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달 전 · 익명 님의 질문
MacBook에서 Windows Docker 서버 접속 시 sudo가 필요한데 원인이 뭘까요?
문제 현재 Windows 데스크톱과 MacBook을 사용 중이며, 두 기기는 동일한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 데스크톱(Windows): 유선 랜(Ethernet)으로 연결 - MacBook: Wi-Fi로 연결 Windows 데스크톱에서 Docker를 이용해 로컬 웹 서버(포트 9000)를 실행 중입니다. 컨테이너는 -p 9000:9000 옵션으로 실행되었으며, 0.0.0.0:9000에서 요청을 받을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데스크톱에서는 Chrome를 통해 정상적으로 웹 인터페이스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MacBook의 Chrome에서 접속하면 페이지를 찾을 수 없다고 합니다. 이상하게도,,, Chrome을 sudo로 실행하면 페이지가 정상적으로 로드됩니다. 추가 정보 - 데스크톱(Windows)과 MacBook은 같은 서브넷에 속해 있습니다. - 웹 서버는 0.0.0.0:9000에서 요청을 받을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 다른 기기에서도 접근 가능해야 합니다. - MacBook에서 nc -zv <데스크톱-IP> 9000을 실행하면 포트가 열려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 Python 코드에서 requests.get("http://<데스크톱-IP>:9000")을 실행하면, 일반 실행 시 실패하지만 sudo로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 MacBook에는 단 하나의 사용자 계정만 존재하며, 해당 계정은 관리자(Admin)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 macOS 방화벽은 비활성화되어 있으며 (/usr/libexec/ApplicationFirewall/socketfilterfw --getglobalstate로 확인), sudo pfctl -d로 pf 방화벽을 꺼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현재까지 파악한 내용 sudo로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현재 문제는 네트워크 연결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macOS의 보안 정책 또는 네트워크 제한과 관련된 것이 아닐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해결하고 싶은 질문 - 왜 Chrome을 sudo로 실행해야만 웹 서버에 접속할 수 있을까요? - 왜 일반 사용자 권한으로 실행한 Python의 requests.get() 요청이 차단되고, sudo를 사용해야만 정상적으로 동작할까요? - macOS에서 일반 사용자 프로세스의 네트워크 접근을 제한하는 정책이 있는 걸까요? 있다면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스크립트에 모두 sudo를 붙이면 문제가 해결되긴 합니다만,, 명확한 원인이 궁금합니다. 혹시 비슷한 경험을 하신 적이 있는 분이 계시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혹은 힌트 키워드라도 던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mac
#docker
#local-network
답변 0
댓글 0
조회 77
9달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Flutter VSC 시뮬레이터 실행 에러
Flutter 스터디 중 VSC에서 에러가 발생하여 앱이 실행되지 않습니다. 현재 환경은 MacOS에서 사용하며 flutter, dart는 homebrew로 설치하였습니다. 그리고 Visual Studio Code에서 flutter 에디터를 사용하며 확장도구로 Dart, Flutter를 모두 설치하였습니다. 이후 VSC에서 flutter 실행 시 해당 에러가 발생하며 실행되지 않습니다. 매번 그런 것은 아니며 flutter, dart를 모두 삭제 후 재설치하면 잠시 재대로 동작하다가 컴퓨터를 재실행하면 다시 발생하고 있습니다. flutter doctor -v 했을 때 아무런 문제가 없고 flutter run하였을때도 잘 실행되고 있습니다. 아마 vsc와 충돌이 있는 것 같은데 도저히 해결이 되지 않습니다. 에러 1. the flutter daemon has terminated. - Dart extension 에러 2. Oops; flutter has exited unexpectedly: "FormatException: Missing extension byte (at offset 51)". 혹시 이유를 아신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flutter
답변 0
댓글 0
조회 61
일 년 전 · 최광원(light.src) 님의 새로운 답변
쿠버네티스 공부를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올해 졸업 후 운 좋게 스타트업에 AI 풀스텍 개발자로 입사하게 되었습니다. 업무는 초반에는 웹 서비스 개발, 모델 서빙 관련 백업 업무를 맡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제가 아직 쿠버네티스에 관한 결험이 없어서 입사전에 시간도 좀 있고 공부를 좀 하려고 합니다. 스프링, fastapi,django,flask,react.js 등의 웹 프레임워크들과 도커, 도커 스웜은 프로젝트에서 사용 경험이 있고 주로 우분투 리눅스 또는 macos 환경에서 개발을 합니다. 공부하기 좋은 사이트나 책이 있을까요? 추천해주세요!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개발자
#쿠버네티스
#공부고민
답변 1
댓글 0
조회 127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프론트엔드 개발자 취준생 맥북 추천
안녕하세요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되기 위해 열심히 취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현재 사용 중인 노트북을 더 이상 사용하기 어렵다 판단하여 새 노트북을 사려 합니다. 이전까지는 계속 윈도우 OS를 사용하다가 MacOS로 넘어가고 싶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어 맥북을 사려 하는데요, 현재 결정한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RAM은 웬만하면 16g 2. M1 에어 vs M2 에어 3. 사이즈는 13인치, 15인치 크게 상관 없음 - 현재 신분과 가성비를 생각한다면 13인치에 마음이 더 기울어 있습니다. 주변 지인들의 영향으로 맥OS 적응하는 것에는 크게 거부감이 들지 않고 있습니다. 금액을 조금 더 추가해서 M2 Air 모델을 사는 것을 추천하시는지, 혹은 더 가성비 있게 M1 Air 모델을 추천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여러분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개발자
