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

질문 2
해시태그 없이 키워드만 일치하는 질문은 개수에 포함되지 않아요.

3달 전 · nexter 님의 새로운 답변

프론트엔드 ENV Key 관리 방법

현재 Next.js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중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남깁니다 KEY 값을 ENV 파일에 등록 후 사용중인데 NEXT_PUBLIC으로 붙여 클라이언트측에서도 접근 가능하게 만들어 사용중인데 이렇게 되면 키가 공개되어 보안상 위험하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혹시 어떤 방식으로 클라이언트 측에서 접근이 가능한 KEY 값을 관리하는지 방법에 대해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front

답변 3

댓글 1

조회 146

5달 전 · 문종호 님의 새로운 답변

깃허브 어떻게 관리하시나요?

보통 개인 깃허브 Private, Public 어떤 식으로 관리하시나요? 여태까지 학교 과제나 개인 프로젝트 모두 Public으로 열어놨었는데 문득 다른 분들은 어떤가 궁금해서 질문올립니다

개발자

#대학생

#취업

#취업준비생

답변 1

댓글 0

조회 57

10달 전 · 성지수 님의 새로운 답변

환경변수 주입 및 빌드(모노레포)

모노레포 프로젝트 환경 및 요구사항 - 프로젝트는 front(React), back(Node), common 패키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노레포로 되어있음 - Dockerfile 스크립트에서는 build → run 순서로 실행되도록 구현되어 있음 - 서버 배포 시에는 하나의 포트만 사용해야 하므로 back(Node)에서 front의 정적 파일(index.html)을 실행해야 함 - Docker 빌드 시, front(webpack 빌드)와 back 둘 다 build 스크립트를 실행하고, 이미지 실행 시에는 back만 run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back에서 front의 정적 파일을 실행해야 함 - 환경변수는 이미지 실행 시 docker-compose.yml의 env_file 속성을 사용해 외부에서 주입해야 함(환경변수가 바뀌는 상황이 있다면 .env 파일을 수정한 후 다시 빌드해야 합니다.) 예외 상황 Docker 빌드할 때 .env 파일을 포함하지 않고 run 스크립트를 실행(이미지 실행) 시 주입하는데, front 패키지에는 run 스크립트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back에서 front의 정적 파일을 실행) 즉, 환경변수가 주입되지 않고 있음 해결 방법 첫번째는 back에서 front의 dist 파일 호출 시 환경변수 객체를 만들어 value 값을 key 값으로 치환해서 함께 넘기고, index.html의 head에서 window 객체를 활용해 값을 받는 방법 하지만 이 방법은 개발자 도구에서 환경변수 값이 노출되고, window 객체를 활용하기 때문에 새로운 브라우저를 생성할 때마다 사이드 이펙트가 발생할 수 있음 두번째는 모노레포 root 패키지에서 prerun 스크립트로 front의 build 스크립트를 실행하는 방법 스크립트 -> "prerun": "lerna run build --parallel --scope @projectname/front --stream", 이 방법은 빌드를 두 번 실행하므로 자원을 많이 소모하지만, 예외 상황이 없는 것으로 보임 질문 받은 내용 Q. 환경변수를 바꾸는 상황이 존재할까요? A. 회사의 인프라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포트나 IP가 변경될 수 있는 상황이 있음 예를 들어, 외부 서버에 요청을 보낼 경우 그 서버의 정보가 바뀌면 설정을 변경해야 하며, 다른 서버에 요청할 때 인증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데, 토큰이나 사용자 패스워드 값이 변경될 경우에도 수정이 필요함 고민되는 부분 다른 해결 방법이나 비슷한 상황이 있다면 함께 논의하고 싶습니다. ㅎㅎ *프로젝트 구조 root ├── packages │ ├── back │ │ ├── package.json │ │ ├── index.ts │ │ ├── .babelrc │ │ └── ... │ ├── common │ ├── front │ │ ├── public │ │ │ └── index.html │ │ ├── package.json │ │ ├── src │ │ │ └── index.js │ │ ├── src │ │ ├── webpack.config.js │ │ └── ... ├── package.json ├── lerna.json ├── docker-compose.yml ├── Dockerfile * 프로젝트의 중요 정보는 제외했습니다.

개발자

#환경변수주입

#모노레포

#빌드

#node.js

#react

답변 1

댓글 0

조회 114

일 년 전 · olcloolzj 님의 새로운 댓글

Next.js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서 api 요청 시 보안 문제?

Next.js에서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 사용하는 환경 변수에 NEXT_PUBLIC을 붙여줘야하는 것으로 압니다. 제가 프로젝트에서 api 키를 포함해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서 fetch 요청을 보내야하는 상황이라(리액트 쿼리 사용 중), 해당 api키에 위와 같은 변수를 붙여주었습니다. 그런데 해당 방법이 안전한걸까요? 전에 chatGPT에서는 NEXT_PUBLIC을 붙이는 환경 변수에는 api 키와 같은 보안에 중요한 변수는 넣지 않는게 좋다고 하더라고요.... 이 말이 사실인건가요? 그렇다면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 Next.js에서 리액트 쿼리를 사용하고 있는데 리액트 쿼리를 사용하는 곳은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여야 정상적으로 작동하더라고요.. 만약 api 키가 포함된 요청을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서 사용하는 것이 보안에 좋지 않다면, 어떤 방법을 써서 api 요청을 보내야할까요? Next.js의 api 라우트를 만들어 요청하는게 맞는건가요? 개발에 대해 잘 몰라 질문이 깔끔하지 않습니다만.. 혹시 아는 분 계시면 도와주세요 😭❕

개발자

#next.js

#서버-컴포넌트

#클라이언트-컴포넌트

#api요청

답변 2

댓글 5

추천해요 1

조회 213

일 년 전 · 포크코딩 님의 새로운 답변

프론트에서 s3이미지 관리 어떻게 하시나요?

