분한 것 같은데 Spring으로 구현한 기능은 아주 기본적인 REST API밖에 없고 Flask(AI)가 메인이다 보니 제대로 된 Spring 프로젝트가 없습니다.그래서 제대로 된 Spring 프로젝트를 만드는 게 우선이라 생각합니다. 그럼 혼자서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거나 부트캠프에 들어가서 기초부터 차근차근 배운 후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방법이 있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입니다. 부트캠프는 거의 대부분이 기초부터 하는 커리큘럼이다 보니 최소 6개월은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고 혼자 하는 건 주변에 물어볼 곳도 없고 좀 막막합니다. 대신 결과물이 조그 부족하더라도 6개월보단 덜 걸릴 것 같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개발자
#부트캠프
#국비
#전공자
#취준
#취업
#전공
답변 0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204
4달 전 · 딸기맛바나나초코우유 님의 새로운 댓글
백엔드 공부 순서 추천해주세요!
안녕하세요! 대학생 1학년입니다. 1학기 전공으로 프론트를 조금 배웠고, 독학으로 백엔드를 조금 공부했습니다. 웹페이지를 구현하여 교내대회에서 조그마한 상도 받은 상태입니다! 경험삼아 나갔던 이번 대회를 기점으로 백엔드 구조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익히게 되었고, 관심도 생겨 개인 플젝도 도전하려고 합니다. 대회 나갈 때는 할 수 있는 언어가 파이썬밖에 없었기에 Django로 구현했지만, 막상 제대로 플젝을 시작하려고 하니 얕게 공부했던 Django를 더 깊게 공부해야 할지, Java 위주로 공부해야 할지 고민이 됩니다. 제가 듣기론 파이썬은 실무에 많이 쓰지 않는다고 들어서요. 아직 고민이 되어 무슨 웹 프레임워크를 사용할지도 정하지 못한 상태인데, 어떤 공부를 하는 게 더 좋을까요? 아니면 django와 JAVA 둘 다 집중적으로 공부하지 말고 여러 웹 프레임워크를 얕고 넓게 경험해보는 것이 좋을까요?
투표
개발자
#대학생
#백엔드
답변 1
댓글 1
추천해요 2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488
8달 전 · 익명 님의 질문
[사이드 프로젝트] 패션 이커머스 플랫폼 '푸츠(PUTS)' 앱 개발팀 모집
프로젝트 소개: ‘푸츠(PUTS)_Pick Up The Style!’서비스는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를 중심으로 BM특허까지 보유한 혁신적인 패션 커머스 플랫폼서비스 입니다. 데모버전까지 외주개발을 통해 개발이 완료되었지만 현시점에서 리뉴얼하여 새롭게 런칭버전을 개발하고자 역량있는 팀원을 모집합니다. <참고> 본 서비스의 시장성은 2024년 약 19조 5천억원(캐주얼) 정도의 시장성을 예상하고 있으며 연간 약 3.5%씩 지속적으로 성장 중에 있습니다. 3-5년이내 시장의 10%이상 점유를 목표하고 있으며 시장을 장악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과 마케팅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참조: https://global.fashionseoul.com/2023-11-10/Korean-Fashion-Market-Size-Anticipated-Highest-Growth-Ever) 우리는 패션과 기술을 접목해 사용자와 소비자에게 최상의 쇼핑 경험과 정보 공유, 소득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패션산업의 큰 파도를 함께 일으킬 분들을 모집합니다. 사이드 프로젝트 형태로 진행되며, 유연한 근무 환경에서 협업을 지향합니다. 