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

커리어

pm에 대한 고민..

안녕하세요. 저는 스타트업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처음에 uiux포지션으로 합류했다가 pm직무를 제안받아서 지금은 pm으로써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저의 고민은 pm으로써 제가 지금 하고 있는것들이 맞는것인지, 다른 부분들은 놓치는게 없는것인지에 대해 선배님의 조언들 듣고싶어요. 스타트업이고 사수없이 하다보니 '이게맞나?' '잘 하고 있는건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요. 저희 회사는 일주일에 한번씩 주간 회고를 작성하고 금주에 할 일에 대해 적어갑니다. 회고를 작성하면서 유입단에 문제가 있다면 해결방안을 생각해서 마케팅 파트에 제안을 하거나, 운영중인 상품이 문제라면 오퍼레이션 파트에 제안을 하고, 페이지 개선이 필요하면 제가 기획하고 개발자 분과 작업을 진행합니다. 그런데 각 파트별로 제안하고 나면 일주일 동안 제가 하는일이 별로 없는것 같다고, 더 생각해서 적어오라고 하세요. 데이터를 보며 모니터링하고 이런 업무는 당연한거니까 적지말라하시구요. 그래서 굳이 안해도 되는 일들을 적기도합니다. 그리고 현재 기술이슈로 자체 서비스를 정리하고 템플릿 사용해서 서비스를 운영중이여서 예전처럼 자유롭게 화면을 기획하고 수정할 수도 없는 상황입니다. 언젠가는 저에게 서비스에 상품이 부족한것 같으니 제가 상품 소싱 방향이랑 타임라인 짜주고 매주 신상품 몇개씩 채울건지 목표 세워서 팀원분께 일 배분하라고 하길래 이건 소싱 담당자가 있는데 제가 하는게 맞냐고 물으니까 니일 내일 따져가면서 일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하더라구요. 물론 pm이 다양한 일을 한다지만 가끔은 다름 팀원의 영역을 침범해서 일을 하는건 아닌지에 대한 느낌도 들때가 있습니다. 다른 pm분들은 팀에서 어떤 실무를 하시나요? 제가 제 위치에서 잘 하고 있는건지 고민입니다..

답변 1 • Up 1

20일 전 • 조회 62

커리어

PM이 되기 위한 비전공자의 역량

저는 비전공자 코딩을 1도 모르는 개발자가 되고싶은 학생입니다. 처음에는 개발자가 되고싶었는데 알아보다보니 PM이라는 직무에 흥미가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최종 목표인 사업을 영위하는데에 있어서 기획과 리더십이 저의 목표와 잘 맞는다고 생각 했습니다. 그런데 아무런 준비도 되지 않은 제가 PM이 되기위해서는 어떤 공부를 하고 역량을 쌓아가면 될 지 감이 잡히지 않습니다.. 우선 국비지원으로 개발자로 취업을 한 후 역량을 쌓아서 PM으로 이직을 해야하나요? 바로 스트레이트로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으면 최고일 것 같긴한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선배님들!

답변 2

한 달 전 • 조회 177

커리어

디자인전공 5년차 개발자. 서비스기획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기업 에서 서비스 운영 개발 직무를 담당하고 있는 5년차 직장인 입니다. 저는 대학에서 디자인을 전공했고, (편집 디자인과 ux/ui 수업을 가장 좋아했습니다.) 학부시절에 하나의 프로덕트를 완성해보자는 마음으로 개발에 도전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너무 어려워 배우고 배우다 보니.. 현재 5년차 서비스 운영개발직무를 맡게 되었네요.. 디자인과 개발은 전혀 다른 분야이다 보니 이해하고, 한사람의 몫을 해내는데 꽤 오랜 시간이 지났고, 이제는 비전공이지만 개발업무가 어떤 것인지 조금은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마음 한구석에서는 '내가 개발을 하지 않고 끝까지 ux/ui를 했다면 어땠을까' 같은 생각이 들기도 하고.. 서비스 운영/개발 업무를 하며, 서비스에 이상이 있을때 중간자(서비스 문제 파악, 사용자 문의 파악, 데이터 적인 접근법에서의 서비스 오류 파악, 해결 및 복구 대책 등.. )의 역할을 잘 하지 못해 사용자와 개발자 사이 서비스 운영에 차질이 생기는 것을 자주 목격하게 되었습니다. 실제 서비스를 사용하는 현업과 해당 요청사항을 이해하여 개발자에게 잘 전달하여 서비스를 운영하고, 문제가 있으면 해당문제를 잘 파악하여 서비스를 재 기획하는 것도 서비스 기획자의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것도 서비스 기획자의 역할이 맞을까요? 서비스 기획을 한번 배워보고 싶은데 어떻게 접근하면 좋을까요? 현직자분들의 의견이 필요합니다 ㅠㅠ