회사에서 vercel을 사용하여 이미지 처리하는데 vercel 요금이 생각보다 많이 나와서 s3 사용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미지를 수정하고 올리는 작업이 많아서 매번 직접 s3에 업로드하기 번거려울것 같아 좋은 방법을 찾고 있어요 일단 생각한 방법은 git actions로 public에 있는 이미지를 자동으로 s3에 올릴려고 하는데 다른 회사에서는 어떤 방법으로 이미지를 관리하는지 궁금합니다

개발자

#프론트엔드

#s3

#이미지

답변 1

댓글 0

조회 133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React Spring 배포과정 중 의문의 404

react + spring boot로 진행하는 프로젝트가 현재 cloudtype이라는 플랫폼으로 배포중에 있습니다. 문제는 정확한 서버주소를 호출하는 것 같음에 불구하고 404 에러가 발생하여 해결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현재, 아래 사진과 같은 로그가 클라이언트, 서버에 각각 발생합니다. 서버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있고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v1/login") @RequiredArgsConstructor @CrossOrigin(origins = "https://web-secondchance-front-bug-1cupyg2klvnmgdft.sel5.cloudtype.app") public class KakaoController { private final KakaoService kakaoService; private final Logger LOGGER = LoggerFactory.getLogger(KakaoController.class); @PostMapping("/kakao-login") public ResponseEntity<UserDto> kakaoLogin(@RequestBody KakaoLoginDto kakaoLoginDto) { String code = kakaoLoginDto.getCode(); LOGGER.info("Get Code from FrontEnd : {}", code); LOGGER.info("Request getAccessToken()"); kakaoLoginDto = kakaoService.getAccessToken(code); String accessToken = kakaoLoginDto.getAccess_token(); LOGGER.info("access_token : {}", accessToken); if(accessToken != null){ UserDto userDto = kakaoService.getUserInfo(accessToken); return ResponseEntity.ok(userDto); } else { return ResponseEntity.status(HttpStatus.BAD_REQUEST).body(null); } // accessToken이 null임에도 getUserInfo를 부름. // 안부르게 끔 위의 방법을 포함하여 // 1. map에서 true, false를 사용하여 해봄 // 2. getAccessToken을 map객체로 반환하게끔 하여 accessToken이 있으면 true, 없으면 false로 하여 isEmpty 함수로 체크하여 부름 // 위의 두 방법 전부 소용없음. 그냥 getUserInfo를 부름. } @PostMapping("/kakao-logout") public String kakaoLogout(){ return "ok"; } } 현재 리액트에서는 다음과 같이 axios.post로 접근하여 code를 전달합니다. 무엇이 문제일까요?

개발자

#react

#spring-boot

#배포

#404

답변 0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162

일 년 전 · 프레드윰 님의 새로운 답변

AWS 서버 인프라 접속 방법 문의드립니다.

AWS 서버 인프라를 아래와 같이 안내 받았는데요. ( [T2] public subnet ) > ( [T3] > [Amazon RDS] private subnet ) T2는 public ip가 있어서 ssh 접속이 되는데.. T2를 거쳐 T3에 접속해야 WAS에 접속해 PHP 소스를 docker로 배포할 수 있는데 SSH Tunning으로 T2거쳐 T3로 접속 할 수 있다는데, ssh -i "YourKey.pem" -L 8888:T3_Private_IP:22 ec2-user@T2_Public_IP 이런 명령어를 실행하고, localhost:8888로 접속하면 T3에 우회 접속 할 수 있다고 해서 계속 시도해보는데 T2에서 T3로 접속이 안되는거같아서 T2에 pem 파일 올려놓고 terminal에서 ssh 명령어로 T3에 직접 접속해보려고 해도 접속이 안되더라구요. 그래서 이게 저의 방법이 잘못된건지.. 아니면 T3의 SSH 포트번호가 기본 22가 아니라 다른 번호인건지 싶네요.. 그리고 db 접속은 T2 > T3 > RDS 이렇게 3단계를 거쳐야하는거 같은데.. MYSQL Client 프로그램같은데서 이렇게 3단계 설정하는건 못본거같은데.. 이건 그냥 T3 ssh terminal까지 접속 후 커맨드로만 db 접속해서 사용할 수 밖에 없는지.. 경험많은 서버 개발자님들 답변 부탁드릴게요~~ 감사합니다!

개발자

#aws

#ssh

#tunneling

#docker

답변 1

댓글 0

조회 134

일 년 전 · 이양일 님의 새로운 답변

스프링부트 ServiceInterface에 요청문 작성

안녕하세요 MSA아키텍처를 적용한 개인프로젝트 진행중에 궁금한 사항이 생겨서 글 작성합니다 회원정보 수정을 한 뒤 수정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을 때 클라이언트에 완료되었다는 메세지와 함께 로그아웃 메서드를 실행시키고 싶어서 public interface IUserInfoService { @PostMapping(value = "security/v1/logout") void logout(); } 이렇게 서비스 인터페이스에 작성을 해두고 컨트롤러에서 userInfoService.logout(); 으로 호출하여 실행하는데 권장되는 방법인지, 더 좋은 방법이 있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개발자

#springboot

#java

#spring-security

#msa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338

일 년 전 · 김영민 님의 질문

템플릿 <<연산자 오버로딩이 궁금합니다.

template<typename E > class Node { public: Node() : next(nullptr), prev(nullptr) {} bool operator<(Node N) { return N.data < data; } bool operator>(Node N) { return N.data > data; } template<typename E> friend ostream& operator<<(ostream& os, const Node<E>& N) { os << N.data; return os; } private: E data; Node<E>* next; Node<E>* prev; friend class LinkedList<E>; }; 다른print 함수{cout<<Node객체.data} 이렇게 E타입의 data를 <<로 출력해야 하는데 [ C2679 이항 '<<': 오른쪽 피연산자로 'const E' 형식을 사용하는 연산자가 없거나 허용되는 변환이 없습니다. ] ​ 자꾸 위와 같은 오류가 뜹니다... 그래서 template<typename E>를 연산자 오버로딩 앞에 붙여봐도 ​ [ C2995 'std::ostream &operator <<(std::ostream &,const Node<E> &)': 함수 템플릿이 이미 정의되었습니다. ] 이런 오류가 발생하구요. 템플릿 타입을 <<로 어떻게 출력하나요??

개발자

#c++

#템플릿

#오버로딩

답변 0

댓글 0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65

일 년 전 · 장성호 님의 답변 업데이트

여기서 의존성 주입이 어떻게 이뤄질 수 있는 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제 막 스프링부트 공부를 시작한 3학년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스프링부트를 공부하던 중 아래와 같은 의문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SpringBootApplication @ConfigurationPropertiesScan public class SburRestDemo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SburRestDemoApplication.class, args); } } @ConfigurationProperties(prefix = "greeting") class Greeting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String coffee;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String getCoffee() { return coffee; } public void setCoffee(String coffee) { this.coffee = coffee; } } 제가 이해하기로는 @Component(service, repository, controller 등) 어노테이션이 클래스에 부착되어 있어야 해당 클래스의 객체를 스프링 컨테이너에 의해 의존성 주입을 할 수 있다고 알고 있는데, @ConfigurationProperties 어노테이션은 내부를 아무리 찾아도 위에서 언급한 어노테이션을 가지고 있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greeting") class GreetingController { private final Greeting greeting; public GreetingController(Greeting greeting) { this.greeting = greeting; } @GetMapping String getGreeting() { return greeting.getName(); } @GetMapping("/coffee") String getNameAndCoffee() { return greeting.getCoffee(); } } @RestController 에 의해(@RestController는 내부에 controller 어노테이션이 있더라구요) 스프링 컨테이너로부터 의존성 주입을 받을 수 있는 GreetingController는 greeting 객체를 받아서 생성자 메서드를 실행하므로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Greeting 클래스의 객체를 의존성 주입 받을 수 있는 지 확인해보고 위에서 언급한대로 Greeting은 등록되어 있지 않으므로 오류가 날거라 예상했습니다. 하지만, 아무런 문제없이 자동으로 public GreetingController(Greeting greeting) { this.greeting = greeting; } greeting 객체가 주입이 되었고 실행되었습니다. 제가 이해한 내용이 어디서 틀렸는 지 궁금합니다.