3-5년이내 엑싯을 목표로 진행됨으로 임금지급 방식이 아닌 지분분배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프로젝트 완료시 파트별 기여도에 따라 지분설정이 되며 관련 내용은 프로젝트 진행 전 협의를 통해 산정하여 계약진행 예정.(급여를 제공 받고자 하시는 분은 정중히 사양합니다.) 모집 직군: 1. 프론트엔드 개발자 (1~2명) o 주요 업무: 모바일 앱 UI/UX 구현, 웹 랜딩페이지, 사용자 인터페이스, 어드민 프론트엔드 개발 o 기술 스택: React Native 또는 Flutter, JavaScript/TypeScript, HTML/CSS o 우대 사항: 모바일 퍼포먼스 최적화 경험, 패션 커머스 개발 경험 2. 백엔드 개발자 (1~2명) o 주요 업무: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 설계, API 개발, 어드민 백엔드 개발 o 기술 스택: Node.js, Django, AWS, PostgreSQL, RESTful API o 우대 사항: 대용량 트래픽 처리 경험, 보안 및 결제 시스템 개발, 이커머스 어드민개발 경험, 포인트관리 및 쿠폰설정 관리 등 3. UI/UX 디자이너 (1명) / 대표자와 함께 진행 또는 대표자가 진행 o 주요 업무: 모바일 앱 디자인, 사용자 경험 설계 o 필수 스킬: Figma 또는 Photoshop, Illustrator o 우대 사항: 패션 브랜드 디자인 경험, 사용성 테스트 및 피드백 반영 경험 근무 형태: • 프로젝트 기반 협업 (파트타임 가능) • 원격 근무 가능 (주 1회 온라인 미팅) • 유연한 일정과 주도적인 업무 환경 우대 사항: • 사이드 프로젝트 경험 • 패션, 커머스에 대한 관심과 열정 • 스타트업 문화에 익숙한 분 • 책임감 강하신 분 지원 방법: • 이력서와 포트폴리오를 [dcode00@naver.com]로 제출 • 지원 시 사이드 프로젝트 경험 및 참여 가능 시간을 명시해 주세요. 문의: • 이메일: [dcode00@naver.com] • 카카오톡/오픈채팅방: [https://open.kakao.com/o/gi5ixgVe] • 회사주소: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한양대학로55 제2과학기술관 지하2층 B210호 (한양대학교 에리카캠퍼스 소재) 지원 마감일: [채용 완료시까지] 로켓펀치 참여링크 https://www.rocketpunch.com/jobs/139647 문의: • 이메일: [dcode00@naver.com] • 카카오톡/오픈채팅방: [https://open.kakao.com/o/gi5ixgVe]
개발자
#사이드플젝
#사이드프로젝트
#팀빌딩
답변 0
댓글 0
추천해요 1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178
10달 전 · 망망이 님의 새로운 댓글
제가 원하는 직무와 다른 쪽 공부한게 취업에 도움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현재 3학년 2학기을 마치고 휴학한 컴휴터공학과 학생입니다. 저는 원래 백엔드 엔지니어를 꿈꾸며 여러 사이드 프로젝트(기술 스택: node.js,spring,django)를 해보았고 앱개발(flutter)로 4개월 인턴도 했었습니다 현재 졸업까지 1년 반정도 남았는데요, 그 긴 시간동안 또 대학생들과 비슷한 프로젝트를 하는 것 보다는 ai,data, cloud 처럼 다른 분야를 공부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현재는 딥러닝과 데이터를 공부해보고 있는데, 제가 백엔드 엔지니어로 취업을 할때 이런 스펙이(교육 과정 이수 및 간단한 프로젝트) 의미 있을까요?
개발자
#스펙
#취업고민
답변 1
댓글 3
조회 266
일 년 전 · 김용현 님의 새로운 댓글
애매한 커리어 이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고민상담부탁드립니다..)