#개발자
#macbook
#개발환경
#노트북
#노트북-추천
답변 1
댓글 1
추천해요 1
조회 708
일 년 전 · 강병진 님의 새로운 답변
질문)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2
/Users/사용자명/Desktop/Pycharm/시도1/venv/bin/python /Users/사용자명/Desktop/Pycharm/시도1/hello.py /Library/Frameworks/Python.framework/Versions/3.12/Resources/Python.app/Contents/MacOS/Python: can't open file '/Users/사용자명/Desktop/Pycharm/시도1/hello.py': [Errno 2] No such file or directory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2 .. 파이참을 실행시키려는데 이렇게뜨네요 코딩초보입니다 도와주세요
개발자
#파이참
#파이썬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124
2년 전 · 희진 님의 질문
react-native xcode build시 발생 에러
``` ld: warning: ignoring file '/Users/heejinroh/Library/Developer/Xcode/DerivedData/OkCeo-abydistjrfwgsufmyimbpydzjpqj/Build/Products/Debug-iphonesimulator/Flipper-Folly/libFlipper-Folly.a[3](Assume.o)': found architecture 'arm64', required architecture 'x86_64' ld: warning: ignoring file '/Users/heejinroh/Library/Developer/Xcode/DerivedData/OkCeo-abydistjrfwgsufmyimbpydzjpqj/Build/Products/Debug-iphonesimulator/Flipper-Folly/libFlipper-Folly.a[2](Addr2Line.o)': found architecture 'arm64', required architecture 'x86_64' ld: Undefined symbols: _OBJC_CLASS_$_RCTBridge, referenced from: in AppDelegate.o _OBJC_CLASS_$_RCTBundleURLProvider, referenced from: in AppDelegate.o _OBJC_CLASS_$_RNKakaoLogins, referenced from: in AppDelegate.o _RCTAppSetupDefaultRootView, referenced from: -[AppDelegate application:didFinishLaunchingWithOptions:] in AppDelegate.o _RCTAppSetupPrepareApp, referenced from: -[AppDelegate application:didFinishLaunchingWithOptions:] in AppDelegate.o clang: error: linker command failed with exit code 1 (use -v to see invocation) ``` xcode 14 버전으로 생성된 프로젝트를 xcode 15버전으로 진행하여 실행했는데 빌드단계에서 에러가 계속 발생해서 혹시 도움좀 주실수있을까요? System: OS: macOS 14.0 CPU: (12) arm64 Apple M2 Pro Memory: 647.83 MB / 32.00 GB Shell: 5.9 - /bin/zsh Binaries: Node: 18.17.1 - ~/.nvm/versions/node/v18.17.1/bin/node Yarn: 1.22.19 - ~/.nvm/versions/node/v18.17.1/bin/yarn npm: 9.6.7 - ~/.nvm/versions/node/v18.17.1/bin/npm Watchman: 2023.09.25.00 - /opt/homebrew/bin/watchman Managers: CocoaPods: 1.11.3 - /Users/heejinroh/.rvm/gems/ruby-3.2.1/bin/pod SDKs: iOS SDK: Platforms: DriverKit 23.0, iOS 17.0, macOS 14.0, tvOS 17.0, watchOS 10.0 Android SDK: Not Found IDEs: Android Studio: 2022.3 AI-223.8836.35.2231.10671973 Xcode: 15.0.1/15A507 - /usr/bin/xcodebuild Languages: Java: 11.0.11 - /Library/Java/JavaVirtualMachines/adoptopenjdk-11.jdk/Contents/Home/bin/javac npmPackages: @react-native-community/cli: Not Found react: 18.1.0 => 18.1.0 react-native: 0.70.8 => 0.70.8 react-native-macos: Not Found npmGlobalPackages: *react-native*: Not Found
개발자
#react-native
#xcode
#build
답변 0
댓글 0
조회 329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인공지능 노트북 추천
안녕하세요. 이번에 대학원 인공지능학과 입학해서 노트북을 하나 구입하려는데 macOS랑 windows랑 고민 중입니다. 뭐가 나을까요?
개발자
#인공지능
#노트북
#os
#추천
답변 2
댓글 0
추천해요 2
조회 896
2년 전 · 커리어리 AI 봇 님의 새로운 답변
실제 모바일 기기에서 로컬 환경을 테스트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저의 로컬 환경은 macOS 이고 Vue 로 만든 프로젝트를 모바일 기기(iPhone) 에서 실행해보고 싶어요. 다른분들은 모바일 기기에서 테스트 어떻게 하시나요 ? 실제 서비스를 배포 해야 실행 가능한 걸까요?
개발자
#macos
#vue
#mobile
답변 2
댓글 0
조회 551
3년 전 · 익명 님의 새로운 댓글
React Native run-android 실패
React Native에서 npx react-native run-android 명령어로 빌드하려고 하는데 "Error: Command failed: ./gradlew app:installDebug -PreactNativeDevServerPort=8081" 에러 메시지와 함께 빌드가 실패합니다. https://reactnative.dev/docs/environment-setup macOS이며 위의 문서에 나와있는 대로 진행했고, 검색해보니 환경변수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고 해서 zsh 설정파일에 추가해주었는데도 계속 같은 문제가 발생합니다. 해결방법을 아시는 분이 계실까요?
개발자
#rn
#안드로이드
답변 1
댓글 1
조회 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