개발자

#spring-boot

#java

답변 2

댓글 0

조회 629

10달 전 · 이경도 님의 답변 업데이트

Jpa 커스텀 리포지토리 다중 상속 문제

커스텀 리포지토리 사용중 문제가 발생하여 질문 드립니다. @Repository public interface Us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User, Long>, CustomRepository { Optional<User> findByUserId(String userId); } public interface CustomRepository { Long search(User user); } public class ACustomRepositoryImpl implements CustomRepository { @Override public Long search(User user) { return 1L; } } 이런식으로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 시키면 아래와 같은 에러 메시지가 나옵니다. 그런데 ACustomRepositoryImpl 구현체 이름을 CustomRepositoryImpl 이렇게 바꾸면 정상적으로 실행됩니다. 명명규칙이 그저 개발자들 간의 약속 인줄 알았는데 규칙을 무조건 지켜야 하는 건지 궁금하여 질문 드렸습니다. Caused by: org.springframework.data.mapping.PropertyReferenceException: No property 'search' found for type 'User' at org.springframework.data.mapping.PropertyPath.<init>(PropertyPath.java:90) ~[spring-data-commons-3.2.2.jar:3.2.2] at org.springframework.data.mapping.PropertyPath.create(PropertyPath.java:443) ~[spring-data-commons-3.2.2.jar:3.2.2] at org.springframework.data.mapping.PropertyPath.create(PropertyPath.java:419) ~[spring-data-commons-3.2.2.jar:3.2.2] at org.springframework.data.mapping.PropertyPath.lambda$from$0(PropertyPath.java:372) ~[spring-data-commons-3.2.2.jar:3.2.2] at java.base/java.util.concurrent.ConcurrentMap.computeIfAbsent(ConcurrentMap.java:330) ~[na:na] at org.springframework.data.mapping.PropertyPath.from(PropertyPath.java:354) ~[spring-data-commons-3.2.2.jar:3.2.2] at org.springframework.data.mapping.PropertyPath.from(PropertyPath.java:332) ~[spring-data-commons-3.2.2.jar:3.2.2] at org.springframework.data.repository.query.parser.Part.<init>(Part.java:81) ~[spring-data-commons-3.2.2.jar:3.2.2] at org.springframework.data.repository.query.parser.PartTree$OrPart.lambda$new$0(PartTree.java:259) ~[spring-data-commons-3.2.2.jar:3.2.2] at java.base/java.util.stream.ReferencePipeline$3$1.accept(ReferencePipeline.java:197) ~[na:na] at java.base/java.util.stream.ReferencePipeline$2$1.accept(ReferencePipeline.java:179) ~[na:na] at java.base/java.util.Spliterators$ArraySpliterator.forEachRemaining(Spliterators.java:992) ~[na:na] at java.base/java.util.stream.AbstractPipeline.copyInto(AbstractPipeline.java:509) ~[na:na] at java.base/java.util.stream.AbstractPipeline.wrapAndCopyInto(AbstractPipeline.java:499) ~[na:na] at java.base/java.util.stream.ReduceOps$ReduceOp.evaluateSequential(ReduceOps.java:921) ~[na:na] at java.base/java.util.stream.AbstractPipeline.evaluate(AbstractPipeline.java:234) ~[na:na] at java.base/java.util.stream.ReferencePipeline.collect(ReferencePipeline.java:682) ~[na:na] at org.springframework.data.repository.query.parser.PartTree$OrPart.<init>(PartTree.java:260) ~[spring-data-commons-3.2.2.jar:3.2.2] at org.springframework.data.repository.query.parser.PartTree$Predicate.lambda$new$0(PartTree.java:389) ~[spring-data-commons-3.2.2.jar:3.2.2] at java.base/java.util.stream.ReferencePipeline$3$1.accept(ReferencePipeline.java:197) ~[na:na] at java.base/java.util.stream.ReferencePipeline$2$1.accept(ReferencePipeline.java:179) ~[na:na] at java.base/java.util.Spliterators$ArraySpliterator.forEachRemaining(Spliterators.java:992) ~[na:na] at java.base/java.util.stream.AbstractPipeline.copyInto(AbstractPipeline.java:509) ~[na:na] at java.base/java.util.stream.AbstractPipeline.wrapAndCopyInto(AbstractPipeline.java:499) ~[na:na] at java.base/java.util.stream.ReduceOps$ReduceOp.evaluateSequential(ReduceOps.java:921) ~[na:na] at java.base/java.util.stream.AbstractPipeline.evaluate(AbstractPipeline.java:234) ~[na:na] at java.base/java.util.stream.ReferencePipeline.collect(ReferencePipeline.java:682) ~[na:na] at org.springframework.data.repository.query.parser.PartTree$Predicate.<init>(PartTree.java:390) ~[spring-data-commons-3.2.2.jar:3.2.2] at org.springframework.data.repository.query.parser.PartTree.<init>(PartTree.java:100) ~[spring-data-commons-3.2.2.jar:3.2.2] a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query.PartTreeJpaQuery.<init>(PartTreeJpaQuery.java:100) ~[spring-data-jpa-3.2.2.jar:3.2.2] ... 79 common frames omitted