전문대 졸업 후 잡코리아에서 면접 제의 온 회사에 입사했습니다. 1. 전자제품을 다루는 곳이였습니다, 개발 회사라고 해서 들어갔는데 개발은 가끔 통신 장애 나 화면 표시를 바꾸는 정도의 수정이 있을때만 참여하고 대부분 생산제품 검사, 현장 출장이였습니다. 그래서 1년도 못다니고 퇴사를 하고, 2. 그뒤 2달뒤쯤 MES 회사를 다니게 되었습니다. C#을 주로 다루고 DB를 다루고 가끔 비베도 다루는 회사 였습니다. 초짜라 다름 없는 실력이기 때문에 실력도 많이 부족했는데 회사에서 권고사직을 제안했습니다.. 회사에 크게 누를 끼치거나 그런 부분은 없었는데 전 이런 취급 받으면서 일하기 싫고 스펙을 키워야 된다는 생각을 갖게 됩니다. 3. 안드로이드 자바 개발자 과정을 다니게 됩니다. 그곳에서 C, Android Java , php 기초 등을 다시 배우게 됩니다. 4. 코딩교육콘텐츠개발 회사에 입사하게 됩니다. 적은 월급이였지만 꾸준히 연봉인상을 해주었지만 제 개발 스텍 성장은 멈추게 되었고 초중위주로 하다보니 발전성도 떨어지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결정적인 부분은 코로나 시기가 문제였는지 연봉을 최저시급올라간만큼 정도만 올려주었습니다. (한달에 4만원 더 받는 수준?) 5. 그 후 퇴사후 사무직에서 2년가까이 일을 했습니다. 그러던 와중 IT붐(AI 신드롬)이 다시 일어났고, 저는 IT 업종에 다시 뛰어들기로 결정합니다. 그리고 그러기 위해 제 스텍도 쌓고 몸풀기겸 국비학원을 다니게 됩니다. Python 웹 개발. Android 자바 기반으로 연계해서 서비스 개발 , 오픈 라이브러리 사용(쳇 지피티, 구글 오픈라이브러리 등등) 그리고 24년2월말에 수료하게 됩니다. 6. 현재 입사지원서는 80개 가량 (python 인공지능, 웹개발, 소프트웨어 개발) 등 다양한 회사에 골고루 지원했습니다. 서류통과는 6번정도 있었고, 2 군대는 근무조건이 너무 좋지 않아 면접 포기했고 3번은 면접에서 광탈했고.. 현재까지 구직활동 중 이며, 일경험도 신청했는데 서류도 떨어졌는지 연락이 없습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스텍이 C# - wpf,winform 구조 사용 Android (Java) - 코틀린은 다루어보진 않은 상태입니다. Mysql, 오라클 Python은 Flask를 다루어보았습니다. -- 취업공고를 보니 대부분은 자바 Spring 이고 Python은 Node 아니면 Django를 많이 사용하는 것 같은데, 그 스텍에 대해 다시 공부하고 포폴이라도 만들어서 취업하는게 맞는거지.. 다른 일이라도 하면서 틈틈이 집에서 방통대 또는 사이버대학교를 다니며 4년 학위를 맞추고, 코딩 레드오션이 끝나길 기다리는게 맞는거지.. 정말 고민이 많습니다. 어떤것이 현명한 선택일까요..
개발자
#이직
#구직준비
#백수
#고민상담
답변 1
댓글 1
조회 223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arrayfield 와 many=True
django에서 postresql 을 쓸 때 arrayfield 와 many=True 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각각 어떤 경우에 쓰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arrayfield 는 postgresql의 특징 중 하나라고 생각하는데, 실제로는 many=True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거 같은데 그럼 postgresql은 왜 쓰나요?
개발자
#postgresql
답변 0
댓글 0
조회 23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DB 설계] postreSQL 주소 저장
대학 4학년 재학중이고 현재 스타트업 초기 개발자로 근무를 시작했습니다. 프론트는 flutter, DB는 postresql, 백 프레임워크는 python Django를 이용해 하이브리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장소 table을 만들면서 주소 column을 만들어야 하는데, 서울/부산/울산 등 지역별 필터링이 가능하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1. 단순히 textfield 를 하기엔 필터링마다 모든 row의 주소 column에서 해당 단어들을 찾아야 하는 부담이 있고, arrayfield(char)을 하기엔 프론트에서 받아와서 처리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을 것 같습니다. 2. 프론트에서 주소 입력하는 형태가 아직 정해지지 않았는데, 아마 도로명 주소 검색해서 선택하고 상세주소를 입력하는 방법을 도입할 것 같습니다. 이 기능을 구현해본 적이 없어 어떤 식으로 DB를 설계하고 입력/저장/출력을 관리하면 좋을지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덧붙여서, 혹시 지도 api 등을 연결해서 주소를 등록하게 되더라도 DB 설계에는 변함이 없는게 맞는건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
#postgresql
#db설계
#주소
#지도api
답변 0
댓글 0
조회 73
일 년 전 · 김인후 님의 새로운 답변
넷플릭스같은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문득 가족들끼리 찍은 영상이나 사진들을 볼 수 있는 개인 서비스를 만들어보려 합니다. 항상 Django 프레임워크만을 이용해 구현했는데, 이번에는 영상 스트리밍에 효과적이라는 node.js를 이용해 구축하여 진행해 보려 합니다. 그리고 영상이나 사진들을 S3에 저장해두고 CDN 세팅 후 일부 로딩씩 가져오는 방법으로 구현해 보려 합니다. 위의 내용이 가능한지 검증해보지 못했고 일부 블로그에서 확인한 내용입니다. 알고있는 지식이 전무하여 관련 아키텍처나 어떤 방법으로 구현하면 좋을지 조언을 받아보고 싶습니다.