답변 0 • Up 1

3달 전 • 조회 82

커리어

기획자의 꿈을 꾸는 늦깎이 비전공자에게 조언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한 방향으로 나아가기 보다는 .. 여러 분야을 얕게 경험해보며 졸업 시기가 다 되어서야 기획자의 꿈을 갖게 된 취준생입니다. 제가 기획자를 희망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 여러 사람과 협업을 통해 결과물을 도출하는 과정이 흥미로우며 - 누군가에게 서비스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경험 자체가 매력적임 - 더 다양한 경험과 지식을 쌓은 후, PM으로 일해보고 싶다는 생각 기획과 직결되는 경험이 부족하다는 것을 스스로도 알기에 타 분야에 대한 조사도 지속하였으나 결국은 다시 기획 쪽으로 돌아오게 될 것 같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치화시킬 수 있는 경험부족, 비전공자, 늦은 시작 시기 등을 고려하였을 때 기획자의 길을 선택하는 것에 대한 고민이 끊이지 않아 질문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제 소박한 스펙은 1) 대학 : 지방국립대 식품공학전공 2) 자격증 : 토익 875 / 오픽 IM2 / 컴활 1급 / 식품기사 3) 대외활동 : SK Sunny 사회변화 기획 및 진행 / 해피무브 / CJ 올리브네트웍스 리모트인턴십(데이터 리터러시, GA 학습 후 프로젝트 진행) 4) 공모전 : 지역 주최 아이디어톤 수상 / 교내 전공개설 공모전 수상 정도로 서술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1. 그로스 마케팅이나 PM 부트캠프 등을 통해 관련 지식과 프로젝트 경험을 조금 더 쌓는 것이 방향성 확립에 매력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을까요? 2. 오래 지속해야하는 부트캠프가 아닌 SQL 학습 등과 자소서 작성을 병행하며 쉽지 않더라도 인턴, 계약/정규직의 문을 계속 두드리는 게 좋을까요? 장황한 글임에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냉철한 조언도 감사히 받아들이겠습니다 !

답변 2 • Up 1

4달 전 • 조회 185

개발자를 위한 서비스를 만드는 PM

안녕하세요, 제목에 적어둔 것처럼 개발 베이스가 전혀 없지만 개발자를 위한 서비스를 만들고 있는 주니어 PM입니다. PM으로서 고객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개발자의 삶?에 대한 여러 아티클들은 찾아 읽고 있습니다. 그런데 점점 더 딥하게 들어갈 수록 코드 자체를 모르면 이게 맞는 말인지, 틀린 말인지 도저히 알 수 없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개발 공부를 하는 게 도움이 되기는 하겠지만, 그러기엔 지금 당장 쳐내야 하는 회사 일도 많고, 제가 아직 주니어라 이것저것 배워나가야 할 것들도 많아 쉽사리 코딩 공부를 시작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또 막상 진짜 코딩을 시작한다고 하니까 뭘 어떻게 해야 하고 뭐부터 봐야 할지 감도 잘 오지 않고요. 혹시 이런 상황에서 개발 공부 우선순위를 높이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그리고 시작한다면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지 의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3 • Up 4 • Down 1

5달 전 • 조회 488

커리어

비전공자 개발자 취준생인데 si 프로젝트 인턴 제의가 왔어요.

비전공자로 자바/스프링 웹개발 과정을 배우고 웹개발, 백엔드개발쪽으로 이력서를 넣은지 반년이 넘게 지났습니다. 학원에서 프로젝트하면서 재밌고 구현될때 느꼈던 성취감이 너무너무 좋아서 개발자가 맞긴 한가보구나 싶어서 포기하지 않고 이력서를 꾸준히 넣었음에도 면접에서 번번히 탈락이 되어 개발이 나와맞지 않는 것인가라는 생각에 도달하더군요… 그러던 중 외국계 대기업 si 프로젝트 인턴 제의가 와서 면접을 보고 있는데 2차면접만 남은 상황입니다. 정규직 전환여부는 2차면접까지 합격되면 그때 여쭤보려구요.. 마음도 몸도 좀 많이 치져있는 상태라 pm인턴으로라도 커리어를 시작해야하나 고민이 많이 되어요. 최종 커리어 목표는 백엔드 개발자가 되는것이 목표입니다. 만약 pm인턴에 합격하게 되어 일을 시작하게 되면 저는 제너럴리스트-> 스페셜리스트로 커리어를 쌓게 될 것 같은 느낌입니다..ㅠ.ㅠ 1. pm에서 개발자로 커리어 전환하신 분들이 계실까요? 2. Pm직무는 개발자 커리어로써 쓸모없는 직무일까요? 지금같은 심정으로는 어디든 들어가서 일하고 싶은 마음이 커요 솔직히..ㅠㅠ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1 • Up 1 • Down 1

7달 전 • 조회 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