개발자

#spring-boot

#java

#interface

#jpa

답변 2

댓글 0

조회 180

일 년 전 · 장성호 님의 새로운 답변

JpaRepository 다중상속 오류

JpaRepository에 다중상속으로 CustomRepository를 상속하려고 합니다. 근데 자꾸 에러가 나서 질문 드립니다. @Repository public interface Us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User, Long>, CustomRepository { Optional<User> findByUserId(String userId); } public interface CustomRepository { void search(); } 에러 메시지 ========================================================= Caused by: org.springframework.data.mapping.PropertyReferenceException: No property 'search' found for type 'User' at org.springframework.data.mapping.PropertyPath.<init>(PropertyPath.java:90) ~[spring-data-commons-3.2.2.jar:3.2.2] at org.springframework.data.mapping.PropertyPath.create(PropertyPath.java:443) ~[spring-data-commons-3.2.2.jar:3.2.2] at org.springframework.data.mapping.PropertyPath.create(PropertyPath.java:419) ~[spring-data-commons-3.2.2.jar:3.2.2] at org.springframework.data.mapping.PropertyPath.lambda$from$0(PropertyPath.java:372) ~[spring-data-commons-3.2.2.jar:3.2.2] at java.base/java.util.concurrent.ConcurrentMap.computeIfAbsent(ConcurrentMap.java:330) ~[na:na] at org.springframework.data.mapping.PropertyPath.from(PropertyPath.java:354) ~[spring-data-commons-3.2.2.jar:3.2.2] at org.springframework.data.mapping.PropertyPath.from(PropertyPath.java:332) ~[spring-data-commons-3.2.2.jar:3.2.2] at org.springframework.data.repository.query.parser.Part.<init>(Part.java:81) ~[spring-data-commons-3.2.2.jar:3.2.2] at org.springframework.data.repository.query.parser.PartTree$OrPart.lambda$new$0(PartTree.java:259) ~[spring-data-commons-3.2.2.jar:3.2.2] at java.base/java.util.stream.ReferencePipeline$3$1.accept(ReferencePipeline.java:197) ~[na:na] at java.base/java.util.stream.ReferencePipeline$2$1.accept(ReferencePipeline.java:179) ~[na:na] at java.base/java.util.Spliterators$ArraySpliterator.forEachRemaining(Spliterators.java:992) ~[na:na] at java.base/java.util.stream.AbstractPipeline.copyInto(AbstractPipeline.java:509) ~[na:na] at java.base/java.util.stream.AbstractPipeline.wrapAndCopyInto(AbstractPipeline.java:499) ~[na:na] at java.base/java.util.stream.ReduceOps$ReduceOp.evaluateSequential(ReduceOps.java:921) ~[na:na] at java.base/java.util.stream.AbstractPipeline.evaluate(AbstractPipeline.java:234) ~[na:na] at java.base/java.util.stream.ReferencePipeline.collect(ReferencePipeline.java:682) ~[na:na] at org.springframework.data.repository.query.parser.PartTree$OrPart.<init>(PartTree.java:260) ~[spring-data-commons-3.2.2.jar:3.2.2] at org.springframework.data.repository.query.parser.PartTree$Predicate.lambda$new$0(PartTree.java:389) ~[spring-data-commons-3.2.2.jar:3.2.2] at java.base/java.util.stream.ReferencePipeline$3$1.accept(ReferencePipeline.java:197) ~[na:na] at java.base/java.util.stream.ReferencePipeline$2$1.accept(ReferencePipeline.java:179) ~[na:na] at java.base/java.util.Spliterators$ArraySpliterator.forEachRemaining(Spliterators.java:992) ~[na:na] at java.base/java.util.stream.AbstractPipeline.copyInto(AbstractPipeline.java:509) ~[na:na] at java.base/java.util.stream.AbstractPipeline.wrapAndCopyInto(AbstractPipeline.java:499) ~[na:na] at java.base/java.util.stream.ReduceOps$ReduceOp.evaluateSequential(ReduceOps.java:921) ~[na:na] at java.base/java.util.stream.AbstractPipeline.evaluate(AbstractPipeline.java:234) ~[na:na] at java.base/java.util.stream.ReferencePipeline.collect(ReferencePipeline.java:682) ~[na:na] at org.springframework.data.repository.query.parser.PartTree$Predicate.<init>(PartTree.java:390) ~[spring-data-commons-3.2.2.jar:3.2.2] at org.springframework.data.repository.query.parser.PartTree.<init>(PartTree.java:100) ~[spring-data-commons-3.2.2.jar:3.2.2] a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query.PartTreeJpaQuery.<init>(PartTreeJpaQuery.java:100) ~[spring-data-jpa-3.2.2.jar:3.2.2] ... 79 common frames omitted

개발자

#spring-boot

#java

답변 1

댓글 0

조회 130

일 년 전 · 이지헌 님의 새로운 댓글

Next.js 이미지 최적화 방식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Next.js 14를 사용해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중 이미지 최적화에 관해 궁금한 점이 생겨서 이 곳에 질문을 남깁니다. 프로젝트를 하며 약 500개의 이미지를 랜덤으로 추천해서 렌더링하는 기능을 구현했습니다. 현재 작업 방식은 프로젝트에서 페이지에서 이미지를 업로드 하는 기능은 필요가 없기에 MongoDB에 이미지 'URL'을 모두 저장하고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요청하면 서버에서 DB에 있는 URL을 리턴해주면 그걸 <img> 태그를 이용해서 화면에 띄우는 방식으로 구현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구현하니 이미지 렌더링 속도가 조금 늦는 현상이 발생해 이를 최적화하고 싶습니다. 제가 생각했던 방법들은 다음과 같은데 어떤 방법이 좋은지, 혹은 더 나은 방법이 있는지 아시는 분이 있으면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이미지를 모두 다운받아 public 폴더에 넣고 Next/Image를 사용한다. -> 이 방법을 하려니 사진이 500개가 되고 사진마다 png,jpg 형식도 달라서 적용하는 것도 어려울 것 같고 무엇보다도 프로젝트 파일 사이즈가 커지는게 문제가 될 것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만약 사진이 500개가 아니라 1000개 2000개가 된다면 더더욱 그럴 것 같아서요. 이 부분에서 추가로 생각해본 방식이 파일 형식을 모두 avif로 바꾸는건데 그런 접근도 괜찮은건가요? 2. 서버에서 URL 넘어온 그대로 Next/image를 사용한다. -> 모든 파일의 url 형식이 달라서 일일이 next.config.ts에서 설정해주는 게 쉽지않을 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모든 파일을 AWS S3에 올려놓으면 URL 주소가 같을테니 그렇게 하는 게 맞는지 궁금했습니다. 아직 제 지식이 짧아서 생각해본 방식은 위와 같은데, 추가로 좀 더 좋은 방식이나 현업에서 사용하는 방식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next.js

#리액트

#이미지최적화

#넥스트

답변 1

댓글 1

추천해요 1

조회 224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깃허브 배포에 관하여

안녕하세요. 사진과 같이 서버폴더와 클라이언트 폴더가 따로 있는 것은 깃허브로 배포를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처음에 루트 디렉토리에서 npm build를 했는데 Could not find a required file. Name: index.html 이런 오류가 뜨는데 client > public > index.js가 맞는 경로인데 콘솔에서는 client를 안거치고 public에서 index.js 파일을 찾고 있어서 뜨는 것 같아요 이런 경우는 어찌 해야하는지 ....ㅠㅠ 어떻게 하면 배포가 될까요 ??🥲

개발자

#배포

답변 0

댓글 0

조회 79

일 년 전 · 이승환(Ethan) 님의 새로운 답변

서버와 DB없이 프론트만으로 이루어진 배포 단점이 뭔가요?