개발자
#스트리밍
#node.js
#영상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96
일 년 전 · 현호 님의 질문
django-admin에 관한 질문
장고를 다운하여 VScode에 py -m django --version을 쳐서 버전(5.0.4)까지 확인 하였는데 django-admin startproject mysite를 쳤을때 django-admin용어가 스크립트 파일 또는 실행 할 수 있는 프로그램 파일로 인식되지 않는다며 오류가 뜨는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개발자
#django
답변 0
댓글 0
조회 46
일 년 전 · 프레드윰 님의 새로운 답변
리액트 웹 개발자의 커리어 고민
안녕하세요. 3년차 리액트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입니다. RN으로 주 서비스를 개발하는 스타트업에서 RN 개발과 더불어, Next.js 웹개발, Django 개발 등등 RN뿐만 아니라 여러 작업들을 풀스택으로 하는 자리의 이직 제안이 왔습니다. 주니어 개발자로서 풀스택으로 다양하게 경험하면서 성장할 수 있을 것 같아 좋기도 하지만, 혹여나 어느 것 하나 제대로 못 하는 개발자가 되어 커리어에 문제가 생기지는 않을까 걱정이 되기도 합니다. 웹 앱을 다 경험해 본다는 점이 좋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커리어에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 걱정도 되구요.. 이와 관련하여 선배 개발자님들의 생각은 어떠실지 의견을 여쭙고 싶습니다.
개발자
#이직
#풀스택
#커리어
#리액트
#프론트
답변 1
댓글 0
조회 97
일 년 전 · 최광원(light.src) 님의 새로운 답변
쿠버네티스 공부를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올해 졸업 후 운 좋게 스타트업에 AI 풀스텍 개발자로 입사하게 되었습니다. 업무는 초반에는 웹 서비스 개발, 모델 서빙 관련 백업 업무를 맡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제가 아직 쿠버네티스에 관한 결험이 없어서 입사전에 시간도 좀 있고 공부를 좀 하려고 합니다. 스프링, fastapi,django,flask,react.js 등의 웹 프레임워크들과 도커, 도커 스웜은 프로젝트에서 사용 경험이 있고 주로 우분투 리눅스 또는 macos 환경에서 개발을 합니다. 공부하기 좋은 사이트나 책이 있을까요? 추천해주세요!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개발자
#쿠버네티스
#공부고민
답변 1
댓글 0
조회 125
일 년 전 · 강병진 님의 새로운 답변
Django REST framework의 이점
안녕하세요. 취미로 Django를 공부하고 있는 비전공자 입니다. 개인적으로 폴더나 파일을 NAS synology를 통해서 웹서비스를 구축하고 파일을 조회하는 시스템을 제작하려 합니다. 공부를 하다보니 DRF(Django REST Framework)가 눈에 보이더군요. 일반 Django로 구축하는 사이트와 DRF를 활용한 사이트는 각각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개발자
#django
#django-rest-framework
#python
답변 1
댓글 0
조회 216
일 년 전 · 김진우 님의 질문 업데이트
Django로 개발한 프로젝트를 내부에서 테스트 후 서버 배포를 하려고 합니다.
Django로 개발한 프로젝트를 내부에서 테스트 후 서버 배포를 하려고 합니다. 어쩌다보니 제가 내부에서 테스트를 진행하기로 결정됬습니다. 아무런 세팅이 되어있지않은 컴퓨터에서 깃,가상환경,DB세팅 후 로컬에서 테스트하는 것 까진 진행할 수 있겠으나 이를 활용해 건물내부에서 같은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인원들의 접속을 어떤식으로 연결? 허용 할 수 있을까요?
개발자
#django
#python
#로컬
#배포
답변 2
댓글 1
조회 129
10달 전 · 오원종(Owen) 님의 답변 업데이트
django와 spring사이의 커리어 갈등
안녕하세요. 아직 주니어 개발자인데 향후 미래의 커리어때문에 고민입니다. 처음 시작은 django로 시작하고 최근에 기회가 되어 spring으로 개발을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회사 사정상 폐업이 되고 쉬면서 spring 공부를 이어나가고 있는데 아는 분 회사에서 같이 일해볼 생각 없냐면서 감사하게도 제안을 주셨습니다. 그런데 그 회사에서는 django를 중심으로 프로젝트를 진행 중 입니다. 그런데 저는 spring으로 계속해서 개발 커리어를 이어나가고 싶은데 이렇게 왔다갔다 하다가 이도저도 아니게 될지 고민이 크네요.. 선배 개발자분들의 조언이 저에겐 고민을 해결할 키가 되지 않을까 싶네요.
개발자
#spring
#django
답변 1
댓글 0
조회 263
일 년 전 · 유수원 님의 질문 업데이트
신입 기준 임베디드 중견기업 vs스타드업 앱(django)
안녕하세요 이번에 대학원을 졸업하고(캐시 관련 알고리즘 최적화 논문) 중견기업에서 임베디드 +ai와 스타드업에서 웹쪽으로 흡격하였습니다. 원래는 임베디드쪽을하고싶었는데 스타드업에서 좋은 제안을 받아서 지금 일주일동안 재직중입니다. 중견기업에서 몆접을볼때 임베디드 개발자는 배고픈 직업인데 괜찮아요?하면서 면접관분이 계속 여쭤보셔서 이분야가 맞는지 계속 고민됩니다. 솔직히 그냥 임베디드 회사는 몇개는 제안 거절하였는데 이쪽은 장비쪽 임베디드에 ai를 접목시키는 부서 인원을 새로 충원한다고 하여서 더 매리트 있어 보여서 가고싶은데 웹이 대세라 너무 고민됩니다. 웹쪽을 하다가 임베디드는 다시 돌아갈수없을거같아서 너무 고민됩니다.
개발자
#임베디드
#웹
#스타트업
답변 0
댓글 0
조회 215
일 년 전 · 삭제된 사용자 님의 댓글 업데이트
안녕하세요! 리눅스환경 공부에 여쭤볼것이 있습니다!
백엔드 개발자를 꿈꾸는 주니어입니다. 자바,스프링 등이 우수한건 맞지만 자고로 백엔드라면 클라우드기술과 django를 익혀야겠다 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ㅎㅎ 일단 wsl부터 깔아서 vscode와 연동해놓은상태입니다.. docker강의를 진행하려고 했는데 아무래도 리눅스의 cui환경, 터미널 등과 친해지는게 먼저일것같아 질문드립니다…! 터미널과 친해지려면 어떤것을 주제로 먼저 실습을 해보는게 맞을까요?? 아니면 그냥 강의를들으면서 진행해도 지장이없을까요?? 출퇴근시간이 길어 하루에 남는시간이 없다보니 효율을 많이 따지게되는것을 용서해주세요..ㅠㅠ
개발자
#linux
#aws
#wsl
#docker
답변 1
댓글 3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154
일 년 전 · 조용구 님의 답변 업데이트
안녕하세요 입사한지 한달도안된 신입개발자입니다.