제가 프론트만을 이용해서, 상품 카탈로그? 그런 사이트를 만들려고합니다 DB와 백엔드 서버 없이 그냥 프론트에서 사진같은 것들 public에 넣은 채로 배포하려고 하는데 단점이 뭐가 있나요? 제가 대략적으로 생각하는거는 이제 DB가 없으니까 사진들을 프론트에다가 저장해놓으면, 배포시 많은 용량이 요구된다? 그리고 랜더링 시 많은 사진들을 끌어와야하니까 랜더링이 오래 걸린다? 정도인데 정확한 개념과 문제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개발자

#배포

#aws

#백엔드

#프론트엔드

#db

답변 2

댓글 0

조회 237

일 년 전 · 익명 님의 답변 업데이트

spring autowired 사용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ControllerConfig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MemberConfig.class); @Bean public SearchController serachController() { return new SearchController(ac.getBean("memberDao", MemberDao.class)); } } ------------------------------------------------------------------------------------ @Configuration public class ControllerConfig { @Autowired private MemberDao memberDao; @Bean public SearchController serachController() { return new SearchController(memberDao)); } } autowired 사용을 지양하고, 생성자 주입을 사용하는게 좋다고 들었는데 설정 클래스에서는 생성자 주입이 안되는데 위 코드 중 어느 방식으로 코딩하는게 맞는 방식일까요? 혹시 위 방식 말고 다른 방식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spring

답변 1

댓글 0

조회 114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Springboot 환경의 암복호화 질문

민감정보인 비밀번호의 경우 스프링 시큐리티가 제공해주는 password encoder를 써서 단방향 암호화를 한 뒤 일치여부를 체크하면 되지만 이름, 전화번호같이 다시 복호화해서 보여줄 필요가 있는 데이터들은 보통 어떤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처리들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Bean public StandardPBEStringEncryptor jasyptStringEncryptor() { StandardPBEStringEncryptor encryptor = new StandardPBEStringEncryptor(); encryptor.setPassword(password); encryptor.setSaltGenerator(new StringFixedSaltGenerator(salt)); return encryptor; } 지금 만들고있는 사이드 프로젝트에서는 jasypt 라이브러리의 StandardPBEStringEncryptor를 사용하여 salt값을 고정하여 사용중인데 맞는 방법인지 모르겠고.. jasypt에 대해 검색해보면 properties나 yml파일 암호화 관련된 이야기가 대부분이던데 혹시 엉뚱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있는건 아닌가 싶네요.. 다른 분들은 어떤걸 사용하시는지가 궁금해서 질문 드립니다.

개발자

#springboot

#spring-boot

#encode

#decode

답변 0

댓글 0

조회 91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깃허브 private 레포지토리 반영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count_private=true 가 작동하지 않는 건에 대하여

https://github.com/anuraghazra/github-readme-stats 깃허브 redme파일에 저걸 넣고자 하는데요. public하게 커밋한것만 기록이 되는 것 같더라구요..? ㅠㅠ &count_private=true를 넣어주면 된다기에 넣어봐도 마찬가지라서.. 혹시 방법이 없을까요? 사용 언어 스탯은 꼭 넣고싶은데요..

개발자

#github

#깃허브

#레포지토리

#readme

#readme.md

답변 0

댓글 0

조회 115

일 년 전 · 문성원 님의 새로운 댓글

C++ 질문 드립니다

함수 포인터 배열을 활용한 사칙 계산 문제입니다.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define MAX_OP_COUNT 4 class UserObject { private: int (*mp_func_list[MAX_OP_COUNT])(int, int); public: int Add(int a, int b) { return a + b; } int Sub(int a, int b) { return a - b; } int Mul(int a, int b) { return a * b; } int Div(int a, int b) { return b ? a / b : 0; } UserObject() { mp_func_list[0] = &UserObject::Add; mp_func_list[1] = &UserObject::Sub; mp_func_list[2] = &UserObject::Mul; mp_func_list[3] = &UserObject::Div; } // [문제 2] 아래의 코드에 GetFuncList 함수의 반환값을 적어야 함 GetFuncList() { return mp_func_list; } }; int main() { UserObject data; // [문제 3] 아래의 코드에서 p변수의 자료형을 적어야 함 p = data.GetFuncList(); for (int i = 0; i < MAX_OP_COUNT; ++i) { // [문제 4] 아래의 코드에서 p 변수를 사용하려면 연산잔와 필요 형식을 적어야 함 cout << ( p )(5, 4) << endl; } return 0; } 결과 값: 9 1 20 1 [문제2], [문제3], [문제4]에서 요구하는 사항을 코드로 구현하려고 하는데 도저히 잘 몰라서 고수분께 여쭈어 봅니다.

개발자

#c++

답변 2

댓글 2

보충이 필요해요 2

조회 94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firebase 호스팅 첫 화면이 세팅화면만 나와요

npm run start 를 할 땐 리액트 결과가 잘 나오는데 public/index.html 파일에 root 잘 연결되어있는 거 확인하고 npm run build를 해보면 build/index.html파일이 root 가진 채로 잘나와요 그래서 잘된거라고 생각하고 firebase hosting으로 연결 쭉 하고 json 파일 내 hostring: public 부분 build 폴더 설정도 했는데 firebase deploy로 호스팅 주소를 받아 테스트를 해보면 " welcome firebase hosting seoup complete" 라는 firsebase 세팅 초기 화면만 반복해서 뜨네요.. 혹시 몰라 새로운 리액트 폴더를 만들어서 다시 연결도 해보고 npm run start로 정상결과 확인 후 다시 npm run build 하고 firsebase deploy다시 치고 할 수 있는건 전부 다 해본것같은데 추가로 여기저기 블로그와 유튜브 까지 모두 검색해봤는데 firsebase init 순서까지 똑같이 했고 다른점이 없어서 더 멘붕이에요 ㅠ 계속 첫번째 화면만 보여요... 도와주세요 ㅠ

개발자

#react

#firebase

답변 0

댓글 0

조회 137

일 년 전 · 초코칩 님의 새로운 답변

for문을 이용한 중복체크 방법

public MemberDTO doRegist() { sc.nextLine();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아이디를 입력하세요 : "); String id = sc.nextLine(); System.out.print("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 "); String pwd = sc.nextLine(); System.out.print("이름을 입력하세요 : "); String name = sc.nextLine(); System.out.print("나이를 입력하세요 : "); int age = sc.nextInt(); System.out.print("성별을 입력하세요 : "); char gender = sc.next().charAt(0); sc.nextLine(); System.out.print("핸드폰 번호를 입력하세요 : "); String phone = sc.nextLine(); System.out.print("이메일을 입력하세요 : "); String email = sc.nextLine(); System.out.println("*****************************************************"); MemberDTO user = null; if(answer == 'Y') { user = new MemberDTO(id, pwd, name, age, gender, phone, email); }else { System.out.println("로그인 페이지로 돌아갑니다."); mainLogin(); } return user; } 여기에 for 문으로 아이디 중복체크를 넣고 싶은데 어떻게 넣어야 할까요...ㅠㅠ...