안녕하세요 고졸 6개월학원출신 신입개발자입니다. 원래 처음엔 독학을 해서 프론트로는 html css javascript 백엔드로는 nodejs로 express 프레임워크를 활용해서 배포는 안하고 로컬에서만 웹을 만들어봤습니다. 그 뒤로 한국에서 개발자로 살아남으려면 java로 해야된다고해서 6개월 학원으로 공부하러가서 html,css,js, java springboot로 개인프로젝트로 웹을 만들어보고react, kotlin, springboot로 e-commerce 팀프로젝트로 웹을 만들어봤습니다. Aws로 배포를 진행하고 cicd를 적용해보았지만 배포 cicd 는 솔직히 경험정도지 혼자하라고하면 좀 막막할정도의 수준입니다. 고졸인데 CS, 자료구조, 알고리즘 관련은 아직 공부를많이 해보지 않은상태며 학원끝나고 CS 초반부 공부하는중에 취직을 한 상태입니다. 첫 과업으로 주어진것이 클라우드 아키텍처를 보고 어떠한 규칙을 만들어오라는 건데 저는 웹관련해서 만들어보기만했지 아키텍처를 보고 파악할줄도 모릅니다. 저는 궁금합니다. 저는 개발자라는건 프론트쪽에서 react, jquery, vue 같은거나 백엔드관련해서는 java spring, django같은 것들로 코드를 치고 개발하는건줄 알았는데 갑자기 엔지니어의 일같은 일을 맡고 알해서 만들어서 문서화해오라는게 이런 일들을 하는게 원래 그런건지 모르겠습니다. 솔직히 아키텍처관련은 해본적이 없어서 어떻게 만들어야하는지 여쭤보아도 기술언어를 섞어가면서 말씀하셔도 70퍼는 못알아먹겠고 나중에 하시는 말씀은 괜찮아 개발자니깐 문제해결능력으로 어떻게는 해오면 된다라는 말만 돌아오고해서 이게 맞나 싶습니다. 이것때문에 개발자가 이런건가 퇴사해야하나 고민이 많습니다. 면접때를 생각하면은 아마 제가 react로 웹을 만든걸 인상깊게 보신것같은데..., 아마 이 과제를 주신분이 면접을 보셨으면 전 떨어졌을것 같습니다. 이런 일들 때문에 이게 개발자인가 생각들고 너무 막막하고 찾아봐도 관련내용이 너무 안나와서 퇴사생각만 자꾸듭니다. 혹시 해주실 말씀들 있으실까요...
개발자
#신입
#퇴사
#고민
답변 1
댓글 0
조회 616
일 년 전 · 삭제된 사용자 님의 답변 업데이트
학교를 졸업했지만 어디 분야로 가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저는 원래 기계공학과였다가, 저랑은 영 맞지 않는것 같아서 1년 반 다니다가 컴퓨터공학과로 전과했습니다. 그런데 기계공학과와 컴퓨터공학과 모두 공학이긴 하지만 듣는 강의는 차이가 꽤 있어서 기계공학과에서 들었던 학점 대부분은 인정받지 못하고 증발해버렸습니다. 그래서 2학년이긴 하지만 전공학점은 신입생들과 별반 다를바가 없었어요 잘못하면 제때 졸업못하고 최소 1년이상 초과학기를 하게될테고 형편상 그건 어렵기 때문에, 전과해서 아는것도 하나도 없음에도 2학년과 1학년 수업을 같이 들으면서, 어떻게든 학기마다 풀학점으로 꽉꽉 채워서 결국 초과학기는 한 학기만 한 채로 졸업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도 나쁘진 않았습니다. 적어도 기계공학과에 있을 때보단 이쪽이 훨씬 제 적성에 맞았거든요. 그래서 그런지 학점도 4.0/4.5점 으로 괜찮게 졸업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너무 수업만 따라가기 바빠서 그런건지 졸업한 뒤 제가 어느 분야로 갈지는 깊게 생각해보질 않았어요. 미리 생각해 놨다면 학교 수업 외에도 그쪽으로 따로 공부를 하면서 준비할 수 있었을텐데, 그러질 않았으니 그저 학교에서 하는 강의만 열심히 들으면서 다녔습니다. 그리고 졸업하니까 어디로 가야할지 모르겠더라고요. 