개발자

#intellij-java

답변 1

댓글 0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165

2년 전 · 이진영 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HardDelete를 하는 과정속에서 궁금한 점이 생겨 이렇게 질문을 남깁니다.

현재 저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hard delete 특정 연관관계 칼럼까지 삭제를 해야 하는데 이에 있어 보통 어떻게 삭제하는지 궁금합니다. 저희는 프로젝트 용이기 때문에 매 년마다 HardDelete를 구현을 담당하고 있습니다.(내부적인 회의를 통해서 hard delete를 구현하기로 함) 근데 구현에 있어서는 스케줄러를 통해서 삭제를 할 예정이고(코드 참고) @Scheduled(cron = "0 */2 * * * ?") // test cron public void teamDisbandCheckAndDelete() { List<Long> teamIds = teamRepository.findIdsByIsDeleteIsTrue(); teamRepository.deleteAll(teamIds); // cascade remove } 할 생각이었지만 이는 성능상 이슈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한 이유는 팀을 하나만 삭제하는데 다른 연관 관계 테이블은 최소 10배가 최대 100배 넘는 데이터를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봤을 때 성능상 이슈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고 배치 delete를 구현하려고 했습니다. 근데 만약 이렇게 배치 delete를 아래와 같이 진행을 하려고 합니다.(예시 코드) // 연관된 데이터 삭제 // (예: TeamParticipants, SimpleSchedule, RepeatSchedule 등) teamParticipantsRepository.deleteByTeamIdIn(ids); simpleScheduleRepository.deleteByTeamIdIn(ids); repeatScheduleRepository.deleteByTeamIdIn(ids); // Team 엔터티 삭제 teamRepository.deleteAllByIdIn(ids); 근데 이렇게 삭제하는 게 최선인지도 궁금합니다. 여기서 문제점은 만약 다른 엔티티(TeamParticipants 등등) 삭제 시 제약조건 오류가 났을 때 그렇다면 그 해당 칼럼도 삭제를 해줘야 하는데 이렇게 구현하는 게 맞나?? 싶어서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개발자

#java

#spring

#batch

#delete

#jpa

답변 0

댓글 0

추천해요 1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65

2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github에 대해 간단한 질문

안녕하세요. 예전에 제가 github에 repo를 올렸었습니다. 예전 팀원이 그 repo가 private으로 되어있으니 public으로 풀어달라고 하더군요. 대부분은 일반적인 방식대로 repo의 setting의 danger zone에 들어가서 해결했습니다. 근데 하나의 repo가 말썽이네요. setting창에 danger zone도 나오지않고, 해당 repo의 권한을 누가갖고 있는지 확인하려고 해도 나오질 않네요. (분명 제가 생성했던 repo인데 기억이 잘못되건가싶어 권한을 가진사람을 확인하고싶은데, 제가 못찾는 건지..) 혹시 이런 현상을 겪으신 분들이 계실까요..? 해결방법을 아신다면 알려주심 감사하겠습니다. -아직은 너무 주니어개발자 올림- (첫번째이미지: 문제의 창, 두번째이미지: 정상적인 창)

개발자

#github

답변 0

댓글 0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96

2년 전 · 류호준 님의 답변 업데이트

카페24 웹호스팅 중 cors에러 관련 질문입니다.

정부 지원사업으로 3개월짜리 인턴십 진행중인 신입개발자 입니다. 현재 회사에는 시니어 개발자나 선임 개발자가 없어서 정말 초짜 백엔드 1명, 프론트 1명이서 프로젝트르 진행중입니다. node.js - react로 구현한 웹페이지를 카페24 웹호스팅을 통해 배포중입니다. (호스팅 : node.js 호스팅 일반형 / 도메인: htcoummunity.cafe24app.com) 배포된 웹페이지를 테스트 도중 cors에러를 만났습니다. 상황= 로그인 버튼을 누르면 로그인 정보를 체크하는 API가 cors에러로 인해 응답을 받아오지 못하고 있습니다.(모든 api가 안됩니다.) 에러메세지= Access to fetch at 'http://localhost:8001/api/signup/checkuser' from origin 'http://htcoummunity.cafe24app.com' has been blocked by CORS policy: The request client is not a secure context and the resource is in more-private address space `local`. POST http://localhost:8001/api/signup/loginEmail net::ERR_FAILED 자체적인 분석으로는 'http://htcoummunity.cafe24app.com' 가 public IP이기 때문에 로컬호스트로 요청하는 api는 리소스의 Private 수준이 더 높기때문에 cors정책에 의해 막힌 것이라고 해석했습니다. 하지만 적절한 해결책은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Proxy설정까지는 시도해봤지만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았습니다. 인턴십이 이제 3일정도 남아서 배포만이라도 깔끔하게 마무리하고 싶은데 해결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부디 해결책을 제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react

#node.js

#cors

#카페24

답변 1

댓글 0

조회 737

2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exe파일 자동 로그인 보안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간단한 앱을 exe파일로 배포하려고 하는데요. 만약 자동 로그인 서비스를 지원한다고 했을 때 유저의 아이디와 비밀번호 정보를 어딘가에 따로 저장해 놓고 불러와야 하는데 어떤 방식이 보안을 높이는 방법일까요.. 아무리 구글링 해봐도 관련 예제는 없어서 제 PC 카카오톡 exe파일 경로를 조금 뜯어 봤는데 pred(파일명) 파일 안에 "set_auto_login" 변수가 따로 있더군요. 이 변수 값을 통해 유저가 카카오톡을 실행 시켰을 때 자동 로그인 할지 안 할지 결정함을 예상할 수 있었습니다. 이때 자동 로그인을 한다고 가정 했을 때 결국에는 어딘가에 저장되어 있는 제 전화번호와 비밀번호 정보를 불러와야 합니다. 혹시 어떤 방식으로 제 정보를 저장하고 불러오는지 아시는 분 있을까요..?? 저장할 때 암호화는 당연히 진행하겠죠?? 암호화가 진행된다면 exe파일 내부에 public key도 어딘가에 존재하겠죠??? 조금 덧붙이자면 내부 파일 중 connect_conf 라는 파일이 존재했고 여기에 저장되어 있나 생각이 들긴 하는데 파일 형식이 뭔지 모르겠고 메모장으로 열어봐도 encoding이 되지 않은 상태로 뜹니다. 너무 궁금하네요.