일단 제가 학교에서 배우고 해봤던걸 대충 적어보자면 javascript, java, python, c, html, css, mysql, oracle, unity, android studio, jsp, unix 이정도와 운영체제, 자료구조 같은 cs 입니다. 일단 저는 원티드, 로켓펀치, 프로그래머스 같은 사이트들을 돌면서 공고를 살펴 봤습니다. 프론트엔드쪽 기술스택을 살펴보니 html, css, javascript는 배웠지만 react, redux, node.js, next.js, typescript 이런 것들이 나오는데, 전부 한번도 안해봤던 것들이더라고요. 그래서 백엔드쪽 기술스택을 살펴보니 spring, jpa, django, docker, fastapi, flask 등등 이런것들이 나오는데 역시 안해봤던 것들이었습니다. 그래서 다음은 안드로이드쪽을 살펴봤습니다. 팀프로젝트를 하면서 앱을 만든 경험이 있었거든요 kotlin, flutter, react...역시 안해본 것들입니다 저흰 java만 배워서 코틀린을 안해봤습니다. 그리고 flutter, react 같은 크로스플랫폼 또한 다뤄본 적 없고요 이런식으로 막상 실무에서 요구하는 기술들과 제가 학교에서 배웠던걸 매치해보니 제가 부족한게 너무 많더라고요. 사실 처음 채용공고 봤을땐 제가 모르는 용어들도 많아서 멘붕이 왔었습니다. 물론 이제 막 학교 졸업하고 실무경험도 없는 신입이니 부족한게 많은건 당연한것이고, 신입이 그 기술스택을 다 숙지할 수도 없다는것도 알고 있습니다만, 그럼에도 제가 너무 부족한게 많다는 생각을 지울수가 없더군요 서론이 길었네요 그래서 결론은 현재 저의 상태에서 가장 빠르게 준비해서 취업할 수 있을만한 분야가 어디일까요? 저는 개발쪽이기만 하면 상관없는데, 저희집 사정상 가능한한 빠르게 준비해서 빠르게 취업하고 싶습니다.
개발자
#개발
답변 2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1,123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FFMPEG를 활용한 영상 편집이 가능한 플랫폼 개발 환경
FFMPEG를 활용한 영상 편집이 가능한 플랫폼 개발 환경 FFMPEG를 이용하여 영상을 편집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할 예정입니다. 참고는 RUNWAY 입니다. 개발 환경은 NODE.JS + PYTHON - FFMPEG DJANGO + PYTHON - FFMPEG C(RUST) - FFMPEG 정도인 것 같아요. AI 기능도 연동될 테니 한 언어로 개발하면 좋을 것 같아요. 4K 편집이라 너무 무거워서 속도 차이가 걱정이거든요. 별로 상관없나요? 조언 좀 부탁드려요 아직 개발전입니다.
개발자
#node.js
#django
#rust
답변 0
댓글 0
보충이 필요해요 2
조회 219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FFMPEG 를 사용해서 영상편집 가능한 플랫폼 개발을 하려는데요..
말그대로 플랫폼을 개발하려고 하는데 프론트는 리엑트를 사용할 예정입니다. 영상편집 기능에 AI관련 기술도 붙을 예정이라 PYTHON을 희망하는데 PYTHON으로 한다고하면 NODE나 DJANGO를 배워야 하는데 장고는 레퍼런스가 없고 노드와 파이썬을 둘다 배우기에는 시간적 여유가 부족하지 않을가 싶기도 합니다. C로 한다면 C만 배우겠지만 요즘 사용하는곳이 적어서 유지 보수가 나중에 힘들것 같구요 인력 구하기도 마찬가지로 말이죠.. RUST도 시간적 여유가 있을지 싶습니다... 4K 영상을 편집하며 동시에 접근이 되어야하기 때문에 가볍지 않다고 생각하는데요 배워야 하는 시간은 뒤로하고 현실적으로 사용해야 할 개발 환경에 대해서 조언 부탁드립니다.
개발자
#python
#node
#rust
답변 0
댓글 0
조회 103
일 년 전 · 유현명 님의 답변 업데이트
신입 고졸 개발자에게 필요한 것이 궁금합니다
저는 이제 25인 된 고졸 개발자입니다 제가 부족한 부분과 더 배워야하는 것 그리고 제 기술로 취업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제가 사용가능한 기술은 언어 : JAVA, Python, C, html, Javascript 프레임워크 : Spring, Django, Swing DB : Oracle, Mysql, hibernate, JPA 기타 : Spring Security, OOP, gradle.build(kts), Ajax, Aws, Liunx(centOs7, ubuntu) 위 내용정도 프로젝트에 사용해 보았습니다
개발자
#java
#개발
#신입
#고졸
답변 2
댓글 0
조회 258
일 년 전 · 한상훈 님의 새로운 답변
코테 언어 고민(파이썬)
안녕하세요. 현재 백엔드 분야로 취업 준비중입니다. 2월 졸업 예정이며 상반기 공채 시즌부터 구직활동을 하려고 합니다. 학교에서는 자료구조, 알고리즘들을 자바로 구현 및 공부를 했었는데, 작년부터 프로젝트들을 진행하며 파이썬을 주력 언어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django 및 fastapi등을 활용해서요. 이런 상황에서 코딩테스트를 준비하려고 하는데, 파이썬으로 준비를 해여할지 자바로 준비를 해야할지가 고민입니다. 파이썬으로 한다면 익숙하고 편하게 공부를 할 수 있지만, 혹여나 기업에서 코테 언어로 파이썬을 지원을 안할 가능성이 있을거같아서요. 자바로 준비한다면 확실히 파이썬보다는 익숙함이 떨어지고, 1주일 정도는 기본적인 사용법을 리마인드 해야할 것 같습니다. 일단 대기업, 준견을 목표로 준비하려고 하고, 분야는 python 개발쪽을 희망하지만 java를 활용하는 회사도 지원할 의향은 있습니다. 선배님들의 현명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
#코딩테스트
#파이썬
#자바
#취업
답변 1
댓글 0
조회 720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대학원에서 개발자로 커리어 고민
공학계열 대학원 다니다가, 현제 중소기업에서 유일한 데이터 /IT 팀으로 근무 중입니다. 대학원에서는 C++, C#으로 계측기기 GUI 만들고, 임베디드 개발, 비전(SLAM)관련 연구하다가 연구 비중 보다는 개발 비중은 많이 높은데 반해 연구자로 일할 수 있는 분야가 좁기도 하고, 졸업하면 지방 근무 확정이라눈 생각에 석박 과정 중 석사 전환하고 지금 석사 수료인 상태입니다. 한 3 년 가까이 GUI 개발하면서 CS 수업 온라인으로 수료도 했습니다. 타과 CS 수업 듣기도 했고요. 그러면서 개발자에 대한 열망이 더 커진것 같습니다. 어찌하다가 데이터팀 없는 제조업? 농업?회사에 취업하게 됐는데 (지인 추천+주도적으로 일 할 수 있는 분위기), 아무래도 개발 쪽 인력이 한 명도 없다 보니 1 년 가까이, 전략, 기획, 서류, 개발, 인프라까지 다 도 맡아서 하고 있습니다. 지금 한 프로젝트로는 Django이용한 수발주사이트 개발, 배포, 공정 데이터 분석, Airflow 구축, 경매 데이터 수집 정도 했습니다. 혼자서 일을 많이 하면서 지치기도 했지만, 혼자 하면 배울게 많다는 생각에 꾸역꾸역하고는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쫌 말도 안되는 신 산업(전사 IT 구조 개선, 스마트팜 솔류션 개발) 설계하고 경영진 한테 보고 작업을 하면서 지속적으로 PM 역할을 요구하시는데, 잘 해내기 어려울 것 같기도 하고. 이전 프로젝트들이 마무리 안된 상태에서 새로운 프로젝트하기가 버겁습니다... 더구나, 개발을 하고 싶어서 도전한 상황에서, 첫 6개월은 개발 쪽에 집줄하다가 전략, 기획 쪽 업무를 하다보니 개발보다 PPT 엑셀 업무가 더 많아진 상황입니다. 물론 중요하긴 하지만, 제가 잘하는 것도 아니고 해 봤던 것도 아니라 부담감이 큽니다. 그래서 앞으로 어떻게 할지 전략을 새우려고 하는데, 여러분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1. 최대한 현재까지 한 프로젝트+실력 기반으로 저년차 경력직 혹은 중고 신입 개발자로 이직. 2. 버티면서, 개발자는 혼자니 이직에 도움되는 프로젝트만 중심으로 수행하면서 실무 경력 쌓기 3. IT 전략 기획으로 직무 생각해서 아애 PM으로 전문성 기르기. 정도일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새로운 걸 배우고, 실제 문제에 적용하는걸 좋아하다보니 지속해서 머리로 일할 수 있는 전문가되고 싶습니다.
개발자
#개발
#커리어
#전략
답변 1
댓글 1
조회 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