개발자

#exe

#보안

답변 0

댓글 0

조회 142

2년 전 · 황인웅 님의 질문 업데이트

SpringBoot @ComponentScan 질문

안녕하세요. 1년차 백엔드 개발자 입니다. JPA 실습 중 궁금한 것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 코드 @SpringBootApplication @ComponentScan(basePackages = "com.jpabook.jpashop") public class JpaShop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JpaShopApplication.class, args); } } 상황설명 -@Repository 어노테이션을 명시한 Bean 객체를 테스트에서 찾지 못하는 오류 발생 -Repository 계층에 대한 단위 테스트 수행을 하고 싶은데 @SpringBootTest를 사용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함. -방법을 찾다보니 위 코드 처럼 @ComponentScan을 직접 명시하니 해결 궁금한 것은 위 코드에서 @ComponentScan이 명시되어 있는데 해당 어노테이션은 @SpringBootApplication에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서 이제껏 명시하지 않더라도 @Autowired 등의 의존성 주입이 정상적으로 됐었는데요. 이번 실습 프로젝트에서는 되지 않아서 저렇게 명시를 했더니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혹시 어떤 이유 때문인지 설명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참고로 테스트 했던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패키지 구조는 사진과 같습니다.

개발자

#jpa

#springboot

#의존성주입

#junit

#테스트

답변 0

댓글 0

조회 73

2년 전 · 이상선 님의 새로운 답변

회사에서 정적애셋관리 어떻게 하시나요?

일단 저희 회사는 next js를 사용합니다 제가 다시는 회사는 프론트엔드로 ABT를 많이 자주하는 회사인데 그럴때 마다 쌓이는 이미지 때문에 빌드가 느려지더라구요. 그래서 정적애샛관리 솔루션을 개발하는 작업을 맡았는데 다른 회사는 어떻게 관리하는 지 궁금합니다. 제가 했던 것은 public 폴더에 사용하지 않는 이미지 제거 더이상 public 폴더에 이미지를 쌓지 않기 위해 actions로 main branch merge 시 자동 s3 업로드 업로드 완료되면 public에서 삭제 이런 작업을 하고 있는 이게 맞는 것인가? 의문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개발자

#nextjs

#image

#public

#asset

답변 1

댓글 0

조회 157

2년 전 · 손호영 님의 질문

가계부 어플리케이션 만들기 java질문

import javax.swing.*; import java.math.*;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awt.event.*; import java.util.Scanner; import java.text.NumberFormat; import java.util.Locale; class momry extends JFrame { private ArrayList<Integer> incomeList = new ArrayList<>(); private ArrayList<Integer> expenseList = new ArrayList<>(); private boolean isIncome = false; // 초기값은 지출로 설정 public momry() { setTitle("가계부"); setSize(800, 200); JButton button1 = new JButton("추가"); JButton button2 = new JButton("제거"); JButton button3 = new JButton("수입"); JButton button4 = new JButton("지출"); button3.addActionListener(new ActionListener() { @Override public void actionPerformed(ActionEvent actionEvent) { JFrame frame = new JFrame(); frame.setTitle("수입입력"); frame.setSize(500, 600); JLabel label = new JLabel("수입을 입력하세요");//수입을 입력한다. frame.add(label);//라벨에 표시한다. JTextField textField = new JTextField(10); // 텍스트 필드를 생성하여 수입을 입력 받음 frame.add(textField); JButton submitButton = new JButton("확인"); submitButton.addActionListener(new ActionListener() { @Override public void actionPerformed(ActionEvent e) { ArrayList<Integer>i1=new ArrayList<Integer>(); int income = Integer.parseInt(textField.getText()); // 입력된 값을 정수로 변환 int income1 = Integer.parseInt(textField.getText()); // 입력된 값을 정수로 변환 i1.add(income); // 수입을 ArrayList에 추가 submitButton.addActionListener(new ActionListener() { @Override public void actionPerformed(ActionEvent actionEvent) { int income = Integer.parseInt(textField.getText()); incomeList.add(income); frame.dispose(); // 입력 창 닫기 } }); frame.add(submitButton); frame.setVisible(true); } }); } NumberFormat numberFormat = NumberFormat.getNumberInstance(Locale.KOREA); }); button4.addActionListener(new ActionListener() { @Override public void actionPerformed(ActionEvent actionEvent) { JFrame frame1 = new JFrame(); frame1.setTitle("지출입력"); frame1.setSize(500, 600); JLabel label1 = new JLabel("지출 내용을 입력하세요");//수입을 입력한다. frame1.add(label1);//라벨에 표시한다. JTextField textField = new JTextField(10); // 텍스트 필드를 생성하여 수입을 입력 받음 frame1.add(textField); JButton submitButton1 = new JButton("확인"); submitButton1.addActionListener(new ActionListener() { @Override public void actionPerformed(ActionEvent e) { ArrayList<Integer>i1=new ArrayList<Integer>(); int income = Integer.parseInt(textField.getText()); // 입력된 값을 정수로 변환 int income1 = Integer.parseInt(textField.getText()); // 입력된 값을 정수로 변환 i1.add(income); // 수입을 ArrayList에 추가 submitButton1.addActionListener(new ActionListener() { @Override public void actionPerformed(ActionEvent actionEvent) { int income = Integer.parseInt(textField.getText()); incomeList.add(income); frame1.dispose(); // 입력 창 닫기 } }); frame1.add(submitButton1); frame1.setVisible(true); } }); } }); } } class Scratch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 이게 맞나요?

개발자

#java

#android

답변 0

댓글 0

보충이 필요해요 3

조회 146

2년 전 · 닉네임을 등록해주세요 님의 질문

VM에 VPN(Wireguard)을 통한 접속 방법

안녕하세요. 제발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 제가 궁극적으로 하고 싶은 것 : 외부에서 노트북으로, 저희 집 데스크톱에 VM으로 띄워 놓은 서버에 VPN을 통해서 접속 (네트워크 지식이 부족하여, 어느 부분이 빠졌는지, 뭘 고려해야하는지, 뭘 알아야하는지... 등 조언과 훈수 부탁드립니다. 구체적인 방법을 알려주시면 가장 좋고요ㅠ) 현재 저의 상태입니다. 1. LG 유플러스 인터넷 사용, 집에 있는 데스크톱에 랜선을 꽂아서 인터넷 사용중 (IP : 192.168.219.102) 2. VMware - Bridged 방식으로 VM 서버(Ubuntu 22.04) 하나를 띄워 놓음 (IP : 192.168.219.201) 3. 위의 VM 서버에 Wireguard VPN을 설치 (VPN 서버 + 개인용 웹서버로 사용하기 위해) 4. https://jjeongil.tistory.com/2062 블로그를 보며 VPN 서버 구축을 함 5. Wireguard 설정 ㅇ 서버측 wireguard 설정(VM) [Interface] Address = 192.168.219.1/24 SaveConfig = true PostUp = iptables -A FORWARD -i %i -j ACCEPT; iptables -t nat -A POSTROUTING -o ens33 -j MASQUERADE PostDown = iptables -D FORWARD -i %i -j ACCEPT; iptables -t nat -D POSTROUTING -o ens33 -j MASQUERADE ListenPort = 51820 PrivateKey = xxxxxxxxxx= [Peer] PublicKey = xxxxxxxxxx= AllowedIPs = 192.168.219.202/32 ------------------------------------------------------------- ㅇ 클라이언트쪽 wireguard 설정(노트북) [Interface] PrivateKey = xxxxxxxxxx= Address = 192.168.219.202/24 [Peer] PublicKey = xxxxxxxxxx= AllowedIPs = 0.0.0.0/0 Endpoint = 192.168.219.201:51820 ============================================================= [ 로그 ] 2023-09-22 16:18:28.666678: [TUN] [srm-pjt-vm-server] Starting WireGuard/0.5.3 (Windows 10.0.22621; amd64) 2023-09-22 16:18:28.667384: [TUN] [srm-pjt-vm-server] Watching network interfaces 2023-09-22 16:18:28.669947: [TUN] [srm-pjt-vm-server] Resolving DNS names 2023-09-22 16:18:28.669947: [TUN] [srm-pjt-vm-server] Creating network adapter 2023-09-22 16:18:28.750000: [TUN] [srm-pjt-vm-server] Using existing driver 0.10 2023-09-22 16:18:28.762403: [TUN] [srm-pjt-vm-server] Creating adapter 2023-09-22 16:18:28.967072: [TUN] [srm-pjt-vm-server] Using WireGuardNT/0.10 2023-09-22 16:18:28.967588: [TUN] [srm-pjt-vm-server] Enabling firewall rules 2023-09-22 16:18:28.938662: [TUN] [srm-pjt-vm-server] Interface created 2023-09-22 16:18:28.972410: [TUN] [srm-pjt-vm-server] Dropping privileges 2023-09-22 16:18:28.972410: [TUN] [srm-pjt-vm-server] Setting interface configuration 2023-09-22 16:18:28.972932: [TUN] [srm-pjt-vm-server] Peer 1 created 2023-09-22 16:18:28.974501: [TUN] [srm-pjt-vm-server] Monitoring MTU of default v4 routes 2023-09-22 16:18:28.974501: [TUN] [srm-pjt-vm-server] Interface up 2023-09-22 16:18:28.977259: [TUN] [srm-pjt-vm-server] Setting device v4 addresses 2023-09-22 16:18:28.995686: [TUN] [srm-pjt-vm-server] Monitoring MTU of default v6 routes 2023-09-22 16:18:29.023405: [TUN] [srm-pjt-vm-server] Setting device v6 addresses 2023-09-22 16:18:29.072431: [TUN] [srm-pjt-vm-server] Startup complete 2023-09-22 16:18:29.070847: [TUN] [srm-pjt-vm-server] Sending handshake initiation to peer 1 (192.168.219.201:51820) 2023-09-22 16:18:34.106156: [TUN] [srm-pjt-vm-server] Handshake for peer 1 (192.168.219.201:51820) did not complete after 5 seconds, retrying (try 2) 2023-09-22 16:18:34.106156: [TUN] [srm-pjt-vm-server] Sending handshake initiation to peer 1 (192.168.219.201:51820) 2023-09-22 16:18:39.107654: [TUN] [srm-pjt-vm-server] Sending handshake initiation to peer 1 (192.168.219.201:51820) 2023-09-22 16:18:44.115294: [TUN] [srm-pjt-vm-server] Sending handshake initiation to peer 1 (192.168.219.201:51820) 2023-09-22 16:18:49.267198: [TUN] [srm-pjt-vm-server] Handshake for peer 1 (192.168.219.201:51820) did not complete after 5 seconds, retrying (try 2) 2023-09-22 16:18:49.267198: [TUN] [srm-pjt-vm-server] Sending handshake initiation to peer 1 (192.168.219.201:51820) 2023-09-22 16:18:54.340284: [TUN] [srm-pjt-vm-server] Handshake for peer 1 (192.168.219.201:51820) did not complete after 5 seconds, retrying (try 2) 2023-09-22 16:18:54.340284: [TUN] [srm-pjt-vm-server] Sending handshake initiation to peer 1 (192.168.219.201:51820) 2023-09-22 16:18:59.355253: [TUN] [srm-pjt-vm-server] Sending handshake initiation to peer 1 (192.168.219.201:51820) 2023-09-22 16:19:04.414034: [TUN] [srm-pjt-vm-server] Handshake for peer 1 (192.168.219.201:51820) did not complete after 5 seconds, retrying (try 2) 2023-09-22 16:19:04.414034: [TUN] [srm-pjt-vm-server] Sending handshake initiation to peer 1 (192.168.219.201:51820) 2023-09-22 16:19:07.916126: [TUN] [srm-pjt-vm-server] Shutting down 2023-09-22 16:19:07.922350: [MGR] [srm-pjt-vm-server] Tunnel service tracker finished

개발자

#network

#ubuntu

#vpn

#wireguard

#vm

답변 0

댓글 0

조회 424

2년 전 · 손호영 님의 질문

한글 인코딩을 했는데 에러가 계속나요

error: unmappable character (0xEB) for encoding x-windows-949 import java.sql.Connection; import java.sql.DriverManager; import java.sql.SQLException; public class Love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e){ String url = "jdbc:mysql://localhost:3306/mysql?useUnicode=true&characterEncoding=utf8"; String username = "root"; String password = "1234"; try { Connection connection = DriverManager.getConnection(url, username, password); System.out.println("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되었습니다."); // 여기에서 SQL 쿼리를 실행하여 데이터를 관리합니다. connection.close(); } catch (SQL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 } 어떻게 오류가 있을까요

개발자

#jdbc

답변 0

댓글 0

조회 64